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8 장 복 합 어
12. 복합어 개요
1. 복합어 개요
(1) 복합어(samāsa[compounds]) 비교
1) 복합어 기본내용
① 복합어는 앞단어(pūrvapada)와 뒷단어(uttarapada) 최소 2단어로 구성된다. 일부 복합어의 경우 둘 이상의 단어로 구성된 경우도 있지만 내용상 2단어群으로 귀결될 수 있다.
② 복합어의 마지막 단어만 格의 형태를 취하며, 마지막 단어를 제외한 단어들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복합어 내에서 格조사가 탈락된 상태인 원형으로 사용된다.
Ÿ 未脫落복합어(Aluttasamāsa) : 앞단어이면서 격조사가 탈락되지 않은 경우의 복합어.
③ 복합어 내에서 연결되는 단어간에는 반드시 연성(sandhi)이 적용된다.
④ 동사를 제외한 모든 형태의 단어에서 복합어가 구성요소로 사용된다.
2) 복합어 분류
복합어는 앞단어와 뒷단어 가운데 어느 것이 '중심어'인가에 따라 그 종류가 나뉘어지는데, 어느 것이 '중심어'인지는 어느 단어가 동사와 직접 연관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Ÿ ahaṁ rājāgāraṁ passāmi | → [나는 왕궁을 본다.]
복합어 '왕+궁'에서 '본다'라는 동사는 '왕'이 아닌 '궁'과 연결되므로 '궁'이 중심어이다.
가) 前方복합어(abyayibhāva[avyayībhāva]samāsa) : 不變化복합어, 隣近釋
앞단어가 중심어이며, 앞단어가 불변화사로 된 복합어.
나) 後方복합어(tappurisa[tatpuruṣa]samāsa) : 格限定복합어, 依主釋
뒷단어가 중심어이며, 앞뒤 단어가 주격조사 이외의 조사로 연결된 경우의 복합어
다) ▷同格後方복합어(kammadhāraya[karmadhāraya]samāsa) : 同格限定복합어, 持業釋(지업석)
* 隣近釋(인근석) : 복합사 앞부분의 단어는 항상 副詞나 관계사 등의 不變化詞이다. 如(yathā)法(vidhi) = 법과 같이, 법을 좇아서. '隣近釋'이라 이름하는 까닭은, 思念處는 慧를 體로 하지만 念에 가깝기 때문에 念處라 하는 것과 같이, 실제로 그것은 아닌데 가까운 것에 따라서 이름을 붙인 경우이기 때문이다.
* 依主釋 : 복합사 앞부분은 명사 또는 명사와 같이 보아야 하며, 이것이 뒷부분에 대해서 항상 格의 관계를 가지는 것. 山水(산의 물), 山寺, 王臣 等.
* 기본형식이 '앞단어+뒷단어'인 복합어의 두 단어 가운데 중심어가 어느 것인가에 따른 분류법에 의하면 기본적인 뒷단어(간혹은 앞단어)가 중심어이며, 앞뒤 단어 모두 주격조사를 취하는 경우의 복합어.
라) ▷ 數詞後方복합어(digu[dvigu]samāsa) : 數詞限定복합어, 帶數釋
앞단어가 숫자이고 뒷단어가 중심어이며, 앞뒤 단어가 모두 주격조사를 취하는 경우의 복합어.
마) 雙方복합어(dvanda[dvanda]samāsa) : 竝列복합어, 相違釋
앞・뒷단어가 모두 중심어이다.
바) 所有복합어(bahubbīhi[bahuvrīhi]samāsa) : 所有복합어, 有財釋
앞・뒷단어 이외 제3의 단어가 중심어로서 복합어는 그 단어의 형용사로 사용된다.
3) 동일한 모습의 복합어라도 복합어별의 적용에 따라 차별된 의미를 지닌다.
동일한 문장에 대한 後方복합어와 所有복합어의 의미적인 차이는, 베딕산스끄리뜨에서는 단어의 뒷부분에 '强勢(udāttaḥ[high pitch])'를 둠으로써 後方복합어임을 나타내며, 그리고 단어의 앞부분에 '强勢(udāttaḥ[high pitch])'를 둠으로써 所有복합어임을 나타낸다.
Ÿ [後方] so(pn. .nom.) indra+sattuḥ( .nom.) → [그는 인드라를 죽인 자이다.]
[所有] so(pn. .nom.) indra+sattuḥ( p.→ .nom.) → [그는 인드라에 의해 죽었다.]
Ÿ [後方] passate(pres.Ⅲ.sg.) purisaṁ( .acc.) brahma+yonim( np.acc.) → [(그는)
브라흐만의 源泉인 個體我를 본다.]
[所有] passate(pres.Ⅲ.sg.) purisaṁ( .acc.) brahma+yonim( .→ .acc.) → [(그는)
源泉이 브라흐만인 個體我를 본다.]
4) 복합어의 앞단어와 뒷단어는 반드시 연성(saṁdhi)이 적용된다.
일반문장은 연성적용이 선택적이나 복합어는 필수적이다.
Ÿ [일반문장] gahasya aggataḥ |or| gahasyāggataḥ → [집의 前面]
Ÿ [복합어문] gaha+aggataḥ > gahāggataḥ → [집의 前面]
(2) 복합어 비교예문
1) 漢文
① 她生活'如王' → [그녀는 '왕처럼' 생활한다.] - 前方복합어
② 她愛'王宮' → [그녀는 '왕의 궁전'을 좋아한다.] - 後方복합어
Ÿ 她愛'覇王' → [그녀는 '패권을 지닌 왕'을 좋아한다.] - ▷同格後方복합어
Ÿ 她愛'二王' → [그녀는 '두 번째 왕'을 좋아한다.] - ▷數詞後方복합어
③ 她愛'王宮' → [그녀는 '왕과 궁전을' (모두) 좋아한다.] - 雙方복합어
④ 她愛'王宮'人→ [그녀는 '왕궁에 사는' 사람을 좋아한다.] - 所有복합어
2) 빠알리어
유형은 모두 4가지로 나눠지며, '동격후방복합어'와 '수사후방복합어'는 '후방복합어'의 하위단위로 분류된다.
* 持業釋 : 복합사 앞부분이 뒷부분에 대해 형용사나 부사 또는 同格의 명사인 관계를 가지는 것. 따라서 뒷부분의
단어는 항상 형용사이나 명사이다. 高山, 極遠 等. ▷ 두 단어가 합성해서 한 단어가 다른 한 단어를 형용하는 경우 그 두 단어가 동격(同格)이 되는 복합어 구성의 해석 방식.
* 帶數釋 : 복합사 앞부분의 말이 數詞이고 聚合의 의미를 지니는 것. 三界, 四方 等.
* 相違釋 : 2개 이상의 명사를 대등한 관계에서 독립적으로 열거한 것. 山水(산과 물), 草木 等.
* 有財釋 : 복합사 전체가 형용사의 작용을 하고 있는 것.
① su+vimuttaṁ gacchati. → [그는 완전히 자유롭게 떠났다.] - 前方복합어
② sampanna+sīlānaṁ hoti. → [완벽한 계율이 존재한다.] - 後方복합어
Ÿ sā khattiya+kumarī. → [그녀는 끄샤뜨리야 계급인 소녀다.] - ▷同格後方복합어
Ÿ catu+bhāgaṁ labhate. → [그는 네 번째 부분을 얻었다.] - ▷數詞後方복합어
③ vaṇṇa+gandhaṁ aheṭhayo. → [빛깔과 향기를 해치지 않는다.] - 雙方복합어
④ anatthapada+saṁhitā vācā → [의미없는 단어로 결합된 말들] - 所有복합어
2. 복합어 유형
(1) 전방前方복합어(abyayibhāva samāsa) : 隣近釋 - Ⓢ.avyayībhāva
1) 표준형식 : [A(불변화사)+B(명사)]
① A는 불변화사로 되어 있으며, B는 명사로 되어 있다.
② 일반적으로 전체가 '중성・목적격・단수( .acc.sg.)'형을 갖추어 부사나 불변화사로 사용된다.
2) 일반내용 및 예문
① 뒷단어의 말음이 음소 'ā'인 경우 'aṁ'으로 대체되며, 여타의 장음인 경우엔 단음으로 대체된다.
Ÿ upagaṅgaṁ(adv. near the Ganges) < upa( .) + gaṅgāyaṁ( .loc.)
Ÿ upanagaraṁ(adv. near the town) < upa( .) + nagaraṁ( .acc.)
Ÿ upagu(adv. close the cows) < upa( .) + gunnaṁ( .gen.pl.)
'go'의 모음 'o'는 장음으로 취급되며, 단음 'a、i、u' 가운데 음운상 가장 근접한 'u'로 대체된다.
Ÿ anurathaṁ(adv. behind the chariot) < anu( .) + rathe( .loc.)
Ÿ yāvajīvaṁ(adv. as long as life lasts) < yāva( .) + jīvā( .abl.)
Ÿ antopāsādaṁ(adv. within the palace) < anto( .) + pāsādassa( .gen.)
Ÿ anuvassaṁ(adv. year after year, every year) < anu( .) + vassaṁ( .acc.)
Ÿ yathābalaṁ(adv. according to [one's] power) < yathā( .) + balena( .ins.)
Ÿ pativātaṁ(adv. against the wind) < pati( .) + vātaṁ( .acc.)
