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짠 빤냐와로 스님 일상수행법문 녹취/2011~2012 일상수행법문 40

어리석은 자와 현명한 자 (20110825)

https://youtu.be/rO5bdPlhORE * 어리석은 자와 현명한 자 (20110825) 담마빠다 63번 게송 얘기를 좀 해드릴게요. 게송에는 "어리석은 사람이 어리석은 것을 알고 있다면 그 사람은 현명한 사람이다. 어리석은데 현명하다고 착각하는 사람은 어리석다" 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경전 일화에는 그렇게 나와 있습니다. 도둑질을 하는 사람 두 사람이 부처님이 법문 설하는데 가면 사람들이 많이 있으니까 거기 가서 남의 것을 가방에 넣든지 이렇게 도둑질할려고 둘이가 들어갔어요. 그런데 한 사람은 도둑질 할려고 들어갔는데 부처님이 법을 설하는 것을 듣고 그 소리가 귀에 쏙 들어오니까 도둑질할 생각을 안 하고 부처님 법문을 들어요. 그러면서 어느 정도 아, 뭐가 바른 행동이고 뭐가 나쁜 행동인가를..

★ 수행 시 주의해야 할 12가지 마음가짐 (20110823)

https://youtu.be/FXwX-LI5ZS4 ★ 수행 시 주의해야 할 12가지 마음가짐 (20110823) 자! 오늘은 저번에 언제 한번 했던 것 중에서 복습하는 의미로써 한번 하겠습니다. 수행할 때 주의해야 될 점들이고 반드시 이거는 기억들을 해둬야 될 부분입니다. 수행에서 도와 과에 이르기 위한 것이든지, 수행을 보다 더 한 단계 뛰어넘기 위한 것들이든지, 수행하면서 그 수행을 성공하기 위한 것들에서 꼭 필요한 마음가짐이라고 보면 됩니다. 빠뜨릴 수는 없는 것들을 열두 가지로 전에 정리를 해줬던 것들입니다. 한 번 더 다시 잘 기억을 하시기 바랍니다. 첫 번째 수행할 때 빠지기 쉬운 게 뭐냐면 기대하는 것들입니다. 반드시 기대하지 않는 것들을, 마음을 가져야 됩니다. 수행 조금 하다 보면 '아..

랏주말라 이야기_반드시 두 가지는 하자 (20110823)

https://youtu.be/b2D-Gn1ndTU * 랏주말라 이야기_반드시 두 가지는 하자 (20110823) 오늘은 두 가지를 얘기하겠습니다. "자신을 상처입히는 행위를 하지 말고, 두 번째는 자비의 마음이 항상 붙어있게끔 하라" 하는 두 가지 부분에 대한 얘기를 하겠습니다. 막내! 자신을 상처 입히는 행위를 했어, 안 했어? 많이 했어? 뭘 그렇게 많이 했는데? 얼마 전에 개한테 물린 거? 그거는 자기 자신을 상처 입힌 게 아니잖아? 밖에 대상이 자신에게 상처입힌 거잖아. (수행자 대답) 음. 너무 상처입힌 게 많아서 울어? 우는 것도 너 자신을 상처입히는 행위다야. 자신을 상처입히는 것들은 되도록이면 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상처를 입힌다는 게 꼭 육체적인 상처만 얘기하는 게 아닙니다. 정신적인..

열반에 이르는 법 - 그러기 위해 지혜를 개발하는 7가지 방법 (20110802)

https://youtu.be/Ji_Mfn1ytgM * 열반에 이르는 법 - 그러기 위해 지혜를 개발하는 7가지 방법 (20110802) 어머니, 아버지를 죽이고 걱정 없이 살아가는 사람 있어요? 없어요? 부처님이 라꾼다까 밧디야(Lakuṇḍakabhaddiya) 라고 하는 아주 키 작은 비구 스님을 보면서 다른 비구 스님들에게 한 얘기입니다. 다른 비구 스님들이 키가 작은 스님이 있으니까 놀리거든. 그러면서 다른 멀리서 온 분들은 이 밧디야 비구가 아라한인 줄 모르고 있는 거라. 그걸 보고 부처님이 얘기를 합니다. "저기 봐라. 어머니 아버지를 죽이고 괴로워하지 않는 수행자가 걸어가고 있다" 하고 얘기합니다. 아마 여러분들도 꼭 마찬가질 겁니다. 그 얘기를 들으면 의아해하듯이 이 스님들도 그 얘기를 듣..

인과 법칙 (20110802)

https://youtu.be/ZjOc0g-JK-w * 인과 법칙 (20110802) 스님 소리가 들립니까? 소리가 들리는 것은 어떻게 해서 들리는 거라? 여기 스님이 소리를 내면 그 소리가 파동이 되어서 여러분들 귀에 와 닿고, 그것을 여러분들이 인식하죠. 그러한 일정한 패턴을 지니고 있습니다. 저기에 있는 나무는 어떻게 해서 자랍니까? 저것도 일정한 패턴이 있죠? 햇빛이라는 것, 바람이라는 것, 물이라는 것 이런 일정한 패턴들을 가지고 성장을 하게 됩니다. 세상은 이렇게 일정한 패턴들을 가지게끔 됩니다. 그런 패턴들을 물질적인 것으로서 발견하는 것들을 보통 '과학'\이다' 그렇게 얘기를 합니다. 발명했다는 것은 새로운 패턴들을 만들어냈다는 그런 의미입니다. 의학이라는 것도 꼭 마찬가지로 몸의 신체라고..

