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마딧티 2

2. 정견(正見, sammā diṭṭhi 삼마- 딧티) (20080529)

https://youtu.be/QT4Jhy1S2M0 2. 정견(正見, sammā diṭṭhi, 삼마- 딧티) (20080529) (수행자 질문) 말을 할려면 그마만큼 생각을 많이 해야 되거든. 생각을 해야 말을 할 거 아니라. 그러니까 생각을 끊임없이 굴리고 있었단 말이라. 그게 수행을 하니까 전부 번뇌가 되어버리는 거라. 그리고 또 많이 먹어놔 놓으니까, 그것은 쉽게 말해서 열을 계속 발산시키는 거잖아. 열을 발산시키니까 앉으니까 마, 어쨌든 몸이 활동을 해야 되는데 언제 알아차릴 그게 있어? 알아차리는 것은 그냥 조금 알아차리고 나머지는 전부 다 육체적으로 소모하는 데다 다 가버리고, 그러니까 수행이 잘 될 수가 없잖아. 그러니 앉으면 그냥 잘 수밖에 없는 거라. 도저히 못참겠으면, (수행자 질문) ..

1.팔정도(八正道, Ariya aṭṭhaṅgika magga)에 대해서 (20080522)

https://youtu.be/quvR4Et--5I◈ 팔정도(八正道, Ariya aṭṭhaṅgika magga)에 대해 (20080522) 저번 시간까지 7각지에 대한 얘기가 다 끝났고, 이 시간부터는 '아리야 앗탕기까 막가(Ariya aṭṭhaṅgika magga)' 해가지고 팔성도 · 팔지성도 · 팔정도 부분에 대한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팔정도가 뭔지 아는 사람 누가 한번 얘기해봐요. (수행자 대답)저번 시간에 나눠준 프린트물은 안 가져왔어요? 8정도는 우리가 현실을 깨달음에 이르도록 해나가는데 여덟 가지 으뜸가는 진리입니다. 그래서 성스러운 생활이 되도록 해나가는 길입니다. 어차피 이생에서 목숨을 받아 태어났으면 살아야 됩니다. 이 세상을 떠나지 않고 성스러운 길에 이르는 여덟 가지 방법이라고 보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