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 정진/빨리어 문법, 용어공부

준동사 ( 부정사 )

담마마-마까 2016. 7. 26. 21:02

3. 준동사

다. 부정사

() 부정사(Infinitive) 개요

1) 부정사의 의미

목적을 나타내며, 능력(~할 수 있다, 능력이 있다, 적합하다)이나 의욕(바라다, 원하다)을 나타내는 동사와 함께 사용되어 '~하기 위하여' '~할 수 있는' '~하는 것' 등을 의미한다.

Ÿ taṇhā natthi kuhiñci netave(inf.) : 취할만한 갈증은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Ÿ ko taṁ ninditum(inf.) arahati : 어떤 누가 그를 비난할 수 있겠는가!

부정사는 능동적인 의미는 물론 수동적인 의미로도 사용된다.

Ÿ na sakkā puññaṁ saṅkhātuṁ(inf.) : 공덕은 가늠되기 불가능하다.

시여격(dat.) 조사 'āya'를 취한 명사가 부정사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2) 부정사형성조사 및 형성원칙

부정사를 형성하는 기본조사는 'tum'이며, 'tavetuyetāye' 또한 드물게나마 사용된다.

기본조사 'tum'과 여타조사간은 사용빈도에 차이가 있을 뿐 적용기준에 다름이 존재하진 않는다.

 

() 부정사 형성조사별 내용 및 용례

1) 부정사 : 'tum'

동사어근에 부정사형성 기본조사인 'tum'을 첨부하여 부정사를 형성한다.

동사어근에 모음 'i'를 매개체로 조사 'tum'을 첨부한다.

어근이 자음으로 끝나는 동사는 주로 '(seṭ)'동사에 속하므로 'i'(iḍāgama)가 삽입된다.

Ÿ pac +|i|+ tum > pacituṁ(inf. to cook)

Ÿ khād +|i|+ tum > khādituṁ(inf. to eat)

Ÿ thar +|i|+ tum > tharituṁ(inf. to spread)

모음 'ā'로 끝나는 동사어근에는 바로 조사 'tum'을 첨부한다.

어근이 'ā' 끝나는 동사는 '아닛(aniṭ)'동사에 속하므로 'i'(iḍāgama)가 삽입되지 않는다.

Ÿ dā + tum > dātuṁ(inf. to give)

Ÿ ṭhā + tum > ṭhātuṁ(inf. to stand)

Ÿ yā + tum > yātuṁ(inf. to go)

모음 'i''ī'로 끝나는 동사어근의 'i''ī''e' 대체된다. - 구나(guṇa)연성 적용.

Ÿ ji + tum > jetuṁ(inf. to conquer)

Ÿ nī + tum > netuṁ(inf. to lead)

Ÿ sī + tum > setuṁ(inf. to lie down)

v 아주 드물게 '구나(guṇa)' 대신 '브릣디(vṛddhi)'가 적용된 경우도 보인다.

Ÿ sī + tum > sī+|i|+tum > sai+i+tum > say+i+tum > sayituṁ(inf. to lie down)

모음 'u''ū'로 끝나는 동사어근의 'u''ū''o' 대체된다. - 구나(guṇa)연성 적용.

Ÿ su + tum > sotuṁ(inf. to hear)

Ÿ budh + tum > bodhituṁ(inf. to know)

동사어근의 말음이 자음일 경우 'tum'의 음소 't'과 더불어 상호 正順逆順자음연성이 된다.

Ÿ bhuj + tum > bhottuṁ(inf. to eat)

Ÿ paāp + tum > pattuṁ(inf. to obtain)

특별히 조성된 동사어간에 'tum'을 첨부한다.

Ÿ su + tum > suṇu+|i|+tum > suṇitum(inf. to hear)

Ÿ jā + tum > jānā+|i|+tum > jānitum(inf. to know)

 

2) 부정사 : 'tave','tuye','tāye'

부정사형성 조사로 'tavetuyetāye'등 또한 드물게 사용된다. 이들 조사들은 베딕산스끄리뜨에 속하는 것들인데 'tave'가 나머지 둘 보다 상대적으로 빈번하게 사용된다.

