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짠 빤냐와로 스님 일상수행법문 녹취 470

2016년 「윤회의 진실」 세미나_축사법문_빤냐와로스님_20161203.서울

https://youtu.be/JZ_E-SyS1Y8?si=aiFUv4vlcWV4_gR9 * 「윤회의 진실」 세미나_축사법문_빤냐와로스님_20161203.서울(08:20초 이후부터 법문이 시작됩니다.) 편하게 좀 앉으십시요. 사회자: 그럼 먼저 삼보에 귀의하고 오계를 수지하는 의식을 거행하겠습니다.  빤냐와로 스님: 합장 한번 해보실까요? 프린트물 앞에 있죠. 스님이 선창을 하면 따라서 해주시기 바랍니다.  사회자: 예. 법우님들 그리고 오늘 나눠드린 책자에 보면은 프린트물 2페이지에 여기 예불의식문이 있습니다. 빤냐와로 스님: 같이 해보겠습니다.  [법회의식 시작] 아라항 삼마-삼붓도- 바가와-, 붓당 바가완땅 아비와-데-미. 모든 번뇌 떠나신 분 스스로 완전한 깨달음을 이루신 존귀하신 분, 그 존귀하신..

2016년 경주 안거해제_작은 행복에서 큰 행복으로 나아가라_20161016

https://youtu.be/SB5RVWiLun8?si=ZKvoosmUDqrzzTr9 * 2016년 경주 안거해제_작은 행복에서 큰 행복으로 나아가라_마하보디선원_20161016 안거 결제할 때 스님이 여러분들한테 당부한 것이 있습니다. 그때 들었던 용어가 '미따바닌(mitabhāṇin)'이라고 하는 용어를 들어서 얘기를 했습니다. "말하는 자격을 갖춰라" 하면서, 생각을 하고 나서 말을 하고, 그 요점을 갖춰서 반드시 말을 하고, 공허한 말을 하지 않고, 또 그 말하는 것들이 법에 어긋나지 않도록 하라 하고 얘기를 한 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말하는 자격을 잘 갖추도록 하라 하는 그런 이야기를 했습니다. 잘 지켜왔습니까? 법문 그날 듣고 나서 다 까먹어 버리고 생각도 안 하고 있었죠? (수행자: 조심했..

재가자가 갖추어야 될 필수 조건 다섯 가지와 우빠산띠(upasanti) 20241207

https://youtu.be/EFW34qVVHZQ?si=YKge8WJRHC_wn7zI * 재가자가 갖추어야 될 필수 조건 다섯 가지와 우빠산띠(upasanti) 20241207 엎질러진 물이네. 지금 정국이 그렇습니다. 왜들 여기 와 있어? 빨리 나가서 거리에 안나가고? 스님이 출가하지 않았으면 아마 나가 있겠지. 출가자들은 특히 이제 태국 같은 경우에는 일체 정치적인 활동이 금지돼 있습니다. 그뿐 아니라 투표권도 없어요. 우리나라는 투표권도 있잖아. 투표권도 없어. 그러니까 종교적인 거 외에는 일절 정치적인 것은 다 금지되어 있습니다. 아마 미얀마도 마찬가지일 겁니다. 근데 이제 상가에서 정치적인 것들을 행할 수 있는 게 딱 하나 있습니다. '복발갈마'라고 해가지고 '바리때를 엎어버린다.' 쉽게 말하..

2024 담마와나 선원 빵수꿀라(paṁsukūla) 가사공양 법회_계율과 수행에 대한 이야기_빤냐와로스님 법문(241117)

https://youtu.be/xX9-Egf8nm4?si=n5LDGo7eALq9kQAU * 2024 담마와나 선원 빵수꿀라(paṁsukūla, 분소의) 가사공양 법회_계율과 수행에 대한 이야기_빤냐와로스님 법문(241117) 올해 마지막 법문인 것 같은데, '법이 막 나를 부르는 거' 경험해 본 사람 있어요? ‘빨리 와. 이리 와가지고 빨리 확인해 봐’ 이러는 거. 산딧티꼬 에히빳시꼬 그러죠? 직접 확인해봐라! 이런 얘기를 들읍니다. 오늘은 계율과 수행에 대한 얘기를 좀 하겠습니다.코띠카 장로하고 사리뿟따 장로 두 분이 대화한 경전이 있습니다. "계율을 잘 지키고, 대상에 대해서 마음을 잘 기울이는 요니소마나시까라가 되는 범부 수행자들이 예류과에 도달하려면 어떻게 해야 됩니까?" 하고 물어보게 됩니다. ..

갈애(taṇhā)는 강력한 자석이다.(241116)

https://youtu.be/vL-Ok2xSndY?si=8neT1L3RY0tZfs2A * 갈애(taṇhā)는 강력한 자석이다.(241116) 오늘은 "갈애라는 딴하(taṇhā)는 강력한 자석이다." 하는 얘기를 하겠습니다.  얼마 전 교단법회에서 '욕망은 좋은 것도 싫은 것도 아니다.' 뭐 이런 얘기가 나왔다고 그럽니다. 그래서 그 부분에 대한 걸 조금 짚고 넘어가야 될 거 같애서. 빨리어 용어로 그때 욕망을 뭐 어떤 빨리어 용어를 썼는지는 스님도 몰라요. 그땐 법문을 스님은 아예 안 들었어요. 그냥 앉아서 좌선해갖고 있어가지고 뭔 얘기했는지를 하나도 기억을 못 해요. 근데 아마 거기서 말한 욕망은 이런 딴하-(taṇhā) 같은 것들이나 까-마(kāma) 같은 거나 로-바(lobha) 같은 거나 이런 ..