Ÿ tiropabbataṁ(adv. across the mountain) < pabbatassa( .gen.) + tiro( .)
Ÿ uparipabbataṁ(adv. upon the mountain) < pabbatassa( .gen.) + upari( .)
Ÿ upanadi(adv. near the stream) < nadiyā( .gen.) + samīpe( .)
Ÿ paṭisotaṁ(adv. against the stream) < sotassa( .gen.) + paṭilomaṁ(adv. opposite)
Ÿ adhogaṅgaṁ(adv. below the Ganges) < gaṅgāya( .gen.) + adho( .)
Ÿ upavadhu(adv. near [his] wife) < upa( .) + vadhū( .acc.pl.)
② 일부의 경우 복합어의 해석에 적용된 격조사가 그대로 복합어에 남겨지기도 하는데, 대부분의 경우 분리격(abl.)이나 처소격(loc.)이 그에 해당되며, 그러한 격조사가 복합어에서 목적격(acc.)으로 대체되더라도 의미는 동일하다. 분리격의 조사를 복합어에서 그대로 지니는 경우는 앞단어인 불변화사가 pari、apa、ā、bahi、yāva 등일 경우에 해당된다.
Ÿ yāvajīvaṁ( .acc.→adv.) |or| yāvajīvā( .abl.→adv.)107) : as long as life lasts.
Ÿ apapabbataṁ( .acc.) |or| apapabbatā( .abl.) : away from the mountain.
Ÿ bahigāmaṁ( .acc.) |or| bahigāmā( .abl.) : outside the village.
Ÿ ābhavaggaṁ( .acc.) |or| ābhavaggā( .abl.) : to the highest state of existence.
Ÿ purāruṇaṁ(adv. before daylight) |or| purāruṇā( .abl.) < aruṇamhā( .abl.) + pure
Ÿ pacchābhattaṁ( .acc.) |or| pacchābhattā( .abl.) : after meal.
Ÿ tiropabbataṁ( .acc.) |or| tiropabbatā( .abl.) |or| tiropabbate( .loc.) : beyond …
Ÿ anto avīcimhi( .loc.) : in hell. < anto( .) + avīci( .) + mhi(
loc.)
* 'anto avīcimhi'는 하나의 복합어로 간주된다.
Ÿ anutīre( .loc.) : along the bank.
Ÿ bahisāṇiyaṁ( .loc.) : outside the curtain.
(2) 후방後方복합어(tappurisa samāsa) : 依主釋 - Ⓢ.tatpuruṣa
(가) 개요
1) 표준형식 : [A(명사)+B(명사/분사)]
① A는 명사로 되어 있고 B는 명사 또는 분사로 되어 있으며, A・B단어 가운데 B가 중심어이다.
② A는 내용상 주어격과 호칭격을 제외한 여타격조사를 지닌 채 B를 설명・한정하며, 전체가 명사 또는 轉用명사로 사용된다.
Ÿ A・B단어가 모두 주어격이면 '同格後方복합어(kammadhārayatappurisasamāsa)'에 속한다.
2) 일반내용
① 앞단어의 격은 복합어에서 탈락된다.
② 일부의 경우 앞단어의 격 또한 탈락되지 않는다. ☞ 未脫落복합어(Aluttasamāsa)
③ 끝음이 'ar'인 명사(Ⓢ의 ṛ)가 복합어의 앞단어로 올 경우 마지막 음소 'r'은 탈락된다.
Ÿ mātapitaro( .nom.pl. parent) < mātar( . mother) + pitar( . father)
④ 끝음이 'an'인 명사가 복합어의 앞단어로 올 경우 마지막 음소 'n'은 탈락된다.
Ÿ rājāgāra( . a king's house) < rāja + āgāra < rājā( . king)108) + agāra( . house)
⑤ 일반적으로 복합어 전체의 格은 내용상 중심어인 뒷단어의 格을 따른다.
(나) 후방복합어의 유형
목적격부터 처소격에 이르기까지 모두 여섯 가지의 格別후방복합어가 존재한다.
1) 제2後方복합어(dutiyatappurisasamāsa) : 앞단어가 목적격(acc.)인 후방복합어
Ÿ araññagato < araññaṁ( .acc.) + gato : 숲으로 간 사람
Ÿ sukhappatto < sukhaṁ( .acc.) + patto : 기쁨을 얻은 이
Ÿ saccavādī < saccaṁ( .acc.) + vādī : 진실을 말하는 이
Ÿ kumbhakāro < kumbhaṁ( .acc.) + kāro : 그릇을 만드는 이
' .acc.sg.' 형은 물론 'abl.sg.'형과 'loc.sg.'형 또한 그 자체로 부사(adv.)로 사용된다.
빠알리의 'rājā'는 산스끄리뜨의 'rājan'에 해당한다. 자음이 단어의 말음이 되지 못하는 빠알리의 관습에 따라 주어격 단수형인 'rājā'를 표제어로 취급하지만 실제로는 'rājan'인 까닭에 음소 'n'이 탈락된 것으로 간주된다.
Ÿ pattagāho < pattaṁ( .acc.) + gāho : 사발을 가진 자
Ÿ atthakāmo < atthaṁ( .acc.) + kāmo : 이득을 바라는 이
2) 제3後方복합어(tatiyatappurisasamāsa) : 앞단어가 도구격(ins.)인 후방복합어
Ÿ buddhabhāsito < buddhena( .ins.) + bhāsito : 붓다에 의해 설해지다.
Ÿ viññugarahito < viṇñūhi( .ins.pl.) + garahito : 賢人들에 의해 비난받다.
Ÿ sukāhaṭaṁ < sukehi( .ins.pl.) + āhaṭaṁ : 앵무새들에 의해 옮겨졌다.
Ÿ jaccandho < jātiyā( .ins.) + andho : 胎生에 의해 눈 먼이
Ÿ urago < urena( .ins.) + go : 가슴으로 (땅을) 기어가는 것 → 뱀
Ÿ pādapo < pādena( .ins.) + po : 발로 (물을) 마시는 것 → 나무
3) 제4後方복합어(catutthītappurisasamāsa) : 앞단어가 시여격(dat.)인 후방복합어
Ÿ saṅghabhattaṁ < saṅghassa( .dat.) + bhattaṁ : 僧家를 위한 먹거리
Ÿ buddhadeyyaṁ < buddhassa( .dat.) + deyyaṁ : 붓다를 위한 공양
Ÿ rājārahaṁ < rañño( .dat.) + arahaṁ : 왕을 위해(→왕에게) 가치가 있는 것
v 앞단어가 부정사이고 뒷단어가 'kāmo(원하는)'일 경우 시여격의 의미로 연결된다.
Ÿ kathetukāmo < kathetuṁ(inf.) + kāmo : 말하기 원하는(←말하기 위해 원하는)
Ÿ sotukāmo < sotuṁ(inf.) + kāmo : 듣기 원하는(←듣기 위해 원하는)
Ÿ gantukāmo < gantuṁ(inf.) + kāmo : 가기 원하는(←가기 위해 원하는)
4) 제5後方복합어(pañcamītappurisasamāsa) : 앞단어가 분리격(abl.)인 후방복합어
Ÿ nagaraniggato < nagaramhā( .abl.) + niggato : 도시로부터 떠난 이
Ÿ rukkhapatito < rukkhasmā( .abl.) + patito : 나무에서 떨어진 이
Ÿ corabhīto < coramhā( .abl.) + bhīto : 도둑으로부터(→때문에) 두려워하는 이
Ÿ pāpabhīruko < pāpato( .abl.) + bhīruko : 죄악으로부터(→때문에) 두려워하는 이
Ÿ bandhanamokkho < bandhanasmā( .abl.) + mokkho : 속박으로부터 자유로운 이
5) 제6後方복합어(chaṭṭhatappurisasamāsa) : 앞단어가 소유격(gen.)인 후방복합어
* 후방복합어 가운데 앞・뒷단어가 소유격으로 연결되는 것이 가장 보편적이다.
* 말음이 'ī' 또는 'ū'인 단어가 앞단어로 올 경우 복합어에서 短音化된다.
* 밤을 의미하는 단어 'ratti'의 경우 후방복합어의 뒷단어로 올 경우 'rattaṁ'형을 취한다.
Ÿ rājaputto < rāñño( .gen.) + putto : 왕의 아들 → 왕자
Ÿ dhaññarāsi < dhāññānaṁ( .gen.pl.) + rāsi : 곡식들의 무더기
Ÿ naditīraṁ < nadiyā( .gen.) + tiram : 강(nadī)의 둔덕
Ÿ bhikkhunīsaṅgho < bhikkunīnaṁ( .gen.pl.) + saṅgho : 비구니들의 僧家
* 복합어의 앞뒤단어가 모두 여성형일 경우 앞단어는 남성형으로 대체된다.
Ÿ naruttamo < narānaṁ( .gen.pl.) + uttamo : 인간들의(→인간들 가운데) 최상인 자.