괴로움으로부터 벗어나는 길 (20110726)

https://youtu.be/Lpj11Q6W234 * 괴로움으로부터 벗어나는 길 (20110726) 오늘은 괴로움으로부터 벗어나는 길에 대한 얘기를 좀 하겠습니다. 괴로움으로부터 벗어나려면 어찌해야 될까? 수한아. 그냥 괴로움을 당하면 돼? (수행자 대답) 그럴려고 수행하지? 음. 경전에는 "모든 것은 둑카다" 그렇게 얘기합니다. "모든 것은 괴로움이다" 하는 겁니다. 그런데 "그 괴로움은 무상이다" 하고 얘기합니다. '야띠 아닛짱 땅 둑캉 띠' 그렇게 얘기합니다. 무상한 성품을 지니고 있는 것들은 다들 괴로움을 가지고 있다 하는 그런 뜻입니다. 둑카라는 말, 괴로움이라는 것을 바꾸어 말하면 '변하고 있다' '멈추지 않고 변하는 것'들을 얘기합니다. 이게 부처님이 설한 진리입니다. 이 진리는 누구에게나..

불교의 목표는 해탈 - 성스러운 침묵 (20110721)

https://youtu.be/pZ92-Czj2EI * 불교의 목표는 해탈 - 성스러운 침묵 (20110721) 오늘은 새로운 사람이 한사람 왔는데 정신적인 부분에 문제가 좀 있다는 얘기를 합니다. 조용하게 한번 여러분들도 들어보시기 바랍니다. 불교에서 목표로 하는 것들은 해탈입니다. 해탈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들이 뭔가 하는 것입니다. 선정삼매를 닦는 분들은 선정으로 인해서 해탈에 이르도록 합니다. 위빳사나 수행하는 분들은 무상·고·무아라고 하는 것들로부터 해탈에 이르도록 합니다. 두 가지 수행법들이 있다고 하더라도 엄격하게 구분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그리고 그 두 가지 수행법에 공통적으로 있는 게 있습니다. 수행을 해나가다 보면, 반드시 먼저 마음에서 생각하는 것이 멈추어져 버립니다. 그리고 뒤따라..

감정_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의 판단기준 (20110719)

https://youtu.be/huaOQvZPwj0 * 감정_해야 할 일과 하지 말아야 할 일의 판단기준 (20110719) 실라눗사띠 부분은 언제 시간이 되면 내가 한번 다시 자세하게 해줘야 될 부분이라는 겁니다.. 아눗사띠(anussati, 隨念) 부분 중에 실라눗사띠가 아직 한국에 잘 알려지지 않아가지고, 실라눗사띠(戒隨念) 뿐 아니라 마라나눗사띠(死隨念)도 마찬가지고, 짜가눗사띠(施捨隨念)도 마찬가지고, 데와따눗사띠(天隨念)도 마찬가지고, 잘 모르는 부분들인데, 그래도 여러분들이 가장 알기 쉬운 것들이 그 실라눗사띠 부분입니다. 그거는 자세하게 자꾸 읽어보도록 해야 됩니다. 왜 실라눗사띠(Sīlānussati, 계수념) 합니까? (수행자 대답) 또, 다른 사람들은? 물론 계율이 밑바탕이 돼서 선정..

깜맛사까따-냐-나(업을 자기로 하는 지혜) (20110622)

https://youtu.be/ZkkSgYElo6M * 깜맛사까따-냐-나(업을 자기로 하는 지혜) (20110622) 오늘은 '깜맛사까따(kammassakatā)' '삼마제띠냐나' 라고 하는 부분에 대한 얘기를 하겠습니다. 인간은 성선설입니까? 성악설입니까? 인간의 본성은 선한 겁니까? 악한 겁니까? 불교적으로는 그런 거는 없죠? 자신이 몸으로 행하고 말로 행하고 마음으로 행하는 것들이 선한 것이냐 악한 것이냐에 따라서 선한 결과를 받기도 하고 악한 결과를 받기도 하죠! 그것이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법칙이다 하고 부처님이 얘기를 합니다. 그래서 성선설도 아니고 성악설도 아니죠! 부처님의 진리로 볼 것 같으면 인간이 짓는 행위, 말이든 행동이든 마음이든 그 행위에는 딱 두 가지만 있습니다. 선한 행위, 악..

까-마다 숫따(Kāmadasutta)_불교의 특색 (20110609)

https://youtu.be/RUqkvAv5VDI * 까-마다 숫따(Kāmadasutta)_불교의 특색 (20110609) 『 Saɱyutta Nikāya 』2-6. Evam me sutaṃ. ekaṃ samayaṃ Bhagavā 에왕 메 수땅. 에-깡 사마양 바가와- Sāvatthiyaṃ viharati Jetavane Anāthapiṇḍikassa ārāme. 사-왓티양 위하라띠 제-따와네- 아나-타삔디깟사 아-라-메-. Ekamantaṁ ṭhito kho Kāmado devaputto 에-까만땅 티또- 코- 까-마도- 데-와뿟또- Bhagavantaṁ etadavoca 바가완땅 에-따다오-짜 "dukkaraṁ Bhagavā, sudukkaraṁ Bhagavā"ti. "둑카랑 바가와- 수둑카랑 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