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 정진/빨리어 문법, 용어공부

초급 빠알리 문법(불변화사, 명사 만들기)

담마마-마까 2019. 8. 8. 10:28


빠알리는 명사는 격에 따라, 동사는 시제 등에 따라 어미가 바뀝니다.

빠알리는 한국말처럼 어미를 바꿈으로써 격, 시제 등을 표현하기 때문에 단어가 놓인 순서에 관계없이 한국어 읽듯이 죽 따라가면 의미가 대충 이해되므로 쉬운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한국어에 없는 성, , 격에 따른 어미변화가 많기 때문에 복잡하게 느껴집니다.

그러나 어미가 바뀌지 않는 단어도 있습니다. 어미가 바뀌는 것은 변화사라고 부르고 어미가 바뀌지 않는 것은 불변화사라고 부릅니다. 한자식 표현이죠...우리말로 '끝이 바뀌지 않는 것', '끝이 바뀌는 것'으로 부르면 좋을텐데요...

여태껏 우리가 공부한 명사와 앞으로 하게 될 동사는 변화사에 속합니다. 동사를 하기 전에 불변화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불변화사

   빠알리는 한국어처럼 어미가 바뀌는 언어입니다. 명사는 격에 따라, 동사는 시제 등에 따라 단어의 끝이 바뀝니다. 그런데 이와 다르게 단어의 끝이 바뀌지 않는 단어가 있습니다. 어미가 바뀌지 않는다고 해서 불변화사라고 부릅니다. 어미의 바뀜에 따라 빠알리의 품사를 나누면 변화사와 불변화사로 나눕니다.

 

1. 연속체(gerund, 절대체 abs)

  어떤 행동에 앞서 이루어진 행동을 나타냅니다. 그런데 실제로 앞뒤에 이루어진 행동일 수도 있고, 행동이 이루어진 앞뒤를 딱 잘라 말할 수 없으나 표현에 있어 앞뒤로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행동의 앞뒤가 있는 경우, 집에 가서 밥을 먹었다라고 하면 집에 가는 것은 앞에 이루어진 행동이고 밥을 먹는 것은 뒤에 이루어졌으므로 분명히 앞뒤가 있습니다. 이 경우 먼저 이루어진 행동인 ‘(집에) 가서는 연속체로 표현됩니다.

앞의 행동이 뒤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집착하지 않고서 해탈한다라고 할 때, 집착하지 않은 것은 앞에 이루어진 동시에 해탈의 원인이 되므로 집착하지 않고서를 연속체로 표현합니다. 그리고 두 상황의 원인-결과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집착하지 않음으로써(않기 때문에)’라고 번역합니다.

행동의 앞뒤를 딱 잘라 나누어 말할 수 없으나 표현상 앞뒤로 말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입을 벌리고서 잔다라고 할 때 입을 벌린 것이 먼저인지 자는 것이 먼저인지는 분명한지 않지만 표현할 때는 ‘(입을) 벌리고서를 연속체로 나타냅니다.

 

만드는 방법

   어근이나 어기에 tvā, tvāna, tuna, ya, cca를 붙입니다.

tvā

   - 모음으로 끝나는 어근 : 바로 붙입니다. 단 긴 모음은 짧아집니다.

      su + tvā = sutvā, hū + tvā = hutvā

   - 자음으로 끝나는 어근 : 생략되거나 tvā의 모양에 비슷해집니다.

     vac + tvā = vatvā, gam + tvā = gantvā, labh + tvā = laddhā

tvāna, tuna : 게송에서 tvā 대신 사용됩니다.

ya : 접두사를 지닌 어근이나 어기에 붙입니다.

   - ā로 끝나는 어근에 바로 붙입니다.

     pahā + ya = pahāya, abhiñā + ya = abhiññāya(=abhiññā)

   - 자음으로 끝나는 어근에 붙일 때는 그 자음과 y가 만나 서로 닮습니다.

     nisad + ya = nisajja, ārabh + ya = ārabbha

   - 일부 어기에 붙이되, 어기의 모음이 i 로 대체됩니다.

     abhivand + a 어기 abhivanda + ya = abhivandiya

cca : 접두어를 지닌 일부 어근이나 어기에 붙입니다.

   - 모음 어근에는 바로 붙입니다.

     pai + cca pecca, paṭii + cca = paṭicca

   - n, r 로 끝나는 어근의 경우 이 글자들은 생략됩니다.

