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장 동사
나. 동사의 제2차 활용
v 동사의 제2차 활용 다섯 가지
Ÿ 수동활용(Passive) 사역활용(Causative)
Ÿ 의욕활용(Desiderative) 반복활용(Frequentative)
Ÿ 명사起源활용(Denominative[nāmadhātu])
(1) 수동활용(Passive)
(가) 능동문과 수동문 및 비인칭문의 비교
가) 능동태(kartaripayoga[active voice])
① 문장에서 내용상 주어가 동사와 연결된다.
② 자동사와 타동사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Ÿ [自] so(pn. .nom.) tiṭṭhati(pres.Ⅲ.sg.) | → [그가 서있다.]
Ÿ [他] so(pn. .nom.) phalaṁ( .acc.) khādati(pres.Ⅲ.sg.) | → [그가 과일을 먹는다.]
나) 수동태(karmanipayoga[passive voice])
① 문장에서 내용상 목적어가 동사와 연결된다.
② 목적어가 없는 자동사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타동사만 사용이 가능하다.
Ÿ [他] tena(pn. .ins.) phalaṁ( .nom.) khādyate(pass.)69) | → [그에 의해 과일이 먹힌다.]
다) 비인칭(bhāvepayoga[impersonal])
① 동사의 행위가 문법적인 주어가 된다.
② 자동사만 사용이 가능하다.
Ÿ [自] tena(pn. .ins.) tiṭṭhīyate | → [그에 의해 起立되었다.(Standing is done by him.)]
③ 행위 자체가 실제 주어인 까닭에 동사는 항상 Ⅲ.sg.형을 지닌다.
Ÿ mayā tiṭṭhīyate | tvayā tiṭṭhīyate | tehi tiṭṭhīyate |
(나) 수동동사의 형성
1) 수동동사의 형성조사 및 첨부방식
* 수동동사를 형성하는 조사로는 'ya'가 사용되며, 첨부형태는 다섯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①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어근에 바로 첨부된다.
② 자음으로 끝나는 동사어근에 바로 첨부되며, 동사어근의 마지막 자음과 'ya'의 음소 'y'는 正順
또는 逆順 자음연성이 진행된다.
③ 자음으로 끝나는 동사어근에 삽입자 'i'와 더불어 첨부되며, 자음은 일반적으로 중복되지 않는다.
69) 【Ⓢ】 .는 능동태(bhakṣayati)에 .는 수동태(bhakṣayate)에 사용되지만,【Ⓟ】 .는 물론 . 또한
수동태('khādyati' & 'khādyate' as pass.pres.Ⅲ.sg.)로 사용될 수 있다.
④ 겹자음으로 끝나는 동사어근에 삽입자 'i'와 더불어 첨부되며, 삽입자는 'ī'로 장음화된다.
⑤ 특별히 형성된 어간에 삽입자 'i'와 더불어 첨부되며, 삽입자는 'ī'로 장음화된다.
2) 수동동사의 어간형성
가) 형성조사 'ya'가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어근에 바로 첨부되는 경우.
* 일반적으로 동사어근의 모음은 강화음(guṇa)이나 장음화 등의 변화를 갖는다.
*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어근은 일반적으로 '아닛(aniṭ)' 동사군에 속한다.
① 동사어근의 모음이 'ā'인 경우 'ī'로 대체되며, 'i、u'인 경우 'ī、ū'로 장음화된다.
Ÿ √dā(1. to give) dā+ya > dī+ya > dīya(base)
Ÿ √pā(1. to drink) pā+ya > pī+ya > pīya(base)
Ÿ √dhā(1. to hold) dhā+ya > dhī+ya > dhīya(base)
Ÿ √ji(1. to conquer) ji+ya > jī+ya > jīya(base)
Ÿ √ku(4. to sing) ku+ya > kū+ya > kūya(base)
② 동사어근의 모음이 'ī' 또는 'ū'인 경우 변하지 않는다.
Ÿ √bhū(1. to be) bhū+ya > bhūya(base)
Ÿ √lū(5. to leap) lū+ya > lūya(base)
Ÿ √nī(1. to lead) nī+ya > nīya(base)
③ 일부의 경우 첨부되는 'ya' 앞의 장모음은 단음화되고 'ya'의 음소 'y'는 중복된다.
Ÿ √nī(1. to lead) nī+ya > nīya |or| niyya(base)
Ÿ √su(4. to hear) su+ya > sū+ya > sūya |or| suyya(base)
Ÿ √dā(1. to give) dā+ya > dī+ya > dīya |or| diyya(base)
나) 활용조사 'ya'가 자음으로 끝나는 동사어근에 바로 첨부되어 자음연성이 진행되는 경우.
