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빠알리 문법 요약
Ⅰ. 빠알리 단어 구성의 기본 패턴과 품사의 이해
문장에서 나타나는 빠알리 단어의 종류는 크게 세 가지 : 명사와 동사, 불변사
- 명사 : 접두어 + 기본모양 + 격에 따른 어미의 변화.
명사는 성(남성, 중성, 여성)을 갖고 있다. 이 성을 지닌 명사는 수(단수, 복수)에 따라, 격에 따라(주격, 목적격, 수단격 등 8가지) 격변화 한다.
사전에는 명사, 형용사, 분사(과거분사, 현재분사, 미래분사 등), 불변화사, 부사 등등으로 구별되어 나온다. 이렇게 분류하는 것은 현대언어학의 분류방식이다. 빠알리 문법에서는 이것을 모두 명사로 취급한다. 명사 중 격변화를 하는 명사와 격변화를 하지 않는 불변사 그리고 접두사가 있는 것으로 분류하면 훨씬 간단하고 문법으로도 더 정확해진다.
왜냐하면 형용사나 분사도 명사처럼 격변화를 하며 때로는 단독으로 명사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분사의 경우 동사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것도 동사의 활용이 아니라 명사의 격변화를 한다.
- 동사 : 접두어 + 기본모양 + 시제나 태에 따른 어미의 첨가(변화).
동사는 인칭(1인칭, 2인칭, 3인칭)에 따라, 인칭에 따라 다른 동사는 수(단수, 복수), 시제, 태, 법에 따라 어미의 변화가 달라진다.
=과거, 현재, 미래, 수동태, 능동태, 원망형, 명령형, 사역형, 조건형, 등등
- 불변화사(불변사) (주로 형용사나 부사, 감탄사, 접두사)
- 접두사(upasagga) : 접두사는 기본모양의 앞에 붙는 것.20개의 접두어가 있다.
ati, adhi, anu, apa, api, abhi, ava(=o), ā, u, upa, du, ni, nī, pa, pati, parā, pari, vi, saṁ, su.
품사를 다시 분류해보면 1. 명사 : 접두사, 불변사, 명사(사전의 명사, 형용사, 분사 포함) 2. 동사로 구분.
Ⅱ. 빠알리 문장 번역의 기본 원칙(순서)
1. 동사가 중심이다.
2. 동사에 맞는 주어를 찾는다.
3. 능동태 문장의 주어는 주격이지만 수동태의 문장에서는 수단격이나 소유격이 행동의 주어가 된다.
4. 한 문장 안에 같은 격의 단어가 여럿이면 그 단어들은 어떤 것을 동시에 가리킨다.
5. 주어와 동사를 찾고 나서 다른 단어와 이들의 관계를 분석한다.
Ⅲ. 명사와 격변화
1. 일반명사 (고유명사 포함)
1) 격변화 : 빠알리의 명사는 대부분 a, ā, i, ī, u, ū, o, in, an, ant, ana, as, ar 등으로 끝난다.
따라서 명사의 격변화 종류도 이것으로 끝난다. 근데 이런 어미를 가진 명사가 남성/중성/여성의 세 종류이므로 성에 따라 격변화가 달라지고, 거기에 각 단어가 주격/목적격 등 8개 격을 가지니까 다시 여덟 곱이 되고...
a로 끝나는 단어는 남성 아니면 중성만 있고, ā는 여성만, o는 남성만 있다. 중성은 남성과 비슷한 패턴을 가진다.(특히 탈격부터 처격까지)
(1) 주격(nom) : 주격은 문장의 주어가 된다. 문장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주어와 동사를 찾는 것.
주어가 빠진 문장이 많은 빠알리는 일반적인 동사의 모양과 명령형의 동사 모양이 다르고(예: 갑니다 - 가시오) 특히 인칭에 따라 동사 모양이 다르므로 한국어보다 더 정확하게 문장을 파악할 수 있다.
⇒ 먼저 동사부터 찾는다. 동사가 두 개면 문장도 두 개, 따라서 이것은 두 문장이 된다.
(2) 호격(voc) : 호격은 말 그대로 부르는 말. PTS 본에는 부르는 말이 사람이름인 경우 대문자로 표시.
