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띠 12

◈ 칠각지(七正覺支, satta sambojjhaṅga)-1. 염각지 (20160416. 한국테라와다 정기법회)

https://youtu.be/6xq_jEg7dKc ◈ 칠각지(七正覺支, satta sambojjhaṅga)(20160416. 한국테라와다 정기법회. 서울) 1. 염정각지(念正覺支, sati-sambojjhanga) -나를 알아차리는 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수행할 때 일어나는 다섯 가지 장애가 뭐 뭐가 있어요? 대충 뭔지 알죠? 수행할 때 그런 거 안 일어났으면 좋겠죠? 이렇게 보면 됩니다. 여기 선이 가운데 딱 있으면 선의 요쪽 반대가 다섯 가지 장애, 선의 요쪽 반대가 칠각지라고 보면 됩니다. 칠각지가 잘 개발되어지면 되어질수록 다섯 가지 장애로부터 멀어지는 거고, 다섯 가지 장애가 자꾸 일어나면 날수록 칠각지로부터 또 멀어지는 것들입니다. 그렇게 보시면 됩니다. 지금 현재 내가 칠각지가 잘 개발돼..

네 부류의 성인들 2. 예류과와 일래과 (20060930)

♠ 네 부류의 성인들 2. 예류과와 일래과 (20060930) https://youtu.be/qRBu1VzDM7c 오늘은 일래과까지 하도록 그렇게 하겠습니다. 한번 예류과부터 일래과 까지 쭉 다 설명을 할테니까, 그리고 예류과에 이르기 전의 과정들도 설명을 할테니까 잘 듣고 내가 이런 경험이 있었던가, 또 내가 어느 정도의 위치에 이르렀는가 하는 것들을 판단해서 수행하는데 더욱더 분발을 하시기 바랍니다. 도와 과에 이르기 위해서 필요한 조건들이 있다고 했습니다. 아무래도 선한 이들이 주변에 있어야 되겠죠. 선한 이들이 있어야 될 것이고, 또한 내가 수행하는데 채찍질해주고 인도해줄 만한 그런 스승, 스승이 또 있어야 될 겁니다. 그래서 잘못된 길로 빠져들어 갈 때는 나를 바른게 인도해주고, 또 잘된 길로 ..

19. 번뇌를 극복하기 위한...10. 사띠2 (20080508)

https://youtu.be/wUm9nhutgcI 19. 번뇌를 극복하기 위한...10. 사띠2 (20080508) ··· 그리고 7월 7일날 태국에 큰스님 오시기로 되어있습니다. 그날 7월 7일날 아침 아홉 시 반에 도착인데 바로 우리 여기 선원으로 오실 겁니다. 와가지고 수행에 대한 법문하시고, 일행이 한 예닐곱 분 너머 되는 모양이라. 그렇게 알고, 그걸 위해서 적향스님이 태국에서 지금 들어왔습니다. 들어와가지고 나중에 7월 7일날 스님들 끝나고 나서 모시고 다시 또 나갈 건데, 오늘 오전 법회 때는 적향스님이 법문했어요. 언제 저녁 시간에 한번 적향스님 모시고 와가지고 법문은 아니더라도 그래도 살아있는 얘기들을 좀 들을 수 있도록 해야 되고. 어차피 여러분들도 올겨울 되어서는 안가는 사람 없이 ..

위빳사나 바와나- 위빳사나수행의 기본원칙 3가지(20080728)

https://youtu.be/WNm4EDqK2U8 ♠ 기초수행 법문 / 제5기 초보수행 법문집 * 위빳사나 바와나_위빳사나수행의 기본원칙 3가지(20080728) 기초수행 오늘 5기의 첫 시간입니다. 위빳사나 바와나(vipassanā-bhāvanā)라고 그렇게 얘기를 합니다. 프린트물 우리 수행교재를 한번 참고를 하시기 바랍니다. " " " 위빳사나(vipassanā)의 '위(vi)'는 '명확하게 구별하며'라는 그런 뜻입니다. '빳사나(passanā)'라고 하면 '알아차린다. 본다. 관찰한다.' '바와나(bhāvanā)'라고 하면 '수행법, 증장시키는 방법' 그런 뜻입니다. 정리를 해보면 '자기 자신을 명확하게 관찰하는 수행법이다' 하는 그런 뜻입니다. 부처님이 이 위빳사나 수행으로 깨달음을 이루셨고,..

