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 정진/빨리어 삼장(Tipiṭaka)

합송경 4.

담마마-마까 2020. 4. 26. 23:17

                      

       [DN33]합송경(1~4).hwp


saṅgīti sutta』『합송경[DN 33.]

 

cattāro dhammo

 

Atthi kho āvuso tena Bhagavatā jānatā passatā arahatā Sammā Sambuddhena cattāro dhammo sammad-akkhāto.

 

Tattha sabbeh'eva saŋgāyitabbaɱ na vivaditabbaɱ,

yatha-yidaɱ Brahma-cariyaɱ addhaniyaɱ assa cira-ṭṭhitikaɱ,

tad assa bahu-jana-hitāya bahu-jana-sukhāya lokānukampāya atthāya hitāya sukhāya deva-manussānaɱ.

 

네 가지로 구성된 법들

 

도반들이여, 아시고 보시는 그 분 세존아라한정등각께서는 네 가지로 구성된 법을 분명하게 설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우리 모두는 함께 합송해야 하며 분쟁을 해서는 안됩니다. 그래서 이 청정범행이 길이 전해지고 오래 머물게 해야 합니다. 이것이 많은 사람의 이익을 위하고 많은 사람의 행복을 위하고 세상을 연민하고 신과 인간의 이상과 이익과 행복을 위하는 것입니다.

 

Cattāro sati-paṭṭhānā: Idh'āvuso bhikkhu

kāye kāy'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ɱ,

vedanāsu vedānānupassī viharati ātāpi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ɱ,

citte citt'ānupassī viharati ātāpī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ɱ,

dhammesu Dhamm'ānupassī viharati ātāpi sampajāno satimā vineyya loke abhijjhā-domanassaɱ.

 

그러면 어떤 것이 네 가지로 구성된 법입니까?

(1) 네 가지 마음챙김의 확립[satipaṭṭhāna, 四念處(사념처)] - 도반들이여, 여기 비구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身隨觀(신수관)] 머뭅니다. 세상에 대한 욕심과 싫어하는 마음을 버리면서 근면하게, 분명히 알아차리고 마음챙기는 자되어 머뭅니다.

느낌에서 느낌을 관찰하며[受隨觀(수수관)] 머뭅니다. 세상에 대한 욕심과 싫어하는 마음을 버리면서 근면하게, 분명히 알아차리고 마음챙기는 자되어 머뭅니다.

마음에서 마음을 관찰하며[心隨觀(심수관)] 머뭅니다. 세상에 대한 욕심과 싫어하는 마음을 버리면서 근면하게, 분명히 알아차리고 마음챙기는 자되어 머뭅니다.

법에서 법을 관찰하며[法隨觀(법수관)] 머뭅니다. 세상에 대한 욕심과 싫어하는 마음을 버리면서 근면하게, 분명히 알아차리고 마음챙기는 자되어 머뭅니다.

 

Cattāro samma-p-padhānā: Idh'āvuso bhikkhu

anuppannānaɱ pāpakānaɱ akusalānaɱ dhammānaɱ anuppādāya chandaɱ janeti vāyamati viriyaɱ ārabhati cittaɱ paggaṇhāti padahati.

Uppannānaɱ pāpakānaɱ akusalānaɱ dhammānaɱ pahānāya chandaɱ janeti vāyamati viriyaɱ ārabhati cittaɱ paggaṇhāti padahati.

Anuppannānaɱ kusalānaɱ dhammānaɱ uppādāya chandaɱ janeti vāyamati viriyaɱ ārabhati cittaɱ paggaṇhāti padahati.

Uppannānaɱ kusalānaɱ dhammānaɱ ṭhitiyā asammosāya bhīyyo-bhāvāya vepullāya bhāvanāya pāripūriyā chandaɱ janeti vāyamati viriyaɱ ārabhati cittaɱ paggaṇhāti padahati.

 

(2) 네 가지 노력[sammappadhāna 四正勤(사정근)] - 도반들이여, 여기 비구는

아직 일어나지 않은 삿되고 해로운 법들은 일어나지 못하도록 하기위해서, 의욕을 생기게 하고 정진하고 힘을 내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씁니다.

이미 일어난 삿되고 해로운 법들은 제거하기 위하여, 의욕을 생기게 하고 정진하고 힘을 내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씁니다.

아직 일어나지 않은 유익한 법들은 일어나도록 하기위하여, 의욕을 생기게 정진하고 힘을 내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씁니다.

이미 일어난 유익한 법들은 지속하게 하고 사라지지 않게 하고 증장하게 하고 충만하게 하고 닦기 위해서, 의욕을 생기게 하고 정진하고 힘을 내고 마음을 다잡고 애를 씁니다.

 

Cattāro iddhi-pādā: Idh'āvuso bhikkhu

chanda-samādhi-padhāna-sankhāra-samannāgataɱ iddhi-pādaɱ bhāveti.

Citta-samādhi-padhāna-sankhāra-samannāgataɱ iddhi-pādaɱ bhāveti.

Viriya-samādhi-padhāna- sankhāra-samannāgataɱ iddhi-pādaɱ bhāveti.

Vīmaɱsā-samādhi-padhāna-sankhāra-samannāgataɱ iddhipadāɱ bhāveti.

 

(3) 네 가지 성취수단[iddhipāda 四如意足(사여의족)] - 도반들이여, 여기 비구는

열의를 [주로 한] 삼매와 정근의 의도적 행위[sankhāra ()]를 갖춘 성취수단을 닦습니다.

마음을 [주로 한] 삼매와 정근의 의도적 행위를 갖춘 성취수단을 닦습니다.

정진을 [주로 한] 삼매와 정근의 의도적 행위를 갖춘 성취수단을 닦습니다.

검증을 [주로 한] 삼매와 정근의 의도적 행위를 갖춘 성취수단을 닦습니다.

 

Cattāri jhānāni: Idh'āvuso bhikkhu

vivicc'eva kāmehi vivicca akusalehi dhammehi sa-vitakkaɱ sa-vicāraɱ viveka-jaɱ pīti-sukhaɱ paṭhamaɱ-jhānaɱ1 upasampajja viharati.

Vitakka-vicārānaɱ vūpasamā ajjhattaɱ sampasādanaɱ cetaso ekodi-bhāvaɱ avitakkaɱ avicāraɱ samādhi-jaɱ pīti-sukhaɱ dutiyaɱ-jhānaɱ upasampajja viharati.

Pītiyā ca virāgā upekkhako ca viharati sato ca sampajāno sukhaɱ ca kāyena paṭisaŋvedeti,

yan taɱ ariyā ācikkhanti: 'Upekkhako satimā sukha-vihārī' ti tatiya-jjhānaɱ upasampajja viharati.

Sukhassa ca pahāṇā dukkhassa ca pahāṇā pubbe va somanassa-domanassānaɱ atthaŋ-gamā adukkham asukhaɱ upekkhā-sati-pārisuddhiɱ catutthaɱ-jhānaɱ upasampajja viharati.

 

(4) 네 가지 선(jhāna) - 도반들이여, 여기 비구는

감각적 욕망들을 완전히 떨쳐버리고 해로운 법[不善法(불선법)]들을 떨쳐버린 뒤, 일으킨 생각[()]과 지속적인 고찰[()]이 있고, 떨쳐버렸음에서 생겼고, 희열[()]과 행복[()]이 있는 初禪(초선)을 구족하야 머뭅니다.

일으킨 생각[()]과 지속적인 고찰[()]을 가라앉혔기 때문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며] 자기 내면의 것이고, 확신이 있으며, 마음이 단일한 상태이고, 일으킨 생각과 지속적인 고찰은 없고, 삼매에서 생긴 희열과 행복이 있는 제 2(第二禪)을 구족하여 머뭅니다.

희열이 빛바랬기 때문에 평온하게 머뭅니다. 마음챙기고 알아차리며 몸으로 행복을 경험합니다. [() 때문에] ‘평온하고 마음챙기며 행복하게 머문다고 성자들이 묘사하는 제 3(第三禪)을 구족하여 머뭅니다.

행복도 버리고 괴로움도 버리고, 아울러 그 이전에 이미 기쁨과 슬픔을 소멸하였으므로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으며, 평온으로 인해 마음챙김이 청정한 제 4(第四禪)을 구족하여 머뭅니다.

 

Catasso samādhi-bhāvana:

Atth'āvusā samādhi-bhāvanā bhāvitā bahulī-katā diṭṭha-dhamma-sukha-vihārāya saŋvattati.

Atth'āvuso samādhi-bhāvanā bhāvitā bahulī-katā ñāṇa-dassana-paṭilābhāya saŋvattati.

Atth'āvuso samādhi-bhāvanā bhāvitā bahulī-katā sati-sampajaññāya saŋvattati.

Atth'āvuso samādhi-bhāvanā bhāvitā bahul-īkatā āsavānaɱ khayāya saŋvattati.

