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 정진/빨리어 문법, 용어공부

형용사

담마마-마까 2016. 7. 26. 19:24

[ 빨리어 - 형용사 ]

 

1. 형용사의 비교급과 최상급 40~43

 문법의 적용이 매우 불규칙적인 빠알리의 경우에 형용사를 비교급 또는 최상급으로 만드는 방식은 크게 네 가지가 존재하는데, 꼭히 어떤어떤 네 가지가 존재한다는 것을 꼼꼼히 살피시는 것보다는

'­tara/­tama''­iya/­iṭṭha' '­iyya/­issika''­ma' 등이라는 비교급과 최상급을 형성하는 조사들이 있다는 것 정도만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41쪽 중반에 설명된 '비교급/최상급의 중첩'의 경우는 이미 비교급이나 최상급으로 변환된 형용사임에도 일반 형용사처럼 취급하여 다시 비교급/최상급 형성어미를 첨부하는 경우인데, 주의하실 것은 아무 것이나 그렇게 만들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만 이미 그렇게 잘못(?) 사용되고 있는 것을 일종의 불규칙적인 용례로 용납한 것일 뿐입니다.

빠알리는 문법의 규칙적 적용보다는 불규칙적인 것이 훨씬 많기 때문에 불규칙적으로 형성된 비교급/최상급 형용사 자체가 그대로 사전의 표제어로 등록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므로 굳이 형용사의 원형을 찾아서 사전에서 해당 형용사를 찾기 보다는 비교급/최상급 그대로 사전을 찾아보셔도 생각보다 많은 형용사를 쉽게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2. 형용사의 격변화

 산스끄리뜨의 경우엔 명사의 격변화만 설명될 뿐 형용사의 격변화를 별도로 설명하지 않고 명사와 동일하게 변환되는 것으로 취급하지만, 빠알리는 형용사가 특히 여성형으로 격변화될 경우엔 기본형에 약간의 변화가 가해진 뒤에 그것이 일정한 격변화를 취하는 까닭에 일반적인 명사와 격변화의 형태가 달라지기 때문에 분리하여 설명한 것입니다. 예를 들자면 47쪽의 'garu(?.)'는 남성형과 중성형으로 격변화될 때는 기본형에 변함이 없지만 여성형으로 격변화될 때는 기본형이 'garunī'로 바뀐 다음이 마지막 모음이 '­ī'로 끝나는 명사의 격변화와 동일하게 변환됩니다.

 또한, 자음으로 끝나는 단어를 용납하지 않는 빠알리의 특성상 자음으로 끝난 형용사는 변환된 기본형을 취한 다음에 그것에 근거하여 격변화하거나, 주로 주어격 단수의 형태를 격변화의 기본형으로 채택하기도 합니다

. 이러한 상황은 명사의 격변화에서도 동일하게 일어나는데, 이 경우에도 여성형으로 격변화될 때는 기본형이 남성중성형과 다른 형태를 취하기도 합니다. 50쪽의 형용사 'dhīmat'은 남성중성형 격변화의 기본형은 'dhīmā'가 되는 반면 여성형 격변화의 기본형은 'dhīmatī'가 됩니다.

 이렇게 불규칙적인 상황이 전반적으로 일어나는 빠알리 형용사 격변화는 그 적용되는 일정한 규칙을 찾아서 정리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기 보다는 오히려 전체를 불규칙적 변화처럼 취급하여 필요할 때마다 격변화표를 참고하시는 편이 좋을 것 같습니다.

 

3. 일반형용사와 서술형용사

우리말로 예를 들자면, ‘아름다운 그녀가 걸어간다.’의 경우 '아름다운'은 일반형용사이며, ‘그녀는 아름답다.’의 경우 '아름답다'는 서술형용사에 해당합니다.

모든 형용사가 서술형용사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현재분사(pres.p.)를 위주로 한 일종의 분사(participle)유형들이 서술형용사로 사용됩니다.

빠알리에서는 산스끄리뜨와 마찬가지로 반드시 동사로 사용되어야 할 부분까지 상당히 폭넓게 서술형용사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

 

[산스끄리뜨 문법  제4회 - 형용사 ]

 

형용사 부분은 살펴볼 내용이 그리 많지 않습니다.

1. 형용사의 비교급과 최상급 – 61쪽~62쪽

문법의 적용이 거의 규칙적인 산스끄리뜨의 경우에 형용사를 비교급 또는 최상급으로 만드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가 존재하며, 세 번째의 경우에는 고의든 고의가 아니든 비정상적인 방식이므로 한 차례 눈 여겨 봐 두시는 것으로 충분할 것 같습니다.

첫 번째의 간단한 방식과는 달리 두 번째 방식은 원래의 형용사 일부를 탈락시키거나 단어 전체가 아예 다른 단어로 대체되는 등 다소 복잡한 양상을 지니지만 그러한 방식이 널리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단어에만 적용되므로 해당 단어들을 한 번 확인해 두는 것으로 충분할 것입니다. 'antika'라는 형용사의 비교급(nedīyas)과 최상급(nediṣṭha)은 그 형태만 보아서 원래의 형용사를 찾지 못하는 까닭에 친절하게도 비교급과 최상급 형태가 그대로 또 다른 형용사로서 사전에 표제어로 올려져 있습니다.

세 번째 방식은 이미 비교급이나 최상급으로 변환된 형용사임에도 일반 형용사처럼 취급하여 다시 비교급/최상급 형성어미를 첨부하는 경우인데, 주의하실 것은 아무 것이나 그렇게 만들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만 이미 그렇게 잘못(?) 사용되고 있는 것을 일종의 불규칙적인 용례로 용납한 것일 뿐입니다. 책자의 62쪽 아래에 [X]표가 되어 있는 경우는 그 윗줄과는 달리 실제로 사용되는 경우가 아니므로 그렇게 사용되지 못함을 나타낸 것입니다.

