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짠 빤냐와로 스님 일상수행법문 녹취/2016~2017 일상수행법문 49

2016년 「윤회의 진실」 세미나_축사법문_빤냐와로스님_20161203.서울

https://youtu.be/JZ_E-SyS1Y8?si=aiFUv4vlcWV4_gR9 * 「윤회의 진실」 세미나_축사법문_빤냐와로스님_20161203.서울(08:20초 이후부터 법문이 시작됩니다.) 편하게 좀 앉으십시요. 사회자: 그럼 먼저 삼보에 귀의하고 오계를 수지하는 의식을 거행하겠습니다.  빤냐와로 스님: 합장 한번 해보실까요? 프린트물 앞에 있죠. 스님이 선창을 하면 따라서 해주시기 바랍니다.  사회자: 예. 법우님들 그리고 오늘 나눠드린 책자에 보면은 프린트물 2페이지에 여기 예불의식문이 있습니다. 빤냐와로 스님: 같이 해보겠습니다.  [법회의식 시작] 아라항 삼마-삼붓도- 바가와-, 붓당 바가완땅 아비와-데-미. 모든 번뇌 떠나신 분 스스로 완전한 깨달음을 이루신 존귀하신 분, 그 존귀하신..

2016년 경주 안거해제_작은 행복에서 큰 행복으로 나아가라_20161016

https://youtu.be/SB5RVWiLun8?si=ZKvoosmUDqrzzTr9 * 2016년 경주 안거해제_작은 행복에서 큰 행복으로 나아가라_마하보디선원_20161016 안거 결제할 때 스님이 여러분들한테 당부한 것이 있습니다. 그때 들었던 용어가 '미따바닌(mitabhāṇin)'이라고 하는 용어를 들어서 얘기를 했습니다. "말하는 자격을 갖춰라" 하면서, 생각을 하고 나서 말을 하고, 그 요점을 갖춰서 반드시 말을 하고, 공허한 말을 하지 않고, 또 그 말하는 것들이 법에 어긋나지 않도록 하라 하고 얘기를 한 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말하는 자격을 잘 갖추도록 하라 하는 그런 이야기를 했습니다. 잘 지켜왔습니까? 법문 그날 듣고 나서 다 까먹어 버리고 생각도 안 하고 있었죠? (수행자: 조심했..

올바른 수행자란 (20170928)

https://youtu.be/x_wxtRM88w8 * 올바른 수행자란 (20170928) 다음주는 추석이기 때문에 한주 쉬고 그다음주 목요일날 해제하도록 그렇게 하겠습니다. 12일이 되는거죠? 12일날. (수행자 질문 :스님 그럼 한주 쉬는 날에는 게송 전화한통 안해도 됩니까?) 안 해도 됩니다. (수행자 대답 : 감사합니다.) 오늘은 프린트물 나간 거 있죠? 그게 21페이지로 되어 있습니다. 저번에 할려다가 경전을 좀 더 찾아봐야 되는 것이 있어가지고 마무리 해가지고 프린트물 내주는 겁니다. 수행을 통해서 예류과에 이르는 길과, 그렇지 않고 부처님 가르침을 열심히 듣고, 그래서 거기에 대한 믿음이 있으면서 그것으로 인해서 바르게 숙고하는 것으로 인해서 예류과에 이르는 길, 두 가지 길에 대한 것들을 ..

아수바 산냐(asubhā sañña, 부정상) (20170727)

https://youtu.be/1srOMTBdW8I * 아수바 산냐(asubhā sañña, 부정상) (20170727) 오늘은 유골과 부정상 - 아수바 산냐라는 것에 대해서 하겠습니다. 아수바 바와나(asubhā bhāvanā)라는 게 있고, 아수바 산냐(asubhā sañña)라는 게 있습니다. 예비수행 중에 부정관, 부정상 그렇게 얘기를 합니다. 오늘은 부정상(asubhā sañña)에 대한 얘기를 좀 하도록 하겠습니다. 요즘은 누가 돌아가실 때 유언을 할 때 보면 그냥 화장하고 흩어버려라 하고 화장하는 경우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아무리 돌아가실 분이 그렇게 유언을 했다 하더라도 남아있는 가족들이 그걸 지키느냐 안 지키느냐 하는 것 그게 문제입니다. 잘 지키면 문제가 없는데 가족만 있는..

출가자가 갖추어야 될 조건들 (20170720)

https://youtu.be/CSriITz6rsQ* 출가자가 갖추어야 될 조건들 (20170720)  어제는 사와이 스님 비자 연장 때문에 하루 종일 좀 다녔어요. 어제 좀 덥기도 하고 햇볕에 좀 많이 타기도 했는데, 해마다 비자 연장하는 게 좀 힘들어져요. 작년까지는 기본적인 서식만 쓰고 결핵 검사 그것만 하고 나면 특별한 문제가 없었는데, 올해는 첨가된 게 뭐냐면 건물을 빌려가지고 사용하고 있다는 계약서, 또 한국에서 돈을 얼마나 썼는지 하는 수입지출서라고 그러나? 세금계산서 그것까지 첨부를 하라고 그러더라고. 그래서 그걸 하면서 조금 힘이 들더라고. 그걸 미리 준비해 놓은 것도 아니고, 어디 가서 자꾸 뭐 썼다 그러면 그거 가서 영수증 받아야 되고 저거 받아야 되고 이런 것을 하면서, 출가자에 대..