 

(5) 네 가지 삼매수행(samādhi-bhāvanā) - 도반들이여,

삼매수행을 많이 닦고 [공부]지으면 지금 여기에서 행복하게 머물게 됩니다.

삼매수행을 많이 닦고 [공부]지으면 ()()을 획득하게 됩니다.

삼매수행을 많이 닦고 [공부]지으면 마음챙기고 알아차리게 됩니다.

삼매수행을 많이 닦고 [공부]지으면 번뇌를 소멸하게 됩니다.

 

Katamā c'āvuso samādhi-bhāvanā bhāvitā bahulī-katā diṭṭha-dhamma-sukha-vihārāya saŋvattati?

Idh'āvuso bhikkhu vivicc'eva kāmehi vivicca akusalehi dhammehi sa-vitakkaɱ sa-vicāraɱ viveka-jaɱ pīti-sukhaɱ paṭhamaɱ-jhānaɱ upasampajja viharati.

Vitakka-vicārānaɱ vūpasamā ajjhattaɱ sampasādanaɱ cetaso ekodi-bhāvaɱ avitakkaɱ avicāraɱ samādhi-jaɱ pīti-sukhaɱ dutiyaɱ-jhānaɱ upasampajja viharati.

Pītiyā ca virāgā upekkhako ca viharati sato ca sampajāno sukhaɱ ca kāyena paṭisaŋvedeti,

yan taɱ ariyā ācikkhanti 'upekkhako satimā sukha-vihārī'ti taɱ tatiyaɱ-jhānaɱ upasampajja viharati.

Sukhassa ca pahāṇā dukkhassa ca pahāṇā pubb'eva somanassa-domanassānaɱ atthaŋ-gamā adukkha-m-asukhaɱ upekkhā-sati-pārisuddhiɱ catutthaɱ-jhānaɱ4 upasampajja viharati.

Ayaɱ āvuso samādhi-bhāvanā bhāvitā bahulī-katā diṭṭha-dhamma-sukha-vihārāya saŋvattati.

 

도반들이여, 그러면 어떤 삼매수행을 많이 닦고 [공부]지으면 지금 여기에서 행복하게 머물게 될까요? 도반들이여, 여기 비구는 감각적 욕망들을 완전히 떨쳐버리고 해로운 법[不善法(불선법)]들을 떨쳐버린 뒤,

일으킨 생각[()]과 지속적인 고찰[()]이 있고, 떨쳐버렸음에서 생겼고, 희열[()]과 행복[()]이 있는 初禪(초선)을 구족하야 머뭅니다.

일으킨 생각[()]과 지속적인 고찰[()]을 가라앉혔기 때문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으며] 자기 내면의 것이고, 확신이 있으며, 마음이 단일한 상태이고, 일으킨 생각과 지속적인 고찰은 없고, 삼매에서 생긴 희열과 행복이 있는 제 2(第二禪)을 구족하여 머뭅니다.

희열이 빛바랬기 때문에 평온하게 머뭅니다. 마음챙기고 알아차리며 몸으로 행복을 경험합니다. [() 때문에] ‘평온하고 마음챙기며 행복하게 머문다고 성자들이 묘사하는 제 3(第三禪)을 구족하여 머뭅니다.

행복도 버리고 괴로움도 버리고, 아울러 그 이전에 이미 기쁨과 슬픔을 소멸하였으므로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으며, 평온으로 인해 마음챙김이 청정한 제 4(第四禪)을 구족하여 머뭅니다.

도반들이여, 이런 삼매수행을 많이 닦고 [공부]지으면 지금 여기에서 행복하게 머물게 됩니다.

 

Katamā c'āvuso samādi-bhāvanā bhāvitā bahulī-katā ñāṇa-dassana-paṭilābhāya saŋvattati?

Idh'āvuso bhikkhu āloka-saññaɱ manasi-karoti,

divā-saññaɱ adhiṭṭhāti yathā divā tathā rattiɱ yathā rattiɱ tathā divā.

Iti vivaṭena cetasā apariyonaddhena sa-p-pabhāsaɱ cittaɱ bhāveti.

Ayaɱ āvuso samādhi-bhāvanā bhāvitā bahulī-katā ñāṇa-dassana-paṭilābhāya saŋvattati.

 

도반들이여, 그러면 어떤 삼매수행을 많이 닦고 [공부]지으면 ()()을 획득하게 될까요?

여기 비구는 광명상(光明想 āloka-saññā)에 마음을 잡도리 합니다. 낮에 [광명을 보는 것]처럼 밤에도 [광명을 보고] 그런 밤처럼 낮에도 [광명을 보는] 낮의 인식을 확고히 합니다. 이처럼 열리고 덮이지 않는 마음으로 빛을 가진 마음을 닦습니다.

도반들이여, 이런 삼매수행을 많이 닦고 [공부]지으면 ()()을 획득하게 됩니다.

Katamā c'āvuso samādhi-bhāvanā bhāvitā bahulī-katā sati-sampajaññāya saŋvattati?

Idh'āvuso bhikkhuno viditā'vedanā uppajjanti.

Viditā upaṭṭhahanti, viditā abbhatthaɱ gacchanti,

viditā saññā uppajjanti, viditā upaṭṭhahanti, viditā abbhatthaɱ gacchanti.

Viditā vitakkā uppajjanti, viditā upaṭṭhahanti, viditā abbhatthaɱ gacchanti.

Ayaɱ āvuso samādhi-bhāvanā bhāvitā bahulī-katā sati-sampajaññāya saŋvattati.

 

도반들이여, 그러면 어떤 삼매수행을 많이 닦고 [공부]지으면 마음챙기고 알아차리게 될까요?

도반들이여, 여기 비구는 체득하여 안(viditā) 느낌(vedanā)들이 일어나고 머물고 꺼집니다.

체득하여 안 인식(saññā)들이 일어나고 머물고 꺼집니다.

체득하여 안 생각(vitakka)들이 일어나고 머물고 꺼집니다.

도반들이여, 이런 삼매수행을 많이 닦고 [공부]지으면 마음챙기고 알아차리게 됩니다.

 

Katamā c'āvuso samādhi-bhāvanā bhāvitā bahulī-katā āsavānaɱ khayāya saŋvattati?

Idh'āvuso bhikkhu pañcasu upādāna-k-khandhesu udayabbayānupassī viharati.

Iti rūpaɱ, iti rūpassa samudayo, iti rūpassa atthaŋ-gaEd.:

Iti vedanā, iti vedanāsu samudayo, iti vedanāssu atthaŋ-gaEd.:

Iti saññā, iti saññā samudayo, iti saññā atthaŋ-gamo,

iti sankhārā, iti sankhāro samudayo, iti sankhāro atthaŋ-gamo,

iti viññāṇaɱ, iti viññāṇassa samudayo, iti viññāṇassa attha-gaEd.:

Ayaɱ āvuso samādhi-bhāvanā bhāvitā bahulī-katā āsavānaɱ khayāya saŋvattati.

 

도반들이여, 그러면 어떤 삼매수행을 많이 닦고 [공부]지으면 번뇌를 소멸하게 될까요?

도반들이여, 여기 비구는 [나 등으로] 취착하는 다섯 가지 무더기[五取蘊(오취온)]들을 관찰하며 隨觀(수관)에 머뭅니다.

이것이 물질이다. 이것이 물질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물질의 사라짐이다.

이것이 느낌이다. 이것이 느낌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느낌의 사라짐이다.

이것이 인식이다. 이것이 인식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인식의 사라짐이다.

이것이 상카라[()]이다. 이것이 상카라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상카라의 사라짐이다.

이것이 알음알이이다. 이것이 알음알이의 일어남이다. 이것이 알음알이의 사라짐이다.’ 라고 [관찰하며 머뭅니다.]

도반들이여, 이런 삼매수행을 많이 닦고 [공부]지으면 번뇌를 소멸하게 됩니다.

 

Catasso appamaññā:

Idh'āvuso bhikkhu mettā-saha-gatena cetasā ekaɱ disaɱ pharitvā viharati, tathā dutiyaɱ, tathā tatiyaɱ, tathā catutthaɱ.

Iti uddham adho tiriyaɱ sabbadhi sabbattatāya sabbā-vantaɱ lokaɱ mettā-saha-gatena cetasā vipulena mahaggatena appamāṇena averena avyāpajjena pharitvā viharati.

Idh'āvuso bhikkhu karuṇā-saha-gatena cetasā ekaɱ disaɱ pharitvā viharati, tathā dutiyaɱ, tathā tatiyaɱ, tathā catutthaɱ.

Iti uddham-adho tiriyaɱ sabbadhi sabbattatāya sabbā-vantaɱ lokaɱ karuṇā-saha-gatena cetasā vipulena mahaggatena appamāṇena averena avyāpajjena pharitvā viharati.

 

Idh'āvuso bhikkhu muditā-saha-gatena cetasā ekaɱ disaɱ pharitvā viharati, tathā dutiyaɱ, tathā tatiyaɱ, tathā catutthaɱ.

