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접미사
(1)동사접미사(2) 명사접미사(taddhita-paccaya [nominal-suffix])
(2) 명사접미사(taddhita-paccaya [nominal-suffix])
명사나 형용사 또는 대명사에 첨부되어 또 다른 명사와 형용사를 형성하는 접미사.
명사접미사가 첨부된 명사・형용사・대명사의 모음은 일반적으로 강화음(guṇa)으로 대체된다.
(가) '아들'、'딸'、'손자'、'자손' 등 가계명칭을 형성하는 명사접미사
일정한 인명에 접미사가 첨부되면 인명의 첫 모음은 대부분 강화음으로 대체되고, 접미사가 모음으로 시작될 경우 인명의 마지막 모음은 탈락되어 아들이나 딸 또는 자손의 범칭으로 쓰인다.
가) '아들'과 '딸'을 형성하는 명사접미사
① a
Ÿ vasiṭṭha( . N. of a sage) + a > vāsiṭṭh+a > vāsiṭṭha( . the son of sage Vasiṭṭha) or vāsiṭṭhā( . the daughter of) or vāsiṭṭha( . the relation of sage Vasiṭṭha)
Ÿ manu( . N. of a celebrated personage) + a > mānu+a > māno+a > mānav+a > mānava( . the son of) or mānavā( . the daughter of) or mānava( . the relation of)
② āna(āna「ṇ」)
Ÿ kacca( . N. of…) + āna
> kacc+āna > kaccāna( . the son of Kacca) or kaccānī( .
the daughter of) or kaccāna( . the relating of Kacca, etc.)
Ÿ cora( . a thief) + āna
> cor+āna > corāna( . the son of thief), corānī( .), etc.
③ i(i「ṇ」)
Ÿ duna( . N. of…) + i > don+i > doni( . the son of Duna)
Ÿ anuruddhā( . N. of…) + i > anuruddh+i > anuruddhi( . the son of Anuruddhā)
Ÿ jinadattha( . N. of…) + I > jinadatth+i > jinadatthi( . the son of Jinadattha)
④ ika(ika「ṇ」)
Ÿ nādaputta( . N. of…) + ika > nādaputtika( . the son of Nādaputta)
Ÿ jinadattha( . N. of…) + ika > jinadatthika( . the son of Jinadattha)
⑤ era(era「ṇ」)
Ÿ vidhava( . N. of…) + era > vedhav+era > vedhavera( . the son of Vidhava)
Ÿ samaṇa( . a monk) + era > sāmaṇera( . the disciple of the monk, a novice)
⑥ eyya
Ÿ vinatā( . N. of the mother Aruṇa and Garuḍa) + eyya > venat+eya > venateyya( .)
Ÿ mālī( . a gardener) + eyya > māl+eyya > māleyya( . the gardener's son)
⑦ ya : 자음연성의 영향으로 'ca'의 형태로 나타난다.
Ÿ Ⓢ.aditi( . the earth) + ya > ādit+ya > ādic+ca > ādicca( . a son of Aditi, the sun)
나) '손자' 또는 '자손'을 형성하는 명사접미사
① abya
Ÿ kuru( . N. of a king) + abya > kor+abya > korabya( . a descendant of Kuru)
② āyana : 여성형을 형성할 때는 마지막 음소 'a'가 'ī'로 대체된다.
Ÿ kacca( . N. of…) + āyana > kacc+āyana > kaccāyana( . the son of Kacca) or
kaccāyanī( . the daughter of) or kaccāyana( . the relating of Kacca, etc.)
Ÿ vaccha( . N. of…) + āyana > vacchāyana( . or .) or vacchāyanī( .)
다) '조부' 등 친척을 형성하는 명사접미사
① āmaha : 부모의 부친
Ÿ pitar( . a father) + āmaha > pit+āmaha > pitāmaha( . a paternal grandfather)
Ÿ mātar( . a mother) + āmaha > māt+āmaha > mātāmaha( . a maternal grandfather)
② viya(부친의 남자형제)와 ula(모친의 남자형제) 外
Ÿ pitar( . a father) > pettāviya |or| cullapitu( . paternal uncle) cūlamātā( . paternal uncle's wife)
Ÿ mātar( . a mother) > mātula( . maternal uncle) mātulānī( . maternal uncle's wife)
v 부모여자형제는 복합어로 표현되며, 기본어간이 'pitar'는 'pitu'로 대체되고 'mātar'는 'mātu'로 대체되며 'svasā'는 'cchā'로 대체된다.
Ÿ pitar( . a father)+svasā( . a sister) > pitu+svasā > pitucchā( . father's sister)
Ÿ mātar( . a mother)+svasā( . a sister) > mātu+svasā > mātucchā( . mother's sister)
(나) 기타 명사접미사별 내용과 예문 - 영어 알파벳 순서
1) 'a'
: 명사나 형용사에 첨부되어 주로 형용사를 형성하며 명사로도 전용되어 사용된다.
① 어떠한 것으로 물들었음을 나타낸다.
Ÿ kasāva( . a reddishyellowdye) + a > kāsāva( . yellow: . a monk's robe)
Ÿ haliddā( . turmeric) + a > hālidda( . yellow; dyed with turmeric)
② 짐승의 고기를 나타낸다.
Ÿ sūkara( . a pig) + a > sokar+a > sokara( . relating to pigs: . pork)
Ÿ mahisa( . a buffalo) + a > māhisa( . relating to buffaloes: . buffalo's flesh)
③ 어떠한 것에 예속됨을 나타낸다.
Ÿ vidisā( . a foreign country) > vedisa( . belonging to a foreign country: . a foreigner)
Ÿ magadhā( .pl. southern Bihar) > māgadha( . belonging to, born in Magadhā)
④ 어떠한 것들의 집합체임을 나타낸다.
Ÿ kapota( . a dove pigeon) > kāpota( . relating to doves: . a group of doves)
Ÿ mayūra( . a piacock) > māyūra( . relating to peacocks: . a group of peacocks)
⑤ 학식을 갖추었거나 무엇을 알고 있음을 나타낸다.
Ÿ nimitta( . an omen) > nemitta( . a knower of omens, a fortune teller)
Ÿ veyyākaraṇa( . grammar) > veyyākaraṇ+a > veyyākaraṇa( . a grammarian)
⑥ 어떤 곳에 누가 있거나 무엇이 존재함을 나타낸다.
Ÿ sakuṇa( . a bird) + a > sākuṇa( . the place wherein birds roost or resort to)
Ÿ udumbara( . a figtree) + a > odumbara( . a place where figtrees
grow)
⑦ 소유의 의미를 나타낸다.
