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 정진 330

문장의 구성

제 9 장 문장의 구성 15. 문장의 어순 1. 문장의 어순 가) 빠알리는 토씨가 있는 언어인 까닭에 語順이 문장의 의미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Ÿ majjāraḥ mūsikaṁ khādati | → [고양이가 생쥐를 잡아먹는다.] = mūsikaṁ majjāraḥ khādati | → [생쥐를 고양이가 잡아먹는다.] = khādati majjāraḥ mūsikaṁ | → [잡아먹는다, 고양이가 생쥐를.] = khādati mūsikaṁ majjāraḥ | → [잡아먹는다, 생쥐를 고양이가.] 나) 기본적으로 주어와 목적어 동사(서술어)의 순으로 배열한다. Ÿ dāso kammaṁ karoti | → [일꾼이 일을 한다.] v 주어나 목적어의 형용사와 동사의 부사는 각각 주어 및 형용사와 부사의 ..

복합어

제 8 장 복 합 어 12. 복합어 개요 1. 복합어 개요 (1) 복합어(samāsa[compounds]) 비교 1) 복합어 기본내용 ① 복합어는 앞단어(pūrvapada)와 뒷단어(uttarapada) 최소 2단어로 구성된다. 일부 복합어의 경우 둘 이상의 단어로 구성된 경우도 있지만 내용상 2단어群으로 귀결될 수 있다. ② 복합어의 마지막 단어만 格의 형태를 취하며, 마지막 단어를 제외한 단어들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복합어 내에서 格조사가 탈락된 상태인 원형으로 사용된다. Ÿ 未脫落복합어(Aluttasamāsa) : 앞단어이면서 격조사가 탈락되지 않은 경우의 복합어. ③ 복합어 내에서 연결되는 단어간에는 반드시 연성(sandhi)이 적용된다. ④ 동사를 제외한 모든 형태의 단어에서 복합어가 구성요..

접미사 (명사접미사, 여성형접미사), 기타 조사(접속사, 부정사, 의문사, 감탄사, 기타 불변화사)

나. 접미사 (1)동사접미사(2) 명사접미사(taddhita-paccaya [nominal-suffix]) (2) 명사접미사(taddhita-paccaya [nominal-suffix]) 명사나 형용사 또는 대명사에 첨부되어 또 다른 명사와 형용사를 형성하는 접미사. 명사접미사가 첨부된 명사・형용사・대명사의 모음은 일반적으로 강화음(guṇa)으로 대체된다. (가) '아들'、'딸'、'손자'、'자손' 등 가계명칭을 형성하는 명사접미사 일정한 인명에 접미사가 첨부되면 인명의 첫 모음은 대부분 강화음으로 대체되고, 접미사가 모음으로 시작될 경우 인명의 마지막 모음은 탈락되어 아들이나 딸 또는 자손의 범칭으로 쓰인다. 가) '아들'과 '딸'을 형성하는 명사접미사 ① a Ÿ vasiṭṭha( . N. of a sa..

부사와 조사(접미사 - 동사접미사)

나. 접미사(paccaya [suffix]) v 동사의 전치사와 접미사 Ÿ 동사전치사 : 동사의 어두에 첨부되어 동사의 의미를 변화(또는 無변화)시킨다. Ÿ 동사접미사 : 동사의 어미에 첨가되어 동사를 명사・형용사 등으로 전환시킨다. v 명사의 전치사와 접미사 Ÿ 명사전치사 : 명사・형용사의 어두에 첨부되어 그것들이 특정의 格을 지니게 한다. Ÿ 명사접미사 : 명사・형용사의 어미에 첨가되어 또 다른 명사와 형용사를 형성한다. (1) 동사접미사(kita-paccaya [verbal-suffix]) 동사에 첨부되어 명사와 형용사 또는 불변화사를 형성하는 접미사 1) 형성 기본형식 : □ + ***(kita) > whatever belongs to the □ Ÿ '마시다' + ***(kita) > 마시는 것과..

부사와 조사(전치사)

제 7 장 부사와 조사 - 불변화사 10. 부사 1. 부사(Adverb) v 부사는 다음의 세 부류로 나뉜다. 격변화(格變化)부사(CaseformAdverb), 전용(轉用)부사(Derivative Adverb), 순수(純粹)부사(Pure Adverb) (1) 격변화(格變化)부사(Case-form Adverbs) 격변화를 갖춘 명사나 대명사 또는 형용사가 부사로 사용되는 경우 (가) 명사나 형용사에서 전용된 것들 1) 목적격(acc.) : '중성・목적격・단수( .acc.sg.)'형을 취한 형용사가 부사로 사용되는 경우 ① antikaṁ(adv. near to, in the vicinity) < antika( . near, proximate; reaching to) ② avassaṁ(adv. inevitab..