   

3. 일반형용사와 서술형용사

우리말로 예를 들자면, ‘아름다운 그녀가 걸어간다.’의 경우 '아름다운'은 일반형용사이며, ‘그녀는 아름답다.’의 경우 '아름답다'는 서술형용사에 해당합니다.

모든 형용사가 서술형용사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현재분사(pres.p.)를 위주로 한 일종의 분사(participle)유형들이 서술형용사로 사용됩니다. 산스끄리뜨에서는 반드시 동사로 사용되어야 할 부분까지 상당히 폭넓게 서술형용사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

※ 산스끄리뜨의 기본 문장구성 - 산스끄리뜨를 처음 접하시는 분을 위한 '간단첨언'입니다.

rāmaḥ(?.nom.sg.) ca(?.) sītā(?.nom.sg.) ca(?.) śuddhā(?.→?.nom.sg.) divyaḥ(?.→?.nom.sg.) vanaṁ(?.acc.sg.) gacchataḥ(pres.Ⅲ.du.) → [라마는、 그리고、 씨따는、 순수한、 신성한、 숲으로、 간다. → 신성한 라마와 순수한 씨따는 숲으로 간다.

 rāmo(?.nom.sg.) ca(?.) sītā(?.nom.sg.) ca(?.) suddhā(?.→?.nom.sg.) dibbo(?.→?.nom.sg.) vanaṁ(?.acc.sg.) gacchanti(pres..pl.) [라마는그리고씨따는순수한신성한숲으로간다. 신성한 라마와 순수한 씨따는 숲으로 간다.]

 ① 명사(rāmaḥ, sītā)는 남성(?.) 또는 여성(?.) 등의 성(性)을 지니며, 주어격(nom.) 등의 격변화를 가진 채 단수(sg.)인지 양수(du.)인지 복수(pl.)인지를 단어의 형태에 근거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② 형용사(śuddha, divya)는 그것이 형용해주는 명사와 동일한 성(性)과 격(格) 및 수(數)를 갖습니다. 'śuddhā'는 여성형으로 되어 있기에 'sītā'를 형용해주는 형용사임을 알 수 있으며, 'divyaḥ'는 남성형으로 되어 있기에 'rāmaḥ'를 형용해주는 형용사임을 알 수 있습니다. 만약 'śuddhaḥ' & 'divyā'로 되어 있으면 당연히 ‘순수한 라마와 신성한 씨따가…’로 내용이 바뀌게 됩니다.

③ 동사는 인칭(人稱)과 수(數)에 있어서 동사와 연결된 주어와 일치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만약 동사가 현재형 3인칭 단수인 'gacchati(pres.Ⅲ.sg.)'이면 비록 주어가 생략되어 있더라도 한 명의 남자 또는 여자가 간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위의 문장처럼 'gacchataḥ'라면 주어가 두 명임을 알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자료출처 : 봉선사 산스크리트 편집실  http://cafe.daum.net/sanskritsil/LT5D/6


2. 형용사
(1) 형용사의 비교급과 최상급
형용사의 비교급/최상급을 형성하는 방법에는 기본적으로 3가지32) 유형이 존재한다.

(가) 형용사 비교급/최상급의 규칙적 형성
① 형용사의 남성형 기본(base)에 'tara/iya/iyya'를  첨부하여 비교급을, 'tama/iṭṭha/issika'를  첨부하여 최상급을 만든다.
② 모음으로 시작되는 비교급과 최상급 조사가 첨부될 때 어간의 마지막 모음은 탈락된다.
③ 기본적으로 비교급과 최상급에 대한 격변화는 남성형의 경우 'deva( .)'와 동일하게, 중성형의 경우 'rūpa( .)'와 동일하고, 그리고 여성형의 경우 'kaññā( .)'와 동일하게 진행된다.
v 비교급 'iya、iyya'가 중성명사를 형용할 경우 예외로 'mano( .)'와 동일하게 격변화한다.33)
1) 형성 방법-Ⅰ : tara(비교급), tama(최상급)
Ÿ sisira( . cool) > sisiratara( . colder) > sisiratama( . coldest)
Ÿ suci( . pure) > sucitara( . purer) > sucitama( . purest)
Ÿ pāpa( . sinful) > pāpatara( . more sinful) > pāpatama( . most sinful)
2) 형성 방법-Ⅱ : iya(비교급), iṭṭha(최상급)34)
Ÿ pāpa( . sinful) > pāpiya( . more sinful) > pāpiṭṭha( . most sinful)
Ÿ khippa( . quick) > khippiya( . quicker) > khippiṭṭha( . quickest)
Ÿ kaṭṭha( . bad) > kaṭṭhiya( . worse) > kaṭṭhiṭṭha( . worst)
v 어미가 'ant'로 끝나는 경우 'anta'로 대체되어 비교급/최상급 조사가 첨부된다.
Ÿ sīlavant( . virtuous) > sīlavantatara > sīlavantatama
Ÿ mahant( . great) > mahantatara > mahantatama
Ÿ vaṇṇavant( . beautiful) > vaṇṇavantatara > vaṇṇavantatama
v 'balavant( . strong)'는 비교급으로 'balavantatara'와 'balavantara' 둘 모두 사용된다.
3) 형성 방법-Ⅲ : iyya(비교급), issika(최상급)
Ÿ pāpa( . sinful) > pāpiyya( . more sinful) > pāpissika( . most sinful)
Ÿ khippa( . quick) > khippiyya( . quicker) > khippissika( . quickest)
Ÿ kaṭṭha( . bad) > kaṭṭhiyya( . worse) > kaṭṭhissika( . worst)
32) 【Ⓢ】빠알리의 3번째 유형인 'iyya(비교급)/issika(최상급)'이 없다.
33) 비교급조사 'iya'、'iyya'는 각각 'iyas'、'iyyas'에서 마지막 자음이 탈락된 것이므로 'manas'와 동일한 유형이다.
34) 【Ⓢ】제1형식(tara/tama)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제2형식(īyas/iṣṭha)이 특정 형용사에 사용되는 반면에,
빠알리에서는 제1형식~제3형식 모두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되는 가운데 제3형식은 상대적으로 드물게 보인다.