Ÿ paññā( . wisdom) + a > pañña97)( . possessing wisdom, wise: . a wise man)
Ÿ saddhā( . faith) + a > saddha( . one who has faith, believing: . a believer)
2) 'aka'(aka「ṇ」) : 資産을 나타낸다.
Ÿ manussa( . a man) + aka > mānussaka( . the property of man, human)
3) 'ālu'
: 어떠한 경향을 나타내며, 주로 과거분사형의 형용사를 형성한다.
Ÿ dayā( . sympathy) + ālu > day+ālu > dayālu( . compassionate)
Ÿ abhijjhā( . covetousness) + ālu > abhijjhālu( . whose tendency is to be covetous)
Ÿ sīta( . cold, cool) + ālu > sīt+ālu > sītālu( . chilled, cold)
4) 'āṇa'
: 극소수의 전용형이 용례에 보인다.
Ÿ kalya=kalla( . healthy, remembering) + āṇa > kalyāṇa=kallāṇa( . happy, good)
5) 'bya'
: 어떠한 상태를 나타낸다.
Ÿ dāsa( . a slave) + bya > dāsabya( . the state of being a slave, slavery)
6) 'dhā'
: 수사에 첨부되어 '倍數'나 '종류' 또는 '유형' 등의 양태를 나타낸다.
Ÿ eka( . one) + dhā > ekadhā(adv. once)
Ÿ dve( . two) + dhā > dvidhā(adv. in two ways; in two; of two kinds)
Ÿ tayo( . three) + dhā > tidhā(adv. in three ways; threefold;
in three parts)
7) 'eyya'
paññā + a > pāññ+a > pāñña > (겹자음 앞 短音化) > pañña
① 자연적으로 드러나는 상태를 나타낸다.
Ÿ alasa( . idle) + eyya > ālas+eyya > ālaseyya( . idleness)
Ÿ sa(Ⓢ.sva)+pati( . a master) + eyya > sāpat+eyya > sāpateya( . property)
② 淵源이나 起源 또는 産地 및 출신지 등을 나타낸다.
Ÿ suci( . purity) + eyya > soc+eyya > soceyya( . purification)
Ÿ kula( . family) + eyya > kol+eyya > koleyya( . belonging to a [noble] family)
Ÿ bārāṇasī( . Benares) + eyya > bārāṇaseyya( . that the origin of which is in Benares)
③ 적합하다거나 가치가 있음을 나타낸다. 이 경우의 명사접미사는 실제로 가능수동분사(pot.p.p.)를 형성하는 동사접미사 'ya'가 첨부될 때 음소 'i'가 삽입되면서 'e'로 대체되어 함께 'e+|y|+ya > eyya'의 형태를 취한 것이다.
Ÿ √pā(1. to drink) + 「kvi」 > pā( .) + eyya > peyya( . drinkable: . beverage)
* [실제] √pā +|i|+ ya > p+e+yya > peyya(pot.p.p. that ought to be drunk)
Ÿ √dā(1. to give) + 「kvi」 > dā( .) + eyya > deyya( . to be given: . present)
* [실제] √dā +|i|+ ya > d+e+yya > deyya(pot.p.p. that ought to or can be given)
8) 'i'
: 명사 'pura'에 첨부되어 어떤 무엇이 都會的이거나 도시와 관련된 것임을 나타낸다.
Ÿ pura( . a city) + I > por+i > pori( . urbane, polite, affable)
9) 'ika'(ika「ṇ」)
① 삶의 수단임을 나타낸다.
Ÿ nāvā( . a boat) + ika > nāvika( . one who lives by means of a boat: . a boatman)
Ÿ balisa( . a fishhook) + ika > bālisika( . a fisherman)
Ÿ vetana( . wages) + ika > vetanika( . one who lives upon wages: . a labourer)
② 이동의 수단임을 나타낸다.
Ÿ pada( . the foot) + ika > pādika( . one who goes with his feet: . a pedestrian)
Ÿ sakaṭa( . a cart) + ika > sākaṭika( . one who goes in a cart)
③ 어떤 무엇과 관련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Ÿ samudda( . the sea) + ika > sāmuddika( . relating to the sea, marine)
Ÿ sakaṭa( . a cart) + ika > sākaṭika( . relating to carts)
④ 악기를 연주하는 것임을 나타낸다.
Ÿ vīṇā( . a lute) + ika > veṇika( . playing upon a lute: . lute player)
Ÿ bheri( . a kettledrum) + ika > bherika( . relating to a drum: . a drummer)
⑤ 섞여있음을 나타낸다.
Ÿ tela( . oil) + ika > tel+ika > telika( . that which is mixed with oil: . oily)
Ÿ dadhi( . curds) + ika > dadhika( . that which is mixed with curds)
⑥ 어떤 무엇을 만드는 사람임을 나타낸다.
Ÿ tela( . oil) + ika > tel+ika > telika( . an oil manufacturer)
⑦ 어떤 무엇과 관련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Ÿ dvāra( . a door) + ika > dvārika( . one who is connected with…: . a doorkeeper)
⑧ 어떤 무엇으로 옮김을 나타낸다.
Ÿ khanda( . the shoulder) + ika > khandika98)( . one who carries on the shoulder)
Ÿ aṅguli( . finger) + ika > aṅgulika( . one who carries on the finger)
⑨ 어떤 곳에서 태어났거나 관련이 있음을 나타낸다.
'khanda'의 'n'과 'aṅguli'의 'ṅ'는 원래 'ṁ'이며, 'ṁ' 또한 자음으로 취급되므로 연이은 자음과 함께 겹자음이 된다.
Ÿ sāvatthi( . N. of a place) + ika > sāvatthika( . born in or living in Sāvatthi)
Ÿ kapilavatthu( . N. of a place) + ika > kapilavatthika( . born in or living in Kapila)
⑩ 어떤 무엇을 배움을 나타낸다.
Ÿ vinaya( . the Discipline) + ika > venayika( . one who studies the vinaya)
Ÿ suttanta( . a discourse [of the Buddha]) > suttantika( . one who knows Discourses)
⑪ 어떤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나타낸다.
Ÿ mānasa( . the mind) + ika > mānasika( . mental: . the act performed by mind)
Ÿ sarīra( . the body) + ika > sārīrika( . bodily: . the act performed by the body)
⑫ 어떤 무엇으로 물물교환을 함을 나타낸다.