수사

제 6 장 수 사 9. ・ (1) 기본 수사 종 합 (가) 基數와 序數 * 基數(Cardinal) 序數(Ordinal) Ⓢ.Cardinal Ⓢ.Ordinal 1 eka paṭhama eka prathama 2 dve dutiya dvi dvitīya 3 tayo tatiya tri tṛtīya 4 cattāro catuttha, turīya catur caturtha 5 pañca pañcatha, pañcama pañcan pañcatama 6 cha chaṭṭha, chaṭṭhama ṣaṣ ṣaḍṭama 7 satta sattha, sattama saptan saptatama 8 aṭṭha aṭṭhama aṣṭan aṣṭatama 9 nava navama navan navatama 10 dasa, r..

준동사 ( 부정사 )

3. 준동사 다. 부정사 (가) 부정사(Infinitive) 개요 1) 부정사의 의미 ① 목적을 나타내며, 능력(~할 수 있다, 능력이 있다, 적합하다)이나 의욕(바라다, 원하다)을 나타내는 동사와 함께 사용되어 '~하기 위하여' '~할 수 있는' '~하는 것' 등을 의미한다. Ÿ taṇhā natthi kuhiñci netave(inf.) : 취할만한 갈증은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Ÿ ko taṁ ninditum(inf.) arahati : 어떤 누가 그를 비난할 수 있겠는가! ② 부정사는 능동적인 의미는 물론 수동적인 의미로도 사용된다. Ÿ na sakkā puññaṁ saṅkhātuṁ(inf.) : 공덕은 가늠되기 불가능하다. ③ 시여격(dat.) 조사 'āya'를 취한 명사가 부정사의 의미로 ..

준동사 (분사, 절대 분사)

제5장 동사 8. ・ 3. 준 동 사 가. 분사(Participle) Ÿ 분사란 인도유럽어의 동사 어형 변화의 하나로서, 동사의 형용사적 형태이다. 例) 그는 간다[動詞]. → 그는 가면서[分詞] 말을 한다. Ÿ 분사는 문장에서 연결되는 명사와 性과 數 및 格을 일치시킨다. (1) 현재분사(present participle) - 'pres.p.' v 문장에서 현재분사는 단순형용사( .)와 서술형용사( p.) 및 현재분사(p.p.)의 세 가지로 사용되며, 기타 모든 종류의 분사는 단순형용사와 서술형용사 두 가지로만 사용된다. Ÿ (단순형용사) : dhīrā anuttaraṁ( .→ .acc.) nibbānaṁ( .acc.) phusanti. → [현명한 이들은 위없는 열반에 가닿는다.] Ÿ (서술형용사) ..

동사의 2차 활용

제5장 동사 나. 동사의 제2차 활용 v 동사의 제2차 활용 다섯 가지 Ÿ 수동활용(Passive) 사역활용(Causative) Ÿ 의욕활용(Desiderative) 반복활용(Frequentative) Ÿ 명사起源활용(Denominative[nāmadhātu]) (1) 수동활용(Passive) (가) 능동문과 수동문 및 비인칭문의 비교 가) 능동태(kartaripayoga[active voice]) ① 문장에서 내용상 주어가 동사와 연결된다. ② 자동사와 타동사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 Ÿ [自] so(pn. .nom.) tiṭṭhati(pres.Ⅲ.sg.) | → [그가 서있다.] Ÿ [他] so(pn. .nom.) phalaṁ( .acc.) khādati(pres.Ⅲ.sg.) | → [그가 과일을 먹는..

동사의 활용

[ 빠알리어 문법 제7강 - 동사의 활용 ] 동사편 강의는 지난 겨울 아오마에서의 강좌때도 빠알리문법 시간때 산스끄리뜨 동사편을 설명드리고 더불어 산스끄리뜨 동사와 빠알리 동사의 차이점을 설명드리는 것으로 마무리한 적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빠알리어 사전을 보시면 동사는 동사어근이 사전의 표제어로 올라와있는 것이 아니라 동사의 현재형 3인칭 단수형이 표제어로 올라와있는데, 빠알리어에선 동사어근을 취급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모든 빠알리어 동사는 그 어근이 산스끄리뜨어에서 온 것으로 간주되는데, 빠알리어에는 'ṛ'나 'ṣ' 및 'ś' 등의 음소가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산스끄리뜨 동사어근을 표시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 굳이 산스끄리뜨 동사어근을 알아야 하는가? 그렇다면 빠알리어를 배우면서 굳이 산스끄리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