Ÿ gaṇ + tuye > gaṇetuye(inf. to count) - 'gaṇe' as base

Ÿ dis + tāye > dakkhitāye(inf. to see) - 'dakkhi' as base

Ÿ nī + tave > nitave(inf. to lead)

베딕산스끄리뜨에 사용되는 부정사형성조사는 'tum'을 기본으로 하여, 그와 동일한 의미로 'se'를 비롯하여 'tave'까지 모두 15개가 존재한다. 고전산스끄리뜨에선 'tum'만이 사용된다. -

Ÿ pucch +|i|+ tāye > pucchitāye(inf. to ask)

Ÿ mar +|i|+ tuye > marituye(inf. to die)

Ÿ su + tave > sotave(inf. to hear)

Ÿ udnam +|e|+ tave > unnametave(inf. to ascend)

Ÿ nidhā + tave > nidhetave(inf. to hide, bury) - 'dhe' as base

Ÿ vi+pahā + tave > vippahātave(inf. to abandon)

 

3) 부정사의 용법

부정사는 '~을 목적(또는 의도)하다'를 나타내는데, 능동태로는 물론 수동태로도 사용된다.

Ÿ taṁ gantuṁ, na dassāmi. : 그를 가도록 (내가) 허락해주지(주다) 않을 것이다.

§ dassati(pr. to see, to perceive) < .dṛś(1. . to see, look at, observe)

Ÿ ettha dāni mayā vasituṁ vaṭṭati. : 여기는 지금 나에 의해 살아지기 적합하다.

Ÿ ūyyānapālo chaḍḍetuṁ upāyaṁ na passati. : 정원사는 포기될 수단을 보지 않았다. 정원사는 결국에는 포기될만한 방안을 강구하지는 않았다.

부정사는 '원하다노력하다시작하다가능하다' 등의 뜻을 지닌 동사와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Ÿ sā rodituṁ ārabhi. : 그녀는 울기 시작하였다. (그녀는 울기 위해 시작하였다.)

Ÿ na koci mayā saddhiṁ sallapituṁ sakkoti. : 그 누구도 나와 더불어 대화하기 불가능하다.

Ÿ sā pavisituṁ na icchati. : 그녀는 들어가기 원하지 않았다.

Ÿ so taṁ ukkhipituṁ ussahati. : 그는 그것을 들려고 시도하였다.

동사 'dadāti(pr. to give)'가 부정사 뒤에 사용될 경우 '허락해주다'의 의미를 지니며, 'labhati(pr.to take)'가 부정사 뒤에 사용될 때는 '허락되다'라는 의미를 지닌다.

Ÿ taṁ paharituṁ na dassāmi. : 그를 때리기를(때리는 것을) 내가 허락해주지 않을 것이다.

Ÿ gehabahi nikkhamituṁ labhanto. : (그는) 집밖으로 나가기(나가는 것이) 허락되었다.

동사 'vaṭṭati(pr. to behove; to be fit, proper)'나 형용사 'yuṭṭa( . having sacrificed)'는 자주 부정사와 함께 사용된다.

Ÿ ettha dāni mayā vasituṁ vaṭṭati. : 여기는 지금 내가 살기(나에 의해 살아지기) 적합하다.

Ÿ taṁ harituṁ vaṭṭati. : 그를 죽이기 적합하다. 그를 죽여버리는 것이 더 낳다.

Ÿ evaṁ kathetuṁ na yuṭṭaṁ. : 그렇게 말하기(말하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

불변화사 'labbhā( . possible, allowable)''sakkā( . possible)'는 부정사와 함께 사용된다.

'sakkā''vaṭṭati'와 유사한 의미로 능동태 및 수동태로 사용되며, 빈번히 동사 'hoti'를 동반한다.

Ÿ sakkā hoti akkhaṁ paṭisevitum. : 노름에 탐닉하기 가능하다(가능하게 되었다).

Ÿ etasmiṁ ṭhāne na sakkā vasituṁ. : 이 장소에 살기(사는 것은) 불가능하다.

Ÿ idaṁ na labbhā evaṁ katuṁ. : 이것은 이렇게 하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kāma( .[comp.] willing, desirous)'가 부정사와 결합될 때 부정사의 말음 'ṁ'은 탈락된다.

Ÿ devatāya balikammaṁ kāretukāmo. : (그는) 神性을 위해 供物을 조성하기 원했다.

 

 

'수행. 정진 > 빨리어 문법, 용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사와 조사(전치사)  (0) 2016.07.26
수사  (0) 2016.07.26
준동사 (분사, 절대 분사)  (0) 2016.07.26
동사의 2차 활용  (0) 2016.07.26
동사의 활용  (0) 2016.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