*** lobha(貪), dosa(瞋), moha(癡)의 여러 종류
*lobha(貪)가 좀 더 강해지면 라가(欲, rāga)-욕심 부리는 기능, 매우 강력하게 되면 비정상적인 욕(欲) 아빗자(탐욕, abhijjhā)
lobha의 종류 - chanda (의욕, 열의), rāga(탐욕, 감각적 즐거움을 추구하는 것), kāma(애욕, 감각적 쾌락), taṇhā(갈애, 강한 욕구), abhijjhā(탐애 간탐), upādāna(집착)
욕구(chanda)란 처음에 일어난(pubb-uppattikā) 약한 갈애(dubbala-taṇhā)이다. 이것은 마음을 물들일 수 없다.
탐욕(rāga)은 계속적으로(aparāparaṁ) 일어나는 강한 갈애(balava-taṇhā)이다. 이것은 마음을 물들일 수 있다.
*dosa(瞋)가 좀 더 강해지면 빠띠가(瞋恚, paṭigha), 비정상적인 성냄이 되면 브야빠다(惡意, byāpāda),
도사(dus 오염되다)는 오염되어 마음이 어둡게 된 것, 상대에 부딪치려는 기능.
빠띠가(瞋恚)는 인식한 대상을 거부하는, 부정하는 의미로써의 성냄이다.
성냄(dosa)이란 때리는 행동 등을 실행할 수 없는 처음에 일어난 약한 분노(kodha)이다.
적의(paṭigha)란 때리는 행동 등을 실행할 수 있는 계속적으로 일어나는 강한 분노이다.
*moha(癡) : 물결을 만드는 걸 무명(無明, 아윗자 avijjā),
그 물결에 포함되는 것 중 하나가 무지(癡, 모하 moha)
무지(moha)는 탐·진·치의 어리석음.
같은 무지가 모든 번뇌를 정리하는 중개역, 또는 의장 역을 실행하고 있는 경우는 무명(avijjā) 이라고 말합니다.
어리석음(moha)'이란 미혹함(mohana-sammohana)을 통해서 일어나는 무지(aññāṇa)이다.
'아짠 빤냐와로 스님 수행법문 녹취 > 심소(쩨따시까), 수행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빳삿디 : 몸과 마음의 고요함 (kāya ca citta passaddhi) (20060901) (0) | 2020.10.03 |
---|---|
따뜨라맛잣땃따 : 중립성 (tatramajjhattatā) (20060901) (0) | 2020.10.03 |
아도사 (adosa, 無瞋) (20060830) (0) | 2020.10.03 |
아로바 (alobha, 無貪) (20060830) (0) | 2020.10.03 |
모든 마음에 공통되는 심소 7가지(촉,수,상,사, 심경일성, 명근, 마음새김) [법문교재] (0) | 2020.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