     āhan + cca = āhacca, saṃkar + cca = sakkacca

 

번역하는 방법

   - 다른 행동에 앞선 행동을 나타내는 조동사로 사용

    1) 순서가 있는 동사에서 앞의 행동을 가리킬 때 : ~ 하고서, ~ 한 후에

    2) 앞선 행동이 뒤 행동의 원인이 될 때: (원인-결과의 관계) ~ 때문에, ~함으로써

 

연속체 문장 연습

1) atha kho bhagavā(bhagavant, 세존, 주격) pubbanhasamayaṃ(아침, 목적격) nīvāsetvā(nivas, ‘옷을 입다의 연속체) pattacīvaram(patta, 발우+cīvara, 의복, 목적격) ādāya(ādāyadā, ‘지니다, 갖다의 연속체) kapilavatthuṃ(까삘라왓투, 목적격) piṇḍāya(탁발, 여격) pāvisi(pavis, 들어가다의 3인칭 과거동사). - Majjhima Nikāya 1, 108쪽 중에서 -

아침에 세존께서는 옷매무새를 정리하신 후 발우와 가사를 들고, 까삘라성으로 탁발하러 들어가셨다.(위의 예 중 에 해당합니다.)

 

2) evaṃ vutte, daṇḍapāṇī sakko sīsaṃ(머리, 목적격) okampetvā(‘흔들다의 연속체) jivhaṃ(, 목적격) nillāḷetvā(‘위아래로 움직이다의 연속체) tivisākhaṃ(세 가지, 세 갈래, 목적격) nalāṭikaṃ(눈 찌푸리기, 목적격) nalāṭe(이마, 처격) vuṭṭhāpetvā(‘일으키다의 연속체) daṇḍam(막대기, 목적격) olubbha(‘기대다의 연속체) pakkāmi(‘떠나다3인칭 단수 과거동사). - Majjhima Nikāya 1, 109쪽 중에서 -

이와 같이 말했을 때, 석가족 단다빠니는 머리를 흔들고 혀를 내두르면서 이마에 세 주름이 지도록 미간을 찡그려 보이고서 지팡이를 짚고 가버렸다.(위의 예 중 에 해당하겠네요.)

 

3) Itih’idaṃ āyasmato sāriputtassa paṭisañcikkhato anupādāya āsavehi cittaṃ vimucci. - Majjhima Nikāya 1, 501쪽 중에서 -

사리뿟따가 이렇게 성찰했을 때 집착하지 않음으로써 마음이 번뇌로부터 해탈했다. (위의 예 중 에 해당합니다.)

 

2. 부정사(infinitive)

 

만드는 방법

어근이나 어기에 tuṃ, tāye, tave, tuye 를 붙입니다.

이 중 tuṃ이 경전에 나타나는 부정사 모양의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모음으로 끝나는 어근 : 바로 붙입니다.   

    단 그 모음이 i, īe, u,ūo 로 바뀝니다.

      dā + tuṃ/tāye/tave/tuye dātuṃ, dātāye, dātave, dātuye

      ji+ tuṃ/tāye/tave/tuye jetuṃ, jetāye, jetave, jetuye

      su+ tuṃ/tāye/tave/tuye sotuṃ, sotāye, sotave, sotuye

자음으로 끝나는 어근 : t의 모양에 비슷해집니다.

      vac + tuṃ/tāye/tave/tuye vattuṃ, vattāye, vattave, vattuye

      gam + tuṃ/tāye/tave/tuye gantuṃ, gantāye, gantave, ganuye

어기에 붙일 때 : 어기의 마지막 모음이 i로 바뀝니다.

    e로 끝나는 경우는 바로 붙입니다.

     pac + a paca

     paca + tuṃ/tāye/tave/tuye pacituṃ, pacitāye, pacitave, pacituye

     kar + o karo

     karo + tuṃ/tāye/tave/tuye karituṃ, karitāye, karitave, karituye

     cur + e core

     core + tuṃ/tāye/tave/tuye coretuṃ, coretāye, coretave, coretuye

 

번역하는 방법

영어의 to 부정사와 거의 같습니다.

1) 여격의 의미 : ~(하기) 위해 ( 사역형이 될 경우 : ~하도록 하기 위해

  ) Dūrato pi kho mayaṃ, āvuso, āgaccheyyāma āyasmato sāriputtassa

      santike etassa bhāsitassa attham aññātuṃ.

   벗이여, 우리는 존자 사리뿟따를 만나(앞에서) 그렇게 말씀하신 것의 뜻을

     알기 위해 멀리서 왔습니다.   (쌍윳따니까야 36)

 

2) 문장의 주어: ~ 하는 것은

  ) kallaṃ nu taṃ samanupassituṃ ‘etaṃ mama, eso'ham asmi, eso me attā' ti?

      No hetaṃ bhante

   그것을 이것은 나의 것이다, 이것이 나다, 이것은 나의 자아다라고 여기는 것은 바른가?

존자시여, 그렇지 않습니다.    (쌍윳따니까야 349)

 

3) 바람, 허락 등을 나타내는 동사의 대상이 되는 목적격 : ~ (원하다), ~ (허락하다)

  ) Ekam antaṃ nisinnā kho te bhikkhū bhagavantaṃ etad avocuṃ.