제3장 명사와 형용사 39□

4) 기타 형성방법
① 일부 형용사의 최상급[or 비교급]엔 조사 'ma'가 사용되며, 어간말음인 모음은 'i'로 대체된다.
Ÿ majjha( . middle) > majjhima( . middle, medium)
Ÿ bāhira( . external, outside) > bāhirima( . outer, external, outside)
Ÿ anta( . near; last) > antima( . final, last)


(나) 형용사 비교급/최상급의 불규칙적 형성
1) 'ati( . excessively)'를 이용한 절대적인 최상급 형성
전치사 'ati'를 이용하여 절대적 최상급의 의미를 형성하기도 한다.
Ÿ ati( .)+khippa( .) > atikhippa( . very quick, extremely quick, too quick)
Ÿ ati( .)+pasattha( .) > atippasattha( . very excellent)
Ÿ ati( .)+thoka( .) > atithoka( . very little, too little, excessively little)
2) '비교급/최상급'의 중첩 : iya+tara/tama, iṭṭha+tara/tama
'비교'나 '최상'의 정도가 매우 높음을 나타내며, 이미 형성된 비교급/최상급의 단어를 형용사로 간주하여 중첩되게 비교급/최상급 조사가 첨부된 형태이다. 'iṭṭhatara'의 형태가 주로 사용되며, 일정한 형성방법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관습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있을 뿐이다.
Ÿ pāpa( . bad) > pāpiṭṭha( . worst) > pāpiṭṭhatara( . more worst)
Ÿ sant( . good) > seyya( . better) > seyyatara( . better)
v 또는, 이미 비교급이나 최상급임에도 비교급이나 최상급의 의미를 잃은 상태에서 2차적인 조사가
첨부되어 새로운 비교급이나 최상급을 형성된 것으로 간주되기도 한다.(P.G.-Vito, p.55)
Ÿ sant( . good) > seyya( . better) > seṭṭha( . best)
seyya( . good) > seyyatara( . better)
seṭṭha( . good) > seṭṭhatara( . better)
Ÿ pāpa( . sinful) > pāpiya( . more sinful) > pāpiṭṭha( . most sinful)
pāpiṭṭha( . sinful) > pāpiṭṭhatara( . more sinful)
Ÿ pura( . before) > purima( . former)
purima( . before) > purimatara( . former)
3) 소유의미 조사에 의해 형성된 형용사의 비교급과 최상급 형성
명사에 소유의미조사 'vat'과 'mat' 및 'vin'이 첨부되어 형성된 형용사의 경우 조사에 해당하는 'vā'
와 'mā' 및 'vī'가 탈락된 뒤 비교급과 최상급의 조사를 첨부하여 형성한다.
Ÿ guṇa( .)+vat> guṇavā( .) : guṇavā+iya> guṇa+iya> guṇiya( .)
Ÿ guṇa( .)+vat> guṇavā( .) : guṇavā+iṭṭha> guṇa+iṭṭha> guṇiṭṭha( .)
Ÿ sati( .)+mat> satimā( .) : satimā+iya> sati+iya> satiya( .)
Ÿ sati( .)+mat> satimā( .) : satimā+iṭṭha> sati+iṭṭha> satiṭṭha( .)
Ÿ medhā( .)+vin> medhāvī( .) : medhāvī+iya> medhā+iya> medhiya( .)
Ÿ medhā( .)+vin> medhāvī( .) : medhāvī+iṭṭha> medhā+iṭṭha> medhiṭṭha( .)

4) 불규칙적인 '비교급/최상급'을 형성하는 형용사들35)
Ÿ antika( . near) > nediya( . nearer) > nediṭṭha( . nearest)
35) (0000) antikabāḍhayornedasādhau |5.3.063| (0000) yuvālpayoḥ kananyatarasyām |5.3.064| (0000) vṛddhasya
ca |5.3.062| (0000) sthūladūrayuvahrasvakṣiprakṣudrāṇāṃ yaṇādiparaṃ pūrvasya ca guṇaḥ |6.4.156|
Ÿ bāḷha( . strong) > sādhiya( . stronger) > sādhiṭṭha( . strongest)
Ÿ yuva( . young) > kaṇiya( . younger) > kaniṭṭha( . youngest)
Ÿ appa( . few) > kaṇiya( . fewer) > kaniṭṭha( . fewest)
Ÿ vuḍḍha( . old) > jeyya( . older) > jeṭṭha( . oldest)
Ÿ pasattha( . good) > seyya( . better) > seṭṭha( . best)
Ÿ garu( . heavy) > gariya( . heavier) > gariṭṭha( . heaviest)