* 동사어근의 마지막 자음과 활용조사의 'y'간에 正順 또는 逆順 자음연성이 진행된다.
* 자음으로 끝나는 동사어근은 일반적으로 '쎗(seṭ)' 동사군에 속하지만 특정의 102개 동사의
경우 '아닛(aniṭ)' 동사군에 속하는 까닭에 'i'(iḍāgama)가 삽입되지 않는다.
Ÿ √labh(1. to take) labh70)+ya > labh+ba > lab+bha > labbha(base)
Ÿ √pac(1. to cook) pac+ya > pac+ca > pacca(base)
Ÿ √bhaṇ(1. to say) bhaṇ+ya > bhan+ya > bhañ+ya > bhañ+ña > bhañña(base)
Ÿ √khād(1. to eat) khād+ya > khad+ya > khaj+ya > khaj+ja > khajja(base)
Ÿ √bandh(5. to bind) bandh+ya > banjh+ya > banjh+ja > bajjha(base)
다) 활용조사 'ya'가 자음으로 끝나는 동사어근에 삽입자 'i'와 더불어 첨부되는 경우.
* 일반적으로 동사어근의 마지막 자음이 's'나 'h' 또는 'r'이며, 자음중복은 일어나지 않는다.
* 자음으로 끝나는 동사어근은 일반적으로 '쎗(seṭ)' 동사군에 속한다.
Ÿ √has(1. to laugh) has+|i|+ya > has+ī+ya > hasīya(base)
Ÿ √kar(6. to make) kar+|i|+ya > kar+ī+ya > karīya(base)
Ÿ √mah(1. to honour) mah+|i|+ya > mah+ī+ya > mahīya(base)
v 마지막 자음이 's'인 경우 正順자음연성으로 인해 중복이 일어난 형태를 지니게 된다.
Ÿ √dis(1. to see) dis+ya > dis+sa > dissa(base)
Ÿ √nas(1. to destroy) nas+ya > nas+sa > nassa(base)
라) 활용조사 'ya'가 겹자음으로 끝나는 동사어근에 삽입자 'i'와 더불어 첨부되는 경우.
* 일반적으로 삽입자 'i'는 'ī'로 장음화된다.
70) 【Ⓟ】자음으로 맺음되는 단어가 존재하지 않는 까닭에 'labh「a」'로 표시자가 첨부되었다가 탈락되는 과정을 거친다.
* 자음으로 끝나는 동사어근은 일반적으로 '쎗(seṭ)' 동사군에 속한다.
Ÿ √pucch(1. to ask) pucch+|i|+ya > pucch+ī+ya > pucchīya(base)
마) 활용조사 'ya'가 특별히 형성된 어간에 삽입자 'i'와 더불어 첨부되는 경우.
* 일반적으로 삽입자 'i'는 'ī'로 장음화된다.
Ÿ √gam(1. to go) gam → 'gaccha'+|i|+ya > gacch+ī+ya > gacchīya(base)71)
Ÿ √budh(1. to know) budh → 'bhjjha'+|i|+ya > bujjh+ī+ya > bujjhīya(base)
Ÿ √is(1. to wish) is → 'iccha'+|i|+ya > icch+ī+ya > icchīya(base)
3) 수동동사
조사 'ya'가 첨부되어 형성된 어간에 현재조직의 인칭어미를 첨부하여 수동활용동사를 완성한다.
√ji . .
sg. pl. sg. pl.
수동활용(caus.) 현재시제(pres.)
Ⅰ. jīyāmi jīyama jīye jīyāmhe
Ⅱ. jīyasi jīyatha jīyase jīyavhe
Ⅲ. jīyati jīyanti jīyate jīyante
수동활용(caus.) 명령법(imp.)
Ⅰ. jīyāmi jīyāma jīye jīyāmase
Ⅱ. jīyāhi jīyatha jīyassu jīyavho
Ⅲ. jīyatu jīyantu jīyataṁ jīyantaṁ
수동활용(caus.) 원망법(pot.)
Ⅰ. jīyeyyāmi jīyeyyāma jīyeyyaṁ jīyeyyāmhe
Ⅱ. jīyeyyāsi jīyeyyātha jīyetho jīyeyyavho
Ⅲ. jīyeyya jīyeyyuṁ jīyetha jīyeraṁ
(다) 수동동사 기타내용
① 조사 'ya' 앞에 놓인 모음 'ī'의 경우 선택적으로 단음화되기도 한다.
Ÿ √mah(1. to honour) mahīya(base) > mahīyati |or| mahiyati(pass.pres.Ⅲ.sg.)