Iti uddham-adho tiriyaɱ sabbadhi sabbattatāya sabbā-vantaɱ lokaɱ muditā-saha-gatena cetasā vipulena mahaggatena appamāṇena averena avyāpajjena pharitvā viharati.

 

Idh'āvuso bhikkhu upekkhā-saha-gatena cetasā ekaɱ disaɱ pharitvā viharati, tathā dutiyaɱ, tathā tatiyaɱ, tathā catutthaɱ.

Iti uddham-adho tiriyaɱ sabbadhi sabbattatāya sabbā-vantaɱ lokaɱ upekkhā-saha-gatena cetasā vipulena mahaggatena appamāṇena averena avyāpajjena pharitvā viharati

 

(6) 네 가지 무량함[四無量(사무량) appamañña] -도반들이여, 여기 비

구는

자애[()]가 함께한 마음으로 한 방향을 가득 채우면서 머뭅니다. 그처럼 두 번째 방향을, 그처럼 세 번째 방향을, 그처럼 네 번째 방향을, 이와 같이 위로, 아래로, 모든 곳에서 모두를 자신처럼 여기고, 모든 세상을 풍만하고 광대하고 무량하고 원한 없고 고통 없는 자애가 함께한 마음으로 가득 채우고 머뭅니다.

연민[()]가 함께한 마음으로 한 방향을 가득 채우면서 머뭅니다. 그처럼 두 번째 방향을, 그처럼 세 번째 방향을, 그처럼 네 번째 방향을, 이와 같이 위로, 아래로, 모든 곳에서 모두를 자신처럼 여기고, 모든 세상을 풍만하고 광대하고 무량하고 원한 없고 고통 없는 연민이 함께한 마음으로 가득 채우고 머뭅니다.

같이 기뻐함[()]이 함께한 마음으로 한 방향을 가득 채우면서 머뭅니다. 그처럼 두 번째 방향을, 그처럼 세 번째 방향을, 그처럼 네 번째 방향을, 이와 같이 위로, 아래로, 모든 곳에서 모두를 자신처럼 여기고, 모든 세상을 풍만하고 광대하고 무량하고 원한 없고 고통 없는 기뻐함이 함께한 마음으로 가득 채우고 머뭅니다.

평온[()]이 함께한 마음으로 한 방향을 가득 채우면서 머뭅니다. 그처럼 두 번째 방향을, 그처럼 세 번째 방향을, 그처럼 네 번째 방향을, 이와 같이 위로, 아래로, 모든 곳에서 모두를 자신처럼 여기고, 모든 세상을 풍만하고 광대하고 무량하고 원한 없고 고통 없는 평온이 함께한 마음으로 가득 채우고 머뭅니다.

 

Cattāro āruppa:

Idh'āvuso bhikkhu sabbaso rūpa-saññānaɱ samati-k-kamā paṭigha-saññānaɱ attha-gamā nānatta-saññānaɱ amanasi-kārā 'Ananto ākāso' ti Ākāsanañ-c'āyatanaɱ upasampajja viharati,

sabbaso Ākāsanañ-c'āyatanaɱ samati-k-kamma 'Anantaɱ viññāṇan' ti.Viññāṇañ-c'āyatanaɱ upasampajja viharati,

abbaso Viññāṇañ-c'āyatanaɱ samati-k-kamma 'n'atthi kiñcī'ti Ākiñcaññ'āyatanaɱ upasampajja viharati,

abbaso Ākiñcaññ'āyatanaɱ samati-k-kamma N'eva-saññā-nā-saññ'āyatanaɱ upasampajja viharati.

 

(7) 네 가지 무색의 경지(ārupa) - 도반들이여, 여기 비구는

물질의 인식을 완전히 초월하고 부딪힘(paṭigha)의 인식이 사라지고 갖가지 인식을 마음에 잡도리하지 않기 때문에 무한한 허공이라 하면서 공무변처에 들어 머뭅니다.

공무변처를 완전히 초월했기 때문에 무한한 알음알이라 하면서 식무변처에 들어 머뭅니다.

식무변처를 완전히 초월했기 때문에 아무것도 없다고 하면서 무소유변처에 들어 머뭅니다.

무소유처를 완전히 초월했기 때문에 비상비비상처에 들어 머뭅니다.

 

Cattāri apassenāni:

Idh'āvuso bhikkhu saŋkhāy'ekaɱ paṭisevati,

saŋkhāy'ekaɱ adhivāseti,

saŋkhāy'ekaɱ parivajjeti,

saŋkhāy'ekaɱ vinodeti.

 

(8) 네 가지 받침대(apassena) - 도반들이여, 여기 비구는

숙고한 뒤에 어떤 것은 수용합니다.

숙고한 뒤에 어떤 것은 감내합니다.

숙고한 뒤에 어떤 것은 피합니다.

숙고한 뒤에 어떤 것은 제거합니다.

 

Cattāro ariya-vaɱsā:

Idh'āvuso bhikkhu santuṭṭho hoti itarītarena cīvarena,

itar'ītara-cīvara-santuṭṭhiyā ca vaṇṇa-vādī, na ca,

cīvara-hetu anesanaɱ appaṭirūpaɱ āpajjati,

aladdhā ca cīvaraɱ na paritassati,

laddhā ca cīvaraɱ agathito amucchito anajjhāpanno ādīnava-dassāvī nissaraṇa-pañño paribhuñjati,

tāya ca pana itar'ītara-cīvara-santuṭṭhiyā n'ev'attān-ukkaɱseti na paraɱ vambheti.

Yo hi tattha dakkho analaso sampajāno patissato,

yaɱ vuccat'āvuso bhikkhu porāṇe aggaññe ariya-vaɱse ṭhito.

 

Puna ca paraɱ āvuso bhikkhu santuṭṭho hoti itarītarena piṇḍa-pātena,

itar'ītara-piṇḍa-pāta-santuṭhiyā ca vaṇṇa-vādī,

na ca piṇḍa-pāta-hetu anesanaɱ appaṭirūpaɱ āpajjati,

aladdhā ca piṇḍa-pātaɱ na paritassati,

laddhā ca piṇḍa-pātaɱ agathito amucchito anajjhāpanno ādinava-dassāvī nissaraṇa-pañño paribhuñajati,

tāya ca pana itar'ītara-piṇḍa-pāta-santuṭṭhiyā n'ev'attānukkaɱseti na paraɱ vamheti.

Yo hi tattha dakkho hoti analaso sampajāno patissato,

ayaɱ vuccat'āvuso bhikkhu porāṇe aggaññe ariya-vaɱse ṭhito.

 

Puna ca paraɱ āvuso bhikkhu santuṭṭho hoti itarītarena sen'āsanena,

itar'ītara-sen'āsana-santuṭhiyā ca vaṇṇa-vādī,

na ca sen'āsana-hetu anesanaɱ appaṭirūpaɱ āpajjati,

aladdhā ca sen'āsanaɱ na paritassati,

laddhā ca sen'āsanaɱ agathito amucchito anajjhāpanno ādinava-dassāvī nissaraṇa-pañño paribhuñajati,

tāya ca pana itar'ītara-sen'āsana-santuṭṭhiyā n'ev'attānukkaɱseti na paraɱ vamheti.

Yo hi tattha dakkho hoti analaso sampajāno patissato,

ayaɱ vuccat'āvuso bhikkhu porāṇe aggaññe ariya-vaɱse ṭhito.

 

Puna ca paraɱ āvuso bhikkhu pahān-ā-rāmo hoti pahāna-rato bhāvan-ā-rāmo hoti bhāvanā-rato,

tāya ca pana pahān-ā-rāmatāya pahāna-ratiyā bhāvan-ā-rāmatāya bhāvanā-ratiyā n'eva attān-ukkaɱseti na paraɱ vamehati.

Yo hi tattha dakkho analaso sampajāno patissato,

ayaɱ vuccat'āvuso bhikkhu porāṇe aggaññe ariya-vaɱse ṭhito.

 

(9) 네 가지 성자들의 계보(ariya-vaɱsa)

도반들이여, 여기 비구는 어떤 옷으로도 만족하고, 어떤 옷으로도 만족하는 것을 칭찬하는 자입니다. 그는 옷을 원인으로 하여 부적당하고 삿된 것을 구하지 않습니다. 옷을 얻지 못하더라도 안달복달 하지 않고, 옷을 얻더라도 묶이지 않고 홀리지 않고 집착하지 않으며, 위험을 보고 출구를 통찰하면서 사용합니다. 그리고 어떤 옷으로도 만족한다 해서 결코 자신을 칭송하지 않고 남을 업신여기지 않습니다.

도반들이여, 숙달되고 게으르지 않고 알아차리고 마음챙기는 이런 자를 두고 말하기를 비구는 태고적 세상의 기원에서부터 비롯된 성자들의 계보에 서있다.’고 합니다.

