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짠 빤냐와로 스님 수행법문 녹취 298

18. 번뇌를 극복하기 위한...9. 사띠1 (20080501)

https://youtu.be/niJAFuv6RDA 18. 번뇌를 극복하기 위한...9. 사띠1 (20080501) (7) 「수행의 반복」으로 없애는 번뇌(asava bhāvanā pahatabba)- 칠각지 ★ 칠각지 「무지를 찢는 실천수행」 아사와바와나 빠하땁바(asava bhāvanā pahatabba) 끊임없는 수행의 반복으로 없애는 번뇌라는 뜻입니다. 바와나(bhāvanā)라고 하는 것은 보통 통상적으로 메디테이션(meditation)이라 해가지고 수행이라고 풀이가 되는데, 교재들을 보십시오. 수행이라는 용어보다는 반복한다는 의미가 강합니다. 그런 반복함으로 인해가지고 뭔가 바뀌어나가고 발전한다는, 그리고 조금 더 나은 상태로 변화된다 하는 그런 의미가 강합니다. 그래서 바와나(bhāvanā)라..

아수바 산냐(asubhā sañña)_유골과 부정상 (20170727)

https://youtu.be/1srOMTBdW8I * 아수바 산냐(asubhā sañña, 부정상) (20170727) 오늘은 유골과 부정상 - 아수바 산냐라는 것에 대해서 하겠습니다. 아수바 바와나(asubhā bhāvanā)라는 게 있고, 아수바 산냐(asubhā sañña)라는 게 있습니다. 예비수행 중에 부정관, 부정상 그렇게 얘기를 합니다. 오늘은 부정상(asubhā sañña)에 대한 얘기를 좀 하도록 하겠습니다. 요즘은 누가 돌아가실 때 유언을 할 때 보면 그냥 화장하고 흩어버려라 하고 화장하는 경우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아무리 돌아가실 분이 그렇게 유언을 했다 하더라도 남아있는 가족들이 그걸 지키느냐 안 지키느냐 하는 것 그게 문제입니다. 잘 지키면 문제가 없는데 가족만 있는..

17. 번뇌를 극복하기 위한...8. 필수품2 (20080403)

https://youtu.be/eGS5l3rxvJQ 17. 번뇌를 극복하기 위한...8. 필수품2 (20080403) 옷에 대한 거하고 그 뒷부분을 못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렇죠! 처음에 마음을 다스리기가 힘이 들기 때문에, 마음을 다스리기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통상적으로 하는 것이 옷차림을 정돈하는 것으로부터 시작을 합니다. 그래서 옷을 잘 정돈하고 하는 습관이 들면 마음을 바르게 잡아서 수행하는데 도움을 주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옷의 희생자가 돼서는 안된다 하는 얘기를 했습니다. 목적은 마음을 다스리고 마음을 맑고 깨끗하게 하는데 있는 것이지 옷으로 인해서 마음이 더렵혀져서는 안된다 하는 얘기를 했습니다. 특히 태국 같은데, 스님이 수행했던 왓람쁭 같은 경우에는 북부지역을 관장하는 그런 사..

16. 번뇌를 극복하기 위한...7. 필수품1 (20080313)

https://youtu.be/fiaUhxgBrdg 16. 번뇌를 극복하기 위한...7. 필수품1 (20080313) (3) 「실천·수행」으로 없어지는 번뇌(asava paṭisevana pahatabba) 저번 시간에 이어서 번뇌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한 것들입니다. 세 번째 빠띠세와나(paṭisevana)라고 하는 부분입니다. 실천하고 수행하고 그리고 따라함으로 인해서 없어지는 번뇌입니다. 뭔가 알아야 따라할 거 아니라. 그래서 그것이 뭔가 하는 부분에 대한 얘기입니다. 간단하게 스님이 네 부분으로 정리를 해서 해놓았습니다. 살아가는 데 필수적으로 필요한 것과 쓸데없이 가지고 있는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것을 잘 판단해가지고, 어떤 면에서는 잘 선택하는 지혜가 또 하나의 보물입니다. 인간은 살아가다 ..

15. 번뇌를.....6. 수행하려는 마음을 일으키는 네 가지 이유(조건) (20080228)

https://youtu.be/31kORcNrWDI 15. 번뇌를.....6. 수행하려는 마음을 일으키는 네 가지 이유(조건) (20080228) (2) 상와라(saṃvara) 제어의 장 「방어·제어」하는 것으로 없어지는 번뇌(asava saṃvara pahatabba) 통상적으로 불교에서는 마음을 많이 강조합니다. 몸보다는 마음을 많이 강조하죠! 왜 그렇습니까? 마음이 주가 되기 때문이죠. 마음이 모든 것의 주인이다 하는 뜻으로써 마음을 많이 얘기합니다. 그래도 수행은 몸과 마음이지 마음 하나만 있는 것은 아니죠? 여러분들은 항상 몸과 마음을 관찰하는 훈련을 게을리해서는 안됩니다. 부처님 당시 때 랏타빨라라고 하는 아라한이 있었습니다. 이분은 출가할 때 시지부지 출가를 했어요. 시지부지! 그냥 큰 발심..