Ÿ suvaṇṇa( . gold) + ika > sovaṇṇ+ika > sovaṇṇika( . that which is bartered for gold)
Ÿ vattha( . cloth) + ika > vatthika( . golden: . that which is bartered for cloth)
⑬ 어떤 무엇을 소유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Ÿ daṇḍa( . a staff) + ika > daṇḍika( . one who has a staff: . a mendicant)
Ÿ putta( . a son) + ika > putt+ika > puttika( . one who has sons)
⑭ 어떤 무엇의 집합체임을 나타낸다.
Ÿ kedāra( . a field) + ika > kedārika( . a collection of fields)
Ÿ hatthi( . elephant) + ika > hatthika( . herd of elephants)
⑮ 수량을 가늠하는 단위임을 나타낸다. - 되(a doe)
Ÿ kumbha( . a pot) + ika > kumbhika( . containing a big measure [as much as a pot]: . that which is contained in a pot)
10) 'imā'
: 시간이나 공간에서 위치나 방향을 나타낸다.
Ÿ pacchā(adv. behind, western) + imā > pacchima( . hindermost, western)
Ÿ anta( . limit, end) + imā > antima( . last, final)
v 소유를 나타내는 제한된 숫자의 형용사를 형성하기도 한다.
Ÿ putta( . a son) + imā > putt+imā > puttimā( . one who has sons)
Ÿ pāpa( . sin) + imā > pāp+imā > pāpimā( . sinful, evil)
11) 'in'(i「ṇ」)
: 소유의미를 지닌 형용사의 형성에 널리 적용되며, 명사로도 사용된다.
Ÿ daṇḍa( . a staff) + in > Ⓢ.daṇḍin=Ⓟ.daṇdī( . one who has a staff: . a mendicant)
Ÿ manta( . design, plan) + in > mantī( . one who replete with plans: . a minister)
12) 'ina'
: 소유의미를 지닌 소수의 형용사를 형성한다.
Ÿ mala( . dirt) + ina > mal+ina > malina( . dirty, tainted)
13) 'issika'
: 'iṭṭha'와 더불어 형용사의 최상급을 형성할 때 사용된다.
Ÿ khippa( . quick) + issika > khipp+issika > khippissika( . quickest)
Ÿ kaṭṭha( . bad) + issika > kaṭṭh+issika > kaṭṭhissika( . worst)
14) 'iya'
: 소수의 추상명사를 형성한다.
Ÿ issara( . lord, chief) + iya > issar+iya > issariya( . dominion)
Ÿ alasa( . idle) + iya > alas+iya > ālasiya( . idleness)
15) 'īya'
: 'tabba'、'ya'、'anīya'와 더불어 가능수동분사(pot.p.p.)의 접미사 가운데 하나이다.
16) 'ī'
: '11'부터의 基數(cardinal)에 첨부되어 날짜를 나타내는 序數를 형성한다.
Ÿ ekādasa(num. . 11) + ī > ekādas+ī > ekāsasī( . the 11th day or the 11th)
Ÿ catuddasa(num. . 14) + ī > catuddas+ī > catuddasī( . the 14th day or the 14th)
17) 'ka'(ka「ṇ」)
: 다양한 용도로서 주로 형용사의 형성에 사용된다.
① 중성의 추상명사로도 사용되는 형용사를 형성하며, 일부 남성명사를 형성하기도 한다.
Ÿ rakkhā( . protection) + ka > rakkha+ka > rakkhaka( . protecting: . a guard)
Ÿ rakkhana( . defence) + ka > rakkhana+ka > rakkhanaka( . a guard)
Ÿ ramaṇeyya( . pleasurable) + ka > ramaṇeyyaka( . delightful: . delightfulness)
② 집합체를 나타낸다.
Ÿ rājaputta( . prince) + ka > rājaputtaka( . a group or band of princes)
Ÿ manussa( . man) + ka > mānussaka( . an assembly or group of men)
③ 어떤 것이 작음을 나타내는데, 간혹 약간의 경멸적인 의미를 내포하기도 한다.
Ÿ pāda( . foot) + ka > pādaka( . having a foot or basis: . basis) → 'a small foot'
Ÿ rāja( . king) + ka > rājaka( . a princeling)
Ÿ luddha( . hunter) + ka > luddhaka( . a young hunter)
④ 단어의 원래 의미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도로도 자주 사용된다.
Ÿ kumāra( . child, young prince) + ka > kumāraka( . child, young prince)
Ÿ nava( . young, junior) + ka > navaka( . young, junior)
⑤ 복합어에 자주 첨부되어 사용되는데, 주로 소유복합어(bahubbīhī)의 말미에 첨부되어 소유의 의미를 부가하거나 원래 의미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Ÿ bahukattuko(←bahu+kattu+ka) deso : 많은 장인들이 있는 장소
Ÿ bahukumārikaṁ(←bahu+kumārī+ka) kulaṁ : 많은 소녀들이 있는 가족
⑥ 숫자 뒤에 첨부되어 집합명사나 형용사를 형성한다.
Ÿ catur(num. . 4) + ka > catukka( . fourfold;
a collection of four things)
Ÿ dve(num. . 2) + ka > dvi+ka > dvika( . consisting of two; a pair)
18) 'kaṭa'
: 일부 문법가들에 의해 접미사로 간주되는 것으로서 전치사와 함께 사용된다.
불변화사인 전치사에 첨부되어 형용사를 형성하되 의미는 전치사가 지닌 원래의 뜻과 거의 같다.
Ÿ ni( . lowness, downward motion) + kaṭa > nikaṭa( . near)
Ÿ vi( . separation, disjunction) + kaṭa > vikaṭa( . changed)
Ÿ pa( . higher; excessively; excellence) + kaṭa > pākaṭa( . evident, public, clear)
Ÿ sam( . with, together with) + kaṭa > saṅkaṭa( . narrow)
19) 'kiya'
: 관계 또는 관련을 나타내는 형용사를 형성한다.
Ÿ andha( . the Andhara country) + kiya > andhakiya( . relating to the Andhara)
Ÿ jāti( . birth) + kiya > jātikiya( . relating to birth, congenital)
20) 'la'
: 형용사나 명사를 형성한다. 접미사 앞에 'i' 또는 'u'가 삽입되기도 한다.
Ÿ bahu( . much, plentiful) + la > bahu+la > bahula( . abundant)
Ÿ vācā( . word) + la > vācā+la > vācāla( . talkative, garrulous)
Ÿ mātā( . mother) +|u|+ la > māt+|u|+la > mātula( . maternal uncle)
21) 'ma'
: 基數(cardinal)에 첨부되어 序數(ordinal)를 형성한다.