도반들이여, 여기 비구는 어떤 탁발음식으로도 만족하고, 어떤 탁발음식으로도 만족하는 것을 칭찬하는 자입니다. 그는 탁발음식을 원인으로 하여 부적당하고 삿된 것을 구하지 않습니다. 탁발음식을 얻지 못하더라도 안달복달 하지 않고, 탁발음식을 얻더라도 묶이지 않고 홀리지 않고 집착하지 않으며, 위험을 보고 출구를 통찰하면서 사용합니다. 그리고 어떤 탁발음식으로도 만족한다 해서 결코 자신을 칭송하지 않고 남을 업신여기지 않습니다.

도반들이여, 숙달되고 게으르지 않고 알아차리고 마음챙기는 이런 자를 두고 말하기를 비구는 태고적 세상의 기원에서부터 비롯된 성자들의 계보에 서있다.’고 합니다.

도반들이여, 여기 비구는 어떤 거처로도 만족하고, 어떤 거처로도 만족하는 것을 칭찬하는 자입니다. 그는 거처를 원인으로 하여 부적당하고 삿된 것을 구하지 않습니다. 거처를 얻지 못하더라도 안달복달 하지 않고, 거처를 얻더라도 묶이지 않고 홀리지 않고 집착하지 않으며, 위험을 보고 출구를 통찰하면서 사용합니다. 그리고 어떤 거처로도 만족한다 해서 결코 자신을 칭송하지 않고 남을 업신여기지 않습니다.

도반들이여, 숙달되고 게으르지 않고 알아차리고 마음챙기는 이런 자를 두고 말하기를 비구는 태고적 세상의 기원에서부터 비롯된 성자들의 계보에 서있다.’고 합니다.

도반들이여, 여기 비구는 버림을 기뻐하고 버림에 몰두합니다. 수행을 기뻐하고 수행에 몰두합니다. 그가 버림을 기뻐하고 버림에 몰두하며 수행을 기뻐하고 수행에 몰두한다고 해서 결코 자신을 칭송하지 않고 남을 업신여기지 않습니다.

도반들이여, 숙달되고 게으르지 않고 알아차리고 마음챙기는 이런 자를 두고 말하기를 비구는 태고적 세상의 기원에서부터 비롯된 성자들의 계보에 서있다.’고 합니다.

 

Cattāri padhānāni:

Saɱvara-ppadhānaɱ, pahāna-padhānaɱ,

bhāvana-padhānaɱ, anurakkhana-padhānaɱ.

Katamañ c'āvuso saŋvara-padhānaɱ?

Idh'āvuso bhikkhu cakkhunā rūpaɱ disvā na nimitta-ggāhī hoti nānuvyañjana-ggāhī, yatvādhi-karaṇam etaɱ cakkhu'ndriyaɱ asaŋvutaɱ viharantaɱ abhijjhā-domanassā pāpakā akusalā dhammā anvāya-ssaveyyuɱ, tassa saŋvarāya paṭipajjati, rakkhati cakkhudriyaɱ, cakkhu'ndriye saŋvarāyaɱ āpajjati.

Sotena saddaɱ sutvā na nimitta-ggāhī hoti nānubyañjana-ggāhī,

yatvādhi-karaṇam etaɱ sot'indriyaɱ asaŋvutaɱ viharantaɱ abhijjhā-domanassā pāpakā akusalā dhammā anvāya-ssaveyyuɱ, tassa saŋvarāya paṭipajjati, rakkhati sot'indriyaɱ, sotendriye saŋvaraɱ āpajjati.

Ghānena gandhaɱ ghāyitvā na nimitta-ggāhī hoti nānubyañjana-ggāhī, yatvādhi-karaṇam etaɱ ghānendriyaɱ asaŋvutaɱ viharantaɱ abhijjhā-domanassā pāpakā akusalā dhammā anvāya-ssaveyyuɱ, tassa saŋvarāya paṭipajjati, rakkhati ghānendriyaɱ, ghān'endriye saŋvaraɱ āpajjati.

Jivhāya rasaɱ sāyitvā na nimitta-ggāhī hoti nānubyañjana-ggāhī,

yatvādhi-karaṇam etaɱ jivh'indriyaɱ asaŋvutaɱ viharantaɱ abhijjhā-domanassā pāpakā akusalā dhammā anvāya-ssaveyyuɱ, tassa saŋvarāya paṭipajjati, rakkhati jivh'indriyaɱ, jivh'indriye saŋvaraɱ āpajjati.

Kāyena phoṭṭhabbaɱ phusitvā na nimitta-ggāhī hoti nānubyañjana-ggāhī, yatvādhi-karaṇam etaɱ kāy'indriyaɱ asaŋvutaɱ viharantaɱ abhijjhā-domanassā pāpakā akusalā dhammā anvāya-ssaveyyuɱ, tassa saŋvarāya paṭipajjati, rakkhati kāy'indriyaɱ, kāy'indriye saŋvaraɱ āpajjati.

Manasā dhammaɱ viññāya na nimitta-ggāhī hoti nānubyañjana-ggāhī, yatvādhi-karaṇam etaɱ man'indriyaɱ asaŋvutaɱ viharantaɱ abhijjhā-domanassā pāpakā akusalā dhammā anvāya-ssaveyyuɱ, tassa saŋvarāya paṭipajjati, rakkhati man'indriyaɱ, man'indriye saŋvaraɱ āpajjati.

Idaɱ vuccat'āvuso saŋvara-ppadhānaɱ.

Katamañ c'āvuso pahāna-padhānaɱ?

Idh'āvuso bhikkhu uppannaɱ kāma-vitakkaɱ n'ādhivāseti pajahati vinodeti vyantī-karoti anabhāvaɱ gameti,

uppannaɱ vyāpāda-vitakkaɱ n'ādhivāseti pajahati vinodeti vyantī-karoti anabhāvaɱ gameti,

uppannaɱ vihiŋsā-vitakkaɱ n'ādhivāseti pajahati vinodeti vyantī-karoti anabhāvaɱ gameti,

uppannuppanne pāpake akusale dhamme n'ādhivāseti pajahati vinodeti vyantī-karoti anabhāvaɱ gameti.

Idaɱ vuccat'āvuso pahānappadhānaɱ.

Katamañ c'āvuso bhāvana-padhānaɱ?

Idh'āvuso bhikkhu sati-sambojjh'aŋgaɱ bhāveti viveka-nissitaɱ virāga-nissitaɱ nirodha-nissitaɱ vossagga-parināmiɱ.

Dhamma-vicaya-sambojjh'aŋgaɱ bhāveti viveka-nissitaɱ virāga-nissitaɱ nirodha-nissitaɱ vossagga-parināmiɱ.

Viriya-sambojjh'aŋgaɱ bhāveti viveka-nissitaɱ virāga-nissitaɱ nirodha-nissitaɱ vossagga-parināmiɱ.

Pīti-sambojjh'aŋgaɱ bhāveti viveka-nissitaɱ virāga-nissitaɱ nirodha-nissitaɱ vossagga-parināmiɱ.

Passaddhi-sambojjh'aŋgaɱ bhāveti viveka-nissitaɱ virāga-nissitaɱ nirodha-nissitaɱ vossagga-parināmiɱ.

Samādhi-sambojjh'aŋgaɱ bhāveti viveka-nissitaɱ virāga-nissitaɱ nirodha-nissitaɱ vossagga-parināmiɱ.

Upekkhā-sambojjh'aŋgaɱ bhāveti viveka-nissitaɱ virāga-nissitaɱ nirodha-nissitaɱ vossagga-pariṇāmiɱ.

Idaɱ vuccat'āvuso bhāvana-padhānaɱ.

Katamañ c'āvuso anurakkhaṇā-padhānaɱ?

Idh'āvuso bhikkhu uppannaɱ bhaddakaɱ samādhi-nimittaɱ anurakkhati aṭṭhika-saññaɱ pulavaka-saññaɱ vinīlaka-saññaɱ vicchiddaka-saññaɱ uddhumātaka-saññaɱ.

Idaɱ vuccat'āvuso anurakkhana-padhāna

 

(10) 네 가지 노력(padhāna) - 단속하는 노력, 버리는 노력, 수행하는 노력, 보호하는 노력

도반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단속하는 노력입니까?

여기 비구는 눈으로 형상을 봄에 그 표상[全體相(전체상)]을 취하지 않으며, 또 그 세세한 부분상[細相(세상), anubyañjana]을 취하지도 않습니다. 만약 그의 눈의 감각기능[眼根(안근)]이 제어되어 있지 않으면 탐욕스러움과 싫어하는 마음이라는 나쁘고 해로운 법[不善法(불선법)]들이 그에게 [물밀듯이] 흘러들어올 것입니다. 따라서 그는 눈의 감각기능을 잘 단속하기 위해 수행하며, 눈의 감각기능을 잘 방호하고, 눈의 감각기관을 잘 단속하기에 이릅니다.

