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 정진 330

동사의 개요

빠알리문법 제6강 - 동사의 개요 빠알리의 동사는 기본적으로 동사어근의 경우 산스끄리뜨 동사어근에 근간을 둡니다. 그래서 빠알리 사전에도 동사의 경우 동사어근이 표제어로 올라와있는 것이 아니라 현재형 3인칭 단수형(pres.Ⅲ.sg.)이 표제어로 사용됩니다. 물론 산스끄리뜨 사전의 경우엔 동사는 동사어근이 표제어로 올려져있습니다. * 산스끄리뜨 사전 : [표제어] gam(1.?. to go, move)* 빠알리 사전 : [표제어] gacchati(to go, to be in motion) 빠알리문법 동사개요편은 별도로 안내강의를 하지 않고 빠알리어의 종가집(?)에 해당하는 산스끄리뜨 동사개요 강의(제6강 동사의 개요)를 참고하는 것으로 대신하겠습니다. 산스끄리뜨 문법책자가 없으신 분들을 위해 해당부분을 ..

대명사. 대명사별 격변화

[ 빠알리 문법 5회 - 대명사 ] 대명사에서 눈 여겨 보실 내용은 다음의 2가지입니다. ① 문장을 읽다가 아주 간단하고 새로운 단어(?)를 발견하여 온갖 방법을 다 동원하여 원형을 찾으려 애를 써보고, 아울러 이리저리 변형시켜 사전에서 찾아보려고 해도 도무지 어떤 단어인지 제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 괴상한 단어… 결국에는 그 단어는 대명사이고, 괴상한 모습은 아주 다른 형태로 격변화된 것임을 알았을 때는 이미 한참을 헤맨 후라는 경험을 하셨던 분이 적잖게 계실 것입니다. 그런 착오를 하지 않으시려면 한 차례 쯤은 문법책 속에 있는 대명사표에서 격변화된 모든 모습들을 눈 여겨 봐두시기 바랍니다.* 특히 빠알리의 경우는 불규칙적인 대명사의 격변화 형태가 많은 까닭에 그 전체를 외우기엔 벅찰 것이므로 문장을 ..

형용사

[ 빨리어 - 형용사 ] 1. 형용사의 비교급과 최상급 – 40쪽~43쪽 문법의 적용이 매우 불규칙적인 빠알리의 경우에 형용사를 비교급 또는 최상급으로 만드는 방식은 크게 네 가지가 존재하는데, 꼭히 어떤어떤 네 가지가 존재한다는 것을 꼼꼼히 살피시는 것보다는 '­tara/­tama'와 '­iya/­iṭṭha' 및 '­iyya/­issika'와 '­ma' 등이라는 비교급과 최상급을 형성하는 조사들이 있다는 것 정도만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41쪽 중반에 설명된 '비교급/최상급의 중첩'의 경우는 이미 비교급이나 최상급으로 변환된 형용사임에도 일반 형용사처럼 취급하여 다시 비교급/최상급 형성어미를 첨부하는 경우인데, 주의하실 것은 아무 것이나 그렇게 만들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만 이미 그렇게 잘못(?) 사용..

명사의 격변화

[ 빨리어 명사격변화 ] 오늘은 제3장 명사와 형용사 가운데 명사의 격변화에 대한 안내강좌입니다. [23쪽~24쪽] - 명사 격변화 개괄 * 빠알리어는 명사에 남성・여성・중성의 성(gender)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강인함은 남성을, 부드러움은 여성을, 그리고 사물은 중성을 나타내는 등 자연적인 성과 일치하지만 일부의 경우 일치하지 않기도 합니다. * 명사의 수(數)는 그 명사와 연결된 동사의 수와 일치합니다. 산스끄리뜨가 단수(하나)와 양수(둘) 및 복수(셋 이상) 등의 세 부류로 나눠지는 반면, 빠알리는 단수(하나)와 복수(둘 이상)로 나눠집니다. * 명사의 격은 제10장에서 상세하게 언급되므로 여기서는 생략합니다. 다만, 주어격을 제1격이라 일컫고, 목적격을 제2격이라 일컫는 등, 빠알리어에 ..