Ÿ pañca(num. . 5) + ma > pañcama( . the 5th)
Ÿ sattadasa( . 17) + ma > sattadasama( . the 17th)
22) 'mā'(=Ⓢ.mat)
: 소유의 의미가 내포된 형용사를 형성하며, 형성된 어간은 'mantu' 또는 'mant'의 기본형태를 갖는다.
Ÿ juti( . splendour) + mā > juti+mant > jutimant( . brilliant, bright) & jutimā( .)
Ÿ khanti( . patience) + mā > khanti+mā > khantimā( . endowed with patience)
23) 'maya'
: 어떠한 것으로 이뤄졌음을 나타내는 형용사를 형성한다.
Ÿ suvaṇṇa( . gold) + maya > suvaṇṇamaya( . made of gold, golden)
Ÿ rajata( . silver) + maya > rajatamaya( . made of silver)
24) 'min'(=mī)
: 일부 형용사를 형성한다.
Ÿ go( . cattle)+min > Ⓢ.gomin( . rich in herds: . an owner of cattle)=Ⓟ.gomī( .)
Ÿ sa(pn. own) + min > Ⓢ.sāmin=Ⓟ.sāmī( . owner, master, lord)
25) 'ra'
: 일부 형용사를 형성하며, 모음 'a' 또는 'i'가 삽입되기도 한다.
Ÿ madhu( . honey) + ra > madhura( . sweet: . sweetness)
Ÿ sikhā( . a peak) + ra > sikhāra( . having a peak: . a mountain)
26) 'so'
: 소유의 의미를 지닌 형용사를 형성한다.
Ÿ medhā( . wisdom) + so > medhāso( . having wisdom, wise)
Ÿ loma( . the hair on the body) + so > lomaso( . hairy)
27) 'sī' & 'ssī'
: 접미사 'vin(vī)'이 말음이 's'인 단어에 첨부된 뒤에 자음연성으로 인해 접미사의 'v'가 's'로 동화된 까닭에 'sī' 또는 'ssī'가 형성된 것으로 간주된다.
28) 'ta'
: 소유의 의미를 지닌 소수의 명사 또는 형용사를 형성한다.
Ÿ pabba( . a knot, joint) + ta > pabbata( . a mountain[←that which has joints])
Ÿ vaṅka( . bent) + ta > vaṅka+ta > vaṅkata( . bent, crooked)
29) 'tama' & 'tara'
: 형용사에 첨부되어 형용사의 최상급과 비교급을 형성한다.
Ÿ sisira( . cool) > sisiratara( . colder) > sisiratama( . coldest)
Ÿ suci( . pure) > sucitara( . purer) > sucitama( . purest)
30) 'tana'
: 부사에 첨부되어 형용사를 형성한다.
Ÿ svā(adv.[=sve] tomorrow) + tana > svātana( . of tomorrow, belonging to tomorrow)
Ÿ nū(adv. now) + tana > nūtana( . fresh, new)
31) 'tā'
: 형용사나 명사에 첨부되어 여성형 추상명사를 형성하는 데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형용사나 명사가 의미하는 어떠한 상태나 성향 또는 천성 등을 표시한다.
Ÿ lahu( . light) + tā > lahutā( . lightness)
Ÿ sāra( . pith, marrow) + tā > sāratā( . essence, strength)
v 또는, 어떤 집합체라는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Ÿ jana( . person, man) + tā > janatā( . a multitude of persons, folk)
Ÿ gāma( . village) + tā > gāmatā( . a colection of villages)
32) 'ti'
: 10단위를 나타내는 숫자를 형성한다.
Ÿ dve(num. 2) → vīsati(num. 20) tayo(num. 3) → tiṁsati(num. 30)
Ÿ satta(num. 7) → sattati(num. 70) nava(num. 9) → navuti(num. 90)
33) 'tta'(=Ⓢ.tva)
: 형용사나 명사에 첨부되어 중성형 추상명사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며,
형용사나 명사가 의미하는 어떠한 상태나 성향 또는 천성 등을 표시한다.
Ÿ pthujjana( . a common man) > puthujjanatta( . the state of being a common man)
Ÿ buddha( . a buddha) + tta > buddhatta( . Buddhahood)
34) 'ttana'(=tta)
: 'tta'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Ÿ vedanā( . sensation) + ttana > vedanattana( . sensitiveness)
35) 'tya'(→'cca')
: 불변화사에 첨부되어 일부 형용사를 형성한다. 산스끄리뜨에선 'tya'의 형태로 나타나는 반면 빠알리에선 자음연성을 거쳐 'cca' 형태로 나타난다.
Ÿ ni( . into, in) + tya > ni+tya > nicca( . inward, inmate, eternal)
Ÿ amā( . at home, here below) + tya > amā+tya > amacca( . inmate, minister)
36) 'tha'
: 基數(cardinal)에 첨부되어 序數(ordinal)를 형성한다.
Ÿ pañca(num. 5) + tha > pañcatha(num. the 5th)
Ÿ cha(num. 6) + tha > chaṭṭha(num. the 6th)
37) 'thaṁ'
: 대명사의 어간에 첨부되어 어떤 방식 등을 나타내는 부사를 형성한다.
Ÿ kim(pn. what) + thaṁ > ka+thaṁ > kathaṁ(adv. how, in that way, in what manner)
Ÿ idam(pn. this) + thaṁ > i+|t|+thaṁ > itthaṁ(adv. thus, in this manner)
38) 'thā'
: 대명사의 어간에 첨부되어 어떤 방식 등을 나타내는 부사를 형성한다.
Ÿ tad(pn. that) + thā > ta+thā > tathā(adv. thus, so, like that)
Ÿ yad(pn. who, what) + thā > ya+thā > yathā(adv. as, like)
39) 'vā'(=Ⓢ.vat)
: 소유의 의미가 내포된 형용사를 형성하며, 형성된 어간은 'vantu' 또는 'vant'의 기본형태를 갖는다.
Ÿ guṇa( . a quality) + vā > guṇa+vā > guṇavā( . having virtue, virtuous)
Ÿ bhoga( . wealth) + vā > bhoga+vā > bhogavā( . possessing wealth, wealthy)
40) 'va'
: 소수의 형용사 또는 명사를 형성한다.
Ÿ aṇṇa( . wave) + va > aṇṇa+va > aṇṇava( . billowy: . the ocean)
Ÿ kesa( . hair) + va > kesa+va > kesava( . hairy: . a name of Viṣṇu)
41) 'vī'(=vin)
: 소유의 의미를 지니는 형용사를 형성한다.
Ÿ medhā( . wisdom) + vī > medhāvin( . possessing wisdom) > medhāvī( .) &, etc.
v 어간의 말음이 음소 's'인 단어에도 사용된다.