수행자가 되려고 하지 말고 테라와다 수행자가 되도록 하라_빤냐와로 스님법문_한국테라와다 하계집중수행법문_120810

https://youtu.be/GQz3IQ_zLsg?si=i9yKlpUrVl80slQ_ * 수행자가 되려고 하지 말고 테라와다 수행자가 되도록 하라_빤냐와로 스님법문_한국테라와다 하계집중수행법문_120810 어쨌든 여기까지 오느라고 다들 고생했습니다. 음 오늘부터 2박 3일이죠. 2박 3일 동안 수행하고 가야 되는데 많이 불편할 겁니다. 특히 이제 여기 마하보디 선원 같은 경우에는 방사도 넉넉하지 않고 또 우리 마하보디 선원장 스님께서 워낙 자애로워가지고 이 더위에 선풍기 하나 없이 지내라고, 자연주의가 돼 가지고. 그런데 여러 가지 불편해도 수행하러 왔으니까 수행은 하고 가야죠! 편하게 좀 앉으십시요. 스님은 이제 자주 그런 얘기를 합니다.  "수행자가 되려고 하지 말고 테라와다 수행자가 되도록 하라"..

「다툼」 _빤냐와로 스님법문_테라와다 법석(法席) (120323)

https://youtu.be/fgrdQlWB7Lw?si=tm-u-KSdfOw_cZTr * 「다툼」 _빤냐와로 스님법문_테라와다 법석(法席) (120323) 저번 개강법회 하고 2주 만이죠. 앞으로는 격주가 되겠죠. 둘째 주 넷째 주를 맡았으니까 격주 간격으로 아마 여러분들을 볼 수가 있을 겁니다.  스님이 맡은 거는 「테라와다의 수행 이론과 실천」에 대한 겁니다. 나는 내 맡은 것만 열심히 할 겁니다. 행정적인 것은 여기 계신 빤냐완따 스님하고 또 경주에 계시는 냐나로까 스님하고 열심히 하고 계시니까 그래서 저는 좀 문외한이 그런 데선 될려고 하는 중입니다. 그래도 여러분들이 왔으니까 소득은 있어야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으로 매주마다 프린트물을 나가도록 노력을 할 겁니다. 스님 법문 들으라 그러면 대..

2012 테라와다법석(法席)_(사)한국테라와다불교 개강법회 법문

https://youtu.be/XjAqgjlVuAo ◈ 테라와다 열린법석 개강법회_멋지게 산다는 것 (20120309.대원정사) 반갑습니다. 지금 테라와다 법석을 마련을 해서 둘째 주, 넷째 주에 수행의 실제와 이론 부분을 담당을 하게 됐습니다. 이걸 맡으면서 곰곰히 한번 생각을 해봤어요. 대부분 수행법들은 알죠? 그래서 수행법들에 대해서 얘기를 하자니 이건 내보다 더 많이 알 것 같고, 그렇다고 수행 외적인 부분에 대해서 말을 하자니 그것도 말이 안 되는 것 같고, 그래서 궁여지책을 생각해 낸 것이 지금은 어쨌든 정규 대학수준이 아니기 때문에 이번 1년간은 스님들 법문을 통해서 테라와다 스님들과 여러분들이 좀 더 가깝게 지낼 수 있는 그런 것들을 마련하기 위한 겁니다.  그래서 1년 동안을 뭐할까 고민..

까티나의 특징_2024 붓다의길따라선원 파빠(phapa)가사 법회(20241102)

https://youtu.be/NQ7BeXF9oPU?si=0Che93CGKudjfGOz 법문영상 https://youtu.be/AShY3xGDOfk?si=USr_9O6He19VXxs_ 전체행사 기록영상 * 까티나의 특징_2024 붓다의길따라선원 파빠(phapa)가사 법회(20241102) 오늘 사실은 법문하려고 한 게 스님들이 조금 정신 차리라고 할려고 법문을 준비했는데, 오늘 까티나(kathina)가 아니고 파빠(phapa)죠. 왜 그렇게 됐는지 알아요? 갑작스럽게 오늘 아침에 바뀌었는데, 까티나는 어떠한 경우든지 비구 스님들이 5명이 모여야만 까티나가 성립이 됩니다. 근데 5명이 안 될 때는 다른 거로 빵수꿀라찌와라, 와나둣상, 그다음에 지금 파빠(phapa) 이런 식으로 다른 것으로서 가사를 공양 ..

부처님과 부처님의 가르침 - 보살편 dhamma32 (2003)

https://youtu.be/df4kFd3C4LM?si=ROyIgWAs9QaeXSXj * 부처님과 부처님의 가르침 - 보살편 dhamma32 (2003) 「7과. 보살편」 붓다의 세 가지 몸(삼신), 붓다의 공적, 붓다의 가르침의 세 부분(삼장)「불교는 성스러운 진리 그것일 뿐이다」 「불교는 당시 인도의 다른 가르침과 같은가, 다른가」 「중도와 팔정성도」 「수행의 3원칙」  자, 그다음 장 한번 펴보시기 바랍니다. 30페이지죠. 오늘부터 할 장이죠. 조금 더 하다가 쉽시다 이. 오늘 아직 시작도 못 했습니다 이. 보살, 윤보살 그러지? 장 보살 그러지? 여기 말하는 보살 하고 우리가 말하는 윤보살 하고 같은 겁니까? 예? 같은 거라 틀린 거라? 똑같습니까? 그럼 여기 「보살은 최고의 깨달음을 얻기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