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5 과
대명사: 인칭 대명사, 지시 대명사
인칭 대명사는 다음과 같이 변화한다 :
1인칭(어간: ma(d))26)
| 단수 | 복수 |
주격
| ahaṃ | mayaṃ |
대격
| maṃ(me) | amhe |
2인칭(어간: ta(d))
| 단수 | 복수 |
주격
| tvaṃ | tumhe |
대격
| taṃ 또는 tvaṃ |
3인칭 (어간: ta(d))
| 단수 | 복수 | ||
남성 | 여성 | 남성 | 여성 | |
주격
| so 때로는 sa | sā | te | tā |
대격
| taṃ | taṃ |
비록 인칭이 동사의 활용에 의하여 나타나지만, 주어를 약간 강조해 줄 때에는 1인칭과 2인칭 대명사가 흔히 사용된다. 3인칭 대명사는 이런식으로는 드물게 사용된다. 3인칭 대명사는 또한 남성․여성․중성에서 ‘저것’, ‘그것’을 뜻하는 지시대명사로 사용된다.
즉 3인칭 대명사는 앞서 언급된 사람이나 사물을 다시 언급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직접대화나 연설에서 듣는 사람의 눈앞에 있는 사람이나 사물을 가리키는 데 사용하는 지시대명사는 달리,
3인칭 ta(d)는 대개의 경우에 듣는 사람의 눈 앞에 있지 않는 이야기 속의 사람이나 사물을 언급할 때 사용한다.
이 경우 ta(d)는 이야기의 문장과 계속되는 문절 또는 더 긴 부분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돕기도 한다.
또 이 ta(d)는 (다른 대명사 또는 간혹 1인칭을 강조하는 의미에서 1인칭 동사와 결합하여, 예를 들면: so 'haṃ(‘나’-문자 그대로의 의미는, ‘그것이 바로 나’)와 같은 표현에 있어서 처럼) 강조의 대명사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 3인칭 ta(d)는 명사와 결합하여 그 명사를 강조해 줌으로써 때로는 ‘그-’라고 번역될 수도 있다. 남성과 여성 지시대명사는 위와 같고, 중성의 어형변화는 다음과 같다 :
| 단수 | 복수 |
주격, 대격
| taṃ 또는 tad | tāni |
※ 팔리어에서 중성 단어들은 주격과 대격의 형태가 늘 같다.
또 다른 형태의 지시대명사는 눈 앞에 있는 사람이나 사물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이 경우는 영어의 ‘그’, ‘그녀’, ‘그것’, ‘이것’, 그리고 눈 앞에 있는 대상을 지적할 때의 ‘그것’ 등에 대강 대응된다. 그것은 직접 말을 듣는 사람의 앞에 있는 사람이나 사물을 지시한다는 면에서 ‘직접지시대명사’라고 부를 수도 있을 것이다.
접두사 e가 붙어 있으며, 어형변화는 같다.
(어간 eta(d))
| 단수 | 복수 | ||||
남성 | 여성 | 중성 | 남성 | 여성 | 중성 | |
주격
| eso(때로 esa) | esā | etaṃ 또는 etad | ete | etā | etāni |
대격
| etaṃ | etaṃ |
또 다른 지시대명사도 ‘직접지시대명사’라고 할 수 있는 것인데, ‘그’, ‘그녀’, ‘그것’, ‘이것’으로 번역할 수가 있어서, 의미상으로는 eta(d)와 거의 구별되지 않는다.27) 어형변화는 다음과 같다:
(어간 idaṃ)
| 단수 | 복수 | |||
남성․여성 | 중성 | 남성 | 여성 | 중성 | |
주격
| ayaṃ | idaṃ | idaṃ | imā | imāni |
대격
| imaṃ |
팔리어에서는 영어의 정관사(the)와 같은 것이 없기 때문에, 지시대명사들은 때때로 영어의 정관사처럼 사용되어서, ‘그’, ‘그녀’, ‘그것’, ‘이것’ 등으로 번역하기 보다는 오히려 ‘그- (the)’로 번역하는 것이 적당할 때가 있다.
지시대명사는 그것이 가리키는 명사와 ‘수(數)․성(性)’이 일치해야 한다.
동사 as
동사 as(to be)는 사람이나 사물이 존재함을 강하게 주장하는 것이다.
반면에 hoti는 강조적이지 않으며, 어떤 속성을 진술하기 위하여 사용하거나: 예) ‘그 대신은 성직자이다’ ;
‘어떤 일이 발생하거나, 무엇이 무엇으로 되다’라고 할 경우에 사용한다: 예) ‘사람이 만족하다’.
그러나 ‘가 되다’, ‘존재하게 되다’라는 의미의 일반적이고 보다 강조적인 동사는 -uppajjati - (제 3종 활용동사: 10과 참조) - 이다.
동사 as는 매우 불규칙하게 변화한다; 현재시제는 다음과 같다:
| 단수 | 복수 |
3인칭
| atthi | santi |
2인칭
| asi | attha |
1인칭
| asmi 또는 amhi | amha (때로 amhā) |
다른 동사들과는 달리, as는 흔히 한 문장의 첫머리에서 사용된다: ‘-가 있다 ….’ 그 의미는 진술되는 것을 강조하여 주장하는 것이다.
부정(否定)
두 개의 주요한 부정불변화사(否定不變化詞)로는 na, mā가 있다.
na는 일반적인 ‘-아닌(not)’의 의미로서, 부정(否定)되는 단어나 구의 앞에 놓이거나, 부정문(否定文)의 문두에 놓인다:
예) tvaṃ na passasi, '너는 보지 않는다'
‘na’의 모음은 뒤따르는 단어가 모음으로 시작할 때에는 흔히 생략된다:
n' atthi, ‘그것은 -아니다’, ‘그것은 -존재하지 않다’
‘mā’는 금지나 부정명령, 부정적 소망을 나타내며, 보통 부정(不定)과거(aorist) 시제의 2인칭과 함께 사용된다.