Ÿ tapas( . heat) + vī > tapas+vī > tapas+sī > tapassī( . austere: . a hermit)
Ÿ yasas( . fame) + vī > yasas+vī > yasas+sī > yasassī( . renowned, famous)
* 빠알리어에서는 'tapo' 및 'yaso' 형태로 사용되며, 접미사가 첨부될 때 원형이 회복된다.
42) 'ya'(ya「ṇ」)
: 중성형 추상명사를 형성하는데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대부분의 경우
강화음(guṇa)을 취하며, 자음연성이 적용된다.
Ÿ alasa( . idle) + ya > ālas+ya > ālassa( . laziness)
Ÿ kusala( . skilful) + ya > kosal+ya > kosalla( . skill, mastery)
Ÿ paṇḍita( . learned, clever) + ya > paṇḍit+ya > paṇḍicca( . learning, scholarship)
(3) 여성형성접미사(strī-paccaya [feminin-suffix])
1) 여성명사의 형성
여성명사 가운데 많은 숫자가 남성명사에 여성형성접미사가 첨부되어 형성된 것이다.
Ÿ kumbhakāra( . a potter) + ā > kumbhakārā( . a potter's wife)
Ÿ brahmacārī( . a religious student) + nī > brahmacārinī( . a religious shestudent)
Ÿ kumāra( . a boy, prince) + i > kumāri( . a girl, princess)
2) 여성조사 종류
Ÿ 單음소형 : ā, i, ī.
Ÿ 多음소형 : nī, inī, ānī.
3) 접미사 유형별 예문
① 單음소형 Ⅰ : 'ā'
Ÿ mānusa( . a man) + ā > mānusā( . a woman)
Ÿ kaṭapūtana( . a demon) + ā > kaṭapūtanā( . a shedemon)
Ÿ vallabha( . a favourite) + ā > vallabhā( . a favourite woman)
② 單음소형 Ⅱ : 'i'
Ÿ kumāra( . a boy, prince) + i > kumāri( . a girl, princess)
③ 單음소형 Ⅲ : 'ī'
Ÿ sīha( . a lion) + ī > sīhī( . a lioness)
Ÿ miga( . a deer) + ī > migī( . a doe)
Ÿ māṇava( . a young man) + ī > māṇavī( . a young woman)
Ÿ sāmaṇera( . a novice) + ī > sāmaṇerī( . a shenovice)
④ 多음소형 Ⅰ : 'nī'
Ÿ bhikkhu( . Buddhist monk) + nī > bhikkhunī( . Buddhist nun)
Ÿ dhammaññū( . a pious man) + nī>
dhammaññunī( . a pious woman)
Ÿ hatthi( . an elephant) + nī > hatthinī( . a female elephant)
Ÿ daṇḍī( . a mendicant) + nī > daṇḍinī( . a female mendicant)
⑤ 多음소형 Ⅱ : 'inī'
Ÿ rājā( . king) + inī > rājinī( . queen)
Ÿ yakkha( . an ogre) + inī > yakkhinī( . an ogress)
Ÿ kumbhakāra( . a potter) + inī > kumbhakārinī( . a potter's wife)
⑥ 多음소형 Ⅲ : 'ānī'
Ÿ mātula( . an uncle) + ānī > mātulānī( . an aunt)
Ÿ khattiya( . a nobleman) + ānī > khattiyānī( . a noblewoman)
Ÿ gahapati( . householder) + ānī > gahapatānī( . householder's wife)
⑦ 불규칙형 : 'ka'
로 끝나는 명사의 경우 복합적인 변화를 보인다.
Ÿ nāvika( . a boatman) > nāvikā |or| nāvikinī( .)
Ÿ paribbājaka( . wondering ascetic) > paribbājikā |or| paribbājikinī( .)
Ÿ paṁsukūlika( . 袈裟) > paṁsukūlikā |or| paṁsukūlikinī( .)
Ÿ kumāraka( . a boy) > kumārikā( . a girl)
⑧ 둘 이상의 여성형이 형성되는 단어들
Ÿ atthakāma( . one wishing to be useful) > atthakāmā, atthakāmī, atthakāminī( .)
Ÿ kumbhakāra( . potter) > kumbhakārā, kumbhakāri, kumbhakārinī( .)
Ÿ yakkha( . ogre) > yakkhī, yakkhinī( .)
Ÿ nāga( . snake, elephant) > nāgī, nāginī( .)
Ÿ miga( . deer) > migī, miginī( .)
Ÿ sīha( . lion) > sīhī, sīhinī( .)
Ÿ byaggha( . tiger) > byagghī, byagghinī( .)
Ÿ kākā( . crow) > kākī, kākinī( .)
Ÿ mānusa( . man) > mānusā, mānusī, mānusinī( .)
다. 기타 조사 - 현재 예문은 산스끄리뜨임(□).
(1) 접속사(ubhayānvayī [conjunction])
(가) 연결접속사
'atha'와 'atho'는 주로 문장의 첫머리에 사용되는 반면에 'ca'는 문장의 첫머리에 사용되지 않는다.
가) ca( . and, also; but, still; certainly, determination, indeed)
① 동격으로 나열되는 각 단어의 뒤에 놓이거나 모든 단어들의 가장 뒤에 놓인다.
Ÿ icchā ca māno ca vaḍḍhati : 욕심과 교만이 증장된다.
Ÿ icchā māno ca vaḍḍhati : 욕심과 교만이 증장된다.
② 'ca'로 연결된 문장의 동사인칭은 문장에서의 위치와 상관없이 'Ⅰ>Ⅱ>Ⅲ' 우선순으로 표시한다.
Ÿ mama mittam ahaṁ ca uyyuñjanti(pres.Ⅰ.pl.) : 나의 친구와 나는 훌쩍 떠나버렸다.
Ÿ tvaṁ saḥ ca ātāpino bhavātha(imp.Ⅱ.pl.) : 그대는 그와 함께 부단히 노력하는 자가 되어라!
나) atha( . here, now; then, afterwards; now if, in case; and, also, likewise)
Ÿ atha nibbindati dukkhe : 바로 그때 괴로움에 넌더리를 내게 된다.
Ÿ atha pāpo pāpāni passati : 그러면 惡을 행한 자는 惡業을 보게 된다.
다) atho( . now; likewise; next; therefore)
Ÿ atho sarīrampi jaraṁ upeti : 그러므로 육신 또한 늙음으로 나아간다.
Ÿ atho vācāya saṁvutā : 그래서 (그는) 언어를 통해 (자신을) 단속하였다.
