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 정진 330

사무량심(四無量心)의 충만에 대한 게송

Brahmavihārapharaṇā pāṭha(브라흐마위하-라파라나- 빠-타) 사무량심(四無量心)의 충만에 대한 게송 Ahaṁ sukhito homi. Niddukkho homi. 아항 수키또- 호-미. 닛둑코- 호-미. Avero homi. Abyāpajjho homi. 아웨-로- 호-미. 아브야-빳조- 호-미. Anīgho homi. Sukhī attānaṁ pariharāmi. 아니-고- 호-미. 수키- 앗따-낭 빠리하라-미. 내가 행복하기를! 괴로움으로부터 벗어나기를! 증오로부터 벗어나기를! 위험으로부터 벗어나기를! 번민으로부터 벗어나기를! 스스로를 보호하여 행복을 누리기를! (1) METTĀ (멧따-) Sabbe sattā sukhitā hontu. 삽베- 삿따- 수키따- 혼뚜. Sabbe sa..

항상 관찰해야 할 다섯 가지 대상에 대한 게송

Abhiṇha paccavekkhana pāṭha (아빈하 빳짜웩카나 빠-타) 항상 관찰해야 할 다섯 가지 대상에 대한 게송 ① Jarādhammomhi jaraṁ anatīto. 자라-담몸히 자랑 아나띠-또-. ② Byādhidhammomhi byādhiṁ anatīto. 브야-디담몸히 브야-딩 아나띠-또-. ③ Maraṇadhammomhi maraṇaṁ anatīto. 마라나담몸히 마라낭 아나띠-또-. ④ Sabbehi me piyehi manāpehi nānābhāvo vinābhāvo. 삽베-히 메- 삐예-히 마나-뻬-히 나-나-바-오- 위나-바-오-. ⑤ Kammassakomhi, kammadāyādo, kammayoni, kammabandhu, kammapaṭisaraṇo. 깜맛사꼼히, 깜마다..

네 가지 공양물을 사용할 때의 관찰 게송

Taṅkhaṇika paccavekkhana pāṭha (땅카니까 빳짜웩카나 빠-타) 네 가지 공양물을 사용할 때의 관찰 게송 Paṭisaṅkhā yoniso cīvaraṁ paṭisevāmi. 빠띠상카- 요-니소- 찌-와랑 빠띠세-와-미. Yāvadeva sītassa paṭighātāya, uṇhassa paṭighātāya, 야-와데-와 시-땃사 빠띠가-따-야, 우느핫사 빠띠가-따-야, ḍaṁsamakasavātātapasiriṁsapasamphassānaṁ paṭighātāya, 당사마까사와-따-따빠시링사빠삼팟사-낭 빠띠가-따-야, yāvadeva hirikopīna paṭicchādanatthaṁ. 야-와데-와 히리꼬-삐-나 빠띳차-다낫탕. 제가 사용하는 가사에 대해 올바른 생각으로 관찰합니다...

날마다 좋은날 경(Bhaddekaratta Sutta, 밧데-까랏따 숫따)

☘ Bhaddekaratta Sutta (밧데-까랏따 숫따, 날마다 좋은날 경) 1. Atītaṃ nānvāgameyya, nappaṭikaṅkhe anāgataṃ, (아띠-땅 난와-가메이야, 납빠띠깡케 아나-가땅) 과거를 적극 쫓아가는 일 없이, 미래를 바라는 일 없이, yadatītaṃ pahīnaṃ taṃ, appattañca anāgataṃ. ​(야다띠-땅 빠히-낭 땅, 압빳딴짜 아나-가땅) 과거는 지나가 버렸고, 미래는 아직 오지 않은 것이다. 2. Paccuppannañca yo dhammaṃ, tattha tattha vipassati, ​ (빳쭙빤냔짜 요- 담망, 땃타 땃타 위빳사띠,) 실제로 존재하고 있는 현상을, 그때 그때 그 자리에서 관찰해서, asaṃhīraṃ asaṃkuppaṃ, ..

확신(saddhā)으로 인해서 마음이 넓어져야

수행이 잘 되어나갈 때 수행을 하다 보면 확신이 딱 들어가지고 다른 것들은 일체 눈에 보이지를 않습니다. 위빳사나 수행하는 사람들은 위빳사나 수행외에는 다른 것들은 안 보이게 됩니다. 또 자기가 수행하고 있으면 그 수행이외에는 다른 것들은 눈에 안 보이게 됩니다. 맞긴 맞는 건데, 이것도 장애라는 생각을 못하는 거라. 확신이라고 하는 것은 그런 것들이 아닙니다. 불교에 대한 확신이 들 거 같으면, 그 확신(saddhā)으로 인해서 마음이 넓어져야 되는 것이지, 좁혀져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걸 뭐라고 하느냐면 '아디목카(adhimokkha)'라고 합니다. 수행에 대해서 확신이 딱 들었을 때는 그 이외에는 다른 것은 눈에 보이지를 않습니다. 수행에서 어느 정도 성취감이 있고나면 이런 상태에 이르르게 됩니다..