(3) 대격. 목적격(acc) : ⓛ 행위의 대상 ② 기간이나 길이(지속되는 시간이나 공간의 단위) ③ 부사의 역할(보통 동사 수식어역할, 단수/중성으로 표현)
(4) 구격. 수단격. 도구격(inst) : ⓛ 수단 또는 방법 : 행동의 수단(∼으로)이나 방법(∼을 통해, 등)을 표현
② 원인 : 행동의 원인이나 이유를 표현(∼ 때문에) ③ 동반(∼와 함께)이나 분리(∼없이)를 표현 : ‘함께’라는 단어 ‘saha, saddhiṃ)’와 같이 쓰이거나 ‘∼없이’라는 단어 'vinā'와 함께 사용. ④ 수동태의 문장에서 행위자를 나타냄. ⑤ 형용사의 역할(다른 명사를 수식) ⑥ 부사의 역할
(5) 탈격. 분리격(abl) : ⓛ 분리 : 사람이나 사물이 어떤 것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다. ‘∼(으)로부터’라고 보통 번역 ② 원인 ③ 대조나 비교
(6) 여격(dat) : ⓛ 수신자 : 어떤 것을 받아들이는 수용자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명사는 뭔가를 주는 동사에 연결된다.
② 목적 : 바람이나 의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것을 이루기 위해 하는 행동에 연결된다.
(7) 소유격(gen) : ⓛ 소유 : 어떤 것의 소유자를 나타낸다. ② 집합-개별 관계의 표시 : 집합-개별의 관계에서 집합을 나타내는 격이며 ‘∼ 중에서’라고 번역 ③ 수동태의 문장에서 행위자를 나타냄 : 수단격과 소유격은 수동태의 문장에서 행위자를 나타낸다. ④ 어떤 행동의 대상을 나타냄(‘∼에 대한’ 으로 번역)
(8) 처격. 처소격(loc)
ⓛ 시간이나 장소 : 어떤 상황이 발생하는 시간이나 장소의 한 지점을 나타낸다. 시간의 경우 ‘(밤)에, ~때’ 장소의 경우 ‘∼에서’으로 된다. 장소란 어떤 곳의 위, 아래, (맞닿은)옆, 가운데(속).
② 동기 : 어떤 행동을 하게 만든 발단이나 동기를 표현. ‘~ 때문에, ~를 위하여’로 번역,
③ 전체-부분의 관계에서 전체를 표현. ‘∼ 중에서’라고 번역.
④ 집합-개별의 관계에서 집합을 표현 : 집합-개별의 관계에서 집합을 나타내며, ‘∼ 중에서’라고 번역.
⑤ 대경(對境, visaya)을 표현
※ 빠알리에서 처격이 장소를 나타낼 때 시간의 의미도 함께 지니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어떤 상황이 발생한 때와 장소는 따로 있지 않다는 빠알리의 사유체계와 관련되어 있다고 한다.
nom.(주격) : ~은, ~는, ~이, ~가.
(어미에 ~o, ~ā, ~ṁ ~yo, ~vo, ~no, ~장모음+ni)
acc.(대격, 목적격) : ~을, ~를 ~으로, ~에게.
(어미에 ~단모음+ṁ, ~ā, ~yo, ~vo, ~no, ~장모음+ni)
inst.(구격) : ~으로, ~에 의해, ~와 같이.
(어미에 ~ena/na/ā, ~āya/iya/uyā, ~hi/bhi)
dat.(여격) : ~에게, ~을 위하여, ~을 목적으로.
(어미에 ~ssa/āya/no, ~āya/iya/uyā, ~장모음+naṁ)
abl.(탈격) : ~로부터, ~ 때문에.
(어미에 ~ā/smā/mhā/to, ~āya/iya/uyā)
gen.(소유격) : ~의, ~을 위하여 (여격과 유사함)
(여격과 동일)
loc.(처소격) : ~에, ~경우에, ~에 대하여. ~을 고려하여.
(어미에 ~e/smiṁ/mhi/ni/i, ~āya/iya/uyā, ~āyaṁ/iyaṁ/uyaṁ, ~su)
voc.(호격) : 감탄이나 사람, 호칭을 부를 때.
(어미에 ~ṁ, ~ā/yo/vo/no, ~장모음+ni)
2. 대명사
1) 종류 : 대명사는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관계대명사, 의문사, 준(準)대명사로 분류
ⓛ 인칭대명사 : 사람을 가리키는 대명사.