Ÿ atho jātikkhayaṁ patto : 그래서 (그는) 윤회의 끝을 성취하였다.
(나) 분리접속사
가) vā( . option, or, also, like, either, or else; indeed, truly, only)
① 'vā'는 문장의 첫머리에 사용되지 않는다.
② 동격으로 나열되는 각 단어의 뒤에 놓이거나 모든 단어들의 가장 뒤에 놓인다.
Ÿ manasā ce paduṭṭhena, bhāsati vā karoti vā… : 사악한 생각으로 언행이나 행동을 한다면…
Ÿ manasā ce paduṭṭhena, bhāsati karoti vā… : 사악한 생각으로 언행이나 행동을 한다면…
③ 주로 'yadi' 등과 연결하여 사용된다.
Ÿ gāme vā yadi vāraññe, ninne vā yadi vā thale… : 마을에서건 아니면 숲속에서건, 습지에서건 아니면 마른 땅에서건…
④ 긍정과 부정의 내용이 함께 나열될 때 부정의 내용이 나중에 놓인다.
Ÿ hoti vā no vā | → [존재하는가? 존재하지 않는가?]
⑤ 'vā'는 간혹 축약되어 'va'로 사용되기도 한다.
Ÿ yaṁ kiñci yiṭṭhaṁ va hutaṁ va loke… : 어떤 누구라도 이 세상에서 어떤 제례의식이건 또는 어떤 제화의식이건…
⑥ 'vā'로 연결된 문장의 동사인칭은 문장에서의 위치와 상관없이 'Ⅰ>Ⅱ>Ⅲ' 우선순으로 표시한다.
Ÿ rāmo vā tvaṁ vā etha(imp.Ⅱ.pl.) : '라마'나 그대가 오라!
Ÿ rāmo tvaṁ ahaṁ vā ettha jīvāma(pot.Ⅰ.pl.) : '라마'나 그대나 내가 여기서 살아갈 수 있다.
나) uda( . doubt, guess; whether, or; and, also; 'emphasis') = Ⓢ.uta( .)
(다) 조건접속사
가) yadi( . if, even if, in case; whether)
① 'yadi'는 현재시제와 미래시제 및 원만법과 조건법의 문장에서 조건을 나타내는데 쓰인다.
Ÿ gāme vā yadi v'āraññe… : 마을에서나 아니라면 숲에서나…
Ÿ yadi buddhe va sāvake va pūjayati… : 만약 부처님들이나 聲聞제자들을 숭앙한다면…
나) ce( . if, provided that, although) = Ⓢ.ced( .)
Ÿ bahum pi ce saṁhitaṁ bhāsamāno… : 만약 비록 많은 경전을 외우는 자라고 할지라도…
Ÿ muhuttam api ce viññū paṇḍitaṁ payirupāsati… : 현명한 자는 만약 지혜로운 이를 비록 잠시라도 가까이 하더라도…Ÿ sahassam api ca vācā anatthapadasaṁhitā… : 설령 의미 없는 단어로 결합된 천 마디의 말들이 있더라도…
(라) 기타접속사
가) api( . and, also, besides; even, also, very; though, even if)
① 'api'는 의문사로 사용되어 문장이 의문문임을 나타낼 때는 항상 그 문장의 첫머리에 놓인다.
Ÿ ap'āvuso, amhākaṁ satthāraṁ jānāsi? : 존자시여! 우리들의 스승님을 아십니까?
② 의문사로 쓰이는 'api'에 'nu kho'가 뒤따를 경우 의문의 내용이 특별히 강조됨을 뜻한다.
Ÿ api nu kho koci upaddavo hoti? : 아니~ 무슨 안 좋은 일이라도 있습니까?
나) iti( . to indicate the meaning, to mark the conclusion, as for, because, thus)
① 인용문의 끝에 사용되는 'iti'는 빈번하게 'ti'로 축약되어 사용되며 인용문의 마지막 모음이 단음인 경우 장음으로 대체된다.
Ÿ sādhū ti. : (그는) ‘좋아!’라고 (말하였다).
Ÿ bherisaddaṁ sutvā issarabheri bhavissatī ti kathayamānā. : (그들은) 북소리를 듣고 ‘관청의 북이 분명할 것이다.’라고 말하였다.
② '말하다、생각하다、묻다、알다' 등의 동사가 인용문과 더불어 'iti'를 동반할 때는 해당동사가 인용문의 앞이나 'iti'의 뒤에 놓이거나 혹은 생략되기도 한다.
Ÿ so pucchi 'kiṁ jānāsi tvan' ti. : 그는 물었다. ‘무엇을 그대가 아는가?’라고.
Ÿ te 'sādhū' ti vatvā… : 그는 ‘좋아!’라고 말하고…
Ÿ 'māressāmi nan' ti. : ‘그를 죽여버릴거야!’ 라고 (생각하였다).
③ 일반문장에서 'iti'는 앞뒤 단어의 모음과 만날 때 규칙적인 연성이 적용된다.
Ÿ iti + evaṁ > iccevaṁ
Ÿ kvaci + iti > kvacīti
④ 인용문의 내용에 따라 '~한 이유 때문에, ~한 의도로'라는 의미를 내포한 것이 되기도 한다.
Ÿ 'jīvituṁ asakkontā.' ti… : ‘살기 불가능하다.’라며(→라는 이유 때문에)…
Ÿ 'makasaṁ paharissāmi.' ti pitu matthakaṁ dvidhā pahāsi. : ‘모기를 잡아야겠다.’라며(→라는 의도로) 아버지의 머리를 두 차례 때렸다.
다) iva( . like, as; as if, as it were; little, some what)
라) eva( . indeed, truly, really; just so, exactly so truly)
① 'eva'는 'yeva'로 사용되어 특별히 강조하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Ÿ tesaṁ kiḷantānaṁ yeva suriyatthaṅgatavelā jātā. : 그들이 놀고 있는 사이에 곧 일몰의 시간이 발생하였다. → 그들이 놀고 있는 바로 그때 땅거미가 졌다.
② 'yeva'는 동사 다음에 사용되어 동사의 행위가 강조를 위해 지속됨을 강조하기도 한다.
Ÿ kathenti yeva. : (그들은) 계속 이야기하였다.
마) tathā( . in that manner, so, thus; yes, so be it, so it shall be)
Ÿ attānaṁ tathā kayirā. : 자신에게 바로 그렇게 해야 한다.
Ÿ tathā attānaṁ niveseyya yathā bhūri pavaḍḍhati. : 바로 그렇게 자신을 이끌 수 있으면 그에 따라 지혜가 증장될 것이다.