6) 제7後方복합어(sattānitappurisasamāsa) : 앞단어가 처소격(loc.)인 후방복합어
Ÿ araññavāso < araññe( .loc.) + vāso : 숲에 사는 이
Ÿ dānajjhāsayo < dāne( .loc.) + ajjhāsayo : 布施에 집착하는 이
Ÿ dhammarato < dhamme( .loc.) + rato : 法에 흔쾌한 이
Ÿ vanacaro < vane( .loc.) + caro : 숲속을 거니는 이
Ÿ pabbataṭṭho < pabbatasmiṁ( .loc.) + ṭho : 산 위에 서있는 이
(다) 변형적인 후방복합어들
1) 變形후방복합어(upapadatappurisasamāsa)
동사에서 轉用된 어떤 단어가 변형된 모습을 취한 까닭에 하나의 독립된 단어로 사용될 수 없지만 복합어의 구성요소인 뒷단어로 사용된 경우, 그것을 '변형후방복합어'라 일컫는다.
① 동사어근에 접미사가 첨부되어 변형된 모습으로 형성된 단어를 'kita(또는, kitanta)'라 일컫는다.
② 'kita' 가운데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없는 단어는 '그 앞의 단어(upapada)'를 필요로 한다.
③ 'kita'와 'upapada'가 결합된 복합어를 變形後方복합어(upapadatappurisa
samāsa)라 한다.
④ 'dhara[←√dhar+a]' 등과 같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kita'가 뒷단어로 사용되었을 경우 그 복합어는 제6後方복합어(chaṭṭhatappurisasamāsa)가 된다.
Ÿ atthakāma( . wishing for the welfare) < atthaṁ + kāma < √kam(1. to wish)
√kam > kāmayate(pres.Ⅲ.sg.) > kāma( .[comp.] one who desires) - 'kita'
√kam + a「ṇ」 > kam+a「ṇ」 > kām+a > kāma( . wish) - 독립된 단어로 사용가능.
Ÿ kumbhakāra( . a potmaker) < kumbhaṁ + kāra < √kar(6. to make)
Ÿ pattagāha( . receiver of the bowl) < patta + gāha < √grah(5. to seize)
Ÿ brahmacārī( . he who leads the higher life) < brahmaṁ + cārī < √car(1. to go)
* √car + in > cār+in > Ⓢ.cārin = Ⓟ.cārī
Ÿ dhammaññū( . he who knows the Law) < dhammaṁ + ñū < √ñā(5. to know)
Ÿ uraga( . gong on the breast, a snake) < ureṇa + ga < √gam(1. to go)
* √gam + a「ṇ」 > ga+a「ṇ」 > g+a > ga
Ÿ paṅkaja( . lotus[←born in mud]) < paṅke + ja < √jan(3. to be born)
* √jan + a「ṇ」 > ja+a「ṇ」 > j+a > ja
Ÿ antevāsika( . a resident pupil) < ante + vāsika < √vas(1. to live)
* √vas + in > vāsin → vāsin + ka > vāsika
Ÿ pādapa( . a tree) < pādena( .ins.) + pa < √pā(1. to drink)
Ÿ pabbataṭṭho < pabbatasmiṁ( .loc.) + ṭho < √ṭhā(1. to stand)
2) 省略후방복합어(madhyamapadalopītappurisasamāsa)
① 복합어의 의미상 반드시 존재하는 내용에 해당되는 단어가 생략된 경우의 후방복합어.
Ÿ guḷodana( . 糖蜜로 비빈 쌀밥) < guḷena saṁsaṭṭho odano
* [쌍방복합어] guḷodanā( .nom.pl. 糖蜜과 쌀밥) < guḷo ca odano ca
Ÿ assartha( . 말에 멍에 한 수레[←말에 엮은 수레]) < assena yutto ratho
* [쌍방복합어] assarthā( .nom.pl. 말과 수레) < asso ca ratho ca
② 이미 복합어로 형성되어 있는 앞단어가 새로운 뒷단어와 결합하며 기존의 뒷단어 부분이 생략되는 경우의 후방복합어.
Ÿ devamanussā( .nom.pl. 聖人들[←신과 같은 사람들]) < deva'samāna' + manussā < deva+samānā( .→ .nom.pl.) + manussā( .nom.pl.)
* [쌍방복합어] devamanussā( .nom.pl. 신과 사람들) < devā ca manussā ca
Ÿ sākarājā( . 채식을 좋아하는 왕) < sāka'priya' + rājā < sākapriya( . 채식을 좋아하는) < sāka( . a vegetable) + priya( . pleasing) + rājā( . a king)
3) 倒置후방복합어 - 불규칙적인 후방복합어이다.
의미상 복합어의 앞단어로 위치해야 할 단어가 뒷단어로 오는 경우의 복합어.
Ÿ rājahaṁso < haṁsānaṁ( .gen.pl.) + rājā : 백조들의 왕
동사에서 전용되어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없이 단지 복합어의 뒷단어로 사용되는 단어의 경우 사전에 'at the end of comp.' 또는 'comp.'라고 표기되어 있다.
* 'rājahaṁso'는 'haṁsarājā'로도 사용된다.
4) 未脫落후방복합어(aluttatappurisasamāsa)
앞단어의 격조사가 탈락하지 않은 복합어.
Ÿ pabhaṅkaro < pabhaṁ( .acc.) + karo : 빛을 만드는 것 → 태양
* pabhā( . light, radiance, shine) > pabhaṁ( .acc.)
Ÿ parassapadaṁ < parassa([ .→] .gen.) + padaṁ : 다른 이를 위한 말 → 남말( .)
Ÿ attanopadaṁ < attano( .dat.) + padaṁ : 자신을 위한 말 → 제말( .)
Ÿ kutojo < kuto( .) + jo : 어디로부터 생겨났는가?
Ÿ antevāsiko < ante( .loc.) + vāsiko : 안에 거주하는 이 → 스승의 宅內 기거하는 제자
Ÿ urasilomo < urasi( .loc.) + lomo : 가슴에 털이 있는 이
(라) 형용사로 사용되는 후방복합어(tuppurisa)와 소유복합어(bahubbīhi)의 차이
1) 후방복합어와 소유복합어 관련예문
가) 형용사로 사용된 후방복합어 예문
① kappanādītaḥ([tcp.] .→ .nom.) vicāraḥ( .nom.) mama manasi jātaḥ( p.→ .nom.) : '상상을 뛰어넘는' 생각이 나의 마음에 일어났다.
② ahaṁ sivaputtaṁ([tcp.] .→ .acc.) gāṇesaṁ( .acc.) vande(perf.Ⅰ.sg.) : 나는 '쉬와의 아들인' 가네쉬에게 경배드립니다.
나) 형용사로 사용된 소유복합어 예문
① cakkapāṇiḥ([bcp.] .→ .nom.) amitto( .nom.) amhehi hanati(pres.Ⅲ.sg.) : '손에 원반날彈을 든(←원반날彈+손)' 적군이 우리들에 의해 살해되었다.
② ahaṁ gajānanaṁ([bcp.] .→ .acc.) gāṇesaṁ( .acc.) vande(perf.Ⅰ.sg.) : 나는 '코끼리얼굴을 한(←코끼리+얼굴)' 가네쉬에게 경배드립니다.
2) 후방복합어와 소유복합어 차이점
① 후방복합어는 뒷단어가 중심어이나 소유복합어는 중심어가 존재하지 않는다.
Ÿ 상상을 뛰어넘은 : 어떤 것이 상상을 뛰어넘었다. → '뛰어넘다'가 중심어.
Ÿ 손 + 날탄 : 손이 날탄이다.(同格), 손과 날탄(雙方), 날탄처럼 생긴 손(同格), 손모양처럼 생긴 날탄(同格), 손에 날탄을 든 [어떤 사람](所有).
② 후방복합어는 동사와 직접/간접적인 연관이 있으나 소유복합어는 동사와 연관이 없다.
Ÿ 쉬와의 아들인 가네쉬에게 경배드리다. : 쉬와에게 경배드리다.[O]
Ÿ 코끼리얼굴을 한 가네쉬에게 경배드리다. : 코끼리얼굴에게 경배드리다.[☓]
③ 후방복합어는 형용하는 명사의 전체를 대변할 수 있으나 소유복합어는 부분만 대변한다.
Ÿ 쉬와의 아들인 가네쉬를 숭배한다. → 가네쉬, 쉬와의 아들인데, 그를 숭배한다. → 쉬와의 아들을 숭배한다.[O]
Ÿ 손에 원반날탄을 든 위싀누 → 위싀누, 그는 손에 원반날탄을 들고 있다, 그를 나는 숭배한다. → 손에 원반날탄을 들고 있는 자를 나는 숭배한다.[☓]
④ 후방복합어는 앞・뒷단어를 格으로 연결하여 해석할 수 있으나 소유복합어는 불가능하다.
Ÿ '쉬와의 아들인' 가네쉬 : ‘쉬와의 아들이다.’라는 한 가지 경우만 가능.
Ÿ '손 원반날탄' 위싀누 : 손이 원반날탄인, 손에 원반날탄이 있는, 손으로부터
원반날탄이… 등 가운데에서 제3단어와의 관계에 의거해서 하나가 선택된다.
⑤ 후방복합어는 제3의 단어를 주로 단순한 형용사로서 수식해주는 반면, 소유복합어는 제3의 단어를 주로 동격의 성격을 갖춘 형용사節로서 수식해준다.
Ÿ 쉬와의 아들인 가네쉬 : '쉬와의 아들'과 '가네쉬'는 동격의 성격을 지닌다.
Ÿ 코끼리얼굴을 한 가네쉬 : '코끼리얼굴'은 가네쉬와 동격이 아닌 단순한 형용사이다.