(다) 기타, 비교급과 최상급 관련 내용
① 일부 형용사는 하나 이상의 비교급 및 최상급을 지닌다.
Ÿ pāpa( . sinful) > pāpatara( . more sinful) > pāpatama( . most sinful)
> pāpiya( . more sinful) > pāpiṭṭha( . most sinful)
> pāpiyya( . more sinful) > pāpissika( . most sinful)
② 일부 과거분사(past.p.)는 단독적으로 또는 복합어 안에서 비교급의 형태로 사용된다.
Ÿ saṅkiliṭṭha( . defiled) > saṅkilitthatara(p.p. more defiled)
Ÿ paṇīta( . excellent) > paṇītatara(p.p. more excellent)
Ÿ sampanna( . endowed) > sīlasampannatara(p.p. endowed with greater virtue)
Ÿ saṅkhata( . reckoned) > paṇītasaṅkhatatara(p.p. reckoned as more excellent)
- 복합어에서 비교급의 의미는 일반적으로 복합어 앞단어의 의미에 영향을 미친다.
③ 일부 소유복합어(Bahubbīhisamāsa)
는 비교급의 형태로 사용된다.
Ÿ dīghāyuka( . having a long life) > dīghāyukatara( . having a longer life)
Ÿ mahessakkha( . having great power) > mahesakkhatara( . having greater power)
Ÿ mahābhoga( . having great reches) > mahābhogatara( . having greater riches)
④ 일부 명사 또는 명사복합어는 비교급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Ÿ mala( . stain, dirt, dust) > malatara( . a greater stain)
Ÿ sappurisa( . a good man) > sappurisatara( . a better man)
⑤ 비교급・최상급 조사는 대명사 어근에 첨부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Ÿ ka(pn. who?) > katara(cmpr.pn.・ . who or which of two)
> katama(cmpr.pn.・ . who or which of many)
Ÿ añña(pn. other, another) > aññatara(cmpr.pn.・ . a certain, some)
> aññatama(cmpr.pn.・ . one out of many, a certain)
⑥ 비교급・최상급 조사는 전치사・부사에 첨부되어 비교급・최상급의 의미를 지닌 형용사를 형성한다.
Ÿ ud(prep. up, upwards) > uttara( . higher) > uttama( . highest)
Ÿ ava(prep. away, off) > ora( . lower) > orima( . lowest)
Ÿ para(prep. further) > parama・parima( . highest)
Ÿ pura(prep. before) > purimatara( . former) > purima( . former)
Ÿ purattha(adv. before) > puratthima( . eastern)
⑦ 비교급 형용사와 연결되어 비교를 표현하는 내용에는 일반적으로 분리격(abl.)이 사용된다.
Ÿ sīlaṁ eva sutā(abl.) seyyo. : 덕목이 실로 배움보다 훌륭하다.
Ÿ mādhurā pāṭaliputtakehi(abl.pl.) abhirupā. : 마두라人들이 빠딸리뿟따人들보다 잘생겼다.
⑧ 분리격과 함께 사용된 불변화사 'varaṁ( . preferred)'으로 비교가 표현되기도 한다.
Ÿ tato varaṁ. : 그것보다 낳다.
⑨ '둘 가운데 더 낳은 것'을 표현할 때는 긍정적인 내용을 동반하는 소유격이 사용된다.
Ÿ tumhakaṁ dvinnaṁ ko bhaddako? : 너희 둘 가운데 누가 더 낳으냐?
⑩ 최상급의 형용사는 처소격 또는 소유격을 동반하며, 의미는 동일하다.
제3장 명사와 형용사 41□
Ÿ manussesu( .loc.pl.) khattiyo sūratamo. : 사람들에게 있어서 끄샤뜨리야가 가장 용감하다.
Ÿ manussānaṁ( .gen.pl.) khattiyo sūratamo. : 사람들 가운데 끄샤뜨리야가 가장 용감하다.


(2) 형용사의 격변화
형용사의 격변화 유형은 명사와 동일하게 '모음격변화'와 '자음격변화'로 나뉜다.
(가) 모음 격변화 - 모음으로 끝나는 형용사어간의 격변화

1) 모음 'a'로 끝나는 형용사의 격변화
* bāla( . foolish) < Ⓢ.bāla( . young; unwise: . a child)

남성형. sg. / pl. 형용사 어간이 그대로 남성형의 기본형으로 사용된다.

nom. bālo / bālā

acc. bālaṁ / bāle

ins. bālena / bālehi, bālebhi

dat. bālassa, bālāya / bālānaṁ

abl. bālā, bālasmā, bālamhā, bālato / bālehi, bālebhi

gen. bālassa / bālānaṁ

loc. bāle, bālasmiṁ, bālamhi / bālesu

voc. bāla, bālā / bālā

중성형. sg. / pl. 형용사 어간에 'ṁ'이 첨부된 것이 중성형의 기본형으로

nom. bālaṁ / bālāni, bālā

acc. bālaṁ / bālāni, bālā

ins. bālena / bālehi, bālebhi

dat. bālassa, bālāya / bālānaṁ

abl. bālā, bālasmā, bālamhā, bālato / bālehi, bālebhi

gen. bālassa / bālānaṁ

loc. bāle, bālasmiṁ, bālamhi / bālesu

voc. bāla / bālāni, bālā

여성형. sg. / pl. 형용사 어간에 'ā' 또는 'ī'가 첨부된 것이 여성형의 기본형으로

nom. bālā / bālā, bālāyo

acc. bālaṁ / bālā, bālāyo

ins. bālāya / bālāhi, bālābhi

dat. bālāya / bālānaṁ

abl. bālāya / bālāhi, bālābhi

gen. bālāya / bālānaṁ

loc. bālāya, bālāyaṁ / bālāsu

voc. bālā, bāle / bālā, bālāyo


① 형용사의 남성형、중성형、여성형 형성에 사용되는 기본형은 다음과 같다.
Ÿ 남성형 형성에는 형용사 어간이 그대로 남성형의 기본형으로 사용된다.
Ÿ 중성형 형성에는 형용사 어간에 'ṁ'이 첨부된 것이 중성형의 기본형으로 사용된다.
Ÿ 여성형 형성에는 형용사 어간에 'ā' 또는 'ī'가 첨부된 것이 여성형의 기본형으로 사용된다.
§ pāpa( . bad) > pāpo( .nom.sg.) pāpī( .nom.sg.)
§ taruṇa( . young) > taruṇo( .nom.sg.) taruṇī( .nom.sg.)
§ dīpana( . illuminating) > dīpano( .nom.sg.) dīpanī( .nom.sg.)
② 음소 'a'로 끝나는 형용사의 격변화의 형태는 남성형의 경우 'deva( .)'와 동일하고, 중성형의
경우 'rūpa( .)'와 동일하며, 여성형의 경우 'kaññā( .)'와 동일하다.
v 형용사 어간에 'ā'가 아닌 'ī'가 첨부되어 형성된 여성형은 'nadī( .)'의 격변화를 따른다.