14. 번뇌를 극복하기 위한...5. 바른 견해2 (20080214)

https://youtu.be/qhJflxCWniI 14. 번뇌를 극복하기 위한...5. 바른 견해2 (20080214) 통상적으로 보면 여러분들은 바른 견해를 가지고 있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죠! 그런데 바른 견해를 가지고 있다고 그렇게 하면, 통상적으로 수행하지 않는 사람들이 가지는 견해들이 있습니다. 그게 보통 뭡니까? 선한 것과 선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 이해하고 아는 것들, 이런 것들도 바른 견해에 들어갑니다. 자기가 지은 것은 자기가 받게 돼있다. 그리고 그렇게 짓는 업은 자기가 상속자고 자기가 소유하게 돼있다 하는 것들을 보통 알고 있습니다. 그 결과로써 바른 행위를 지었을 때 얻어지는 결과, 나쁜 행위를 지었을 때 얻어지는 결과 그런 것들도 알고 있습니다. 좋은 행위 지었으면 좋은 결..

13. 번뇌를 극복하기 위한...4. 바른 견해1 (20080131)

https://youtu.be/CzMgZMOd1Qs 13. 번뇌를 극복하기 위한...4. 바른 견해1 (20080131) (1) dassana(닷사나) 관찰의 장 ··· 그게 한 찹트(chapter)입니다. 1번 항목에 대한 것이 끝난 겁니다. 오늘 좌선하면서도 이걸 한번 실험을 해봤어요. 지금 여러분들에게 프린트물 나간 부분에 대한 것들을. 위빳사나 수행에 대해서 모른 상태에서, 완전히 모르지는 않겠죠. 어느 정도는 알고 있다고 치더라도, 모른 상태에서 이렇게 법에 대한 고찰, 법에 대한 관찰을 통해서 첫 번째 성인의 경지, 수다원에 이르른다 하는 부분에 대한 얘깁니다. 그럴려고 할 것 같으면 관찰하는 것이 올발라야 되는 것이지 올바르지 않으면 안 됩니다. 여기에 글에 적어놓기는 둑카(dukkha)에 ..

12. 번뇌를 극복하기 위한 분명한 알아차림3. 닷사나 (20080124)

https://youtu.be/8VOcaUE5UQM 12. 번뇌를 극복하기 위한 분명한 알아차림3. 닷사나 (20080124) 37조도품은 여기 목요일 저녁 수행반들에는 계속 프린트해 주겠습니다. 그거는 수행할 때 꼭 필요한 부분이니까, 안 받은 사람도 있죠? 목요일 오후에 하는 건데, 그거는 저녁 시간에 하는 분들도 필요하니까 그거는 해드리도록 하고, 물론 그 시간에 여러분들이 와서 듣지는 못해도 그 프린트물로 보면 웬만한 거는 이해가 될 거라고 봅니다. 자! 번뇌 부분에 대한 것입니다. 오늘 첫 번째 부분이죠! (1) dassana(닷사나) 관찰의 장 「관찰」하는 것, 알아차리는 것, 이해하는 것으로 없어지는 번뇌(asava dassana pahatabba) 관찰이라고 말해도 맞고, 바른 견해를 가지..

11. 번뇌를 극복하기 위한 분명한 알아차림2 (20080117)

https://youtu.be/82oRbzyuEHc11. 번뇌를 극복하기 위한 분명한 알아차림2 (20080117) 자! 오늘 계속해봅시다. 번뇌를 극복하기 위한 분명한 알아차림. (···) 예 오늘 부분까지는 없습니다. 프린트물 저번 시간에 내준 거 가져왔습니까? (···) 일곱 가지 구분해놓은 거까지 프린트물 나갔죠? (···) 기본적인 기능 설명한 것까지는 했잖습니까? 그렇죠! 하나도 안 받았으면 결석한 거지, 그걸 내보고 물어보면 어떡하라고. (···) 그건 담마스쿨이고, 됐습니다. 그냥 하십시요. 교재가 짬뽕이 돼가지고 어디... 자! 기본적인 번뇌의 기능에 대해서 얘기를 했습니다. 그렇죠! 기본적인 기능은 뭡니까? 거기 써놨지만 사람의 행복, 평온함을 부수는 일을 하는 것이 번뇌의 기본적인 기..

마라나눗사띠(Maraṇānussati bhāvanā)_죽기 전에 무엇을 해야 될 것인가 (20110523)

https://youtu.be/pAWZZqY7qgw * 마라나눗사띠(Maraṇānussati bhāvanā)_어떻게 죽을 것인가 (20110523) 저번 시간에 죽음에 대한 얘기를 좀 했습니다. 그때 "몇 살에 죽는가 하는 걸 모른다. 무슨 병으로 죽는가 하는 걸 모른다. 또 언제 죽는가 하는 걸 모른다. 죽고 나서 내 몸이 어디에 버려질지를 모른다. 그다음에 죽고 나서 다음 세상에 어디에 태어날지를 모른다." 하는 그런 부분에 대한 얘기를 했습니다. 그랬죠? 산향님은 안 와서 못들었지? (수행자 질문) 어떻게 선택해서 태어납니까? 천상세계는 자기 마음대로 선택할 수 있습니까? 어느 경전에 그런 얘기가 나오던가요? 예! 추측만으로 그치십시오. 어떤 경우도 마음대로 선택할 수가 없습니다. 단지, 저번 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