(3) 동격同格복합어(kammadhāraya samāsa) : 持業釋 - Ⓢ.karmadhāraya
또는 '同格後方복합어(kammadhārayatappurisasamāsa)'로도 불린다.
(가) 개요
1) 표준형식 : [A(명사/형용사)+B(명사/형용사)]
① 명사 또는 형용사로 된 A와 B는 모두 의미상 주어격을 취하고 있으며, 대개는 B가 중심어이다.
② A가 B를 한정하지만 A와 B와의 사이에 格관계가 존재하지 않으며, 복합어 전체의 格은 B(또는 내용상 중심어)의 格을 따른다.
2) 일반내용
① 모두 여성형인 앞・뒷단어가 결합될 때 앞단어의 여성어미는 남성어미로 대체된다.
Ÿ khattiyakumarī < khattiyā + kumarī : 끄샤뜨리야 계급인 소녀
v 그러나, 앞단어가 고유명사일 경우엔 남성어미로 대체되지 않는다.
Ÿ nandāpokkharaṇī < nandā + pokkharaṇī : '난다'연못 ← 여인 '난다'의 연못
② 전치사 'ku( . bad, little)'는 자음 앞에서 'ka'로, 모음 앞에서 'kad'으로 대체된다.
③ 전치사 'na( . not)'는 자음 앞에서 'a'로, 모음 앞에서 'an'으로 대체된다.
④ 단어 'puma( . a male)'의 경우 복합어에서 말음 'a'가 탈락된 'pum'의 형태를 취한다.
⑤ 단어 'santa( . good)'의 경우 복합어에서 'sa'의 형태를 취한다.
* 'santa'는 '√as'의 현재분사형이며, 또 다른 현재분사형으로 'saṁ'이 있다.
⑥ 단어 'mahanta( . great)'의 경우 복합어에서 성의 여하를 불문하고 'mahā'의 형태를 취하며, 겹자음이 뒤따를 경우엔 'maha'의 형태를 취한다.110)
Ÿ mahāmuni( .) < mahanto + muni( .) : 위대한 성인
Ÿ mahāpaṭhavī( .) < mahatī + paṭhavi( .) : 거대한 땅 → 大地
(나) 동격복합어의 유형
동격복합어는 모두 아홉 유형으로 나뉜다.
1) 형용사가 앞단어인 동격복합어(visesanapubbapada kammadhāraya)
앞단어가 뒷단어를 형용하거나 한정하는 경우의 동격복합어.
Ÿ mahāpuriso < mahanto( .→ .nom.) + puriso( .nom.) : 偉人
Ÿ mahānadī < mahantī( .→ .nom.) + nadī( .nom.) : 거대한 강
Ÿ mahabbhayaṁ < mahantaṁ( .→ .nom.) + bhayaṁ( .nom.) : 극심한 熱
Ÿ kaṇhasappo < kaṇho( .→ .nom.) + sappo( .nom.) : 검은 뱀
Ÿ nīluppalaṁ111) < nīlaṁ( .→ .nom.) + uppalaṁ( .nom.) : 푸른 연꽃
모든 短音은 겹자음(conjunctconsonant) 앞에 놓일 때 운율상 長音으로 취급된다.
2) 형용사가 뒷단어인 동격복합어(visesanaparapada kammadhāraya)
뒷단어가 앞단어를 형용하거나 한정하는 경우의 동격복합어.
Ÿ naraseṭṭho < naro( .nom.) + seṭṭho( .→ .nom.) : 가장 연로한 이
Ÿ purisuttamo < puriso( .nom.) + uttamo( .→ .nom.) : 최고인 자
Ÿ buddhagosācariyo < buddhagoso( .nom.) + ācariyo( np.nom.) : 스승인 붓다고사
Ÿ sāriputtathero < sāriputto( .nom.) + thero( np.nom.) : 長老인 싸리뿟따
3) 형용사가 앞・뒷단어인 동격복합어(visesanobhayapada kammadhāraya)
앞・뒷단어가 모두 제3의 무엇을 형용하거나 한정하는 경우의 동격복합어.
Ÿ sītuṇhaṁ < sītaṁ (tañ ca) uṇhaṁ : 뜨겁고도 차가운 것
Ÿ khañjakhujjo < khañjo (ca so) khujjo : 절름발이면서 곱사등인 이
Ÿ andhabadhiro < andho (ca so) bhadhiro : 봉사면서 귀머거리인 이
Ÿ katākataṁ < kataṁ (ca taṁ) akataṁ : 되고도 되지 않은 것
4) 의도하는 바가 앞단어인 동격복합어(sambhāvanāpubbapada kammadhāraya)
뒷단어가 의미상 근거하는 바가 곧 앞단어인 경우의 동격복합어. 동격복합어의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문맥상 'iti(~라는)' 'thus(~라는)' 'evaṁ(그러한)' 'saṅkhāto(~라 일컫는)' 'hutvā(~가 된)' 등과 같은 유형의 단어들이 개입된다.
Ÿ hetupaccayo < hetu hutvā paccayo : 원인조건 < 원인이 된 조건
Ÿ aniccasaññā < anicca iti saññā : 虛相 < 無常이라는 생각
Ÿ hinasamato < hino hutvā samato : 낮은평등(→도루묵) < 낮은 것이 된 평등
Ÿ dhammabuddhi < dhammo iti buddhi : 法智 < 법이라는 지혜(→법에 근거한 지혜)
Ÿ attadiṭṭhi < attā iti diṭṭhi : 自我主義 < 自我라는 主義(→나만이 최고라는 주의)
5) 비유하는 것이 뒷단어인 동격복합어(upamānuttarapada kammadhāraya)
* upamāna(태양-비유하는것)+|같은|+upameya(붓다-비유되는것)
앞・뒷단어 간에 비유법의 관계가 존재하므로 'viya(~같은)'라는 단어가 개입된다.
Ÿ buddhādicco < ādicco viya buddho : 위대한 붓다(←붓다태양) < 태양 같은 붓다
Ÿ munisīho < sīho viya muni : 뛰어난 성인(←성인사자) < 사자 같은 성인
Ÿ munipuṅgavo < puṅgavo viya muni : 걸출한 성인(←성인황소) < 황소 같은 성인
Ÿ buddhanāgo < nāgo viya buddho : 최상인 붓다(←붓다코끼리) < 코끼리 같은 붓다
Ÿ saddhammaraṁsi < raṁsi viya saddhammo : 빛을 발하는 逸法 < 등불 같은 逸法
6) 앞단어가 뒷단어의 의미를 한정하는 동격복합어(avadhāranapubbapada kammadhāraya)
복합어를 분석(vigraha) 할 때 앞・뒷단어 사이에 'eva( . just, even)'가 삽입된다.
Ÿ guṇadhanaṁ < guṇo eva dhanaṁ : 정직재산 < 정직이 곧 재산인(→그의 재산은 정직이다.)
Ÿ sīladhanaṁ < sīlaṁ eva dhanaṁ : 도덕재산 < 도덕이 곧 재산인(→그의 재산은 도덕이다.)
Ÿ paññāsatthaṁ < paññā eva satthaṁ : 지혜검 < 지혜가 곧 劍인(→지혜라는 검을 가지다.)
Ÿ paññāpajjoto < paññā eva pajjoto : 지혜등 < 지혜가 곧 등불인(→지혜라는 등불을 지니다.)
Ÿ avijjāmalā < avijjā eva malaṁ : 무지얼룩 < 무지가 곧 얼룩인(→무지로 이뤄진 얼룩)
* nīla + uppala > nīl+uppala > nīluppala :【Ⓢ】구나(guṇa)연성이 적용되어 'nīloppala'가 되지만,【Ⓟ】음소 'a'로 끝나는 앞단어가 모음으로 시작되는 뒷단어와 연성할 때 주로 앞단어 말음 'a'가 탈락된다.
* 한글에서의 복합어 순서로는 '태양붓다' '사자성인' '황소성인' 등으로 표현된다.
* 복합어(samāsa)가 있으면 그것을 분리하여 의미를 해석하는 것을 '분석(vigraha)'이라 한다.
7) 전치사 'ku'가 앞단어인 동격복합어(kunipātapubbapada kammadhāraya)
* 전치사 'ku( . bad, little)'는 자음 앞에서 'ka'로, 모음 앞에서 'kad'으로 대체된다.
불변화사의 일종인 전치사 'ku'가 앞단어로 온다는 것은 전방복합어와 유사하나, 전방복합어가 부사로 사용되는 것에 반해 전치사는 형용사적 의미로 뒷단어를 수식해주는 역할을 한다.
Ÿ kuputo < ku( .) + putto : 나쁜 아들
Ÿ kadannaṁ < kad+annaṁ < ku( .) + annaṁ : 나쁜 먹거리
8) 전치사 'na'가 앞단어인 동격복합어(nanipātapubbapada kammadhāraya)
* 전치사 'na( . not)'는 자음 앞에서 'a'로, 모음 앞에서 'an'으로 대체된다.