② 동사어근의 말음이 자음이고 말음전음소가 'ā'인 경우 일반적으로 음소 'ī'가 삽입된다.
Ÿ √yāc(1. to beg) yāc+|ī|+ya > yācīya(base) > yācīyati(pass.pres.Ⅲ.sg.)
Ÿ pa√aj > pāj(1. to drive) pāj+|ī|+ya > pājīya(base) > pājīyati(pass.pres.Ⅲ.sg.)
③ 자음으로 끝나는 일부동사의 경우 조사 'ya'가 'i'(iḍāgaem) 또는 음소 'ī'의 삽입 없이 첨부된다.
Ÿ √lup(1. to cut) lup+ya > lupya(base) > lupyati(pass.pres.Ⅲ.sg.)
Ÿ √gam(1. to go) gam+ya > gamya(base) > gamyati(pass.pres.Ⅲ.sg.)
④ 완료시제(perf.)와 아오리스트시제(aor.)와 미래시제(fut.) 및 조건법(cond.)의 경우
제말( .)형은 흔히 수동의 의미로 사용된다.
⑤ 하나의 동사어근의 다수의 수동활용형을 갖기도 한다. - (pass.pres.Ⅲ.sg.)
Ÿ √kar(6. to make) karīyati, kariyyati, kayirati, kayyati.
Ÿ √gam(1. to go) gamīyati, gacchīyati, gamyati.
Ÿ √gah(7. to take) gayhati, gheppati.
Ÿ √hā(1. to abandon) hāyati, hiyati.
71) 【Ⓢ】수동활용에는 동사어근 원형만 사용되므로 'gamya(base)' 및 'gamyate(pass.pres.Ⅲ.sg.)'가 된다.
⑥ 쌈쁘라사라나(saṁprasāraṇa)72) 동사군에 속하는 동사들의 경우 특유의 수동활용형을 가진다.
Ÿ √vah(1. to carry) vuyh(base) > vuyhāmi, vuyhasi, vuyhati, vuyhe, vuyhase, etc.
Ÿ √vas(1. to live) vuss(base) > vussāmi, vussasi, vussati, etc.
Ÿ √yaj(1. to sacrifice) ijj(base) > ijjāmi, ijjasi, ijjati, etc.
Ÿ √vac(1. to speak) ucc(base) > uccāmi, uccasi, uccati, etc.
vucc(base) > vuccāmi, vuccasi, vuccati, etc.
(2) 사역활용(Causative)
1) 사역동사
① ‘어떤 누구에게 어떤 것을 시키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② 형태만 사역활용형에 속하고 사역의 의미를 잃는 경우는 사역활용 형식을 취하였으나 사역의미를 갖지 않는 경우와, 1류 동사인데 7류 동사의 접사(vikaraṇa)인 'aya'를 취하는 경우로서 두가지로 나뉠 수 있는데, 그 결과로 얻는 외형적인 형태는 동일하다.
2) 사역동사의 형성
가) 사역동사 형성조사
사역동사 형성에 사용되는 조사는 두 가지이다. 주로 사용되는 조사는 'aya'이며, 일부 동사에는
'āpaya'가 사용된다. 'aya'와 'āpaya'는 각각 축약형인 'e'와 'āpe'로 대체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Ÿ i(caus. forming suffix)+a(basic vikaraṇa) > i+a > ay+a > 'aya' |or| 'e'
Ÿ ā+p「uk」+i(caus.)+a(vikaraṇa) > ā+p+i+a > ā+p+ay+a > 'āpaya' |or| 'āpe'
나) 사역동사어근의 모음변화
사역동사를 형성하는 조사가 첨부될 때 동사어근의 모음은 다양한 변화를 갖는다.
① 어근 마지막의 單자음 앞에 있는 短모음 'a'는 'ā'로 장음화된다.
Ÿ √kar(6. to make) kar+aya > kār+aya > kāraya …
Ÿ √mar(3. to die) mar+e > mār+e > māre …
② 어근 마지막의 單자음 앞에 있는 短모음 'i'와 'u'는 각각 'e'와 'o'로 강화음(guṇa)을 취한다.
Ÿ √bhuj(2. to eat) bhuj+aya > bhoj+aya > bhojaya …
Ÿ √bhid(2. to break) bhid+e > bhed+e > bhede …
③ 어근 마지막의 單자음 앞에 있는 長모음과 겹자음 앞에 있는 短모음은 변화하지 않는다.
Ÿ √dā(1. to give) dā+āpe > dāpe …73)
Ÿ √pucch(1. to ask) pucch+āpaya > pucchāpaya …
다) 사역동사의 어간형성
① 모음변화를 취한 동사어근에 형성조사를 첨부한다.