2017년 우안거 입재_담마의 정통성 확립 (25600709.경주)

https://youtu.be/AZv6VtVzf30* 2017년 우안거 입재_담마의 정통성 확립 (25600709.경주)  편하게 앉으십시오. 제가 이어서 하겠습니다. 제가 잔소리꾼은 아닙니다 이. 해피스님에게는 만날 어린 스님들한테 잔소리만 하는 것처럼 보여질 수 있는데, 좀 더 분명하게 해야 되는 부분들이 있고, 또 아직 공부가 더 필요하고 아직 어린 스님들한테는 올바르게 지도해줘야 되는 입장이 섞여서 있는 몫이기 때문에, 그래서 가끔씩 조금 심하게 어긋난다 싶은 것들은 지적을 해서 바로잡아 나가는 그런 것들을 해나가고 있습니다. 해피스님이 얘기했듯이 테라와다의 정통성은 결집에서 인정을 받게 됩니다. 누구든지 1차결집 2차결집 쭉 진행돼왔던 것들을 부정하진 않습니다. 테라와다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다른..

2017년 우안거 입재_모아두는 것에 대해서 (20170706)

https://youtu.be/WPp9igAW8VI * 2017년 우안거 입재_모아두는 것에 대해서 (20170706) 오늘은 안거 시작하는 날이고 그렇습니다. 「모아두는 것」에 대한 얘기를 좀 하겠습니다. 모아두는 것 많죠? 대부분 왜 모아두는가 하고 물어보면은 "미래가 확정된 게 아니라서, 내가 불안하기 때문에 모아둔다" 하는 얘기를 합니다. 그런데 어느 정도 모으고 하는 것은 괜찮은 방법일 수 있는데, 이게 지나쳐버리면 모아두는 것들에 대해서 집착을 하게 됩니다. 그게 집착으로 연결되고 또 그것이 원인이 돼서, 성냄이라든지 불안이라든지 아니면 들뜨는 것이라든지 후회라든지 이런 악감정을 가지고 스스로 고통을 받게 되는 지경까지 이르르게 됩니다. 그래서 "모아두는 것에도 윤리와 도덕이 있고 불교적인 관..

암 선고를 받는다면 (20170615)

https://youtu.be/Z9xrj9EYflg * 암 선고를 받는다면 (20170615) 오늘은 「암 선고」에 대한 얘기를 좀 하겠습니다. 여러분은 암을 가지고 있습니까? 암은 어떤 거라요? 세포가 계속 늙고 병들고 하지 않고 계속 성장하기만 하는 거죠! 원래 세포 안에는 생노병사라는 것이 있습니다. 세포의 본질은 태어났으면 늙고 병들고 죽음을 맞이하는 것이 원래 세포의 본질인데, 그 본질을 벗어나가지고 세포가 늙고 병들고 죽지 않고 계속 증식만 할 경우에는 그걸 암세포라고 그럽니다. 몸은 한정돼 있으니까 그 세포들이 계속 늘어나면 정상적인 세포들을 잠식하게 되는 거죠. 그래서 그게 암덩어리로써 더 커지게 되고, 결국에는 생명을 잃는 상태가 됩니다. 어찌 보면 세포의 본질은 생로병사입니다. 여러분들..

게으름뱅이는 소와 같이 늙는다. (20170525)

https://youtu.be/iWGu0ghVBMA * 게으름뱅이는 소와 같이 늙는다. (20170525) 오늘은 「게으름뱅이는 소와 같이 늙는다」 하는 구절이 있습니다. 정확한 구절은 「배우는 것이 적은 사람은 소와 같이 늙는다. 고기는 증가하지만 지혜는 증가하지 않는다.」 하는 내용입니다. 부처님이 이 얘기를 한 것은 게으른 사람은 인간 취급을 안 했다는 얘기죠? 소 취급했다는 얘기와 마찬가집니다. 게으름 피우는 것은 불교적으로 봤을 때는 좋은 것은 아니다 하는 겁니다. 게으름 안 피우고 사는 사람 있습니까? 보통은 본인들이 그것이 게으름인지 아닌지를 잘 모릅니다. 예를 들면 뭔가를 열심히 했다고 하면 사회에서는 참 잘했다 하고 얘기합니다. 불교적으로 봤을 때는 그 일을 한 것들을 효율성을 잘 따집니..

올바른 삶의 방법을 선택하는 가이드 라인 (20170511)

https://youtu.be/Ijqa-WARCUI * 올바른 삶의 방법을 선택하는 가이드 라인 (20170511) 오늘은 「올바른 삶의 방법을 선택하는 가이드 라인」이라는 제목으로 얘기를 하겠습니다. 우리나라 뿐아니라 전세계적으로 여성들보다 남성들이 수명이 아마 짧을 겁니다. 왜 남자들이 짧을까? (수행자 대답 : 남자들이 고생을 많이 해가지고요) 처자식 먹여 살리느라고 고생을 해서 그럴 수도 있는데, 경전의 어디를 봐도 남성의 수명이 짧은 그 이유를 경전에 부처님이 얘기한 적은 한 번도 없는데, 수명이 짧은 것은 보통 보면 신·구의·(身口意)와 관계돼있습니다. 남자들은 슬픈 게 있고 그래도 꾹 눌러 참습니다. 여자들은 감정표현을 마음에 있는 것들을 그냥 그대로 펑펑 울든지 이렇게들 합니다. 마음이 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