연성법

[ 빨리어 자음연성 ] 두 언어(산스끄리뜨와 빠알리)에서 연성법이 중요한 까닭은, 두 언어는 여타 언어의 문자기록과 달리 발음이 나는 그대로 표기됨은 물론 복합어(두 단어가 연결되어 하나의 단어가 된 것)가 아님에도 단어들을 쭈~욱 이어서 표기하기 때문에 그것을 적절히 끊어 읽고 또한 단어의 원형을 찾아내지 못하면 어떤 단어인지 알지 못하므로 문장의 의미를 전혀 파악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國民을 '궁민'으로 읽지만 표기는 '국민'으로 하는 반면에 산스끄리뜨는 'saṁ[쌈]'과 'khyā[캬]'를 발음은 물론 표기 또한 'saṅkhyā[쌍캬]'로 하며, 명사(아버지)에 격조사(­에게)가 첨부된 '아버지에게…'란 말에서 우리는 명사의 마지막 모음과 격조사의 첫 모음이 합음(合音)되는 변화가 없지만 ..

빨리어의 자음과 모음

* 베딕산스끄리뜨와 빠알리어 [ 빨리어의 자음과 모음 ] 역사적으로 볼 때 인도에서 가장 먼저 사용된 언어에 속하는 베딕산스끄리뜨어는 브라만교의 성전 의 기록어입니다. 베딕산스끄리뜨어가 기원전 5-4세기 경의 문법가 '빠니니'에 의해 문법적으로 정리되며 고전산스끄리뜨로 정착하여 현대까지 이르게 되는데, 그 외에 언어학적으로 보았을 때 베딕산스끄리뜨어로부터 많은 언어들이 갈라져나왔다고 보여지는데 그러한 것들을 통칭하여 '쁘라끄릐띠어'(방언)라 부릅니다. 쁘라끄릐띠어 가운데 하나로 분류되는 빠알리어는 붓다께서 살던 시대의 마가다국에서 사용하던 마가디어입니다. 자이나교 성전에 사용된 언어는 '아르디 마가디어'라 부릅니다.이 마가디어로 된 붓다의 가르침을 성전(聖典)이란 의미로 '빠알리'라고 특칭하였는데, 그러..

※ 주석 설명

※ 주석 설명 1) 팔리는 기원전 5-3세기에 사용된 언어를 대표한다고 추정되기 때문에 그 글자의 정확한 모습은 지금으로서는 역사언어학을 통한 추측으로밖에 확인될 길이 없다. 물론 이때에는 현재의 인도 음성학자들이 산스크리트를 기술한 것과 비교해야 하며, 부분적으로는 운율상의 고려도 해야 한다(30과 참조). 결백주의자들은 다음과 같이 주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기원전 5-3세기의 원전의 언어를 분석할 때에는, 우리는(口語팔리와 고대원전들을 암송하는 전통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결국 글로 쓰여진 원전의 언어를 분석하고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단지 글자 꼴에 관해서만 언급하고, 소리를 꼴로 대치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는 것이다. 사실 그러한 염려는 하지 않아도 된다. 왜냐하면 이미 발음은 거의 근사하게 ..

제 6과 : 명령시제, 정중한 표현, 인용, 제 6종 활용동사, 어휘

제 6 과 명령시제 명령(pañcamī) 시제는 현재 어간이 약간 특수하게 활용하여 만들어진다: 단수 복수 3인칭 bhavatu bhavantu 2인칭 bhava bhavatha 1인칭 bhavāmi bhavāma 1인칭과 2인칭 복수는 직설법 현재와 일치한다. 2인칭 단수는 보통 활용하지 않으나, 때때로 접미사 -hi가 붙기도 한다. ..

제 5과 : 대명사: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동사 as, 부정(否定), 동사 vac의 부정과거(aorist), 호격(Vocative Case, V.로 약칭),어휘, 불변화사들

제 5 과 대명사: 인칭 대명사, 지시 대명사 인칭 대명사는 다음과 같이 변화한다 : 1인칭(어간: ma(d))26) 단수 복수 주격 ahaṃ mayaṃ 대격 maṃ(me) amhe 2인칭(어간: ta(d)) 단수 복수 주격 tvaṃ tumhe 대격 taṃ 또는 tvaṃ 3인칭 (어간: ta(d)) 단수 복수 남성 여성 남성 여성 주격 so 때..

제 4과 : 과거(Aorist) 시제, 비슷하게 활용되는 동사들, 동사와 행위자의 일치, 어휘

제 4 과 과거(Aorist) 시제 ‘부정과거(不定過去, aorist, ajjatanī) 시제’라고 불리는 과거시제는 보통 어근에 (드물게는 현재어간에) 특별한 활용어미를 붙여서 만든다. 그러나 때로는 과거를 나타내기 위하여 어근의 앞에 모음 a를 덧붙이기도 한다. 이러한 a는 접두사(upasagga)와 어근 사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