Ÿ √pac(1. to cook) pāca, pācaya, pācāpe, pācāpaya.
Ÿ √kar(6. to make) kāre, kāraya, kārāpe, kārāpaya.
Ÿ √gah(7. to take) gāhe, gāhaya, gāhāpe, gāhāpaya.
Ÿ √mar(3. to die) māre, māraya, mārāpe, mārāpaya.
72) 산스끄리뜨에는 약 3천개의 동사가 있으며 1/3 정도가 常用되는 가운데 20개의 동사는 변환시 동사어근 중의 반모음(y、v、r、l)이 'yaṇ'음을 취하여 각각 모음 'i、u、ṛ.ḷ'로 변화하는데, 그러한 동사군을 '쌈쁘라사라나'라 일컫는다.
73) 동사어근이 'ā'로 끝날 경우 중간에 'p'를 삽입하는 것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 √dā > dā+|p|+i+a > dāp+i+a > dāp+ay+a > dāpaya(base) + ti > dāpayati(caus.pres.Ⅲ.sg.)
Ÿ √chid(2. to cut) chede, chedaya, chedāpe, chedāpaya.
Ÿ √bhuj(2. to eat) bhoje, bhojaya, bhojāpe, bhojāpaya.
Ÿ √rudh(2. to obstruct) rodhe, rodhaya, rodhāpe, rodhāpaya.
Ÿ √bhid(2. to break) bhede, bhedaya, bhedāpe, bhedāpaya.
Ÿ √pucch(1. to ask) pucchāpe, pucchāpaya.
Ÿ pi√dhā(1. to hold) pidhāpe, pidhāpaya.
Ÿ √dā(1. to give) dāpe, dāpaya.
Ÿ √gam(1. to go) gāme.
② am, an, al, ar, ad, ap로 끝나는 어근은 일반적으로 'a'가 장음화되지 않는다.
Ÿ √sam(1. to be appeased)same, samaya, samāpe, samāpaya.
Ÿ √gam(1. to go) game, gamaya.
③ 어근의 모음이 'i、ī' 또는 'u、ū'인 동사의 경우 특별히 형성된 어간에 형성조사를 첨부한다.
Ÿ √su(4. to hear) 'sāv' sāve, sāvaya, sāvāpe, sāvāpaya.
Ÿ √sī(1. to lie down) 'sāy' sāye, sāyaya, sayāpe, sayāpaya.
Ÿ √nī(1. to lead) 'nāy' nāyaya, nayāpe, nayāpaya.
Ÿ √bhū(1. to be) 'bhāv' bhāve, bhāvaya, etc.
④ 일부동사의 경우에도 특별히 형성된 어간에 형성조사를 첨부한다.
Ÿ pi√dhā(1. to hold) 'pidah' pidahāpe, pidahāpaya.
⑤ 일부동사의 경우 어근과 조사가 연성된 상태에서 조사의 음소 'p' 앞의 'ā'가 단음화된다.
Ÿ √ṭhā(1. to stand) ṭhā+āpe > ṭhāpe > ṭhape.
ṭhā+āpaya > ṭhāpaya > ṭhapaya.
3) 사역동사
조사가 첨부되어 형성된 어간에 현재조직의 인칭어미를 첨부하여 사역활용동사를 완성한다.
√pac sg. pl.
사역활용(caus.) 현재시제(pres.)
Ⅰ. pācemi, pācayāmi, pācāpemi, pācāpayāmi. pācema, pācayāma, pācāpema, pācāpayāma.
Ⅱ. pācesi, pācayasi, pācāpesi, pācāpayasi. pācetha, pācayatha, pācāpetha, pācāpayatha.
Ⅲ. pāceti, pācayati, pācāpeti, pācāpayati. pācenti, pācayanti, pācāpenti, pācāpayanti.
사역활용(caus.) 원망법(pot.)
Ⅰ. pāceyyāmi, pācayeyyāmi,
pācāpeyyāmi, pācāpayeyyāmi.
pāceyyāma, pācayeyyāma,
pācāpeyyāma, pācāpayeyyāma.
Ⅱ. pāceyyāsi, pācayeyyāsi,
pācāpeyyāsi, pācāpayeyyāsi.
pāceyyātha, pācayeyyātha,
pācāpeyyātha, pācāpayeyyātha.
Ⅲ. pāceyya, pācayeyya,
pācāpeyya, pācāpayeyya.
pāceyyuṁ, pāceyeyyuṁ,
pācāpeyyuṁ, pācāpayeyyuṁ.