예) 나는, 나의, 너는, 너를, 너에게, 그는, 그로부터, 그녀는, 그녀의 등등...
② 지시대명사 : 어떤 것을 가리키는 대명사.
예) 이것은, 이것을, 이것에서, 저것은, 저것의, 그것은, 그것에서 등등...
③ 관계대명사 : 관계대명사가 가리키는 어떤 것이 그 다음 문장의 어떤 용어와 연결되어 전체가 하나의 의미를 이룬다.
예) 어제 친구가 사준 그 컵(관계절), 나는 오늘 그것(컵)으로 차를 마셨다.
예) 어제 나에게 컵을 사준 친구, 그(친구)는 나의 가장 오랜 벗이다.
④ 의문사 : 영어에서는 의문대명사와 의문부사로 나누고 이를 합해 의문사라 부르지만, 빠알리는 의문사는 모두 명사이며, 격변화 한다.
⑤ 준(準)대명사 : 지시대명사는 아닌데 어떤 것을 가리키는 대명사로 보아야 하는 것이 있다. 즉 ‘모두, 둘 중 하나, 다른 것, 위, 아래, 동서남북’ 등.
2) 격변화 : 대명사도 명사이기에 주격~처격까지의 격을 지닌다. 하지만 준대명사를 제외하면 부르는 격인 호격은 없다.
ⓛ 인칭대명사 : 1인칭은 ‘나’를 가리킨다. 기본형은 'amha'
2인칭은 ‘너, 상대방’을. 기본형은 'tumha'.
1인칭과 2인칭은 단수/복수는 있지만 성은 없다.
3인칭은 나 또는 너 외의 제3자를. 기본형은 'ta'.
3인칭은 단수/복수도 있고 성도 있다. 즉 가리키는 것의 성에 따라 남성, 여성, 중성형으로 구분하여 사용.
② 지시대명사 : 어떤 사물을 가리킨다. 기본형 ‘eta’, 3인칭대명사의 ‘ta’의 격변화에 'e'를 앞에 붙이면 거의 같다.
③ 관계대명사 : 시작하는 모양만 원형(ya)을 따를 뿐 격변화 모양은 지시대명사 ima 또는 eta 와 같다. 원형은 각자를 따르되 격변화는 격을 따라 비슷한 패턴으로 바뀌기 때문.
④ 의문사 : 의문사도 시작하는 모양만 원형 ‘ka’를 따를 뿐 관계대명사와 격변화 모양은 거의 같다.
⑤ 준대명사 : 준대명사의 대표인 ‘sabba’는 관계대명사 ‘ya’와 같은 격변화를 하며 나머지 준대명사들도 ‘sabba’와 똑같이 격변화한다.
3. 명사로서 격변화를 하지만 동사역할도 하는 것들
1) 현재분사 : 현재분사는 격변화를 하므로 명사이지만 동사로도 사용된다.
(1) 현재분사형 만들기 : 동사어간에 ant, māna, āna 를 붙인다.
보통 ant를 제일 많이 쓴다. māna는 수동형의 경우에, 그리고 āna는 게송에서 māna 대신 쓰이는 경우 많다.
예) a+ant= ant a+māna= amāna a+āna= āna. ā+ant= ant ā+māna= amāna ā+āna= āna
e+ant= ent e+māna= emāna e+āna= āna. o+ant= ont o+māna= amāna o+āna= āna
u+ant= vant u+māna= umāna u+āna= vāna ... 예외) √as + ant= sant
(2) 격변화
① ant로 끝나는 현재분사
- 남성/중성 : ant로 끝나는 명사와 똑같이 격변화한다.
- 여성 : ant 뒤에 ī 를 덧붙여 만든 후, ī 로 끝나는 여성명사와 똑같이 격변화.
예) karo + ant = karont(남성/중성형) + ī = karontī(여성형)
② māna 또는 āna로 끝나는 현재분사
- 남성/중성 : a로 끝나는 명사와 똑같이 격변화한다.
- 여성 : māna 또는 āna의 a를 여성형 어미 ā로 바꾼 후 ā로 끝나는 여성명사와 똑같이 격변화.
예) kurumāna(남성/중성) + ā = kurumānā(여성형)
2) 과거분사 : 과거분사도 격변화를 하므로 명사이지만 동사로도 사용된다.