Ÿ anariyo < an+ariyo < na( .) + ariyo : 비천한 자 < 고귀하지 않은 자
Ÿ anatikkamma < an+atikkamma < na( .) + atikkamma : 넘어서지 않고…
Ÿ anatthakāmo < an+atthakāmo < na( .) + atthakāmo : 이익을 바라지 않는 이
9) 전치사 'pā' 등이 앞단어인 동격복합어(pādipubbapada kammadhāraya)
Ÿ pāvacanaṁ < pa([←pakaṭṭho] .) + vacanaṁ : 뛰어난 말 → 붓다의 말
Ÿ pamukho < pa( .) + mukho : 뛰어난 얼굴 → 얼굴이 앞서있는 이 → 지도자
Ÿ atidevo < ati( . transcend) + devā : 최상인 神
Ÿ uddhammo < ud( . bad) + dhammo : 나쁜 法 → 非法
Ÿ sugandho < su( . good) + gandho : 좋은 냄새 → 향기
Ÿ dukkataṁ < du( . bad) + kataṁ : 나쁜 행위
(다) 기타내용
1) 동격명사로 복합어가 형성되었을 경우 동격복합어로 간주된다.
Ÿ vinayapiṭakaṁ < vinayo( np.nom.) + piṭakaṁ( .nom.) : '律'이라는 경전 → 律藏
Ÿ aṅgajanapadaṁ < aṅgaṁ janapadao : 'Bengal'이라는 지방
Ÿ magadharaṭṭhaṁ < magadhā raṭṭhaṁ : 'Magadhā'라는 왕국
Ÿ cittogahapati < citto gahapati : 'Citta'라는 집주인
Ÿ sakkodevarājā < sakko devarājā : 'Sakka'라는 神衆의 왕
(4) 수사數詞복합어(digu samāsa) : 帶數釋 - Ⓢ.dvigu
또는 '數詞後方복합어(digu[dvigu]tatpuruṣasamāsa)'로도 불린다.
(가) 개요
1) 표준형식 : [A(숫자)+B(명사)]
① 숫자로 된 A와 명사인 B가 결합하며, 대개는 뒷단어가 중심어이다.
② 복합된 단어는 중성단수( .sg.) 또는 여성단수( .sg.) 형성한다.
2) 일반내용
① 마지막 모음이 'a'가 아닌 일부단어의 경우 수사복합어의 뒷단어로 사용될 때 'a'로 대체된다.
② 앞단어로 오는 숫자는 반드시 어간의 형태로만 사용된다.
(나) 수사복합어의 유형
수사복합어는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1) 群集수사복합어(samāhāradigusamāsa)
형성된 복합어가 중성단수( .sg.)의 형태를 취한다.
Ÿ tilokaṁ( .sg. 三界), tiratanaṁ( .sg. 三寶), catusaccaṁ( .sg. 四聖諦)
Ÿ dvirattaṁ < dvi+ratta+ṁ < dvi + ratti : 두 밤
Ÿ pañcagavaṁ < pañca+gava+ṁ < pañca + gavo : 다섯 마리의 소로 이루어진 한 무리
Ÿ tivaṅgulaṁ < ti+|v|+aṅgula+ṁ < ti + aṅguli : 세 손가락
Ÿ navasataṁ < nava+sata+ṁ < nava + sata : 900
2) 非群集수사복합어(asamāhāradigusamāsa)
Ÿ tibhavā < ti + bhavā : '존재'의 세 가지 형태
Ÿ catudisā < catu + disā : 四方
Ÿ pañcindriyāni < pañc+indriyāni < pañca + indriyāni : 다섯 가지 감각기관
Ÿ sakaṭasatāni < sakaṭa + satāni : 1백乘의 수레
Ÿ dvisatasahassāni < dvi + sata + sahassāni : 20萬
v '비군집수사복합어'는 '복합어'가 아니라 단지 連聲으로 두 단어가 연결된 상태일 뿐이다.
Ÿ sakaṭasatāni < sakaṭa+satāni < sakaṭa(num. .→ .nom.pl.) + satāni( .nom.pl.)
Ÿ pañcindriyāni < pañca+indriyāni < pañca(num. .→ .nom.pl.) + indriyāni( .nom.pl.)
v 그러나 같은 형태라도 ' .sg.'형을 갖춘다면 '군집수사복합어'로서 정상적인 복합어가 된다.
Ÿ sakaṭasataṁ( .sg.) < sakaṭa(num. .→ .nom.pl.) + satāni( .nom.pl.)
Ÿ pañcindriyaṁ( .sg.) < pañca(num. .→ .nom.pl.) + indriyāni( .nom.pl.)
(5) 쌍방雙方복합어(dvanda samāsa) : 相違釋 - Ⓢ.dvanda
(가) 개요
1) 표준형식 : [A(명사)+B(명사)]
① A와 B 모두 명사로 이루어져 있고 형성된 복합어도 명사로 사용되며, 두 단어 모두 중심어이다.
② 문장에서 A와 B가 동등한 지위를 가지며 복합어의 格과 數는 그 내용에 따라 결정된다.
2) 일반내용
결합원칙 : 앞뒤 단어가 모두 중심어인 까닭에 그 배열에 적용되는 기준이 존재한다.
① 모음 'i' 또는 'u'로 끝나는 단어를 앞단어로 배치한다.
② 모음으로 시작하고 'a'로 끝나는 단어를 앞단어로 배치한다.
③ 보다 적은 음절을 지닌 단어를 앞단어로 배치한다.
④ 계급이나 年、季節、月、曜日 또는 별자리 등은 원래의 순서에 의거해 배치한다.
문법의 규칙상 하나의 단어 안에는 모음에 강세가 가해진 발음인 '우닷따(udātta)'가 하나만 존재한다. 그러므로 복합어 'pañcindriyaṁ'에는 우닷따가 하나인 반면, 'pañcindriyāni'에는 'pañca'와 'indriyāni'에 하나씩 모두 둘이다.
⑤ 長幼有序로 배치한다.
⑥ 중요도가 높은 단어를 앞단어로 배치한다.
나) 기타사항
① 모음 'ī' 또는 'ū'가 앞단어의 말음으로 올 경우 복합어형성 때 일반적으로 短音으로 대체된다.
② 앞단어가 여성어미를 지니고 있을 때 경우에 따라 남성어미로 대체되기도 한다.
③ 쌍방복합어는 相互雙方복합어와 群集雙方복합어의 두 유형으로 나뉜다.
(나) 쌍방복합어의 유형
1) 相互雙方복합어(itaretaradvandasamāsa)
둘 이상의 사물을 단순히 나열할 때 적용되는 복합어. 마지막 단어의 性과 전체 數를 적용한다.
Ÿ samaṇabrāhmanā( .nom.pl.) < samaṇā ca brāhmaṇā ca : 沙門들과 브라만들
Ÿ devamanussā( .nom.pl.) < devā ca manussā ca : 神衆과 인간들
Ÿ candimasuriyā( .nom.pl.) < candimā ca suriyo ca : 해와 달
Ÿ aggidhūmā( .nom.pl.) < aggi ca dhūmo ca : 불과 연기
2) 群集雙方복합어(samāhāradvandasamāsa)
구성물이 비록 몇 개로 이루어져있다 하더라도 하나처럼 움직여야 제 기능을 발휘하는 경우나 동시에 어떤 효력이 발생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복합어로서, 항상 중성단수( .sg.)를 취한다.
① 신체조직의 경우
Ÿ chavimaṁsalohitaṁ < chavi ca maṁsañ ca lohitañ ca : 피부와 속살과 피
Ÿ mukhanāsikaṁ < mukhañ ca nāsikā ca : 입과 코
Ÿ hatthapādaṁ < hatthā ca pādā ca : 손과 발
v 경우에 따라 相互쌍방복합어처럼 복수형을 취하기도 한다.
Ÿ hatthapādā < hatthā ca pādā ca : 손과 발
② 음악조직의 경우 : 악기들의 조합이나 연주자들의 조합
Ÿ vīṇāmutingaṁ < vīṇā ca mutingo ca : (피리) 위나와 (북) 무띵가
Ÿ mutingikapaṇavikaṁ < mutingikā ca paṇavikā ca : 무띵가연주자와 빠나와연주자
③ 군대조직(senāṅga)의 경우
Ÿ hatthassaṁ < hatthino ca assā ca : 코끼리들과 말들(로 이뤄진 군대) → 象馬軍
Ÿ hatthānikaṁ < hatthino ca ānikā ca : 코끼리들과 병졸들(로 이뤄진 군대) → 象兵隊
④ 쥐와 고양이 및 뱀과 몽구스 등 태생적인 관련이 있는 두 동물을 함께 지칭할 경우
Ÿ mūsikamajjāraṁ < mūsikā ca mjjārā ca : 쥐와 고양이
Ÿ ahinakulaṁ < ahi ca nakula ca : 뱀과 몽구스
⑤ 모기나 파리 등 하찮은 벌레들을 함께 지칭할 경우
Ÿ ḍaṁsamakkhikam < ḍaṁsā ca makkhikā ca : 모기와 파리
⑥ 항상 한 쌍을 이루고 있는 것을 지칭할 경우
Ÿ jarāmaraṇaṁ < jarā ca maraṇañ ca : 늙음과 죽음
Ÿ kusalākusalaṁ or kusalākusalā < kusalaṁ akusalañ ca : 선과 악
Ÿ vajjimallaṁ or vajjimallā < vajjī ca mallā ca : 밧지족과 말리족
(6) 소유所有복합어(bahubbīhi samāsa) : 有財釋 - Ⓢ.bahuvrīhi
(가) 개요
1) 표준형식 : [A(多樣)+B(명사)]
① A는 명사와 형용사 등 다양한 유형으로 구성되고 B는 명사이며, 제3의 단어가 중심어이다.