바) tu( . on the contrary, on the other hand; used as an emphatic particle)
사) nu( . now, still, just, at once; certainly, surely)
① 'nu'는 일반적인 의문문을 형성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② 'nu' 다음에 'kho'가 뒤따를 경우 스스로에게 가지는 의문이나 놀라움 등을 나타내기도 한다.
Ÿ kīdiso nu kho paraloko? : 다음 세상은 과연 어떤 것일까?
Ÿ corā nu kho atthi? : 도둑이 정말 있어?
③ 'nu' 앞에 부정을 나타내는 'na'가 놓일 경우 강한 의문을 나타낸다.
Ÿ na nu'haṁ yodho? : 내가 戰士가 아니란 말인가?
아) hi( . really, indeed, surely; for because; just, pray, do)
Ÿ dukkhā hi sārambhakathā : 화가 난 말은 참으로 (듣기에) 고통스럽다.
Ÿ maraṇantaṁ hi jīvitaṁ : 삶은 결국 죽음으로 끝난다.
(마) 대명사에서 전용된 부사형 접속사
① taṁ( . therefore, that is why, now, then)
Ÿ etaṁ ñatvā yathābhūtaṁ… : 그렇게 올바르게 알고…
② tena( . in that direction, in that manner, thus)
Ÿ muni tena pavuccati. : 그래서 (그는) '무니'라고 불려진다.
Ÿ na tena ariyo hoti. : 바로 그 때문에 (그는) '숭고한 이'가 되지 못한다.
③ tasmā( . from that, on that account, out of this reason, therefore)
Ÿ tasmā na addhagū siyā. : 그러므로 여행자가 되지 말아야 한다.
Ÿ tasmā naro paradāraṁ na seve. : 그러므로 사람들은 다른 이의 아내를 탐해서는 안 된다.
④ tato( . from that, thence; then, thereupon; therefore)
Ÿ tato nibbānam ehisi. : 그러고서 열반으로 나아가도록 하라!
Ÿ tato pāmojjabahulo dukkhassa antaṁ karissati. : 그러면 기쁨으로 가득 찬 이는 괴로움의 끝을 이루게 될 것이다.
(바) 한 쌍을 이루어 종속문을 이끄는 접속사
① yathā( . in which manner) - tathā( . in that manner)
Ÿ yathā naṁ icchatī diso, karoti so tathā attānaṁ. : 敵이 그에게 바라는 어떤 그것처럼 바로 그렇게 그 자신에게 해버린다.
② yathā( . in which manner) - evaṁ( . so, thus, in this way)
Ÿ yathā bhamaro pupphaṁ paleti, evaṁ gāme munī care. : 마치 벌꿀이 꽃으로 날아들 듯, 바로 그렇게 마을에서 수행자는 움직여야 한다.
Ÿ selo yathā vātena na samīrati, evaṁ nindāpasaṁsāsu na samiñjanti paṇḍitā. : 마치 바위가 바람에 흔들리지 않듯이, 바로 그렇게 현명한 이들은 비난과 칭찬에 흔들리지 않는다.
③ yadā( . when, at what time) - tadā( . at that time, then, in that case)
Ÿ yadā paccati pāpaṁ, tadā pāpo pāpāni passati. : 惡이 익었을 때, 바로 그때 악을 행한 자는 악업을 보게 된다.
Ÿ yadā paññāya passati, tadā nibbindati dukkhe. : 지혜로 (진리를) 깨달았을 때, 바로 그때 괴로움에 넌더리를 내게 된다.
④ yattha( . where, in which place) - tattha( . there, in that place, in that case)
Ÿ yattha arahanto viharanti, tattha jīvāma : 어디건 아라한들이 살아가는 곳, 바로 그곳에서 우리는 살아가야 한다.
⑤ yāva( . as far as; as long as) - tāva( . on one's part, in the meanwhile)
Ÿ yāva pāpaṁ na paccati, tāva madhuvā maññati bālo. : 어리석은 이는 죄악이 익지 않은 동안, 바로 그동안은 (죄악을) 벌꿀처럼 여긴다.
Ÿ yāva vanatho na chijjati, tāva so paṭibaddhamano. : 욕구가 끊이지 않는 동안, 바로 그동안 그는 윤회에 얽매이게 된다.
(2) 부정사와 의문사
1) 부정사
가) na( . negation)
① 일반적인 부정을 나타낸다.
Ÿ imasmiṁ sare sudakaṁ n'atthi. : 이 연못에는 물이 없다.
Ÿ na aññāsi? : (너는) 몰랐었냐?
Ÿ seṭṭhinā saddhiṁ kathetuṁ na sakkomi. : (나는) 은행원과 더불어 대화하기 불가능하다.
② 'na'는 원망법(pot.)의 동사와 함께 사용될 경우 '금지'의 의미를 지닌다.
Ÿ na hatthisālaṁ gaccheyya. : 코끼리 우리에 가서는 안 된다.
③ 'na'는 복합어의 앞단어로도 사용된다.
Ÿ na + āgamanaṁ > nāgamanaṁ : 도착하지 않음
Ÿ na + bhikkhu > nabhikkhu : 非僧 → 승려가 아닌 일반인, 또는 信徒
④ 부정을 의미하는 'na'가 중복될 경우엔 긍정을 나타낸다.
Ÿ bheriṁ na na vādeyyā(caus.pot.). : 북을 쳐서 안 되는 것은 아니다. → 북을 쳐도 된다.
나) no( . [negative & adversative particle] neither, nor, but not, surely not)
① 'na'와 동일한 용도로 사용된다.
Ÿ no janāti. : (그는) 모른다.
② 'no' 다음에 'na'가 뒤따를 경우에 강한 긍정을 나타낸다.
Ÿ saṅkhaṁ no na dhameyya(pot.). : (그는) 소라를 불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 (그는) 반드시 소라를 불어야 한다.
Ÿ no nappahoti. : (그는) 불가능하지 않다. → (그는) 충분히 가능하다.
2) 의문사
의문사로는 격조사를 취한 의문대명사 'kim'에서 轉用된 kasmā、 kissa、 kena、 ko 등이 사용되며, 아울러 의문조사인 'api'와 'nu' 등이 있다. 또한 의문을 나타내는 방식의 하나로 별도의 의문사가 사용되지 않은 채 동사를 문두에 놓는 것으로 의문문이 형성되기도 한다.
Ÿ socasi upāsaka? : 괴로운가? (그대) 신자여!
① kasmā( . where from? whence? why? wherefore?) < 'abl.' form < kim(pn. who)
② kissa( . why?, of what?) < 'gen.' form < kim(pn. who)
③ kena( . why?) < 'ins.' form < kim(pn. who)
Ÿ kena padena nessatha. : (그대들은) 어떤 자취를 통해 (그를) 뛰어넘을 것인가?