      Icchāma mayaṃ bhante, pacchā-bhūmaṃ janapadaṃ gantuṃ

      pacchābhūme janapade nivāsaṃ kappetun ti.

   한쪽에 앉은 그 비구들은 세존께 이렇게 말했다.

존자시여, 저희들은 서쪽지방에서 지내기 위해

서쪽지방으로 가기를 원합니다.”   (쌍윳따니까야 35)

     

이 예에서 첫 번째 부정사인 gantuṃ(가기를) 은 이 용례에 속하지만 

두 번째 부정사인 kappetun 은 위의 첫 번째 용례로서 ‘~하기 위해의 뜻으로 쓰였습니다.

 

4) ‘가능하다뜻의 동사(sakkoti, abhabba, pahoti)와 함께 사용: ~ 하는 것이 (가능하다)  

) Imehi kho bhikkhave ekādasahi dhammehi samannāgato bhikkhu

     abhabbo imasmiṃ dhammavinaye vuddhiṃ virūḷhiṃ vepullaṃ āpajjituṃ.

  비구들이여, 이 열한가지 법을 갖춘 비구는 이 법과 율에서 나아가고 성장하고 발전에  이르는 것이 가능하다. (맛찌마 니까야 1222)

    

3. 감탄사, 시간, 방향, 장소, 대명사 등의 불변화사

아래의 내용은 전재성, 빠알리-한글사전, 895-898을 참고로 하였습니다.

 

 감탄사, 강조사, 접속사 등

api / ~, 역시,   puna / 다시,  viya, ivā / ~같이,처럼

evaṃ / 이와 같이,   udāhu / 혹은, 또는

vā / 또는,   ca / 그리고,   ce, yadi, sace / 만약

aho, ahe / ,   sādhu / 좋다,   yagghe / 부디, 제발

alaṃ / 충분하다,   amma / 엄마!    tāta / 아빠!

 

이외에도 발음의 연결을 위해 또는 뜻의 강조를 위해 쓰는 말들이 있습니다.

: kho, eva, su, nāma, hi, no, atha, atho 

 

시간을 나타내는 불변화사

yadā / ~ 하는 때,   tadā / 그때,   ekadā / 한 때,   sadā / 항상

kadā / 어느때,   kadāci, karahaci, kadācanaṃ / 어느 때라도, 때때로

sabbadā / 모든 때에,   idāni, dāni / 지금,   etarahi / 지금

ajja / 오늘,   hīya / 어제,   sve / 내일

pāto / 아침에,   divā / 대낮에

 

공간, 위치를 나타내는 불변화사

yattha, yatra / ~의 곳(),   tattha, tatra / 그곳(),   ettha / 여기에

kattha, katra, kuttha, kuhiṃ, kuhaṃ, kva, kuvaṃ / 어디에

ekattha / 어떤 한 곳에,   ubhayattha / 양쪽에,   idha / 여기에

sabbattha /모든 곳에,   sabbadhi / 모든 곳에,  dūrato / 멀리에서

uddhaṃ / 위로,    adho / 아래로,   heṭṭhā / 아래에

pure / ~의 앞에,   aññatra, vinā / ~을 제외하고

 

방법, 정도를 나타내는 불변화사

 ~thā, thaṃ / 방법,  ~dhā / 종류,   khattuṃ / 회수,   āvatā / 정도

)

yathā / ~와 같이,   tathā / 그와 같이,   kathā, kathaṃ / 어떻게

aññathā / 다른 방법으로,   sabbathā / 모든 방법으로,   itthaṃ / 이렇게,

ekadhā / 한 가지로,    dvidhā / 두 가지로,    tidhā / 세 가지로,

anekadh ā / 다양한 종류로,   bahudhā / 여러 종류로,

ekakkhattuṃ /일회,   dvikkhattuṃ /이회,  tikkhattuṃ /삼회,

ekaso, ekato /함께, 한 개씩,   diso / 두 개씩,    yoniso / 합당함,

kittāvatā / 어느 정도, ~하는 한,   ettāvatā / 그 정도,   kati 얼마

yāvatā / ~ 하는 만큼,    tāvatā / 그 만큼,    saki, sakiṃ / 한 번

 

'관계대명사 대명사'를 나타내는 불변사

위에 나타난 것을 빼고 적어보면...

yasmā - tasmā, yena - tena, ~ 하므로 - 그러므로

yāva - tāva / ~ 하는 한- 그러한 한

seyyathā pi / 마치 ~와 같이

 

빠알리 품사를 변화사와 불변화사 둘로 나눌 때 접두사도 불변화사에 들어갑니다.