② 복합어가 제3의 단어를 수식하는 까닭에 수식하는 단어의 性과 格 및 數를 따른다.
Ÿ 복합어가 제3의 단어를 단순한 형용사로서 수식할 때 → 후방복합어 등에 속한다.
Ÿ 복합어가 제3의 단어를 형용사節로서 수식할 때 → 소유복합어에 속한다.
2) 일반내용
① 소유복합어는 제3의 단어를 수식하는 형용사節로 사용되는 까닭에 문장에서 '關係節'과 유사한 형태를 지닌 채 제3의 단어를 수식하는 형용사로 사용된다.
② 모든 유형의 복합어는 형용사로 사용될 때 외형적으론 소유복합어와 유사하게 제3의 단어를 수식하지만 특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본래의 복합어성격이 유지된다. 소유복합어는 그것이 수식하는 제3의 단어에 대해 '형용사'로서 연결이 되지만, 기타복합어들이 형용사로 사용될 경우엔 주로 '동격명사'의 성격으로 제3의 단어와 연결된다.
Ÿ nahātānulitto[同格] : 목욕하고 기름 바른 (이) nahātānulitto[동격.] puriso : 목욕하고 기름을 바른 사람
'nahātānulitto'는 'nahāta'와 'anulitta'의 동격복합어이다. 'nahātānulitto puriso'에서 'nahātānulitto'는 동격복합어로서 'puriso'의 형용사로 사용된 것일 뿐 소유복합어는 아니다.
Ÿ kusalākusalaṁ[雙方] : 좋고 나쁨 kusalākusalāni[쌍방.] kammāni : 좋고 나쁜 행위들
Ÿ buddhabhāsitaṁ[제3後方] : 붓다에 의해 (설해진) 말씀 buddhabhāsito[후방.] dhammo : 붓다에 의해 말씀되어진 法
Ÿ sotukāmaṁ[제2後方] / sotukāmaṁ[同格] : 듣기를 바람 / 듣는 것이라는 바람
sotukāmo[후방.] jano : 듣기를 바라는 사람
sotukāmo[동격.] jano : 듣는 것이란 바람을 지닌 사람
Ÿ nagaraniggato[제5後方] : 마을을 떠난 (이) nagaraniggato[후방.] puriso : 마을을 떠난 사람
Ÿ nagaraniggato[제5後方] > nagaraniggato puriso : 마을을 떠난 (이) > 마을을 떠난 사람
Ÿ guṇadhanaṁ[同格] > guṇadhano puriso : 품행인 자산 > 품행이 자산인 사람
Ÿ khañjakhujjo[同格] > khañjakhujjo puriso : 절름발이 곱사등(이) > 절름발이 곱사등이
Ÿ dvimūlaṁ[數詞] > dvimūlo rukkho : 두 갈래인 뿌리 > 두 갈래 뿌리를 지닌 나무
Ÿ pañcasataṁ[數詞] > pañcasatāni sakaṭāni : 5백 > 5백 乘인 수레
Ÿ saphalaṁ[前方] > saphalo janapado : 과일이 있는 > 과일이 풍부한 지역
Ÿ niraparādhaṁ[前方] > niraparādho bodhisatto : 결점을 벗어난 > 결점을 벗어난 菩薩
v 소유복합어 외의 복합어가 제3의 단어를 수식할 때 소유복합어로 변경되는 경우도 존재한다.
Ÿ niggatajano[同格] : 떠난 사람 - 'jana'가 중심어이며 'niggata'와 동격으로 연결된다.
Ÿ niggatajano[所有] gāmo : 사람들이 떠난 마을 - 중심어는 제3의 단어인 'gāmo'이다.
③ 소유복합어 자체로서 완전한 의미를 갖춘 단어로 취급될 경우엔 일종의 轉用명사로 간주된다.
Ÿ dinnasuṅko : 주다(→걷다)+세금 > 세금을 걷다 > 세금을 걷는 이 > 세금징수원
Ÿ jitindriyo : 정복된+감관 > 감관이 정복된 > 감관이 정복된 이
Ÿ chinnahattho : 끊어진+손 > 손이 끊어진 > 손이 끊어진 이
④ 일부 소유복합어의 경우 의미는 변경되지 않은 채 앞・뒷단어가 교체될 수 있다.
Ÿ hatthachinno puriso = chinnahattho puriso : 손이 절단된 사람
Ÿ jātamāso = māsajāto : 태어난지 한 달이 된 아이
⑤ 장음 'ī'나 'ū'로 끝나는 여성명사나 'tu'로 끝나는 어간의 경우 소유복합어의 뒷단어로 올 때 장음은 단음으로 대체되고 아울러 어미 'ka'가 첨부된다.
Ÿ bahukattuko(←bahu+kattu+ka) deso : 많은 장인들이 있는 장소
Ÿ bahukumārikaṁ(←bahu+kumārī+ka) kulaṁ : 많은 소녀들이 있는 가족
bahukumārakaṁ(←bahu+kumāra+ka) kulaṁ : 많은 소년들이 있는 가족
Ÿ bahunadiko(←bahu+nidī+ka) janapado : 많은 강이 있는 지역
⑥ 소유복합어의 뒷단어가 여성형어미를 지녔을 경우 남성명사를 수식할 때 남성형어미로 대체되며, 그 복합어의 앞단어가 여성형어미를 지녔으면 여성을 나타내는 표식은 탈락된다.
Ÿ dīghā jaṅghā → dīghajaṅghā itthī > dīghajaṅgho puriso : 다리가 긴 여자 > … 남자
⑦ 'dhanu( . a bow)'와 '' 등 몇몇 단어들의 경우 소유복합어의 뒷단어로 사용될 때 그 말미에 'ā'가 첨부되기도 한다.
Ÿ gandhivadhanu = gandhivadhanvā : 강력한 활을 지닌 자 → 아르주나
Ÿ paccakkhadhammo = paccakkhadhammā : 法에 대해 확신을 가진 자
(나) 格別소유복합어의 유형
소유복합어는 그것이 수식하는 단어와의 관계에 따라 일곱 유형의 格別소유복합어로 나눌 수 있다.
1) 제1所有복합어(pathamābahubbīhi) - '形成不可'
소유복합어는 그것이 수식하는 단어와 외형적으로 모두 주어격(nom.)의 관계를 지니며, 내용분석에 따르면 제6소유복합어 또는 그 외의 복합에 속할 뿐, 순수한 제1소유복합어는 존재하지 않는다.
Ÿ chinnahattho(←chinno+hattho) puriso
손이 끊어진 사람 < 어떤(→누구든지) 그의 손이 절단된, 그런 사람. → 제6소유복합어
Ÿ susajjitaṁ(←su+sajjitaṁ) puraṁ
잘 가꿔진 도시 < 어떤 그곳의 (환경이) 잘 가꿔진, 그런 도시 → 제6소유복합어
2) 제2所有복합어(dutiyābahubbīhi)
소유복합어가 그것이 수식하는 단어와 목적격(acc.)의 관계를 가진 것.
Ÿ āgatasamaṇo(←samaṇo+āgato) saṅghārāmo < imaṁ saṅghārāmaṁ samaṇo āgato
沙門이 온 僧園 < 어떤 그곳으로 사문이 온, 그런 승원
Ÿ ārūḷhanaro(←naro+ārūḷho) rukkho < so naro imaṁ rukhaṁ ārūḷho
사람이 올라간 나무 < 어떤 그곳으로 사람이 올라간, 그런 나무
3) 제3所有복합어(tatiyabahubbīhi)
소유복합어가 그것이 수식하는 단어와 도구격(ins.)의 관계를 가진 것.
Ÿ jitindriyo(←jitāni+indriyāni) samaṇo < yena jitāni indriyāni so samaṇo
감각기관들을 정복한 沙門 < 어떤 그에 의해 감각기관들이 정복된, 그런 沙門
Ÿ vijitamāro bhagavā < so bhagavā yena māro vijito
마라를 정복한 世尊 < 어떤 그에 의해 마라가 정복된, 그런 世尊
4) 제4所有복합어(catutthībahubbīhi)
소유복합어가 그것이 수식하는 단어와 시여격(dat.)의 관계를 가진 것.
Ÿ dinnasuṅko(←suṅko+dinno) puriso < yassa suṅko dinno so
세금수령인 < 어떤(→누구든지) 그에게(←그를 위해) 세금이 납부되는, 그런 사람
Ÿ upanītabhojano(←bhojanaṁ+upanītaṁ) samaṇo < so samaṇo yassa bhojanaṁ upanītaṁ
공양이 제공된 沙門 < 어떤 그를 위해 공양이 제공되는, 그런 사람
5) 제5所有복합어(pañcamībahubbīhi)
소유복합어가 그것이 수식하는 단어와 분리격(abl.)의 관계를 가진 것.
Ÿ niggatajano(←janā+niggatā) gāmo < asmā gāmasmā janā niggatā
사람이 떠난 마을 < 어떤 그곳으로부터 사람들이 떠난, 그런 마을
* 'niggatajano' 자체는 '떠난 사람'이란 의미를 지닌 동격복합어로 간주될 수 있다.
Ÿ apagatakāḷakaṁ(←kālāakā+apagatā) vatthaṁ < idaṁ vatthaṁ yasmā kāḷakā apagatā
검은 얼룩이 빠진 옷 < 어떤 그것으로부터 검은얼룩이 빠진, 그런 옷
6) 제6所有복합어(chaṭṭhībahubbīhi)
소유복합어가 그것이 수식하는 단어와 소유격(gen.)의 관계를 가진 것.