2) 모음 'i'로 끝나는 형용사의 격변화
* bhūri( . much) < Ⓢ.bhūri( . much; great)

남성형. sg. / pl.

nom. bhūri / bhūrī, bhūrāyo

acc. bhūriṁ / bhūrī, bhūrāyo

ins. bhūrinā / bhūrīhi, bhūrībhi

dat. bhūrissa, bhūrino / bhūrīnaṁ

abl. bhūrinā, bhūrismā, bhūrimhā / bhūrīhi, bhūrībhi

gen. bhūrissa, bhūrino / bhūrīnaṁ

loc. bhūrismiṁ, bhūrimhi / bhūrīsu

voc. bhūri / bhūrī, bhūrayo

중성형. sg. / pl.

nom. bhūri / bhūrinī, bhūrī

acc. bhūriṁ / bhūrinī, bhūrī

ins. bhūrinā / bhūrīhi, bhūrībhi

dat. bhūrissa, bhūrino / bhūrinaṁ

abl. bhūrinā, bhūrismā, bhūrimhā / bhūrīhi, bhūrībhi

gen. bhūrissa, bhūrino / bhūrinaṁ

loc. bhūrismiṁ, bhūrimhi / bhūrisu

voc. bhūri / bhūrini, bhūrī

여성형. sg. / pl.

nom. bhūrinī / bhūrinī, bhūriniyo

acc. bhūriniṁ / bhūrinī, bhūriniyo

ins. bhūriniyā / bhūrinīhi, bhūrinībhi

dat. bhūriniyā / bhūrinīnaṁ

abl. bhūriniyā / bhūrinīhi, bhūrinībhi

gen. bhūriniyā / bhūrinīnaṁ

loc. bhūriniyā, bhūriniyaṁ / bhūrinīsu

voc. bhūrini / bhūrini, bhūrinīyo


① 음소 'i'로 끝나는 형용사의 격변화의 형태는 남성형의 경우 'kapi( .)'와 동일하고, 중성형의
경우 'vāri( .)'와 동일하며, 여성형의 경우 'ratti( .)'와 동일하다.


3) 모음 'ī'로 끝나는 형용사의 격변화
* esī( . desiring) < Ⓢ.eṣin( . desiring, desirous of)

남성형. sg. / pl.

nom. esī / esī, esino

acc. esiṁ / esī

ins. esinā / esīhi, esībhi

dat. esissa, esino / esīnaṁ

abl. esinā, esismā, esimhā / esīhi, esībhi

gen. esissa, esino / esīnaṁ

loc. esismiṁ, esimhi / esīsu

voc. esi / esī

중성형. sg. / pl.

nom. esi / esīni

acc. esiṁ / esīni, esi

ins. esinā / esīhi, esībhi

dat. esissa, esino / esīnaṁ

abl. esinā, esismā, esimhā / esīhi, esībhi

gen. esissa, esino / esīnaṁ

loc. esismiṁ, esimhi / esīsu

voc. esi / esī

여성형. sg. / pl.

nom. esinī / esinī, esiniyo

acc. esiniṁ /esinī, esiniyo

ins. esiniyā / esinīhi, esinībhi

dat. esiniyā / esinīnaṁ

abl. esiniyā / esinīhi, esinībhi

gen. esiniyā / esinīnaṁ

loc. esiniyā, esiniyaṁ / esinīsu

voc. esinī / esinī


① 음소 'ī'로 끝나는 형용사의 격변화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Ÿ 남성형의 경우 'daṇḍī( .)'와 동일하다.
Ÿ 중성형은 말음 'ī'가 'i'로 단음화된 뒤 'vāri( .)'와 동일한 격변화를 취한다.
Ÿ 여성형은 말음 'ī'가 'i'로 단음화된 다음 'nī'가 첨부된 상태에서 'nadī( .)'와 동일한 격변화를
취한다.
② 명사에서 소유의미의 조사 'in'이 첨부되어 형용사로 전용된 경우 기본형이 말음 'ī'를 갖는다.
Ÿ pāpa( . sin) + in> pāpin > pāpī( . sinful)
Ÿ dhamma( . religion) + in> dhammin > dhammī( . religious, pious)
Ÿ māna( . pride) + in> mānin > mānī( . proud)
Ÿ soka( . sorrow) + in> sokin > sokī( . sorrowful)
Ÿ roga( . sickness) + in> rogin > rogī( . sick)
Ÿ makkha( . hypocrisy) + in> makkhin > makkhī( . hypocritical)


4) 모음 'u'로 끝나는 형용사의 격변화
* garu( . heavy) < Ⓢ.guru( . heavy, weighty)

남성형. sg. / pl.

nom. garu / garū, garavo

acc. garuṁ / garū, garavo

ins. garunā / garūhi, garūbhi

dat. garussa, garuno / garūnaṁ

abl. garunā, garusmā, garumhā / garūhi, garūbhi

gen. garussa, garuno / garūnaṁ

loc. garusmiṁ, garumhi / garūsu

voc. garu / garū, garavo

중성형. sg. / pl.