귀로 소리를 들음에 그 표상[全體相(전체상)]을 취하지 않으며, 또 그 세세한 부분상[細相(세상), anubyañjana]을 취하지도 않습니다. 만약 그의 귀의 감각기능[耳根(이근)]이 제어되어 있지 않으면 탐욕스러움과 싫어하는 마음이라는 나쁘고 해로운 법[不善法(불선법)]들이 그에게 [물밀듯이] 흘러들어올 것입니다. 따라서 그는 귀의 감각기능을 잘 단속하기 위해 수행하며, 귀의 감각기능을 잘 방호하고, 귀의 감각기관을 잘 단속하기에 이릅니다.

코로 냄새를 맡음에 그 표상[全體相(전체상)]을 취하지 않으며, 또 그 세세한 부분상[細相(세상), anubyañjana]을 취하지도 않습니다. 만약 그의 코의 감각기능[鼻根(비근)]이 제어되어 있지 않으면 탐욕스러움과 싫어하는 마음이라는 나쁘고 해로운 법[不善法(불선법)]들이 그에게 [물밀듯이] 흘러들어올 것입니다. 따라서 그는 코의 감각기능을 잘 단속하기 위해 수행하며, 코의 감각기능을 잘 방호하고, 코의 감각기관을 잘 단속하기에 이릅니다.

혀로 맛을 봄에 그 표상[全體相(전체상)]을 취하지 않으며, 또 그 세세한 부분상[細相(세상), anubyañjana]을 취하지도 않습니다. 만약 그의 혀의 감각기능[舌根(설근)]이 제어되어 있지 않으면 탐욕스러움과 싫어하는 마음이라는 나쁘고 해로운 법[不善法(불선법)]들이 그에게 [물밀듯이] 흘러들어올 것입니다. 따라서 그는 혀의 감각기능을 잘 단속하기 위해 수행하며, 혀의 감각기능을 잘 방호하고, 혀의 감각기관을 잘 단속하기에 이릅니다.

몸으로 감촉을 느낌에 그 표상[全體相(전체상)]을 취하지 않으며, 또 그 세세한 부분상[細相(세상), anubyañjana]을 취하지도 않습니다. 만약 그의 몸의 감각기능[身根(신근)]이 제어되어 있지 않으면 탐욕스러움과 싫어하는 마음이라는 나쁘고 해로운 법[不善法(불선법)]들이 그에게 [물밀듯이] 흘러들어올 것입니다. 따라서 그는 몸의 감각기능을 잘 단속하기 위해 수행하며, 몸의 감각기능을 잘 방호하고, 몸의 감각기관을 잘 단속하기에 이릅니다.

마노[()]로 법을 지각함에 그 표상[全體相(전체상)]을 취하지 않으며, 또 그 세세한 부분상[細相(세상), anubyañjana]을 취하지도 않습니다. 만약 그의 마노의 감각기능[意根(의근)]이 제어되어 있지 않으면 탐욕스러움과 정신적 고통이라는 나쁘고 해로운 법[不善法(불선법)]들이 그에게 [물밀듯이] 흘러들어올 것입니다. 따라서 그는 마노의 감각기능을 잘 단속하기 위해 수행하며, 마노의 감각기능을 잘 방호하고, 마노의 감각기관을 잘 단속하기에 이릅니다.

도반들이여, 이것이 단속하는 노력입니다.

도반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버리는 노력입니까?

도반들이여, 여기 비구는 일어난 감각적 욕망에 대한 생각을 근원적으로 허용하지 않고 제거하고 내쫓고 끝장내고 존재하지 않게 합니다.

일어난 악의의 생각을 근원적으로 허용하지 않고 제거하고 내쫓고 끝장내고 존재하지 않게 합니다.

일어난 해코지하려는 생각을 근원적으로 허용하지 않고 제거하고 내쫓고 끝장내고 존재하지 않게 합니다.

계속적으로 일어나는 삿되고 해로운 법들을 근원적으로 허용하지 않고 제거하고 내쫓고 끝장내고 존재하지 않게 합니다.

도반들이여, 이것이 버리는 노력입니다.

도반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수행하는 노력입니까?

도반들이여, 여기 비구는 근원적으로 숙고하기 때문에 떨쳐버림(viveka)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마음챙김의 깨달음의 구성요소[念覺支(염각지)]를 닦습니다.

근원적으로 숙고하기 때문에 떨쳐버림(viveka)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법을 간택하는 깨달음의 구성요소[擇法覺支(택법각지)]를 닦습니다.

근원적으로 숙고하기 때문에 떨쳐버림(viveka)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정진의 깨달음의 구성요소[精進覺支(정진각지)]를 닦습니다.

근원적으로 숙고하기 때문에 떨쳐버림(viveka)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희열의 깨달음의 구성요소[喜覺支(희각지)]를 닦습니다.

근원적으로 숙고하기 때문에 떨쳐버림(viveka)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편안함의 깨달음의 구성요소[輕安覺支(경안각지)]를 닦습니다.

근원적으로 숙고하기 때문에 떨쳐버림(viveka)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삼매의 깨달음의 구성요소[定覺支(정각지)]를 닦습니다.

근원적으로 숙고하기 때문에 떨쳐버림(viveka)을 의지하고 [탐욕의] 빛바램을 의지하고 소멸을 의지하고 철저한 버림으로 기우는 평온의 깨달음의 구성요소[捨覺支(사각지)]를 닦습니다.

도반들이여, 이것이 수행하는 노력입니다.

도반들이여, 그러면 어떤 것이 보호하는 노력입니까?

도반들이여, 여기 비구는 일어난 경이로운 삼매의 표상을 잘 보호합니다. [시체가] 해골이 된 인식, 벌레가 바글거리는 인식, 검푸른 인식, 끊어진 인식, 부은 인식입니다.

도반들이여, 이것이 보호하는 노력입니다.

 

Cattāri ñāṇāni:

Dhamme ñāṇaɱ, anvaye ñāṇaɱ,

paricchede ñāṇaɱ, sammuti-ñāṇaɱ."

 

(11) 네 가지 지혜(ñāṇa)

법에 대한 지혜, 추론에 의한 지혜, 남들에 대한 지혜, 인습적인 지혜

 

Aparāni pi cattāri ñāṇāni:

Dukkhe ñāṇaɱ, samudaye ñāṇaɱ,

nirodhe ñāṇaɱ, magge ñāṇaɱ.

 

(12) 또 다른 네 가지 지혜

괴로움에 대한 지혜, 괴로움의 일어남에 대한 지혜, 괴로움의 소멸에 대한 지혜, 괴로움의 소멸로 인도하는 도닦음에 대한 지혜

 

Cattāri sot'āpattiyaŋgāni:

Sappurisa-saɱsevo, Sad'Dhamma-savaṇaɱ,

yoniso-mana-sikāro, dhammānu-dhamma-paṭipatti.

 

(13) 네 가지 예류도를 얻기 위한 구성요소(sotāpattiyaŋga)

바른 사람을 섬김. 바른 법을 경청함, 지혜로운 주의, [출세간]법에 이르게 하는 법(dhamma-anudhamma)을 닦음

 

Cattāri Sot'āpannassa aŋgāni:

Idh'āvuso ariya-sāvako Buddh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hoti: 'Iti pi so Bhagavā arahaɱ SammāSamBuddho vijjā-caraṇa-sampanno Sugato loka-vidū anuttaro purisa-damma-sārathī Satthā deva-manussānaɱ Buddho Bhagavā' ti.

Dhamm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hoti: 'Svākkhāto Bhagavatā Dhammo sandiṭṭhiko akāliko ehi-passiko opanayiko paccattaɱ veditabbo viññūhī' ti.

Saŋghe avecca-p-pasādena samannāgato hoti: 'Su-paṭipanno Bhagavato sāvaka Saŋgho, uju-paṭipanno Bhagavato sāvaka-saŋgho, ñāya-paṭipanno Bhagavato sāvaka-saŋgho, sāmīci-paṭipanno Bhagavato sāvaka-saŋgho, yad idaɱ cattāri purisa-yugāni, aṭṭha purisa-puggalā, eso Bhagavato sāvaka-saŋgho āhuṇeyyo pāhuṇeyayā dakkhiṇeyyo añjali-karaṇīyo anuttaraɱ puñña-kkhettaɱ lokassā' ti.

Ariya-kantehi sīlehi samannāgato hoti akhaṇḍehi acchiddehi asabalehi akammāsehi bhujissehi viññūppasatthehi aparām-aṭṭhehi samādhi-saŋvatta-nikehi.