 


. 명사 만들기

 

1. 1차 파생어미로 명사 만들기(첫 어미 덧붙인 명사)

: 어근 또는 어기에 명사 만드는 어미를 붙이면 명사가 됩니다.

- 만드는 방법 -

(1) 일반명사 만들기

: 어근 또는 어기에 a, ana, i, ti 등의 어미를 붙인다.(어미가 매우 다양함.)

명사의 격변화를 한다.

(2) 분사 만들기

: 현재분사, 과거분사, 미래분사를 만드는 어미를 붙여 격변화한다.

 

2. 2차 파생어미로 명사 만들기(둘째 어미 덧붙인 명사)

: 1차 파생으로 만들어진 명사에 다시 둘째 어미를 덧붙여 명사를 만듭니다.

 

(1) 소유를 나타내는 2차 파생 어미

- 종류 : vant, mant, vin, in, ita, ika, ila, ṇa, āla

- (gender) : 소유자의 성을 따른다.

- 격변화 : 소유자의 성과 어미에 따라 격변화한다.

)

dhana(, 재산) + vant dhanavant(부자)

sati + mant satimant (사띠를 지닌 사람)

medhā + vin medhāvin (지혜로운 사람)

daṇḍa(지팡이) + in daṇḍin (지팡이를 지닌 사람 = 노인, 높은 사람 등)

puppha () + ita pupphita (꽃을 든 사람)

vācā + āla vācāla (말을 지닌 사람 = 말 많은 사람)

  

(2) 원인, 장소, 시간으로 사용되는 불변화사(부사) 만드는 2차 파생 어미

: 대명사 어근에 2차 어미를 덧붙이면 고정된 특정 격을 지닌 불변화사가 된다.

파생어미

sabba

(모두)

ya

(관계대명사)

ta

(,인칭)

eta

(/, 지시)

ima

(, 지시)

kiṁ

(무엇, 의문)

to

sabbato

ya

tato

etto, ato

ito

kuto

탈격(- 때문에, -로부터)의 의미를 지니지만 가끔 다른 격이 되기도 한다.

tra

sabbatra

yatra

tatra

atra

-

kutra

tha

sabbattha

yattha

tattha

ettha, attha

-

kuttha, kattha

dhi

sabbadhi

-

-

-

idha

-

va

-

-

-

-

-

kva

hiṁ

-

yahiṁ

tahiṁ

-

-

kuhiṁ

haṁ

-

yahaṁ

tahaṁ

-

-

kuhaṁ, kahaṁ

ha

-

-

-

-

iha

kva

dha

-

-

-

-

idha

-

hiñcanaṁ

-

-

-

-

-

kuhiñcanaṁ

 

공간을 나타내는 처격의 의미를 지닌다.

sabbadā

yadā

tadā

-

-

kadā

dācanaṁ

-

-

-

-

-

kudācanaṁ

dāni

-

-

tadāni

-

idāni

-

rahi

-

-

-

-

etarahi

karahi

dhunā

-

-

-

-

adhunā

-

 

시간을 나타내는 처격의 의미를 지닌다.

 

 

(3) 추상 명사 만드는 2차 파생 어미

- 만드는 방법 -

: 명사 어기에 2차 파생어미를 붙이면 명사가 됩니다.

- 2차파생어미의 종류

ṇya, ṇeyya, ṇa, kaṇ : 주로 중성 tta, ttana : 중성, tā : 여성

- 의미 : 출신, 소속, 속성(~다움, ), 실질을 의미, 실동사적 명사, 명사파생명사

- ) dārāka(소년) + tta dārākatta (소년, 소년기, 소년다움)

dhammatā : 법의 속성(法性) alasa (게으름) + tta alasa + tta (게으름, 나태)

rattapaṭa (붉은 옷) + tā pācakatā (영국군인)

pācaka(요리하는 사람) + tā pācakatā (요리함)

panḍita(한 개인의 이름) + tā panḍitatā (빤디따라는 이름)



♤ 초급 빠알리 문법 정리(기본~일반명사).hwp

초급 빠알리 문법 정리(대명사, 분사).hwp

초급 빠알리 문법 정리(불변화사, 명사 만들기).hwp

빠알리문법요약.hwp



출처 : http://cafe.daum.net/pali-study/960R/67

위의 빠알리 문법 내용은 빠알리 공부모임 카페에서 옮겨왔습니다. _()_

혼자 공부하면서 참으로 도움이 되는 소중한 내용입니다._()_

길따라님 감사합니다._()_

감사하게 소중하게 받아들이고 공부하겠습니다. _()_

 




???????.hwp
0.05MB
?? ??? ?? ??(???, ??).hwp
0.05MB
?? ??? ?? ??(????, ?? ???).hwp
0.03MB
? ?? ??? ?? ??(??~????).hwp
0.08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