④ ko( . who? what?) < 'nom.' form < kim(pn. who)
Ÿ ko taṁ ninditum arahati. : 어떤 누가 그를 비난할 수 있겠는가!
Ÿ ko nātho paro siyā : 그 누가 다른 주인이 될 수 있겠는가!
⑤ api( . on, over, unto, close upon)99)
⑥ nu( . I wonder! Pray?)
(3) 감탄사(udgāra[interjection]) - 예문 보충[□].
하나의 감탄사가 사람을 부르거나 놀라움을 나타내거나 기쁨이나 슬픔을 나타내는 등의 표현 가운데 다수의 내용을 복합적으로 지닌 경우가 대부분이다.
① ahaha( . alas! oh! aho!)
② aho( . yea! indeed! well!; I say! for sure!)
* 유사한 감탄사와 결합되어 주로 사용된다. 'aho vata' : oh! ah!
'api' 및 'nu'의 상세내용은 '기타조사-기타접속사' 항목 참조.
③ are( . sirrah! I say! here!) - calling to inferiors; of anger; of envy
④ dhi( . shame! fie! woe!) = dhī( .)
⑤ bho( . friend! Sir! I say!)
Ÿ evaṁ bho purisa jānāhi : 오, 인간이여! (그대는) 그렇게 알라!
⑥ bhaṇe( . I say! To be sure! Look here!) - 백성에 대한 제왕의 훈령 등에 주로 사용된다.
Ÿ bhaṇe na kujjheyya. : (내가 분명히) 말하건대! 성을 내지 말아야 한다.
⑦ maññe( . methinks!)
Ÿ natthi maññe rāgasamo aggi. : 내가 생각건대, 애욕만한 불길은 존재하지 않는다.
⑧ he( . oh! eh! here!)
⑨ sādhu( . well! welldone,
very nice, brave; enough, away with)
Ÿ sādhu sotena saṁvaro. : 귀에 의한 자제는 좋은 것이다. → (무엇을) 들음에 신중해야 한다.
Ÿ na taṁ kammaṁ kataṁ sādhu. : 그 행위는 잘 시행된 것이 아니다.
(4) (기타) 불변화사(avyaya [indeclinable])
① 산스끄리뜨의 경우, 부사와 전치사 및 접속사 등을 포괄하는 전통적인 명칭은 '불변화사'이다.
빠니니문법서 에는 그 유형을 단어별로 분류하였고 그 해석서 등에는 유형별로 'svar'군의 주요군집 불변화사 86개를 비롯하여 특정 숫자의 불변화사가 언급되어 있다.
불변화사 avyaya[Indeclinable]
'svar'군집(svarādiclass) : 주요군집 - 86개 추가군집 - 16개 外
니빠따(nipāta)
'ca'군집(cādiclass) : 주요군집 - 74개 추가군집 - 40개 外
'pra'군집(prādiclass) - 20(22)개
기타 니빠따(restnipāta) - 00개 外
['svar'군 주요군집에 속하는 86개의 불변화사]
01. svar( . heaven), 02. antar( . between), 03. prātar( . a daybreak), 04. punar( . again), 05. sanutar( . secretly), 06. uccais( . aloft), 07. nīcais( . low), 08. śanais( . slowly), 09. ṛdhak( . separately), 10. ṛte( . except),
11. yugapat( . simultaneously), 12. ārāt( . near), 13. pṛthak( . severally), 14. hyas( . yesterday), 15. śvas( . tomorrow), 16. divā( . by day), 17. rātrau( . at night), 18. sāyam( . in the evening), 19. ciram( . for a long time), 20. manāk( . a little),
21. īṣat( . slightly), 22. joṣam( . according to one's wish), 23. tūṣṇīm( . in silence), 24. bahis( . out of), 25. avas( . below), 26. adhas( . below), 27. samayā( . duly), 28. nikaṣā( . near), 29. svayam( . oneself), 30. vṛthā( . in vain),
31. naktam( . at night), 32. nañ( . 'prohibition'), 33. hetau( . because of), 34. iddhā( . explicit), 35. addhā( . truly), 36. sāmi( . half), 37. vat( . 'likeness' or 'resemblance'), 38. sanā( . always), 39. sanat( . always), 40. sanāt( . always),
41. upadhā( . [用例없음]), 42. taras( . obliquely), 43. antarā( . in the interior), 44. antareṇa( . without), 45. jyok( . for a long time), 46. kam( . 'happiness'), 47. śam( . 'welfare'), 48. sahasā( . with force), 49. vinā( . without),
50. nānā( . in different places), 51. svasti( . 'may it be well with'), 52. svadhā( . an exclamation used in offering oblations to the ancestors [w/dat.]), 53. alam( . enough), 54. vaṣaṭ( . an exclamation used on making an oblation to a deity), 55. śrauṣaṭ( . an exclamation used on making an oblation to a deity), 56. vauṣaṭ( . an exclamation used on making an oblation to a deity), 57. anyat( . besides), 58. asti( . being), 59. upāṁśu( . 'in low voice or whisper'),
60. kṣamā( . forgiveness), 61. vihāyasā( . sky), 62. doṣā( . at night), 63. mṛṣā( . falsely), 64. mithyā( . falsely), 65. mudhā( . in vain), 66. purā( . in former time), 67. mitho( . in private), 68. mithas( . mutually), 69. prāyas( . mostly),
70. muhus( . often), 71. pravāhukam( . at the same time), 72. pravāhikā( . at the same time), 73. āryahalam( . forcibly), 74. abhīkṣṇam( . frequently),
75. sākam( . together with), 76. sārdham( . together with), 77. namas( . a bow), 78. hiruk( . without), 79. dhik( . 'shame' 'what a pity'),
80. atha( . here, now), 81. am( . quickly), 82. ām( . yes), 83. pratām( . exhaustion), 84. praśān( . equal), 85. mā( . a particle of prohibition usually joined with the Imperative), 86. māṅ( . prohibition).
② 빠알리의 경우, 산스끄리뜨의 불변화사에 기반으로 그 변형까지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약 2백여 개의 불변화사가 사용된다.
'수행. 정진 > 빨리어 문법, 용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장의 구성 (0) | 2016.07.26 |
---|---|
복합어 (0) | 2016.07.26 |
부사와 조사(접미사 - 동사접미사) (0) | 2016.07.26 |
부사와 조사(전치사) (0) | 2016.07.26 |
수사 (0) | 2016.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