 

(14) 네 가지 예류[]를 얻은 자의 구성요소(Sotāpannassa aŋga) - 도반들이여,

여기 성스러운 제자는 그분 세존께서는 아라한[應供(응공)]이시며 완전히 깨달은 분[正等覺(정등각)]이시며, 영지와 실천이 구족한 분[明行足(명행족)]이시며, 피안으로 잘 가신 분 [善逝(선서)]이시며, 세간을 잘 알고 계신 분[世間解(세간해)]이시며, 가장 높은 분[無上士(무상사)]이시며, 사람을 잘 길들이시는 분[調御丈夫(조어장부)]이시며, 하늘과 인간의 스승[天人師(천인사)]이시며, 부처님[()]이시며, 세존[世尊]이시다.’라고 부처님께 움직이지 않는 깨끗한 믿음을 지닙니다.

법은 세존에 의해서 잘 설해졌고, 스스로 보아 알 수 있고, 시간이 걸리지 않고, 와서 보라는 것이고, 향상으로 인도하고, 智者(지자)들이 각자 알아야 하는 것이다.’라고 법에 움직이지 않는 깨끗한 믿음을 지닙니다.

세존의 제자들의 승가는 잘 도를 닦고, 세존의 제자들의 승가는 바르게 도를 닦고, 세존의 제자들의 승가는 참되게 도를 닦고, 세존의 제자들의 승가는 합당하게 도를 닦으니, 곧 네 쌍의 인간들[四雙(사쌍)]이요 여덟 단계에 있는 사람들[八輩(팔배)이시다. 이러한 세존의 제자들의 승가는 공양받아 마땅하고, 선사받아 마땅하고, 보시받아 마땅하고, 합장받아 마땅하며, 세상의 위없는 복밭[福田(복전)]이시다.’라고 승가에 움직이지 않는 깨끗한 믿음을 지닙니다.

성자들이 좋아하며 훼손되지 않았고 뚫어지지 않았고 오점이 없고 얼룩이 없고 벗어나게 하는 것이고 지자들이 찬탄하는 것이고 들러붙지 않는 것이고 삼매에 도움이 되는 계를 구족합니다.

 

Cattāri sāmañña-phalāni:

Sot'āpatti-phalaɱ, Sakad-āgāmi-phalaɱ,

Anāgāmi-phalaɱ, Arahatta-phalaɱ.

 

(15) 네 가지 출가생활의 결실(sāmañña-phala)

예류과, 일래과, 불환과, 아라한과

 

Catasso dhātuyo:

Paṭhavi-dhātu, āpo-dhātu, tejo-dhātu, vāyo-dhātu.

 

(16) 네 가지 요소(dhātu)

땅의 요소, 물의 요소, 불의 요소, 바람의 요소

 

Cattāro āhārā:

Kabalīkāro āhāro, oḷāriko vā sukhumo vā,

phasso dutiyo, mano-sañcetanā tatiyā, viññāṇaɱ catutthaɱ.

 

(17) 네 가지 음식(āhāra)

거칠거나 부드러운 먹는 음식[段食(단식)], 감각접촉[()]이 두 번째, 마음의 의도[意思(의사)]가 세 번째, 알음알이[()]가 네 번째.

 

Catasso viññāṇa-ṭṭhitiyo:

Rūpūpayaɱ vā āvuso viññāṇaɱ tiṭṭha-mānaɱ tiṭṭhati,

rūp-ā-rammaṇaɱ rūpa-p-patiṭṭhaɱ nand'upasecanaɱ vuḍḍhiɱ virūḷhiɱ vepullaɱ āpajjati.

Vedan'ūpayaɱ vā āvuso viññāṇaɱ tiṭṭha-mānaɱ tiṭṭhati,

vedanārammaṇaɱ vedana-p-patiṭṭhaɱ nandūpasecanaɱ vuḍḍhiɱ virūḷhiɱ vepullaɱ āpajjati.

Saññ'ūpayaɱ vā āvuso viññāṇaɱ tiṭṭha-mānaɱ tiṭṭhati,

saññārammaṇaɱ saññāppatiṭṭhaɱ nandūpasecanaɱ vuḍḍhiɱ virūḷhiɱ vepullaɱ āpajjati.

Sankhār'ūpayaɱ vā āvuso viññāṇaɱ tiṭṭha-mānaɱ tiṭṭhati,

sankhārammaṇaɱ sankhāra-p-patiṭṭhaɱ nandūpasecanaɱ vuḍḍhiɱ virūḷhiɱ vepullaɱ āpajjati.

 

(18) 네 가지 알음알이의 거주처(viññāṇaṭṭhiti)

도반들이여, 물질[()]을 방편으로 가질 때 알음알이는 거주하여 머물게 되는데, 그것은 물질을 대상으로 하고 물질을 머무는 곳으로 하며 즐기기 위한 양념거리로 삼아서 자라고 증가하고 충만하게 됩니다.

느낌[()]을 방편으로 가질 때 알음알이는 거주하여 머물게 되는데, 그것은 느낌을 대상으로 하고 느낌을 머무는 곳으로 하며 즐기기 위한 양념거리로 삼아서 자라고 증가하고 충만하게 됩니다.

인식[()]을 방편으로 가질 때 알음알이는 거주하여 머물게 되는데, 그것은 인식을 대상으로 하고 인식을 머무는 곳으로 하며 즐기기 위한 양념거리로 삼아서 자라고 증가하고 충만하게 됩니다.

상카라[()]을 방편으로 가질 때 알음알이는 거주하여 머물게 되는데, 그것은 상카라를 대상으로 하고 상카라를 머무는 곳으로 하며 즐기기 위한 양념거리로 삼아서 자라고 증가하고 충만하게 됩니다.

 

Cattāri agati-gamanāni:

Chandāgatiɱ gacchati, dos-ā-gatiɱ gacchati,

moh-ā-gatiɱ gacchati, bhayāgatiɱ gacchati.

 

(19) 네 가지 하지 않아야 할 것을 함(agatigamana)

열의 때문에 하지 말아야 할 것을 하고, 성냄 때문에 하지 말아야 할 것을 하고, 어리석음 때문에 하지 말아야 할 것을 하고, 두려움 때문에 하지 말아야 할 것을 함.

 

Cattāro taṇhuppādā:

Cīvara-hetu vā āvuso bhikkhuno taṇhā uppajjamānā uppajjati.

Piṇḍapāta-hetu vā āvuso bhikkhuno taṇhā uppajjamānā uppajjati.

Senāsana-hetu vā āvuso bhikkhuno taṇhā uppajjamānā uppajjati.

Iti bhav-ā-bhava-hetu vā āvuso bhikkhuno taṇhā uppajjamānā uppajjati.

 

(20) 네 가지 갈애의 일어남(taṇhuppāda)

도반들이여, 옷을 원인으로 하여 비구에게 갈애가 거듭해서 일어납니다.

도반들이여, 탁발 음식을 원인으로 하여 비구에게 갈애가 거듭해서 일어납니다.

도반들이여, 거주처를 원인으로 하여 비구에게 갈애가 거듭해서 일어납니다.

도반들이여, 여인을 원인으로 하여 비구에게 갈애가 거듭해서 일어납니다.

 

Catasso paṭipadā:

Dukkhā paṭipadā dandhābhiññā, dukkhā paṭipadā khippābhiññā,

sukhā paṭipadā dandhābhiññā, sukhā paṭipadā khippābhiññā.

 

(21) 네 가지 도닦음

도닦기도 어렵고 초월지(신통지)도 더딘 것, 도닦음은 어려우나 초월지는 빠른 것, 도닦음은 쉬우나 초월지가 더딘 것, 도닦음도 쉽고 초월지도 빠른 것.

 

Aparā pi catasso paṭipadā:

Akkhamā paṭipadā, khamā paṭipadā,

damā paṭipadā, samā paṭipadā,

 

(22) 또 다른 네 가지 도닦음

인내하지 못하는 도닦음, 인내하는 도닦음, 감각기능들을 길들이는 도닦음, 생각 등을 고요히 하는 도닦음.

 

Cattāri dhamma-padāni:

Anabhijjhā dhammapadaɱ, avyāpādo dhamma-padaɱ,

sammā-sati dhamma-padaɱ, sammā-samādhi dhamma-padaɱ.

 

(23) 네 가지 법의 부분(dhammapada)

욕심 없음으로 [성취되는] 법의 부분, 악의 없음으로 [성취되는] 법의 부분, 바른 마음챙김으로 [성취되는] 법의 부분, 바른 삼매로 [성취되는] 법의 부분.

 

Cattāri dhamma-samādānāni:

Atth'āvuso dhamma-samādānaɱ pacc'uppanna dukkhañ c'eva āyatiñ ca dukkha-vipākaɱ

Atth'āvuso dhamma-samādānaɱ pacc'uppanna dukkhaɱ āyatiɱ ca sukha-vipākaɱ.

Atth'āvuso dhamma-samādānaɱ pacc'uppanna sukhaɱ āyatiɱ ca dukkha-vipākaɱ.

Atth'āvuso dhamma-samādānaɱ pacc'uppanna sukhañcava āyatiɱ ca sukha-vipākaɱ.