Ÿ chinnahattho(←hattho+chinno) puriso < so puriso yassa hattho chinno
손이 절단된 사람 < 어떤(→누구든지) 그의 손이 절단된, 그런 사람.
Ÿ visuddhasīlo(←sīlaṁ+visuddhaṁ) jano < so jano yassa sīlaṁ visuddhaṁ
품행이 순수한 사람 < 어떤(→누구든지) 그의 품행이 순수한, 그런 사람.
7) 제7所有복합어(sattamabahubbīhi)
소유복합어가 그것이 수식하는 단어와 처소격(loc.)의 관계를 가진 것.
Ÿ sampannasasso(←sassāni+sampannāni) janapado < yasmiṁ janapade sassāni sampannāni
곡물이 풍부한 지역 < 어떤(→어디든지) 그곳에는 곡물이 풍부한, 그런 지역
Ÿ bahujano(←bahū+janā) gāmo < yasmiṁ gāme bahū janā honti
사람들이 많은 마을 < 어떤(→어디든지) 그곳에는 사람들이 많은, 그런 마을
(7) 기타 복합어
1) 否定복합어(Nañsamāsa) - 수록예문 빠알리로 수정[□].
동사를 제외한 명사나 형용사 등의 앞머리에 否定語 'na'가 첨부되어 否定의 의미를 나타내는 복합어를 '否定복합어'라 한다.
가) 부정어는 'na「ñ」' 또는 'na'으로 첨부되는데, 앞의 방식이 98%이상을 차지한다.
① 'na「ñ」' + □□□ > na「ñ」+□□□ > a+□□□ > a+子音□□ |or| a+|n|+母音□□
* 표시자 「ñ」는 앞머리에 위치한 'n'의 탈락을 지시하므로 표시자와 더불어 'n' 또한 탈락된다.
* 부정어가 'a'가 자음으로 시작하는 단어에 첨부될 경우에는 변화가 없다.
Ÿ na「ñ」 + prāṇa( . breath) > a+prāṇa > aprāṇa( . 숨결에 의존하지 않는)
* 부정어가 'a'가 모음으로 시작되는 단어에 첨부될 경우 부정어와 첫모음 사이 'n'이 삽입된다.
Ÿ na「ñ」 + uṣṇa( . hot) > a+|n|+uṣṇa > anuṣṇa( . 충분히 따뜻하지 않은)
Ÿ na「ñ」 + eka(pn. . one) > a+|n|+eka > aneka( . 하나가 아닌) = aneke( .pl.)
‘부정어가 모음으로 시작되는 단어와 결합할 때는 'na'가 'an'으로 대체된다.’는 표현은 그 중간과정이 생략된것이다.
② 'na' + □□□ > na+□□□ > na+子音□□ |or| na+|n|+母音□□
* 탈락을 지시하는 표시자가 없으므로 'na' 전체가 첨부되며, 모음으로 시작되는 단어의 경우 모음連聲이 적용된다.
Ÿ na + eka(pn. . one) > na+eka > naika( . 하나가 아닌) = naike( .pl.)
나) 否定복합어의 부정어('na、a')는 문장에서 다음의 6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① 존재하지 않음 : abhava( . nonexistence)
Ÿ asaṁśaya( . doubtless) ← a + saṁśaya( . doubt) : 확실 ← 의심이 없음
Ÿ aprakāśa( . dark; hidden) ← a + prakāśa( . bright: . light) : 어둠 ← 빛이 없음
② 작거나 미세함 : tadalpatā( . smallness, minuteness)
§ aprakāśa( . 빛이 부족한, 빛이 충분하지 않은)
Ÿ anudharakanyā( .) ← an + udara( . the belly)+kanyā( . a girl) : 배가 날씬한 소녀
Ÿ adhana( . poorman) ← a + dhana( . property) : 가난한 ← 재산이 적은
③ 가치가 없음 : aprāśastya( . nonpraiseworthy)
Ÿ aputraḥ( .nom.) ← a + putra( . a son) : 아들답지 못한 ← 아들이 아닌
Ÿ aśiṣyaḥ( .nom.) ← a + śiṣya( . a pupil) : 제자답지 못한 ← 제자가 아닌
④ 그 밖의 것 : tadanyatva( . the state of other)
Ÿ idaṁ an+āmram : 이것은 망고가 아니다. → 이것은 망고가 아닌 다른 어떤 과일이다.
Ÿ saḥ pāṭhakaḥ nāsti : 그는 학생이 아니다. → 그는 학생이 아닌 다른 어떤 신분이다.
⑤ 상대적임 : virodha( . opposition, obstruction)
Ÿ dharma( . justice) ↔ adharma( . lawlessness) : 法과 非法
Ÿ asura( . an evil spirit, a demon) ↔ sura( . a god, deity; a sage) : 악마와 신
⑥ 유사함 : tadsādṛśya( . a similarity; a likeness)
Ÿ ayaṁ an+aśvaḥ asti : 이것은 말이 아니다. → 말이 아니라 말과 비슷한 당나귀 等이다.
Ÿ saḥ abrāhmaṇaḥ asti : 그는 브라만이 아니다. → 브라만이 아닌 다른 어떤 신분이다.
다) 복합어別 否定복합어
① 否定後方복합어(nañtatpuruṣasamāsa)
Ÿ puruṣaḥ( .nom.) + ajaḥ([ .→] np.nom.)117) → [個體我、 탄생을 거치지 않는.] : aja( . the unborn) < na「ñ」 + jaḥ < na「ñ」 + jan(4. . to be born)
Ÿ akārya( . an improper) < na「ñ」 + kāryam < na「ñ」 + kārya(pot.p.p. what ought to be done) ← kṛ(8. . to do)
② 否定所有복합어(nañbahuvrīhisamāsa)
Ÿ puruṣaḥ( .nom.) + aprāṇaḥ( .→ .nom.) → [個體我、 숨결에 의존하지 않는.]
Ÿ puruṣaḥ( .nom.) + adhanaḥ( .→ .nom.) → [사람、 가난한.]
2) 불규칙복합어
일부 복합어의 경우 어떠한 형태의 복합어형태에도 속하지 않은 채 '불변화사+불변화사' 또는 '대명사+대명사'처럼 일반적으로 복합어의 정상적인 구성요소가 되지 못하는 단어들의 결합으로 이뤄지기도 한다.
① vitatha( . false, unreal) < vi( . separation) + tatha( . in truth)
* tatha( .) < tathiya( . true) < tathā( . in that manner) + ya
'na「ñ」'가 아닌 'na'가 첨부되는 경우는 빠니니의 문법인 에 언급되어 있지 않다. 이처럼 빠니니에 의해 언급되지 않은 복합어를 後方복합어 가운데 하나인 '列外後方복합어(kevalatatpuruṣasamāsa)'라 일컫는다.
본 예문은 否定後方복합어 가운데 否定變形後方복합어(nañupapadatatpuruṣa
samāsa)에 속한다.
② yathātatha( . real, true, as it really is) < yathā( .) + tathā( .)
③ itihā( .) = itiha( . thus indeed) < iti( . thus) + ha( . indeed)
④ itihāsa( . history; historical evidence) < thus indeed it has been < iti( .) + ha( .) + āsa(perf.Ⅲ.sg.) < √as(2. . to be, exist)
⑤ itihītihā( . thus and thus indeed) < itihā( .) + itihā( . thus indeed)
⑥ itivutta( . thus it was said) < iti( . thus) + vutta(p.p.p. said) < vatti(pr. to say)
⑦ itivuttaka( .) < itivutta( . thus it was said) + ka(meaningless)
⑧ aññamaññaṁ( . mutually) < aññaṁ + aññaṁ( . differently) = Ⓢ.anyonyam( . mutually)
⑨ parampara( . successive) < param([ .→] .acc.) + para( . beyond)
⑩ ahamahamikā( . egoism, arrogance) < aham + aham + ika
3) 기타 불규칙복합어를 형성하는 단어들(samāsānta)
일부 단어들은 복합어에서 불규칙적인 형태를 취한다.
① go( . a bull: . a cow) < Ⓢ.go( . cattle; a cow; a bull)
'go'는 복합어에서 'gu'나 'gavo' 또는 'gavaṁ'의 형태를 취한다.
Ÿ pañcagu < pañcahi gohi kito : 다섯 마리의 소(로 물물교환 등을 행하다.)
Ÿ rājagavo < rañño go : 임금님의 황소
Ÿ dāragavaṁ < dāro ca go : 아내와 암소
② bhūmi( . ground, soil, earth; place, quarter, district, region) < Ⓢ.bhūmi( .)
'bhūmi'는 복합어에서 'būma'의 형태를 취한다.
Ÿ jātibhūmaṁ < jātiyā bhūmi : 출생지
Ÿ dvibhūmo |or| dvibhūmako(←dvibhūma+ka) : 2층, 複層
③ nadī( . a river) < Ⓢ.nadī( . a river, any flowing stream)
'nadī'는 복합어에서 'nada'의 형태를 취한다.