4) 이중사역(double causal)
① 사역조사 'āpe'、'āpaya'의 중복형인 'āpāpe'、'āpāpaya'가 조사로 사용되며, 해당조사를 동사어근에
바로 첨부하여 이중사역어간을 형성한다.
Ÿ √pac(1. to cook) pāce、pācāpe[caus.] pācāpāpe、pācāpāpaya[doublecaus.]
Ÿ √chid(2. to cut) chede、chedaya[caus.] chedāpāpe、chedāpāpaya[dcaus.]
Ÿ √bhuj(2. to eat) bhoje、bhojāpe[caus.] bhojāpāpe、bhojāpāpaya[dcaus.]
② 형성된 어간에 어미를 첨부하여 동사를 완성하며, 활용은 현재조직의 형태와 동일하게 진행된다.
Ÿ √pac : pacati(pres.Ⅲ.sg.), pāceti(caus.pr.), pācāpāpeti(dcaus.pass.pr.)
Ÿ √chid : chindati(pres.Ⅲ.sg.), chedeti(caus.pr.), chedāpāpeti(dcaus.pass.pr.)
Ÿ √bhuj: bhuñjati(pres.Ⅲ.sg.), bhojeti(caus.pr.), bhojāpāpeti(dcaus.pass.pr.)
③ 이중사역동사는 ‘A는 B가 무엇을 하게끔 C에게(→C를 통해서) 시키다.’ 등의 의미를 지닌다.
Ÿ so purisaṁ(acc.) dāsaṁ odanaṁ pācāpāpeti | → [그는 그 사람에게 하인이(←하인을) 먹거리를 요리하게 하도록 시켰다.]
v 직접 사역의 지시를 받는 목적격(acc.)의 경우 도구격(ins.)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Ÿ = so puriseṇa(ins.) dāsaṁ odanaṁ pācāpāpeti |
5) 사역수동(causal passive)
① 사역조사로 형성된 사역어간에 수동형성조사 'ya'를 첨부하여 사역수동을 형성한다. 수동조사가
첨부될 때 이미 변경되어 있는 동사어근의 모음은 변화를 갖지 않은 채 사역조사만 탈락된다.
Ÿ √pac > pāce[caus. base] > pāce+|i|+ya > pāc+ī+ya > pācīya[caus.pass. base]
Ÿ √bhuj > bhoje[caus. base] > bhoje+|i|+ya > bhoj+ī+ya > bhojīya[caus.pass. base]
Ÿ √kar > kāre[caus. base] > kāre+|i|+ya > kār+ī+ya > kārīya[caus.pass. base]
② 'ī'로 장음화된 삽입자는 다시 단음화되기도 한다.
Ÿ √pac > pāce > pāce+|i|+ya > pāc+ī+ya > pācīya |or| pāciya
③ 형성된 어간에 어미를 첨부하여 동사를 완성하며, 활용은 현재조직의 형태와 동일하게 진행된다.
Ÿ √pac : pacati(pres.Ⅲ.sg.), pāceti(caus.pres.Ⅲ.sg.), pācīyati(caus.pass.pres.Ⅲ.sg.)
Ÿ √bhuj: bhuñjati(pres.Ⅲ.sg.), bhojeti(caus.pres.Ⅲ.sg.), bhojīyati(caus.pass.pres.Ⅲ.sg.)
Ÿ √kar : karoti(pres.Ⅲ.sg.), kāreti(caus.pres.Ⅲ.sg.), kārīyati(caus.pass.pres.Ⅲ.sg.)
6) 사역수동의 기타내용
① 일부의 경우 사역형을 갖춘 동사라도 사역의 의미를 지니지 않기도 한다.
Ÿ √car(1. to go) > cāreti(caus.pres.Ⅲ.sg. 가게하다: 다스리다, 관리하다)
Ÿ √bhū(1. to be) > bhāveti(caus.pres.Ⅲ.sg. 되게하다: 경작하다, 연습하다)
② 7류 동사의 경우 사역형을 형성할 때는 조사 'āpe' 또는 'āpaya'를 동사의 어간에 첨부한다.
Ÿ √cur(7. to steal) core[base] + ti > coreti(pres.Ⅲ.sg.)
core+āpe > cor+āpe > corāpe > corāpeti(caus.pres.Ⅲ.sg.)
Ÿ √kath(7. to tell) kathe[base] + ti > katheti(pres.Ⅲ.sg.)
kathe+āpe > kath+āpe > kathāpe > kathāpeti(caus.pres.Ⅲ.sg.)
Ÿ √tim(7. to wet) teme[base] + ti > temeti(pres.Ⅲ.sg.)
teme+āpe > tem+āpe > temāpe > temāpeti(caus.pres.Ⅲ.sg.)