 

(24) 네 가지 법의 실천(받아지님, samādāna)

도반들이여, 현재에도 괴롭고 미래에도 괴로운 과보를 가져오는 법의 실천이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현재에는 괴로우나 미래에는 즐거운 과보를 가져오는 법의 실천이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현재에는 즐거우나 미래에는 괴로운 과보를 가져오는 법의 실천이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현재에도 즐겁고 미래에도 즐거운 과보를 가져오는 법의 실천이 있습니다.

 

Cattāro dhamma-k-khandhā:

Sīla-kkhavdho, samādhi-k-khandho,

paññā-k-khandho, vimutti-k-khandho.

 

(25) 네 가지 법의 무더기[(법온), dhamma-kkhandha]

 

계의 무더기[戒蘊(계온)], 삼매의 무더기[定蘊(정온)], 통찰지의 무더기[慧蘊(혜온)], 해탈의 무더기[解脫蘊(해탈온)]

 

Cattāri balāni:

Viriya-balaɱ, sati-balaɱ, samādhi-balaɱ, paññā-balaɱ.

 

(26) 네 가지 힘(bala)

정진의 힘, 마음챙김의 힘, 삼매의 힘, 통찰지의 힘

 

Cattāri adhiṭ-ṭhānāni:

Paññā-adiṭṭhānaɱ, saccādhiṭṭhānaɱ,

cāgādhiṭṭhānaɱ, upasamādhiṭṭhānaɱ.

 

(27) 네 가지 토대(adhiṭṭhāna)

통찰지의 토대, 진리의 토대, 포기의 토대, 고요함의 토대

 

Cattāri pañha-vyākaraṇā:

Ekaɱsa-vyākaraṇīyo pañho, vibhajja-vyākaraṇīyo pañho,

paṭipucchā-vyākaraṇīyo pañho, ṭhapaṇīyo pañho.

 

(28) 네 가지 질문에 대한 설명(pañha-vyākaraṇa)

전적으로 설명해야 하는 질문, 되물어서 설명해야 하는 질문, 분석해서 설명해야하는 질문, 제쳐두어야 하는 질문

 

Cattārī kammāni:

Atth'āvuso kammaɱ kaṇhaɱ kaṇha-vipākaɱ.

Atth'āvuso kammaɱ sukkaɱ sukka-vipākaɱ.

Atth'āvuso kammaɱ kaṇha-sukkaɱ kaṇha-sukka-vipākaɱ.

Atth'āvuso kammaɱ akanhaɱ asukkaɱ akanha-asukka-vipākaɱ kamma-k-khayāya saŋvattati.

 

(29) 네 가지 업(kamma)

도반들이여, 검은 과보를 가져오는 검은 과보가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흰 과보를 가져오는 흰 업이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검고 흰 과보를 가져오는 검고 흰 업이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검지도 희지도 않는 과보를 가져오는 검지도 희지도 않는 업이 있어서 이것은 업의 소멸로 인도합니다.

 

Cattāro sacchi-karaṇīyā dhammā:

Pubbe-nivāso satiyā sacchi-karaṇīyo.

Cutūpapāto cakkhunā sacchi-karaṇiyo.

Aṭṭha vimokkhā kāyena sacchi-karaṇīyā.

Āsavānaɱ khayo paññāya sacchi-karaṇīyo.

 

(30) 네 가지 실현해야 하는 법(sacchikaraṇīya dhamma)

전생의 삶은 마음챙김으로 실현해야 하고, 중생들의 죽고 태어남은 눈[天眼(천안)]으로 실현해야 하고, 여덟 가지 해탈[八解脫(팔해탈)은 몸으로 실현해야 하고, 번뇌의 소멸은 통찰지로 소멸해야 합니다.

 

Cattāro oghā:

Kāmogho, bhavogho, diṭṭhogho, avijjogho.

 

(31) 네 가지 폭류(ogha)

감각적인 욕망의 폭류, 존재의 폭류, 邪見(사견)의 폭류, 무명의 폭류.

 

Cattāro yogā:

Kāma-yogo, bhava-yogo, diṭṭhi-yogo, avijjā-yogo.

 

(32) 네 가지 속박(yoga)

감각적인 욕망의 속박, 존재의 속박, 邪見(사견)의 속박, 무명의 속박.

 

Cattāro visaɱyogā:

Kāmayoga-visaɱyogo, bhavayoga-visaɱyogo,

diṭṭhiyoga-visaɱyogo, avijjāyoga-visaɱyogo.

 

(33) 네 가지 풀림(visaɱyoga)

감각적인 욕망의 속박이 풀림, 존재의 속박이 풀림, 邪見(사견)의 속박이 풀림, 무명의 속박이 풀림.

 

Cattāro ganthā:

Abhijjhā kāya-gantho, vyāpādo kāya-gantho,

sīla-b-bata-parāmāso kāya-gantho, idaɱ-saccābhiniveso kāya-gatho.

 

(34) 네 가지 매듭(gantha)

간탐의 몸의 매듭, 악의의 몸의 매듭, 계율과 의식에 대한 집착의 몸의 매듭, 이것만이 진리라는 독단적 신조의 몸의 매듭.

 

Cattāri upādānāni:

Kām'ūpadānaɱ, diṭṭhupādānaɱ, sīl'abbat'ūpādānaɱ, att'avād'ūpādānaɱ.

 

(35) 네 가지 취착(upādāna)

감각적 욕망에 대한 취착, 사견에 대한 취착, 계율과 의식에 대한 취착, 자아의 교리에 대한 취착.

 

Catasso yoniyo:

Aṇḍa-ja-yoni, jalābu-ja-yoni, saɱseda-ja-yoni, opapātika-yoni.

 

(36) 네 가지 모태(yoni)

난생의 모태, 태생의 모태, 습생의 모태, 화생의 모태.

 

Catasso gabbhāvakkanatiyo:

Idh'āvuso ekacco asampajāno c'eva mātu kucchiyam okkamati,

asampajāno mātu kucchismiɱ ṭhāti,

sampajāno mātu kucchismā ni-k-khamati.

Ayaɱ paṭhamā gabbhāvakkanti.

 

Puna ca paraɱ āvuso idh'ekacco sampajāno hi kho mātu kucchiɱ okkamati,

asampajāno mātu kucchismiɱ ṭhāti,

asampajāno mātu kucchismā ni-k-khamati.

Ayaɱ dutiyā gabbhāvakkanti.

 

Puna ca paraɱ āvuso idh'ekacco sampajāno mātu kucchiɱ okkamati,

sampajāno mātu kucchismiɱ ṭhāti,

asampajāno mātu kucchismā ni-k-khamati.

Ayaɱ tatiyā gabbhāvakkanti.

 

Puna ca paraɱ āvuso idh'ekacco sampajāno c'eva mātu kucchiɱ okkamati,

sampajāno mātu kucchismiɱ ṭhāti,

sampajāno mātu kucchismā ni-k-khamati.

Ayaɱ catutthā gabbhāvakkanti.

 

(37) 네 가지 입태(入胎, abbhāvakkanati)

도반들이여, 여기 어떤 자는 알아차리지 못하면서 모태에 들어가고 알아차리지 못하면서 모태에 머물고 알아차리지 못하면서 모태에서 나옵니다. 이것이 첫 번째 태속에 들어감입니다.

도반들이여, 여기 어떤 자는 알아차리면서 모태에 들어가지만 알아차리지 못하면서 모태에 머물고 알아차리지 못하면서 모태에서 나옵니다. 이것이 두 번째 태속에 들어감입니다.

도반들이여, 여기 어떤 자는 알아차리면서 모태에 들어가고 알아차리면서 모태에 머물지만 알아차리지 못하면서 모태에서 나옵니다. 이것이 세 번째 태속에 들어감입니다.

도반들이여, 여기 어떤 자는 알아차리면서 모태에 들어가고 알아차리면서 모태에 머물고 알아차리면서 모태에서 나옵니다. 이것이 네 번째 태속에 들어감입니다.

 

Cattāro atta-bhāva-paṭilābhā:

Atth'āvuso atta-bhāva-paṭilābho yasmiɱ atta-bhāva-paṭilābhe atta-sañcetanā yeva kamati no para-sañcetanā.

Atth'āvuso atta-bhāva-paṭilābho yasmiɱ atta-bhāva-paṭilābhe para-sañcetanā yeva kamati no atta-sañcetanā.

Atth'āvuso atta-bhāva-paṭilābho yasmiɱ atta-bhāva-paṭilābhe atta-sañcetanā c'eva kamati para-sañcetanā ca.

Atth'āvuso atta-bhāva-paṭilābho yasmiɱ atta-bhāva-paṭilābhe n'eva atta-sañcetanā kamati no para-sañcetanā.