(1) 과거분사형 만들기 : 동사어근 또는 어간에 ta, tavant, tāvin, na, navant 를 붙인다.
(2) 격변화
① ta, na 로 끝나는 과거분사
- 남성/중성 : a로 끝나는 남성/중성명사와 똑같이 격변화.
- 여성 : a를 ā로 바꾸고 ā로 끝나는 여성명사와 똑같이 격변화.
예) karo + ant = karont(남성/중성형) + ī = karontī(여성형)
② tavant, navant 로 끝나는 과거분사
- 남성/중성 : sīlavant 로 끝나는 남성/중성명사와 똑같이 격변화.
- 여성 : 마지막에 ī 를 덧붙이고 ī 로 끝나는 여성명사와 똑같이 격변화.
이 때 tavant, navant 의 n은 생략되기도 한다.
예) gatavant + ī = gatavantī / gatavatī
③ tāvin 으로 끝나는 과거분사
- 남성/중성 : in 으로 끝나는 남성/중성명사와 똑같이 격변화.
- 여성 : 마지막에 ī 를 덧붙이고 ī 로 끝나는 여성명사와 똑같이 격변화.
예) ṭhitāvin + ī = ṭhitāvinī
3) 미래분사 : 미래분사도 격변화를 하는 명사지만 동사로도 사용된다.
(1) 미래분사형 만들기 : 동사어근 또는 어간에 tabba, anīya, ya 를 붙인다.
(2) 격변화 : 모두 a로 끝나니 a 또는 ā로 끝나는 명사의 격변화를 따른다.
- 남성/중성 : a로 끝나는 남성/중성명사와 똑같이 격변화.
- 여성 : a를 ā로 바꾸고 ā로 끝나는 여성명사와 똑같이 격변화.
Ⅳ. 불변화사 : 단어의 끝, 어미가 바뀌지 않는다고 해서 불변화사라고 부른다.
1. 연속체(gerund, 절대체 abs)
어떤 행동에 앞서 이루어진 행동을 나타낸다. 그런데 실제로 앞뒤에 이루어진 행동일 수도 있고, 행동이 이루어진 앞뒤를 딱 잘라 말할 수 없으나 표현에 있어 앞뒤로 되는 경우도 있다.
① 만드는 방법 : 어근이나 어기에 tvā, tvāna, tuna, ya, cca를 붙인다.
● tvā
- 모음으로 끝나는 어근 : 바로 붙인다. 단 긴 모음은 짧아진다.
√su + tvā = sutvā, √hū + tvā = hutvā
- 자음으로 끝나는 어근 : 생략되거나 tvā의 모양에 비슷해진다.
√vac + tvā = vatvā, √gam + tvā = gantvā, √labh + tvā = laddhā
● tvāna, tuna : 게송에서 tvā 대신 사용된다.
● ya : 접두사를 지닌 어근이나 어기에 붙인다.
- ā로 끝나는 어근에 바로 붙인다.
pa√hā + ya = pahāya, abhi√ñā + ya = abhiññāya(=abhiññā)
- 자음으로 끝나는 어근에 붙일 때는 그 자음과 y가 만나 서로 닮는다.
ni√sad + ya = nisajja, ā√rabh + ya = ārabbha
- 일부 어기에 붙이되, 어기의 모음이 i 로 대체된다.
abhi√vand + a → 어기 abhivanda + ya = abhivandiya
● cca : 접두어를 지닌 일부 어근이나 어기에 붙인다.
- 모음 어근에는 바로 붙인다. pa√i + cca → pecca, paṭi√i + cca = paṭicca
- n, r 로 끝나는 어근의 경우 이 글자들은 생략된다.
ā√han + cca = āhacca, saṃ√kar + cca = sakkacca
2. 부정사(infinitive)
① 만드는 방법 : 어근이나 어기에 tuṃ, tāye, tave, tuye 를 붙인다. 이 중 tuṃ이 대부분이다.
● 모음으로 끝나는 어근 : 바로 붙인다. 단 그 모음이 i, ī는 e로, u,ū는 o 로 바뀐다.