(3) 의욕활용(Desiderative)
1) 의욕동사
① 의욕활용은 ‘어떤 것을 하고 싶다.’는 의향을 나타낸다.
② 의욕활용에 적용되는 동사어근의 중복법은 현재조직 제1류4군 동사의 '어간형성을 위한
어근중복에 관한 규칙'과 동일하다.
③ 의욕활용은 빠알리에서 드물게 사용된다.
2) 의욕동사의 형성
① 동사어근을 중복한 것에 의욕활용을 형성하는 조사인 'sa'를 첨부하여 어간을 형성한다.
Ÿ √su(4. to hear) > su+√su+sa > su+|s|+su+sa > sussusa[base]
② 형성된 어간에 어미를 첨부하여 동사를 완성하며, 활용은 현재조직의 형태와 동일하게 진행된다.
Ÿ sussusa[base] + ti > sussusati(desi.pres.Ⅲ.sg.)
3) 의욕동사 형성예시
① 형성조사 'sa'의 음소 's'는 일반적으로 앞서있는 자음과 正順자음연성이 진행된다.
[root] [중복+어근+조사+어미] [desi.pres.Ⅲ.sg.]
Ÿ √bhuj(2. to eat) bu+bhuj+sa+ti bubhukkhati(먹으려고 하다)
Ÿ √tij(1. to bear) ti+tij+sa+ti titikkhati(참아내다)
Ÿ √ghas(1. to swallow) ji+ghas+sa+ti jighacchati(먹으려고 하다)
Ÿ √pā(1. to drink) pi+pā+sa+ti pipāsati/pivāsati(마시려고 하다)
Ÿ √kit(1. to cure) ci+kit+sa+ti cikicchati(치료하고자 하다)
② 기타 常用되는 의욕동사들 및 그 변환
Ÿ √ji(1. to conquer) ji+giṁ+sa+ti jigiṁsati(정복하고자 하다)
Ÿ √ssu(4. to hear) su+ssu+sa+ti sussūsati(들으려고 하다)
Ÿ √vac(1. to speak) va+vac+sa+ti sussūsati(말하고자 하다)
Ÿ √cit(1. to perceive) ci+kit+sa+ti cikicchati/tikicchati(보려고 하다)
Ÿ √vid(1. to know) vi+vid+sa+ti vivicchati(추구하다)
Ÿ √man(3. to think) mī+man+sa+ti mīmaṁsati/vīmaṁsati(思考하다)
Ÿ √gup(7. to hide) ji+gup+sa+ti jigucchati(싫어하다)
Ÿ √dā(1. to give) di+d+sa+ti74) dicchati(주고자 하다)
Ÿ √khyā(1. to tell) ci+khy+sa+ti cikkhati(말하고자 하다)
Ÿ √sak(4. to be able) si+sk+sa+ti sikkhati(배우고자 하다)
(4) 반복활용(Frequentative)
1) 반복동사
① 반복활용형을 취한 동사는 동작이 강하거나 반복적으로 행해지는 것이나 서툴게 행해지는 것,
또는 어떤 상태가 풍부해지는 것 등을 나타낸다.
② 반복활용에 적용되는 동사어근의 중복법은 현재조직 제1류4군 동사의 '어간형성을 위한
어근중복에 관한 규칙'과 동일하다.
③ 반복활용은 강조활용(Intensive)이라고도 불린다.
④ 반복활용은 빠알리에서 드물게 사용된다.
2) 반복동사의 형성
① 동사어근을 중복한 것에 해당동사의 접사(vikaraṇa)를 첨부한 것이 반복활용의 어간이 되며,
별도의 형성조사는 존재하지 않는다.75)
Ÿ √lap(1. to talk) > lap+√lap+a > lap+lap+a > lā+lap+a > lālapa[base]
② 형성된 어간에 어미를 첨부하여 동사를 완성하며, 활용은 현재조직의 형태와 동일하게 진행된다.
74) 동사 '√dā'와 '√khyā' 및 '√sak'은 약변화의 동사어근이 적용되어 어근의 모음이 탈락되었다.
75) 【Ⓢ】형성조사 'ya「ṅ」'이 남은 채 제말助詞와 더불어 활용되는 제말반복활용( .freq.)과 'ya「ṅ」'이 생략된 채
남말助詞와 더불어 활용되는 남말반복활용( .freq.)으로 나뉜다.
Ÿ lālapa[base] + ti > lālapati(freq.pres.Ⅲ.sg. 푸념하다, 넋두리하다, 횡설수설하다)
3) 반복동사 형성예시
[root] [중복+어근+조사+어미] [freq.pres.Ⅲ.sg.]
