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 정진 330

사띠 사마디(Sati-Samadhi)를 유지시켜 지혜 계발

위빠사나를 닦는 수행자들은 사띠가 증장되면 사마디가 따라온다고 말한다. 그것을 ‘사띠 사마디’(Sati-Samadhi) 혹은 ‘위빠사나 사마디’(Vipassana-Samadhi)라고 하는데, 이때 우뻭카(upekkhā)가 함께 갖춰진다. 그러니까 사마타든 위빠사나든 우뻭카는 수행의 진척도를 재는 중요한 척도가 ..

참으로 여래를 존경하고 존중하고 숭상하고 예배하는 것

“아난다여, 한 쌍의 살라나무는 때 아닌 꽃들로 만개하여 여래께 올리기 위해서 여래의 몸 위로 떨어지고 흩날리고 덮이는구나. 하늘나라의 만다라와 꽃들이 허공에서 떨어져서 여래께 예배를 올리기 위해서 여래의 몸 위로 떨어지고 흩날리고 덮이는구나. 하늘나라의 전단향 가루가 ..

C. 논장(論藏 Abhidhamma Piṭaka)

C. 논장(論藏 Abhidhamma Piṭaka) -- 경장에 설해진 법의 철학적 논의 -- 논장은 삼장의 세 번째 부분이다. 논장은 일곱 가지 논서[七論]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것은 경장에서 발견되는 전체 경전의 체계적인 해석이다. 논서는 특히 자연 현상의 존재에 대한 심리학적인 분석을 다르고 있다. 1. 법집론(法集論 Dhammasaŋgaṇī). 담마(dhamma) 혹은 존재의 요소들의 목록이다. 2. 분별론(分別論 Vibhaŋga). '구별 혹은 판단'이다. 앞서 말한 것의 계속적인 분석이다. 3. 계설론(界說論 Dhātukathā). '요소의 논의'이다. 정신적인 요소와 다른 부문과의 관계에 관한 것이다. 4. 인시설론(人施設論 Puggalapaññatti). 증지부로부터 편집된 것으로서 개체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