√dā + tuṃ/tāye/tave/tuye → dātuṃ, dātāye, dātave, dātuye
√ji+ tuṃ/tāye/tave/tuye → jetuṃ, jetāye, jetave, jetuye
√su+ tuṃ/tāye/tave/tuye → sotuṃ, sotāye, sotave, sotuye
● 자음으로 끝나는 어근 : t의 모양에 비슷해진다.
√vac + tuṃ/tāye/tave/tuye → vattuṃ, vattāye, vattave, vattuye
√gam + tuṃ/tāye/tave/tuye → gantuṃ, gantāye, gantave, ganuye
● 어기에 붙일 때 : 어기의 마지막 모음이 i로 바뀐다. 단 e로 끝나는 경우는 바로 붙인다.
√pac + a → paca √paca + tuṃ/tāye/tave/tuye → pacituṃ, pacitāye, pacitave, pacituye
√kar + o → karo √karo + tuṃ/tāye/tave/tuye → karituṃ, karitāye, karitave, karituye
√cur + e → core √core + tuṃ/tāye/tave/tuye → coretuṃ, coretāye, coretave, coretuye
3. 감탄사, 시간, 방향, 장소, 대명사 등의 불변화사
① 감탄사, 강조사, 접속사 등
api /~도, 역시, puna /다시, viya, ivā /~같이, 처럼, evaṃ /이와 같이,
vā /또는, ca /그리고, ce, yadi, sace /만약, aho, ahe /아,
sādhu /좋다, udāhu /혹은, 또는, yagghe /부디, 제발, alaṃ /충분하다,
amma /엄마! tāta /아빠!
*외에도 발음의 연결을 위해 또는 뜻의 강조를 위해 쓰는 말들이 있습니다.
: kho, eva, su, nāma, hi, no, atha, atho 등
② 시간을 나타내는 불변화사
yadā /~ 하는 때, tadā /그때, ekadā /한 때, sadā /항상, kadā /어느 때,
etarahi /지금, kadāci, karahaci, kadācanaṃ /어느 때라도, 때때로,
sabbadā /모든 때에, idāni, dāni /지금,
ajja /오늘, hīya /어제, sve /내일, pāto /아침에, divā /대낮에
③ 공간, 위치를 나타내는 불변화사
yattha, yatra /~의 곳(때)에, tattha, tatra /그곳(때)에, ettha /여기에,
kattha, katra, kuttha, kuhiṃ, kuhaṃ, kva, kuvaṃ /어디에, idha /여기에,
pure /~의 앞에, ekattha /어떤 한 곳에, ubhayattha /양쪽에,
sabbattha /모든 곳에, sabbadhi /모든 곳에, dūrato /멀리에서,
uddhaṃ /위로, adho /아래로, heṭṭhā /아래에, aññatra, vinā /~을 제외하고
④ 방법, 정도를 나타내는 불변화사
~thā, thaṃ /방법, ~dhā /종류, khattuṃ /회수, āvatā /정도
예) yathā /~와 같이, tathā /그와 같이, kathā, kathaṃ /어떻게,
aññathā /다른 방법으로, sabbathā /모든 방법으로, itthaṃ /이렇게,
ekadhā /한 가지로, dvidhā /두 가지로, tidhā /세 가지로,
anekadh ā /다양한 종류로, bahudhā /여러 종류로,
ekakkhattuṃ /일회, dvikkhattuṃ /이회, tikkhattuṃ /삼회,
ekaso, ekato /함께, 한 개씩, diso /두 개씩, yoniso / 합당함,
kittāvatā /어느 정도, ~하는 한, ettāvatā /그 정도, kati /얼마
yāvatā / ~ 하는 만큼, tāvatā /그 만큼, saki, sakiṃ /한 번
⑤ '관계대명사 — 대명사'를 나타내는 불변사 : 위에 나타난 것을 빼고 적어보면...
yasmā - tasmā, yena - tena, /~ 하므로 – 그러므로,
yāva - tāva /~ 하는 한- 그러한 한, seyyathā pi /마치 ~와 같이
Ⅵ. 명사 만들기
1. 1차 파생어미로 명사 만들기(첫 어미 덧붙인 명사) : 어근 또는 어기에 명사 만드는 어미를 붙이면 됨.
(1) 일반명사 만들기 : 어근 또는 어기에 a, ana, i, ti 등의 어미를 붙인다. → 명사의 격변화 한다.