Ÿ √kam(1. to walk) caṅ+kam+a+ti caṅkamati(비틀거리며 걷다)
Ÿ √gam(1. to go) jaṅ+gam+a+ti jaṅgamati(흔들거리며 걷다)
Ÿ √cal(1. to shake) can+cal+a+ti cañcalati(흔들거리다)
Ÿ √lap(1. to talk) lā+lap+ya+ti lālappati(재잘거리다)
Ÿ √has(1. to laugh) ja+js+a+ti jakkhati/jagghati(깔깔거리며 웃다)
(5) 명사기원활용(Denominative[nāmadhātu])
1) 명사기원동사
① 명사나 형용사에 특정한 조사가 첨부되어 형성되는 轉用동사이다.
② 명사기원동사는 명사・형용사와 같은 '~성질을 갖다, ~와 같이 행동하다, ~와 비슷하다, ~을
바라다, ~과 같이 취급하다, ~라고 보다, 그 상태가 되다' 따위의 의미를 표현한다.
Ÿ putta( . 아들) → puttīyati(den.pres.Ⅲ.sg. 아들처럼 행동하다)
Ÿ sukha( . 행복한) → sukhāpeti(den.pres.Ⅲ.sg. 행복하기를 바라다)
③ 명사기원동사의 어간을 형성하는 조사들.
Ÿ āya, aya, e. īya, iya. a.
Ÿ āra, āla. āpe.
* 'āra'와 'āla'는 상대적으로 드물게 사용되며, 둘 모두 'aya'로부터 변형된 것이다.
2) 명사기원동사의 형성
① 명사나 형용사에 'āya、 aya、 īya' 등의 접미사를 붙여 어간을 형성한다.
Ÿ pabbata( . a mountain) > pabbata + āya> pabbat+āya > pabbatāya[basic]
② 형성된 어간에 어미를 첨부하여 동사를 완성하며, 활용은 현재조직의 형태와 동일하게 진행된다.
Ÿ pabbatāya[basic] + ti> pabbatāyati(den.pres.Ⅲ.sg. 산처럼 근엄하게 행동하다)
3) 명사기원동사 형성예시
Ÿ arañña( . 숲) + īya> araññīyati(den. [도시에 지내며] 숲[에 있는 것]처럼 행위하다)
Ÿ uṇha( . 뜨거운: 열기) + āpe> uṇhāpeti(den. 덥히다)
Ÿ upakkama( . 근면) + āla> upakkamāla(den. 근면하게 일하다)
Ÿ cīvara( . 승복) + īya> cīvarīyati(den. 승복을 입게 되기를 바라다. 출가를 원하다)
Ÿ taṇhā( . 갈망, 집착) + āya> taṇhāyati(den. 갈망하다. 집착하다)
Ÿ dukkha( . 불행한: 고통) + āpe> dukkhāpeti(den. 불행하게 하다)
Ÿ dhana( . 재물) + aya> dhanayati(den. 재물을 바라다)
Ÿ dhūma( . 연기) + āya> dhūmāyati(den. 연기를 피우다)
Ÿ gaṇa( . 회합, 추종) + aya> gaṇayati(den. 무리를 짓다. [~을] 따르다)
Ÿ jaṭā( . [고행자들의] 타래머리) + āya> vijaṭāyati(den. 타래머리를 틀다)
Ÿ nadī( . 강) + iya> nadiyati(den. 강처럼 [도도하게] 행위하다)
Ÿ patta( . 발우) + īya> pattīyati(den. 발우로 공양물을 구하다. 如法하게 걸식하다)
Ÿ macchara( . 탐욕스런: 탐욕) + aya> macchārayati(den. 탐욕스럽게 행위하다)
Ÿ metta( . 자비로운: 자비) + āya> mettāyati(den. 자비를 베풀다)
Ÿ vīṇā( . 비파) + āya> vīṇāyati(den. 비파를 사용하다. 비파를 연주하다)
Ÿ samodhāna( . 결합) + e> samodhāneti(den. 결합하다)
Ÿ samudda( . 바다) + āya> sammuddāyati(den. 바다처럼 [너그럽게] 행위하다)
Ÿ sārajja( . 소심) + a> sārajjati(den. 부끄러워하다, 민감해지다)
4) 불규칙적인 명사기원동사의 형성 및 기타
① 명사의 1、2、3번째 음절 가운데 하나를 반복한 뒤 조사 'īyisa' 또는 'yisa'를 첨부하여 형성한다.
