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짠 빤냐와로 스님 일상수행법문 녹취 476

선우 - 깔르야나 밋따(kalyāṇa mitta)의 자질 (20240817)

https://youtu.be/Hb0GrcwHv3M?si=14MZ0EwiA5fZvBFs * 선우 - 깔르야나 밋따(kalyāṇa mitta)의 자질 (20240817) 어제는 스님이 아는 스님하고 같이 통도사에 한번 갔다 왔어요. 가가지고 욕만 바가지로 먹고 왔어요. 그 통도사 그 사리 모신데로 올라가는 계단이 이렇게 있잖아요. 근데 자꾸 이 스님이 “스님! 가운데 길로 들어가십시오.” 이러는 거라. 그래서 생각 없이 그냥 가운데 길로 들어갔는데 통도사에 있는 스님이 난리가 났어요. 거 왜 조실 스님이나 큰 스님이 드나드는 그 가운데 길을 가느냐고 막 야단을 치는 거라. 그래서 내가 그냥 합장하고 “죄송합니다.”하고 인제 나는 여기 옆으로 빠져나왔는데, 같이 간 스님은 “이 스님이 누군지 알고 그러느냐?..

통나무의 비유_팔정성도, 오온 (2002 0907)

https://youtu.be/t3K1X-ODd3I?si=SeH1wNYjkiL6JoWf * 통나무의 비유_팔정성도, 오온 (2002 0907)자, 어쨌든 저번 시간에 통나무에 대한 비유를 했습니다. 대충 "우리가 일생을 살아가는 동안에 어떤 위험들에 처해서 살아가는가" 하는 걸 갖다 뗏목에, 통나무에 비유해서 예를 들어 설명을 해드렸습니다. 그와 마찬가지로 "열반에 이르는 길도 이 통나무와 꼭 마찬가지다" 하고 얘기를 했습니다. 그래서 "여러 가지 과정들을 겪고 또 이겨내야만이 깨달음을 성취한다" 하고 얘기를 했습니다.  그래서 그 깨달음을 성취하는 길들이 바로 다른 것이 아니라 이 통나무의 비유에 잘 부처님이 표현을 해놓은 것입니다. 어쨌든 숨을 쉬고 있을 것 같으면 이 세상을 살고 있는 것이고. 숨을..

살아가면서 생겨나는 여섯 가지 잘못된 견해들_뗏목의 비유 (2002 0824)

https://youtu.be/mBCXuP_zaGk?si=6LMaY3DWuUhW8yPV * 살아가면서 생겨나는 여섯 가지 잘못된 견해들_뗏목의 비유 (2002 0824)... 법문하려 했는데 다음 주로 연기를 했습니다. 봉암사에서 한 철을 지내고 와가지고 좋은 법문을 설해주실 겁니다. 인연이 돼야 합니다. 법을 설하는 것은. ... ... ...자, 이제 스님 말을 잘 듣도록 하십시오. 전에 스님이 뗏목의 비유를 한번 한 적이 있습니다. 기억납니까? (수행자 ...) 뗏목이 강으로 흘러가려면 어떻게 흘러가야 된다는 것을 (말씀드린 적이 있습니다.) 기억난다면서? (수행자 ...) 그때 분명히 8가지인가 얘기를 했죠. 이쪽 언덕에도 닿지 않고 저쪽 언덕에도 닿지 않고. (수행자 ...)그거 말고 뗏목 비유..

불기2568년8월4일 상가포살일-재가자포살법회-담마와나선원

https://youtu.be/OEPdvwI31Vg?si=QMkgF5Yi_YIvQDgr * 불기2568년8월4일 상가포살일-재가자포살법회-담마와나선원(12:24초부터 법문이 시작됩니다.)오늘은 포살일입니다. 스님들은 포살 종류가 2가지 있는 거 알죠? '오와다 빠띠목카(Ovādā pāṭimokkha)' 라고 해서 '훈계하는 빠띠목카'라는 것이 있습니다. 그거는 혼자 있고 아니면 둘 셋이 있고 할 때 상가를 구성하기 곤란한 상황일 때는 오와다 빠띠목카를 하게 됩니다. 옛날에 과거 부처님 때나 지금 석가모니 부처님 때도 20년까지는 이 오와다 빠띠목카를 했습니다. 그래서 내용이 뭐냐 하면 "나쁜 짓 하지 말고, 여러분들 잘 알고 있는 착한 일 하면서 마음을 잘 닦아라. 이것이 부처님 가르침이다." 하면서 하..

안거 기간 동안 불제자들이 일상적으로 해야 할 일들 (20240803)

https://youtu.be/fA4HrVlMM84?si=r3HgkMlSgTLaZYu1 "안거 기간 동안 불제자들이 일상적으로 해야 할 일들"에 대한 얘기를 좀 하겠습니다.불제자라고 하면 출가자도 있고 재가자도 물론 있습니다. '삼보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부처님 가르침을 실천하는 사람'들을 '불제자'라고 그렇게 얘기를 합니다. 근데 이름만 '부처님 제자다' 하고 이렇게 있으면 안됩니다. 진정한 부처님 제자가 되기 위해서 삽뿌리사(sappurisa) 출가자가 갖춰야 될 것들은 출가자들이 갖추어야 되고, 재가자들이 갖추어야 될 것은 재가자들이 갖추어 나가야 됩니다. 오늘은 그 부분에 대한 얘기를 하면서 조금 바꿨으면 하는 부분에 대한 얘기를 좀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세상에 얻기 어려운 5가지"가 있다고..