Ÿ pañcanadaṁ : 다섯 개의 강 (←'다섯 개의 강'을 하나의 묶음으로 일컫는 말)
Ÿ pañcanado : 다섯 개의 강을 지닌 것 (←어떤 지역에 다섯 개의 강이 있음을 일컫는 말)
④ ratti( . a day & a night) < Ⓢ.rātri( . night; the darkness of night)
'ratti'는 복합어에서 'ratta'의 형태를 취한다.
Ÿ dīgharattaṁ(adv.) : 오랜 시간 동안
Ÿ aḍḍharatto < rattiyā aḍḍhaṁ : 한밤중
⑤ akkhi( . the eye) < Ⓢ.akṣi( . the eye)
'akkhi'는 복합어에서 'akkha'의 형태를 취한다.
Ÿ visālakkho < visālāni akkhīni yassa honti : 큼지막한 눈을 가진 이 → 蛇王의 이름
Ÿ sahassakkho < akkhīni sahassāni yassa : 천 개의 눈을 가진 이
Ÿ parokkhaṁ(adv.) < akkhinaṁ trobhāgo : 눈을 너머선 → 눈에 보이지 않는
⑥ sakhā( . friend, companion) = sakhi( .) < Ⓢ.sakhi( . a friend, companion)
'sakhā'는 복합어에서 'sakho'의 형태를 취한다.
Ÿ vāyusakho < vayuno sakhā so : 바람의 친구
Ÿ sabbasakho < sabbesaṁ sakhā : 모든 이들의 친구
⑦ attan( . the soul) < Ⓢ.ātman( . the soul; self)
'attan' 또는 'attā'는 복합어에서 'atta'의 형태를 취한다.
Ÿ pahitatto < pahito pesito attā yena : 불굴의 마음을 지닌 이
Ÿ ṭhitatto < ṭhito attā assa : 단호한 마음을 지닌 이
⑧ puman( . a male, a man) < Ⓢ.puṁs( . a male, a man)
'puman' 또는 'pumā'는 복합어에서 'puṁ'의 형태를 취하며, 마지막 음소 'ṁ'은 뒤따르는 자음과 동일한 계열의 비음으로 대체된다.
Ÿ pulliṅgaṁ < puṁ+liṅgaṁ < puman + liṅga : 男性
Ÿ puṅkokilo < puṁ+kokilo < puman + kokila : 수컷 공작
⑨ saha( . in conjunction with, together) < Ⓢ.saha( . with, together with)
'saha'는 복합어에서 'sa'라는 축약형을 취한다.
'sa'가 복합어의 어두에 놓일 경우 복합어 어미에 'ka'가 첨부되기도 한다.
Ÿ sapicuka < sa+picu+ka < saha + picu + ka : 목화로 된
Ÿ sadevako < sa+deva+ka < saha + deva + ka : 神들과 함께 하는 이
v 'saha'가 그대로 사용되기도 한다.
Ÿ sahodaka < saha + udaka : 물을 품고 있는
⑩ santa( . good) < Ⓢ.sat( . being, existing; real, good)
'santa'는 복합어에서 'sa'라는 축약형을 취한다.
Ÿ sappurisa < sa+purisa < santa + purisa : 좋은 사람
Ÿ sajjano < sa+jano < santa + jana : 좋게 태어난 이 → 태생적으로 품격이 갖추어진 이
⑪ samāna( . similar, equal, even) < Ⓢ.samāna( . same, one, similar)
'samāna'는 복합어에서 'sa'라는 축약형을 취한다.
Ÿ sajāti |or| sajātika < samāna jāti : 동일한 태생, 同類
Ÿ sajanapado < samāno janapado : 동일한 지역에 속하는 이 → 같은 지역사람, 고향사람
⑫ mahanta( .) = hahant( . great, extensive, big) < Ⓢ.mahat( . great, big)
'mahanta'는 복합어에서 성의 여하를 불문하고 'mahā'의 형태를 취하며, 겹자음이 뒤따를 경우엔 'maha'의 형태를 취한다.
Ÿ mahāmuni( .) < mahanto + muni( .) : 위대한 성인
Ÿ mahāpaṭhavī( .) < mahatī + paṭhavi( .) : 거대한 땅 → 大地
⑬ jāyā( . a wife) < Ⓢ.jāyā( . a wife)
'jāyā'는 남편을 뜻하는 'pati' 앞에 놓일 때 'jāni' 'jaṁ' 'tudaṁ' 또는 'jayam' 등의 형태를 취한다.
Ÿ jayāpati, jayampati, jānipati, jampati, tudampati : 아내와 남편 → 부부118)
14. 복합어 분석
3. 복합어 분석
이른 시기의 문장에 나타나는 복합어는 앞・뒤의 두 단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후기로 올수록 복합어의 유형은 복잡해져 하나의 복합어가 새로운 복합어의 앞단어 또는 뒷단어가 되기도 하고, 혹은 두 개의 복합어가 하나의 복합어를 형성하거나 점진적으로 새로운 단어가 덧붙여지며 긴 문장의 복합어를 형성하기도 한다. 이렇게 일정한 길이 이상을 지닌 복합어는 그 성격이 대부분 소유복합어(bahubbihisamāsa)에 속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부부를 의미하는 복합어로 'jayāpati'와 'jampati' 및 'dampati'가 존재한다.
1) 'varaṇarukkhamūle' gūhati : '와라나 나무의 뿌리에' 감추었다.
① 의미에 따른 문장의 구조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Ÿ varaṇarukkhamūle( .loc.) + gūhati(pres.Ⅲ.sg.)
Ÿ varaṇa+rukkhassa( .gen.) + mūle( .loc.) → ['와라나' 나무의、 뿌리에]
Ÿ varaṇarukkha < varaṇa eva rukkha : '와라나'라는 나무
② 복합어를 끝으로부터 하나씩 분리하면 몇 개의 복합어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Ÿ varaṇarukkhamūle < varaṇarukkha + mūle : 앞단어인 'varaṇarukkha'와 뒷단어인 'mūle'가 後方복합어를 형성하고 있다.
Ÿ varaṇarukkha < varaṇa + rukkha : 앞단어인 'varaṇa'와 뒷단어인 'rukkha'가 同格복합어를 형성하고 있다.
2) 'maraṇabhayatajjito' puriso : '죽음의 공포에 떠는' 사람.
① 의미에 따른 문장의 구조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Ÿ maraṇabhayatajjito( .→ .nom.) + puriso( .nom.)
Ÿ maraṇa+bhayena( .ins.) + tajjito( .) → [죽음의 공포로、 떨고 있는]
Ÿ maraṇabhaya < maraṇa eva bhaya : 죽음이라는 공포
② 복합어를 끝으로부터 하나씩 분리하면 몇 개의 복합어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Ÿ 'maraṇabhayatajjito'는 소유복합어로서 'puriso'의 형용사로 사용되었다.
Ÿ maraṇabhayatajjito < maraṇabhaya + tajjito : 앞단어인 'maraṇabhaya'와 뒷단어인 'tajjito'가
소유격으로 연결된 제6後方복합어를 형성하고 있다.
Ÿ maraṇabhaya < maraṇa + bhaya : 後方복합어를 형성하고 있다.
3) 'aparimitakālasañcitapuññabalanibbattaṁ' phalaṁ : '장구한 기간에 축적된 공덕의 힘에 의해 생성된' 결과.
① 의미에 따른 문장의 구조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Ÿ aparimitakālasañcitapuññabalanibbattaṁ( .→ .nom.) + phalaṁ( .nom.)
Ÿ aparimite( .→ .loc.) + kāle( .loc.) + sañcitassa( .→ .gen.) + puññassa( .gen.) + balena( .ins.) + nibbattaṁ( .→ .nom.) + phalaṁ( .nom.)→ [장구한、 기간에、 축적된、 공덕의、 힘에 의해、 생성된、 결과]
② 복합어를 끝으로부터 하나씩 분리하면 몇 개의 복합어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Ÿ 'aparimitakālasañcitapuññabalanibbattaṁ'은 소유복합어로서 'phalaṁ'의 형용사로 사용되었다.
Ÿ aparimitakālasañcitapuññabalanibbattaṁ < aparimitakālasañcitapuññabala + nibbattaṁ :
앞단어인 'aparimitakālasañcitapuññabala'와 뒷단어인 'nibbattaṁ'이 後方복합어를 형성함.
Ÿ aparimitakālasañcitapuññabala < aparimitakālasañcitapuñña + bala : 앞단어인
'aparimitakālasañcitapuñña'와 뒷단어인 'bala'가 同格복합어를 형성하고 있다.
Ÿ aparimitakālasañcitapuñña < aparimitakālasañcita + puñña : 同格복합어를 형성하고 있다.
Ÿ aparimitakālasañcita < aparimitakāla + sañcita : 同格복합어를 형성하고 있다.
Ÿ aparimitakāla < aparimita + kāla : 同格복합어를 형성하고 있다.
Ÿ aparimita < na + parimita : (기타 복합어에 속하는) 否定복합어를 형성하고 있다.
'수행. 정진 > 빨리어 문법, 용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사격변화와 동사활용 예시 (0) | 2016.07.26 |
---|---|
문장의 구성 (0) | 2016.07.26 |
접미사 (명사접미사, 여성형접미사), 기타 조사(접속사, 부정사, 의문사, 감탄사, 기타 불변화사) (0) | 2016.07.26 |
부사와 조사(접미사 - 동사접미사) (0) | 2016.07.26 |
부사와 조사(전치사) (0) | 2016.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