(2) 분사 만들기 : 현재분사, 과거분사, 미래분사를 만드는 어미를 붙여 격변화 한다.
2. 2차 파생어미로 명사 만들기(둘째 어미 덧붙인 명사)
: 1차 파생으로 만들어진 명사에 다시 둘째 어미를 덧붙여 명사를 만든다.
(1) 소유를 나타내는 2차 파생 어미
- 종류 : vant, mant, vin, in, ita, ika, ila, ṇa, āla
- 성(gender) : 소유자의 성을 따른다.
- 격변화 : 소유자의 성과 어미에 따라 격변화 한다.
예) dhana(부, 재산) + vant → dhanavant(부자) sati + mant → satimant (사띠를 지닌 사람)
medhā + vin → medhāvin (지혜로운 사람) daṇḍa(지팡이) + in → daṇḍin (지팡이를 지닌 사람 = 노인, 높은 사람 등)
puppha (꽃) + ita → pupphita (꽃을 든 사람) vācā + āla → vācāla (말을 지닌 사람 = 말 많은 사람)
(2) 원인, 장소, 시간으로 사용되는 불변화사(부사) 만드는 2차 파생 어미
: 대명사 어근에 2차 어미를 덧붙이면 고정된 특정 격을 지닌 불변화사가 된다.
파생어미 | sabba (모두) | ya (관계대명사) | ta (그,인칭) | eta (그/저, 지시) | ima (이, 지시) | kiṁ (무엇, 의문) |
to | sabbato | ya | tato | etto, ato | ito | kuto |
※ 탈격(- 때문에, -로부터)의 의미를 지니지만 가끔 다른 격이 되기도 한다. | ||||||
tra | sabbatra | yatra | tatra | atra | - | kutra |
tha | sabbattha | yattha | tattha | ettha, attha | - | kuttha, kattha |
dhi | sabbadhi | - | - | - | idha | - |
va | - | - | - | - | - | kva |
hiṁ | - | yahiṁ | tahiṁ | - | - | kuhiṁ |
haṁ | - | yahaṁ | tahaṁ | - | - | kuhaṁ, kahaṁ |
ha | - | - | - | - | iha | kva |
dha | - | - | - | - | idha | - |
hiñcanaṁ | - | - | - | - | - | kuhiñcanaṁ |
| ※ 공간을 나타내는 처격의 의미를 지닌다. | |||||
dā | sabbadā | yadā | tadā | - | - | kadā |
dācanaṁ | - | - | - | - | - | kudācanaṁ |
dāni | - | - | tadāni | - | idāni | - |
rahi | - | - | - | - | etarahi | karahi |
dhunā | - | - | - | - | adhunā | - |
| ※ 시간을 나타내는 처격의 의미를 지닌다. |
(3) 추상 명사 만드는 2차 파생 어미 : 명사 어기에 2차 파생어미를 붙이면 명사가 된다.
- 2차파생어미의 종류
① ṇya, ṇeyya, ṇa, kaṇ : 주로 중성 ② tta, ttana : 중성, tā : 여성
- 의미 : 출신, 소속, 속성(~다움, 性), 실질을 의미, 실동사적 명사, 명사파생명사
- 예) dārāka(소년) + tta → dārākatta (소년, 소년기, 소년다움)
dhammatā : 법의 속성(法性) alasa (게으름) + tta → alasa + tta (게으름, 나태)
rattapaṭa (붉은 옷) + tā → pācakatā (영국군인) pācaka(요리하는 사람) + tā → pācakatā (요리함)
panḍita(한 개인의 이름) + tā → panḍitatā (빤디따라는 이름)
출처 : http://cafe.daum.net/pali-study/960R/26
위의 빠알리 문법 내용은 빠알리 공부모임 카페에서 옮겨와 편집한 것입니다.
감사합니다._()_
'수행. 정진 > 빨리어 문법, 용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빨리어 문법요약(INTRODUCTION TO PALI) (0) | 2020.02.13 |
---|---|
Ⅱ. 빠알리 문장 번역의 기본 원칙(순서) (0) | 2020.02.12 |
초급 빠알리 문법(불변화사, 명사 만들기) (0) | 2019.08.08 |
초급 빠알리 문법(대명사, 분사) (0) | 2019.08.08 |
초급 빠알리 문법(기본~일반명사의 격변화) (0) | 2019.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