이때 부정과거 시제는 그 시간적 의미를 상실해서, 현재나 미래에 적용이 된다(그렇지 않다면 때대로 이 문장구조에서는 다른 접두모음(接頭母音)이 붙었을 동사가 그 다른 접두모음 없이 나타난다) :
mā paridevesi, ‘슬퍼하지 말아라’
드물게 mā는 때로 부사 eva, h' eva28)와 함께 동사의 3 인칭과 더불어 나타난다:
mā h' eva rājā kālam akāsi, ‘참으로 왕이 죽지 않기를!’
(mā h' eva 는 ‘don't’나 단지 ‘not’을 의미)
3인칭과 함께 쓰이는 mā는 공손한 말에서 규칙적으로 나타난다(6과 참조).
이중부정은 강한 긍정과 같다:
mā h' eva kho kumāro na rajjaṃ kāresi, “왕자가 그 왕국을 지배하지 못하도록 하지 말라”=“그가 지배하도록 하라, 그가 지배해야 한다”(kāresi, ‘지배하다’ : 아오리스트․3인칭․단수)
동사 vac의 부정과거(aorist)
동사 vac(말하다)의 부정과거는 매우 불규칙하다 :
| 단 수 | 복 수 |
3인칭
| avoca | avocuṃ |
2인칭
| avoca(또는 avaca) | avocuttha(또한 avacuttha) |
1인칭
| avocaṃ | avocumha(또는 -umhā) |
호격(Vocative Case, V.로 약칭)
a로 끝나는 남성명사의 호격 단수는 굴절하지 않는 어간과 같으며: deva(왕이여!), 복수는 주격 복수와 같다. 호격은 다른 단어의 뒤에 올 뿐이며, 문두에는 오지 않는다.
어휘
제 1종 활용동사:
apa-i apeti 그가 -로부터(-에서) 간다, 그는 가버린다(詩的)
불변화사들 :
tuṇhī 조용한, 조용히
tena 이렇게, 저렇게
pi 또한, 역시(이것도 ca와 마찬가지로 연결하는 단어나 구의 첫 단어를 뒤따라 온다)
ha 사실, 참으로
a로 끝나는 남성명사:
issaro 주인, 신(神)
nirodho (불행, 지각, 감각, 정신적 상태의) 소멸(사라짐), 마음의 평화, 고요함
paribbājako 유행자(遊行者)
mahārājā 대왕(단수․주격은 rājan- , 나머지는 어간-rāja-의 a의 어형변화에 따른다,
예) 대격 mahārājaṃ. 복수․주격은 -ā 또는 -āno로 쓸 수 있을 것이다.)29)
연습 5
해석하시오.
․ Reṇu rājaputto rājānaṃ Disampatiṃ etad avoca. mā kho tvaṃ deva paridevesi. atthi
deva Jotipālo nāma māṇavo putto ti. atha kho rājā Disampati purisaṃ āmantesi.
왕의 아들인 레누는 디삼파티 왕에게 이렇게 말하였다. “왕이시여, 슬퍼하지 마십시오. 왕이시여, ‘조티팔라’라고 이름하는 젊은 사제인 아들이 있답니다.”라고. 그러자 디삼파티 왕은 신하에게 말했다.
․ahaṃ ime dhamme desesiṃ 나는 이 법들을 가르쳤다.
․rājā khattiyo taṃ purisaṃ etad avoca
크샤트리아인 왕은 그 사람[신하]에게 이렇게 말하였다.
․mā samaṇaṃ upasaṃkami 사문에게 다가가지 말라.
․ahaṃ purohito brāhmaṇo ahosiṃ 나는 사제인 바라문이었다.
․ahaṃ asmi brahmā issaro 나는 브라흐만[梵] 신이다.
․idaṃ avoca bhagavā30) 세존께서는 이것을 말씀하셨다.
․te rājaputtaṃ avocuṃ 그들은 왕의 아들에게 말하였다.
․mā saddam akattha 시끄러운 소리[소문]를 내지 말라.
․so nirodhaṃ phusati 그는 열반에 도달한다.
․samaṇā amha 우리는 사문이다.
․na taṃ deva vañcemi 왕이시여, 나는 당신을 속이지 않습니다.
․eso mahārāja bhagavā 대왕이시여, 이 분이 세존이십니다.
․mayaṃ bhagavantaṃ upasaṃkamimhā 우리들은 세존에게 다다갔다.
․atthi kāyo 몸이 있다.
․upeti pi apeti pi 그는 오기도 하고 가기도 한다.
․evam31) etaṃ brāhmaṇa 바라문이여, 이것은 이와 같다.
'수행. 정진 > 빨리어 문법, 용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주석 설명 (0) | 2016.07.26 |
---|---|
제 6과 : 명령시제, 정중한 표현, 인용, 제 6종 활용동사, 어휘 (0) | 2016.07.26 |
제 4과 : 과거(Aorist) 시제, 비슷하게 활용되는 동사들, 동사와 행위자의 일치, 어휘 (0) | 2016.07.26 |
제 3과 : bhagavant, brahman, rājan의 어미변화, 제7종 활용, 제7종 활용 동사들, 어휘 (0) | 2016.07.26 |
제 2과 : 주격 복수, 대격, 타동사와 자동사, 어휘 (0) | 2016.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