nom. garu / garūni, garū

acc. garuṁ / garūni, garū

ins. garunā / garūhi, garūbhi

dat. garussa, garuno / garūnaṁ

abl. garunā, garusmā, garumhā / garūhi, garūbhi

gen. garussa, garuno / garūnaṁ

loc. garusmiṁ, garumhi / garūsu

voc. garu / garūni, garū

여성형. sg. / pl.

nom. garunī / garunī, garuniyo

acc. garuniṁ / garunī, garuniyo

ins. garuniyā / garunīhi, garunībhi

dat. garuniyā / garunīnaṁ

abl. garuniyā / garunīhi, garunībhi

gen. garuniyā / garunīnaṁ

loc. garuniyā, garuniyaṁ / garunīsu

voc. garunī / garunī, garuniyo


① 음소 'u'로 끝나는 형용사의 격변화의 형태는 남성형의 경우 'bhikkhu( .)'와 동일하고, 중성형의
경우 'cakkhu( .)'와 동일하며, 여성형의 경우 'dhenu( .)'와 동일하다.
v 여성형의 경우 추가적으로 'ni'가 첨부되어 기본형이 형성된다.
Ÿ garu( .) + ni> garuni > * + ṁ(.acc.sg.) > garuniṁ( .acc.sg.)


5) 모음 'ū'로 끝나는 형용사의 격변화
* viññū( . wise) < Ⓢ.vijña( . knowing, wise)

남성형. sg. / pl.

nom. viññū / viññū, viññuvo

acc. viññuṁ / viññū, viññuvo

ins. viññunā / viññūhi, viññūbhi

dat. viññussa, viññuno / viññūnaṁ

abl. viññunā, viññusmā, viññumhā / viññūhi, viññūbhi

gen. viññussa, viññuno / viññūnaṁ

loc. viññusmiṁ, viññumhi / viññūsu

voc. viññū / viññū, viññuvo

중성형. sg. / pl.

nom. viññū / viññūni, viññū

acc. viññuṁ / viññūni, viññū

ins. viññunā / viññūhi, viññūbhi

dat. viññussa, viññuno / viññūnaṁ

abl. viññunā, viññusmā, viññumhā / viññūhi, viññūbhi

gen. viññussa, viññuno / viññūnaṁ

loc. viññusmiṁ, viññumhi / viññūsu

voc. viññū / viññūni, viññū / viññūni, viññū

여성형. sg. / pl.

nom. viññunī / viññunī, viññuniyo

acc. viññuniṁ / viññunī, viññuniyo

ins. viññuniyā / viññunīhi, viññunībhi

dat. viññuniyā / viññunīnaṁ

abl. viññuniyā / viññunīhi, viññunībhi

gen. viññuniyā / viññunīnaṁ

loc. viññuniyā, viññuniyaṁ / viññunīsu

voc. viññunī / viññunī, viññuniyo


① 음소 'ū'로 끝나는 형용사의 격변화의 형태는 다음과 같다.
Ÿ 남성형의 경우 'sayambhū( .)'와 동일하다.
Ÿ 중성형은 말음 'ū'가 'u'로 단음화된 뒤 'cakkhu( .)'와 동일한 격변화를 취한다.
Ÿ 여성형은 말음 'ū'가 'u'로 단음화된 다음 'nī'가 첨부된 상태에서 'nadī( .)'와 동일한
격변화를 취한다.

 

(나) 자음 격변화 - 자음으로 끝나는 형용사어간의 격변화
① 자음으로 끝나는 형용사의 대부분이 명사로 전용되어 사용되므로 격변화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② 자음으로 끝나는 형용사의 유형은 다음의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Ÿ 어간이 'at/ant'으로 끝나는 것
Ÿ 어간이 'mat/mant'으로 끝나는 것
Ÿ 어간이 'vat/vant'으로 끝나는 것

1) 어간이 'at/ant'로 끝나는 형용사의 격변화
* mahā( . great) < Ⓢ.mahat( . great)

남성형. sg. / pl.

nom. mahaṁ, mahanto / mahanto, mahantā

acc. mahantaṁ / mahante, mahantā, mahanto

ins. mahatā, mahantena / mahantehi, mahantebhi

dat. mahato, mahantassa / mahataṁ, mahantānaṁ

abl. mahatā, mahantasmā, mahantamhā / mahantehi, mahantebhi

gen. mahato, mahantassa / mahataṁ, mahantānaṁ

loc. mahati, mahante, mahantasmiṁ, mahantamhi / mahantesu

voc. mahaṁ, mahā, maha / mahantā, mahanto

중성형. sg. / pl.

nom. mahaṁ, mahantaṁ / mahantāni, mahantā

acc. mahantaṁ / mahantāni, mahantā

ins. mahatā, mahantena / mahantehi, mahantebhi

dat. mahato, mahantassa / mahataṁ, mahantānaṁ

abl. mahatā, mahantasmā, mahantamhā / mahantehi, mahantebhi

gen. mahato, mahantassa / mahataṁ, mahantānaṁ

loc. mahati, mahante, mahantasmiṁ, mahantamhi / mahantesu

voc. mahaṁ, mahā, maha / mahantāni, mahantā

여성형. sg. / pl.