똑같은 법문이지만 듣는 사람에 따라서 얼마만큼 차이가 날 수 있는가? (2001 0224)

https://youtu.be/Uxbajzeg5go?si=EBwt10TuacEWSK7a * 똑같은 법문이지만 듣는 사람에 따라서 얼마만큼 차이가 날 수 있는가? (2001 0224) 자, 인제 편안하게 좀 앉고, 오늘 법문은 좀 쉽게 해보겠습니다. 만날 어려워가지고 헤매는 경우들이 많아서 그렇게 하겠습니다. 부처님 당시 때 부처님 외의 진리를 설하는 사람들을 불교에서는 외도(外道)라고 했습니다. 그것을 크게 여섯 무리로 나눠가지고 육사외도(六師外道)라 그렇게 얘기를 합니다. 육사외도에는 많은 무리들이 있었는데, 그 육사외도 중에서 '니간타 파'에 대한 얘기들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얼마만큼 우리가 똑같은 법문이지만 듣는 사람에 따라서 차이가 날 수 있는가" 하는 겁니다. 여러분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

바르게 도의 길에 이르는 것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다. (2000 1202)

https://youtu.be/2RukhUyOidY?si=zOuhfDxlKsRKKlOQ * 바르게 도의 길에 이르는 것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다. (2000 1202) 어쨌든 오늘은 법문이 이어지고 나서 수계식이 있을 겁니다. 근데 이렇게 사람이 없어가지고 어떡하나, 수계식 할 사람이.. 자, 편하게 앉고 눈을 감고 스님 말을 잘 들어주시기 바랍니다.  옛날에 통도사에 구하 스님이라고 하는 분이 있었습니다. 아마 여러분들도 말을 잘 들어서 알고 있을 그런 큰 스님입니다. 이 구하스님이 어릴 때 출가를 해가지고 얼마만큼 수행을 열심히 했는지, 동진 출가를 하니깐 위에 있는 어른 스님들이 막 시켜 먹거든. 이것도 시키고 저것도 시키고 하니까 그게 굉장히 힘들다고. 그래서 이 어린 동자승인 구하스님이 뭐라고 ..

2024년 안거입재 법회_스스로 섬을 만들어라 (20240720)

https://youtu.be/vpk-GL3yY2c?si=oYLO-Bu1QeJCmiou* 2024년 안거입재 법회_스스로 섬을 만들어라 (20240720)"이번 안거에는 어떠한 것에도 흔들림이 없는 자신의 섬을 만들어라" 오늘은 안거 입재 날입니다. 스님이 올해 이제 서른일곱 번째가 되니까, 여러분하고 아마 인연 맺은 것도 한 20년 너머 됐죠? 옛날엔 다 젊었었는데 이제 다들 할아버지들이 다 돼 가지고, 태종사로부터 해서 수영으로 또 부산대로 그리고 이제 웅촌으로 이렇게 이사를 다니면서 그래도 계속 수행하고 했던 그런 분들이 있습니다. 스님 생각에는 빨리 좀 태국 들어갔으면 좋겠는데 발길이 안 떨어지는 게 그래도 이십몇 년 넘어 계속 쫓아다니면서 스님 시봉하고 또 수행하고 했던 분들이 이제 안 나올 때..

담마와나선원 수행문답_아짠 빤냐와로 스님 (20240714)

https://youtu.be/qc2pvH_HsCo?si=CmlXHm81CWGhP1dy * 아짠 빤냐와로 스님 수행문답_담마와나선원 (20240714)(※ 음성이 잘 안들리는 부분들이 있어서 녹취된 법문은 참고로 활용하시고, 음성 법문을 잘 들어보시면서 문맥을 이해하시기 바라겠습니다.)  요즘은 제가 교단일을 안 보니깐 너무 좋아. 그거 흥미도 없는 걸 잡고 있을라니까 옛날에는 힘들어 죽겠더만은, 요즘은 이제 밑에 스님들이 돌아가면서 그런 일을 보고, 또 재가자들도 거들어주고 하고 있으니까 참 좋습니다.  그래서 요 4가지만 한번 기억을 해 보십시오. 여러분들이 교단이 잘 굴러가기 위해서는 물론 스님들 노력들도 많이 해야 되는데, 그래서 스님들한테도 내가 야단칠 때는 야단을 치고 합니다. 교단 돈 쓸라고..

수행에서 체득하는 수카와 삐띠_담마와나선원 법회 (20240714)

https://youtu.be/uMmo2LqQ-uM?si=BlDnNStxL6jhSLVR  * 수행에서 체득하는 수카와 삐띠_담마와나선원 법회 (20240714) (12:47초부터 녹취됩니다.) 오늘 교단 안거로 모인거라요? 아니면 그냥... (수행자 대답 : 그냥 특별법회 입니다.)다음 주 토요일 날 우리 울주선원에서는 안거입재를 하는데, 여기 소속 재가자들도 그 안거하는 형식들은 조금 있도록 해야됩니다. 이거는 안거 형식이 아니거든. 그냥 일반법회의 형식이기 때문에 ... 오늘은 수행에서 체득하는 수카(sukha)와 삐띠(pīti) 부분에 대한 얘기를 하겠습니다. 기쁨(pīti)과 행복(sukha)이라는 게 수행에서 많이들 경험하죠? 근데 상카라(saṅkhāra)가 소멸되는 것으로 인해서 일어나는 기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