 

(38) 네 가지 자기 존재(attabhāva)의 획득

도반들이여, 자기 존재를 획득할 때 자신의 의도가 들어가고 남의 의도는 들어가지 않는 자기 존재의 획득이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자기 존재를 획득할 때 남의 의도가 들어가고 자신의 의도는 들어가지 않는 자기 존재의 획득이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자기 존재를 획득할 때 자신의 의도도 들어가고 남의 의도도 들어가는 자기 존재의 획득이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자기 존재를 획득할 때 자신의 의도도 들어가지 않고 남의 의도도 들어가지 않는 자기 존재의 획득이 있습니다.

 

Catasso dakkhiṇā-visuddhiyo:

Atth'āvuso dakkhiṇā dāyakato visujjhati no paṭiggāhakato.

Atth'āvuso dakkhiṇā paṭiggāhakato visujjhati no dāyakato.

Atth'āvuso dakkhiṇā n'eva dāyakato visujjhati no paṭiggāhakato.

Atth'āvuso dakkhiṇā dāyakato c'eva visujjhati paṭiggāhakato ca.

 

(39) 네 가지 베풂의 청정(dakkhiṇā-visuddhi)

도반들이여, 베푸는 자는 청정하지만 받는 자가 청정하지 않는 베풂이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받는 자는 청정하지만 베푸는 자가 청정하지 않는 베풂이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베푸는 자도 청정하지 않고 받는 자도 청정하지 않는 베풂이 있습니다.

도반들이여, 베푸는 자도 청정하고 받는 자도 청정한 베풂이 있습니다.

 

Cattāri saŋgaha-vatthūni:

Dānaɱ, peyyavajjaɱ, attha-cariyaɱ, samān'attatā.

 

(40) 네 가지 섭수하는 토대[四攝事(사섭사), 四攝法(사섭법), saŋgaha-vatthu]

보시, 사랑스러운 말, 이로운 행위, 함께 함.

 

Cattāro anariya-vohārā:

Musā-vādo, pisuṇā vācā, pharusā vācā, samphappalāpo.

 

(41) 네 가지 성스럽지 못한 표현(anariya-vohāra)

거짓말, 중상모략, 욕설, 잡담.

 

Cattāro ariya-vohārā:

Musā-vādā veramaṇī, pisuṇāya vācāya veramaṇī,

pharāsāya vācāya veramaṇī, sampha-p-palāpā veramaṇī.

 

(42) 네 가지 성스러운 표현(ariya-vohāra)

거짓말을 금함, 중상모략을 금함, 욕설을 금함, 잡담을 금함.

 

Apare pi cattāro anariya-vohārā:

Adiṭṭhe diṭṭha-vāditā, assute suta-vāditā,

amute muta-vāditā, aviññāte viññāta-vāditā.

 

(43) 다른 네 가지 성스럽지 못한 표현

보지 못했는데도 보았다고 말함, 듣지 못했는데도 들었다고 말함, 경험하지 못했는데도 경험했다고 말함, 알지 못했는데도 알았다고 말함.

 

Apare pi cattāro ariya-voharā:

Adiṭṭhe Adiṭṭha-vāditā, assute a-s-suta-vāditā,

amute amuta-vāditā, aviññāte aviññāta-vāditā.

 

(44) 다른 네 가지 성스러운 표현

보지 못했을 때 보지 못했다고 말함, 듣지 못했을 때 듣지 못했다고 말함, 경험하지 못했을 때 경험하지 못했다고 말함, 알지 못했을 때 알지 못했다고 말함.

 

Apare pi cattāro anariya-vohārā:

Diṭṭhe adiṭṭha-vāditā, sute a-s-suta-vāditā,

mute amuta-vāditā, viññāte aviññāta-vāditā.

 

(45) 또 다른 네 가지 성스럽지 못한 표현

보았는데도 보지 못했다고 말함, 들었는데도 듣지 못했다고 말함, 경험하였는데도 경험하지 못했다고 말함, 알았는데도 알지 못했다고 말함.

 

Apare pi cattāro ariya-vohārā:

Diṭṭhe diṭṭha-vāditā, sute suta-vāditā,

mute muta-vāditā, viññāte viññāta-vāditā.

 

(46) 또 다른 네 가지 성스러운 표현

보았을 때 보았다고 말함, 들었을 때 들었다고 말함, 경험했을 때 경험했다고 말함, 알았을 때 알았다고 말함.

 

Cattāro puggalā:

Idh'āvuso ekacco puggalo attan-tapo hoti atta-paritāpanānuyogam anuyutto.

Idh'āvuso ekacce puggalo paran-tapo hoti para-paritāpanānuyogam anuyutto.

Idh'āvuso ekacco puggalo attan-tapo ca hoti atta-paritāpanānuyogam anuyutto,

paran-tapo ca para-paritāpanānuyogam anuyutto.

Idh'āvuso ekacco puggalo n'eva attan-tapo hoti na atta-paritāpanānuyogam anuyutto na paran-tapo na para-paritāpanuyogam anuyutto.

 

So anattan-tapo aparan- tapo diṭṭhe'va dhamme nicchāto nibbuto sītī-bhuto sukha-paṭisaŋvedi brahma-bhutena attanā viharati.

 

(47) 네 가지 인간(puggala)

도반들이여, 여기 어떤 인간은 자신을 학대하여 자신을 학대하는 짓에 몰두합니다.

도반들이여, 여기 어떤 자는 남을 학대하여 남을 학대하는 짓에 몰두합니다.

도반들이여, 여기 어떤 사람은 자신을 학대하여 자신을 학대하는 짓에 몰두하고 남을 학대하여 남을 학대하는 짓에 몰두합니다.

도반들이여, 여기 어떤 자들은 자신을 학대하지 않아서 자신을 학대하는 짓에 몰두하지 않고 남을 학대하지 않아서 남을 학대하는 짓에 몰두하지 않습니다. 그는 자신을 학대하지 않고 남을 학대하지 않으며 바로 지금 여기에서 갈증이 풀리고, [삼독의 불]이 꺼지고, 시원하게 되어 행복이 체득되고, 스스로 고결하게 되어 머뭅니다.

 

Apare'pi cattāro puggalā:

Idh'āvuso ekacco puggalo atta-hitāya paṭipanno hoti no para-hitāya.

Idh'āvuso ekacco puggalo para-hitāya paṭipanno hoti no atta-hitāya.

Idh'āvuso ekacco puggalo n'eva atta-hitāya paṭipanno hoti na para-hitāya.

Idh'āvuso ekacco puggalo atta-hitāya c'eva paṭipanno hoti para-hitāya ca.

 

(48) 다른 네 가지 인간

도반들이여, 여기 어떤 인간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도를 닦지만 남을 위해서는 도를 닦지 않습니다.

도반들이여, 여기 어떤 인간은 남의 위해서 도를 닦지만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는 도를 닦지 않습니다.

도반들이여, 여기 어떤 인간은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도 남의 이익을 위해서도 도를 닦지 않습니다.

도반들이여, 여기 어떤 인간들은 자신의 이익과 남의 이익을 위해서 도를 닦습니다.

 

Apare pi cattāro puggalā:

Tamo tama parāyano, tamo joti-parāyano,

joti tama-parāyano, joti joti-parāyano.

 

(49) 또 다른 네 가지 인간

어둠에 있는 자가 어둠을 태어날 곳으로 가짐, 어둠에 있는 자가 밝음을 태어날 곳으로 가짐, 밝음에 있는 자가 어둠을 태어날 곳으로 가짐, 밝음에 있는 자가 밝음을 태어날 곳으로 가짐.

 

Apare pi cattāro puggalā:

Samaṇa-m-acalo, samaṇa-padumo,

samaṇa-puṇḍariko, samaṇa-sukhumālo.

 

(50) 또 다른 네 가지 인간

동요하지 않는 사문, 靑蓮(청련)과 같은 사문, 白蓮(백련)과 같은 사문, 지극히 미묘한 사문.

 

Ime kho āvuso tena Bhagavatā jānatā passatā arahatā Sammā Sambuddhena cattāro dhammo sammad-akkhāto.

Tattha sabbeh'eva saŋgāyitabbaɱ na vivaditabbaɱ,

yatha-yidaɱ Brahma-cariyaɱ addhaniyaɱ assa cira-ṭṭhitikaɱ,

tad assa bahu-jana-hitāya bahu-jana-sukhāya lokānukampāya atthāya hitāya sukhāya deva-manussānaɱ.

 

도반들이여, 이것이 아시고 보시는 그분 세존아라한정등각께서 분명하게 설하신 네 가지로 구성된 법입니다.

그러므로 우리 모두는 함께 합송해야 하며 분쟁을 해서는 안됩니다. 그래서 이 청정범행이 길이 전해지고 오래 머물게 해야 합니다. 이것이 많은 사람의 이익을 위하고 많은 사람의 행복을 위하고 세상을 연민하고 신과 인간의 이상과 이익과 행복을 위하는 것입니다.”

 

 

* 로만 빠알리 원문은 http://obo.genaud.net

* 디가니까야 DN33. 합송경 한글번역은 초기불전연구회 각묵스님 역





[DN33]???(1~4).hwp
0.15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