nom. mahatī, mahantī / mahatī, mahatiyo, mahantī, mahantiyo

acc. mahatiṁ, mahantiṁ / mahatī, mahatiyo, mahantī, mahantiyo

ins. mahatiyā, mahantiyā / mahantīhi, mahantībhi, mahatīhi, mahatībhi

dat. mahatiyā, mahantiyā / mahatīnaṁ, mahantīnaṁ

abl. mahatiyā, mahantiyā / mahantīhi, mahantībhi, mahatīhi, mahatībhi

gen. mahatiyā, mahantiyā / mahatīnaṁ, mahantīnaṁ

loc. mahatiyā, mahantiyā, mahatiyaṁ, mahantiyaṁ / mahatīsu, mahantīsu

voc. mahatī, mahantī / mahatī, mahatiyo, mahantī, mahantiyo


① 'mahā'의 격변화 형태는 'at'과 'ant'로 끝나는 모든 현재분사(pres.p.) 및 'gacchaṁ/gacchanto'
'karaṁ/karanto' 'pacaṁ/pacanto' 등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② 단어 santo( . a good man)의 격변화도 'mahā'의 격변화 유형에 속한다.
Ÿ santo( .nom.sg.) < santa( .) < Ⓢ.sat(pres.p.) < √as(2. . to be, exist)

 

2) 어간이 'mat/mant'로 끝나는 형용사의 격변화
* dhīmā( . wise) < Ⓢ.dhīmat( . wise) < * + mat(possessive) < dhī( . intelligence)

남성형. sg. / pl.

nom. dhīmā, dhīmanto / dhīmantā, dhīmanto, dhīmā

acc. dhīmaṁ, dhīmantaṁ / dhīmante

ins. dhīmatā, dhīmantena / dhīmantehi, dhīmantebhi

dat. dhīmato, dhīmantassa / dhīmataṁ, dhīmantānaṁ

abl. dhīmatā, dhīmantā, dhīmantasmā, dhīmantamhā / dhīmantehi, dhīmantebhi

gen. dhīmato, dhīmantassa / dhīmataṁ, dhīmantānaṁ

loc. dhīmati, dhīmante, dhīmantasmiṁ, dhīmantamhi / dhīmantesu

voc. dhīmaṁ, dhīmā, dhīma, dhīmantā, dhīmanta / dhīmantā, dhīmanto, dhīmā

중성형. sg. / pl.

nom. dhīmaṁ, dhīmantaṁ / dhīmantāni, dhīmantā

acc. dhīmaṁ, dhīmantaṁ / dhīmantāni, dhīmantā

ins. dhīmatā, dhīmanena / dhīmantehi, dhīmantebhi

dat. dhīmato, dhīmantassa / dhīmataṁ, dhīmantānaṁ

abl. dhīmatā, dhīmantā, dhīmantasmā, dhīmantamhā / dhīmantehi, dhīmantebhi

gen. dhīmato, dhīmantassa / dhīmataṁ, dhīmantānaṁ

loc. dhīmati, dhīmante, dhīmantasmiṁ, dhīmantamhi / dhīmantesu

voc. dhīmaṁ, dhīmā, dhīma, dhīmanta, dhīmantā / dhīmantāni, dhīmantā

여성형. sg. / pl.

nom. dhīmatī, dhīmantī / dhīmatī, dhīmatiyo, dhīmantī, dhīmantiyo

acc. dhīmatiṁ, dhīmantiṁ / dhīmatī, dhīmatiyo, dhīmantī, dhīmantiyo

ins. dhīmatiyā, dhīmantiyā / dhīmatīhi, dhīmatībhi, dhīmantīhi, dhīmantībhi

dat. dhīmatiyā, dhīmantiyā / dhīmatīnaṁ, dhīmantīnaṁ

abl. dhīmatiyā, dhīmantiyā / dhīmatīhi, dhīmatībhi, dhīmantīhi, dhīmantībhi

gen. dhīmatiyā, dhīmantiyā / dhīmatīnaṁ, dhīmantīnaṁ

loc. dhīmatiyā, dhīmantiyā, dhīmatiyaṁ, dhīmantiyaṁ / dhīmantīsu, dhīmatīsu

voc. dhīmatī, dhīmantī / dhīmatī, dhīmatiyo, dhīmantī, dhīmantīyo


① 'mat' 또는 'mant'로 끝나는 모든 형용사는 명사에 소유의미조사 'mat'이 첨부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명사가 의미하는 특성이나 상태를 지니고 있음을 나타낸다.
Ÿ dhīmā( . wise) < Ⓢ.dhīmat( . wise) < * + mat(possessive) < dhī( . intelligence)
Ÿ hetumā( . having a cause) < hetumat < * + mat(possessive) < hetu( . cause)
② 명사의 말음이 'a/ā' 이외의 모음일 때 조사 'mat'이 사용된다. ↔ 'vat'
Ÿ sucimā( . pure) < sucimat < * + mat(possessive) < suci( . purity)
Ÿ satimā( . mindful) < satimat < * + mat(possessive) < sati( . mindfulness)
Ÿ khantimā( . patient) < khantimat < * + mat(possessive) < khanti( . patience)
Ÿ bandhumā( . having a relative) < * + mat(possessive) < bhandhu( . relative)
③ 여성형의 경우 형용사의 어간(stem)에 'ī'를 첨부하여 기본을 형성한다.
Ÿ dhīmā[basicform]→ dhīmat[stem] → dhīmat+ī > 'dhīmatī'[base for .]36)
Ÿ jutimā[basicform]→ jutimat[stem] → jutimat+ī > 'jutimatī'[base for .]