닙빠리야-야 데-사나-(nippariyāya-desanā) - "진리 그 자체를 직접 말하는 것"

「이 법(담마)은 지혜가 있는 자의 것이지, 무지한 자의 것이 아니다.」 Paññāvato ayaṁ dhammo, nāyaṁ dhammo duppaññassa; (빤냐-와또- 아양 담모-, 나-양 담모- 둡빤냣사.) 지혜가 있는 자! 사실은 성인의 경지에 이른 자만이 지혜가 있습니다.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전부 무지한 자들입니다. 부처님의 법대로 할 거 같으면. 여기서 조심해야 되는 것은 지식을 얻으려고 하는 것과 지혜를 착각을 한다는 겁니다. 지식은 아무리 모이더라도 그것은 지혜를 대체할 수가 없습니다. 그 일정 부분에서는 오히려 지혜로울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그것이 모든 것들을 다 포괄해서 지혜롭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래서 특정한 분야에서 뛰어난 사람은 그거는 잘할지 몰라도 다른 것은 젬병일 수..

바른 삼매(Samādhi)를 개발하려면

「이 법은 마음이 통일된 자의 것이지, 마음이 혼란스러운 자의 것이 아니다.」 Samāhitassāyaṁ dhammo, nāyaṁ dhammo asamāhitassa; (사마-히땃사-양 담모-, 나-양 담모- 아사마-히땃사.) 사마디(samādhi)는 삼매를 얘기하죠? 마음 집중하는 것들. 사마디라고 하는 것은 ‘지금 현재 행하고 있는 것에 기쁨을 수반한 집중력이 있는 것’을 얘기합니다. 그래서 '나'라고 하는 것이 있다. '나의 것'이 있다 하는 것마저도 버려버리고 집중되는 것들입니다. 왜 그렇겠습니까? 나와 나의 것이 왜 버려지겠습니까? 기쁨으로 인해서 사라져버립니다. 일반적으로 보면 잘 경험하기 힘드는 거죠. 대상에 대해서 분명하게 알아차림을 유지하면 집중력이 생깁니다. 그 집중력이 잘못된 집중이냐..

Mahā purisa vitakka (마하- 뿌리사 위딱까)위대한 사람의 사유(思惟)

Mahā purisa vitakka (마하- 뿌리사 위딱까) 위대한 사람의 사유(思惟) 1. Appicchassāyaṁ dhammo, nāyaṁ dhammo mahicchassa; (압삣찻사-양 담모-, 나-양 담모- 마힛찻사.) 이 법은 욕심 없는 자의 것이지, 욕심 많은 자의 것이 아니다. 2. Santuṭṭhassāyaṁ dhammo, nāyaṁ dhammo asantuṭṭhassa; (산뚯탓사-양 담모-, 나-양 담모- 아산뚯탓사.) 이 법은 만족하는 것을 아는 자의 것이지, 불만족스러워하는 자의 것이 아니다. 3. Pavivittassāyaṁ dhammo, nāyaṁ dhammo saṅgaṇikārāmassa; (빠위윗땃사-양 담모-, 나-양 담모- 상가니까-라-맛사.) 이 법은 멀리 떠남을 기..

아침에 일어날 때

아침에 일어날 때 이 네 가지만 딱 명심을 하면 그날 말하는 것도 조심하게 되고 행동하는 것도 조심하게 됩니다. 첫 번째, 깨자마자 먼저 미소를 짓자! 두 번째가, 나에게 새로운 시간, 24시간이 있다 하고 먼저 받아들여라! 얼마나 소중한 시간이라? 24시간이라는 것이! 어떤 것도 경험하지 않은 깨끗한 24시간입니다. 세 번째가, 그 순간순간을 충실하게 살아가자! 하고 다짐을 합니다. 네 번째가, 모든 것들을 자비로운 눈으로 보겠다! 내 자신도 자비로운 눈으로 본다는 뜻입니다. 이 네 가지를 명심을 하면 올바른 말을 해 나가는데 도움이 많이 될 것입니다. 어떤 것이 올바른 말이냐 하면, 이 다섯 가지를 명심하면 됩니다. 첫 번째, 바른 시간에 말하고 있는가? 올바른 시간에 말하고 있는가? 시간을 맞춰가지..

그 속에서 일어나고 사라지는 현상들을 알려고 마음 먹으면...

어떠한 것에도 집착함이 없는 마음들을 자꾸 가질려고 해야 됩니다. 수행에서는 마음은 대상을 떨어뜨려놓아야만이 그것들에 대해서 집착하지 않습니다. 내 것이 아닌 것처럼 관찰을 해야되고. 일어나고 사라지고 하는 것들을 뭔가를 관찰하려고 한다. 아니면 그 속에서 일어나고 사라지는 현상들을 알려고 마음을 먹으면 이미 그 대상은 집착의 대상인 것이지 실제적인 수행의 대상이 아니라는 뜻입니다. 그럴 때는 딱 수행을 중단하고 가볍게 그 대상으로부터 벗어나서 다른 대상, 손이 닿아있으면 ‘음, 닿아있네’ 하면서 가볍게 닿아있다고 알아야 됩니다. 집착함이 없이 그냥 그대로 보게 될 때 마음은 고요해지고 평온해지게 됩니다. 그러면 다시 또 주대상에게 돌아가더라도 그 수행 대상이 집착함의 대상이 아니라 알아차릴 대상, 사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