Ÿ putta( . 아들) > pupputta + īyisa
> pupputtīyisati(den. 자식처럼 행동하다)
> puttitta + īyisa
> puttittīyisati(den. 자식처럼 되기를 바라다)
Ÿ kamala( . 꽃) > kakamala + yisa
> kakamalāyisati(den. 꽃처럼 되기를 바라다)
> kamamalāyisati |or| kamalalāyisati(den. 꽃처럼 되기를 바라다)
② 일부 명사기원동사는 형성조사 없이 조성되기도 한다.
Ÿ issā( . 질투) > issati(den. 질투하다, 화내다)
Ÿ gādha( . 기반) > gādhati(den. 굳게 서다, 기반을 갖다, 발판을 마련하다)
Ÿ paripañha( . 질문) > paripañhati(den. 묻다, 질문하다; 고려하다, 숙고하다)
Ÿ magga( . 길, 도로) > maggati(den. 추적하다, 탐구하다)
③ 일부 명사기원동사는 의성어로부터 조성되기도 한다.
Ÿ kiḷikiḷi(딸랑딸랑) > kiḷikiḷāyati(den. [종이] 딸랑딸랑 울리다)
kiṇakiṇa(딸랑딸랑) > kiṇakiṇāyati(den. [종이] 딸랑딸랑 울리다)
Ÿ ciṭiciṭi(지글지글, 쉿쉿) > ciṭiciṭāyati/cicciṭāyati(den. 지글지글거리다, '쉿' 소리를 내다)
Ÿ gaḷagaḷa(구릉구릉) > gaḷagaḷāyati(den. [천둥이] 구르릉거리다)
Ÿ gargara(골골) > gaggarāyati(den. [물이] 골골 소리를 내며 흐르다)
Ÿ ghurughuru(드르렁드르렁)> ghurughurāyati(den. [코를] 드르렁드르렁 골다)
Ÿ taṭataṭa(덜거럭덜거럭) > taṭataṭāyati(den. [물건이] 덜거럭덜거럭 소리를 내다)
(6) 쯔위-동사(cvi-verb)
가) 쯔위동사의 개요
① '어떤 상태가 원래 그렇지 않던 것이 그렇게 변한 경우'를 나타내는 동사를 말한다.
② '쯔위동사'란 명칭은 假稱일 뿐 'guṇībhū' 등의 상태가 일종의 동사로 취급되진 않는다. '강가江이
되다'라는 의미인 'gaṅgī√as'의 경우 'gaṅgyas'라는 동사는 존재하지 않는다. 쯔위동사는 어떤
상태의 '變更'을 의미하는데 동사 √as는 존재에 대한 서술일 뿐이므로 원망법에 의한 기원을
제외한 'gaṅgī・asti(pres.Ⅲ.sg.)' 등의 형태는 존재하지 않는다.
나) 쯔위동사의 형태
① 기본형식 : 명사/형용사 +|ī|+ √bhū、√kar、√as
Ÿ □+ī+bhū(to become □) → guṇa+ī+bhū > guṇībhū(to become a guṇa)
② 쯔위동사를 형성할 때 사용되는 동사로는 √kar, √bhū, √as 등의 세 가지가 있다.
다) 쯔위동사의 형성
① 명사 또는 형용사의 마지막 음이 'a、 ā、 i、 ī' 가운데 하나일 경우 'ī'로 대체하며,
'u、ū'일 경우 장음을 취하여 'ū'로 대체한다.
② 마지막 모음이 변경된 명사나 형용사에 √bhū、√kar、√as 가운데 하나를 첨부하여 쯔위동사를
형성한다.
Ÿ daḷhīkaroti(pr. to become hard) < *[ṭi] +|ī|+√kar < daḷha( . hard, firm)
Ÿ bahulīkaroti(pr. to increase, to enlarge) < *[ṭi] +|ī|+ √kar < bahula( . abundant)
Ÿ bhasmībhavati(pr. to be reduced to ashes) < *[ṭi] +|ū|+ √bhū < bhasma( . ashes)
v 형성된 쯔위동사는 분사나 형용사 등으로 전용되기도 한다.
Ÿ bahulīkaroti → bahulīkaraṇaṁ( . increasing), bahulīkata( . increased)
Ÿ bhasmībhavati → bhasmībhūta( .[p.p.p.] reduced to ashes)
'수행. 정진 > 빨리어 문법, 용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준동사 ( 부정사 ) (0) | 2016.07.26 |
---|---|
준동사 (분사, 절대 분사) (0) | 2016.07.26 |
동사의 활용 (0) | 2016.07.26 |
동사의 개요 (0) | 2016.07.26 |
대명사. 대명사별 격변화 (0) | 2016.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