3) 어간이 'vat/vant' 로 끝나는 형용사의 격변화
36) '기본형(basicform)'과 '어간(stem)' 및 '기본(base)'
* guṇavā( . virtuous) < Ⓢ.guṇavat( . virtuous)

남성형. sg. / pl.

nom. guṇavā, guṇavanto / guṇavantā, guṇavanto, guṇavā

acc. guṇavaṁ, guṇavantaṁ / guṇavante

ins. guṇavatā, guṇavantena / guṇavantehi, guṇavantebhi

dat. guṇavato, guṇavantassa / guṇavataṁ, guṇavantānaṁ

abl. guṇavatā, guṇavantā, guṇavantasmā, guṇavantamhā / guṇavantehi, guṇavantebhi

gen. guṇavato, guṇavantassa / guṇavataṁ, guṇavantānaṁ

loc. guṇavati, guṇavante, guṇavantasmiṁ, guṇavantamhi / guṇavantesu

voc. guṇavaṁ, guṇavā, guṇava, guṇavantā, guṇavanta / guṇavantā, guṇavanto, guṇavā

중성형. sg. / pl.

nom. guṇavaṁ, guṇavantaṁ / guṇavantāni, guṇavantā

acc. guṇavaṁ, guṇavantaṁ / guṇavantāni, guṇavantā

ins. guṇavatā, guṇavantena / guṇavantehi, guṇavantebhi

dat. guṇavato, guṇavantassa / guṇavataṁ, guṇavantānaṁ

abl. guṇavatā, guṇavantā, guṇavantasmā, guṇavantamhā / guṇavantehi, guṇavantebhi

gen. guṇavato, guṇavantassa / guṇavataṁ, guṇavantānaṁ

loc. guṇavati, guṇavante, guṇavantasmiṁ, guṇavantamhi / guṇavantesu

voc. guṇavaṁ, guṇavā, guṇava, guṇavanta, guṇavantā / guṇavantāni, guṇavantā

여성형. sg. / pl.

nom. guṇavatī, guṇavantī / guṇavatī, guṇavatiyo, guṇavantī, guṇavantiyo

acc. guṇavatiṁ, guṇavantiṁ / guṇavatī, guṇavatiyo, guṇavantī, guṇavantiyo

ins. guṇavatiyā, guṇavantiyā / guṇavatīhi, guṇavatībhi, guṇavantīhi, guṇavantībhi

dat. guṇavatiyā, guṇavantiyā / guṇavatīnaṁ, guṇavantīnaṁ

abl. guṇavatiyā, guṇavantiyā / guṇavatīhi, guṇavatībhi, guṇavantīhi, guṇavantībhi

gen. guṇavatiyā, guṇavantiyā / guṇavatīnaṁ, guṇavantīnaṁ

loc. guṇavatiyā, guṇavatiyaṁ, guṇavantiyā, guṇavantiyaṁ / guṇavantīsu, guṇavatīsu

voc. guṇavatī, guṇavantī / guṇavatī, guṇavatiyo, guṇavantī, guṇavantiyo

① 'vat' 또는 'vant'로 끝나는 모든 형용사는 명사에 소유의미조사 'vat'이 첨부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명사가 의미하는 특성이나 상태를 지니고 있음을 나타낸다.
Ÿ guṇavā( . virtuous) < guṇavat < * + vat(possessive) < guṇa( . a quality)
② 명사의 말음이 'a/ā' 일 때 조사 'vat'이 사용된다. ↔ 'mat'
Ÿ bhogavā( . wealthy) < bhogavat < * + vat(possessive) < bhoga( . wealth)
③ 여성형의 경우 형용사의 어간(stem)에 'ī'를 첨부하여 기본을 형성한다.
Ÿ guṇavā[basicform]→ guṇavat[stem] → guṇavat+ī > 'guṇavatī'[base for .]
④ 'vin' 또는 'āvin'으로 끝나는 형용사는 명사에 소유의미조사 'vin'이 첨부되거나 동사에 'āvin'이
첨부되어 형성된 것으로서, 명사 또는 동사가 의미하는 특성이나 상태를 지니고 있음을 나타내며,
격변화는 남성형은 'daṇḍī( .)'와, 중성형은 'vāri( .)'와, 여성형은 'nadī( .)'와 동일하다.
⑤ 'vin'의 여성형은 기본형 'vī'의 말음 'ī'를 단음화 시킨 뒤에 여성조사 'nī'를 첨부하여 형성한다.
⑥ 'vin'의 중성형 주어격과 호칭격의 경우 단수에서는 마지막 음소가 단음화하여 'i'로 되며,
복수에서는 격조사 'nī' 앞의 음소 'ī'가 단음화되지 않는다.



(3) 일반형용사( .)와 서술형용사( p.[predicative adj.])의 차이.

1) 형용사(주로 현재분사)는 동사 대신 서술형용사로 쓰여 문장에서 동사 역할을 한다.
v esa(pn. .nom.) dhammo( .nom.) sanantano( p.→ .nom.) → [이 법은 영원하다.]
2) 서술형용사의 동작을 부가적으로 설명해주는 동사와 중첩되어 사용될 수 있다. (動詞는省略이 가능하다.)
v subhāsitā( .→ .nom.) vācā( .nom.) aphalā( p.→ .nom.) hoti(pres.Ⅲ.sg.) → [잘 설해진 말은 소용이 없게 된다]
3) 主動詞의 동작과 직접 관련이 없이 주어를 꾸며주는 경우는 일반형용사로 취급된다.
v sataṁ([ .→] .gen.) gandho( .nom.) paṭivātam(adv.) eti(pres.Ⅲ.sg.) → [훌륭한 이의 향기는 바람을 거슬러 나아간다.]
4) 한 문장에 일반형용사는 물론 서술형용사 또한 多數가 올 수 있다.
v rahado( .nom.) gambhīro( .→ .nom.) vippasanno( p.→ .nom.) anāvilo( p.→ .nom.) →[깊은 연못은 맑음을 유지할 뿐 흐려지지 않는다.]

'수행. 정진 > 빨리어 문법, 용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사의 개요  (0) 2016.07.26
대명사. 대명사별 격변화  (0) 2016.07.26
명사의 격변화  (0) 2016.07.26
연성법  (0) 2016.07.26
빨리어의 자음과 모음  (0) 2016.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