기초수행27. 법념처8. 오력을 통한 올바른 선정수행법 (20080411)

https://youtu.be/QzpadDszEDw * 기초수행27. 법념처8. 오력을 통한 올바른 선정수행법 (20080411) 오늘 이 시간에는 37조도품 중에 오력이라고 하는 것이 있습니다. 오력으로 여는, 그리고 선정을 통한 깨달음의 세계에 대한 얘기를 먼저 하도록 하겠습니다. 위빳사나 수행으로 아라한까지 이를 수가 있습니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것 중에 선정수행을 전혀 하지 않고 아라한까지 이르른 분들이 상수멸정에 들어가는 것이 수월한가 아닌가 하는 것을 가지고 문제가 된 적이 있습니다. 이 시간에는 이것을 다룰려고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 부분은 제외를 하고. 이 선정이 위빳사나 수행에 얼마만큼 도움을 주고 있는가 하는 부분에 대한 얘기를 하면서, 이 선정의 단계는 꼭 계단과 같습니다...

16. 마라나눗사띠(maraṇānussati)_죽음에 대한 관찰 (20090908)

https://youtu.be/4zlSVqYkY5Q * 마라나눗사띠(maraṇānussati)_죽음에 대한 관찰 (20090908) 짜뚜라 락카 바와나(Caturārakkha bhāvanā) 부분에 대한 얘기를 좀 하겠습니다. 언젠가 스님이 그 얘기 한 번 했죠? 죽음에 대한 얘기! 아마 두 번에 걸쳐서 했지 싶은데, 죽음에 대한 얘기들입니다. '짜뚜라 락카 바와나'라는 건 뭐냐면 수행자가 수행을 해나가는데 장애를 없애주고 또 수행자를 보호해 주는 법이라는, 그런 수행 방법이라는 뜻입니다. 보통 우리는 예비수행단계 네 단계 해가지고 나와 있는 거 있죠? 그걸 얘기하는 겁니다. 많이 알려지기는 붓다눗사띠(Buddhānussati)라 해서 부처님 명호를 외우면서 하는 방법들, 그다음에 또 많이 알려진 게 멧..

13. 압빠마다(appamāda) (20090818)

https://youtu.be/WJQ4VSWrbuw * 압빠마다(appamāda) (20090818) '압빠마다(appamāda)' 라고 하는 겁니다. 꼬삼비에서 일어난 일화를 가지고 부처님이 하신 얘긴데, 꼬삼비에 왕 두 분이 있다가 사람이 자꾸 죽는 모습을 보고 '아! 참 무상하구나'하는 생각을 가지고 두 분이 출가를 하게 됩니다. 부처님이 깨달음을 이루기 전의 일입니다. 그렇게 해서 출가를 해서 생활을 하고 있다가 이 두 사람이 그런 결의를 합니다. '우리가 이렇게 출가수행자가 된 것은 뭐 먹지 못해가지고 남에게 빌어먹기 위해서 출가한 것이 아니다. 오로지 생사해탈을 위해서 출가한 거니까 너는 이 꼭대기, 나는 이 꼭대기에서 서로 열심히 정진하면서 살자. 그리하더라도 살아있는지 죽어있는지 확인은 해..

5. 사띠(sati) (20090630)

https://youtu.be/xnt9HdwCNB4 * 사띠(sati) (20090630) 저번 시간까지 수행의 예비단계에 대한 얘기를 했습니다. 저번 시간에 뭐까지 얘기를 했죠? 성인을 비방한 것이 있으면 용서를 구하고, 또 잘못한 사람들에 대해서 자기가 용서하는 마음을 가져라. 참회하고 용서하라 하는 그런 얘기를 했습니다. 부처님 법은 가끔씩 단비에 비유되기도 합니다. 봄에 경작물을 재배할 때는 필수적으로 비가 필요합니다. 그런데 도시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비가 오면 좋지 않죠? 그렇다고 해가지고 비가 안 오게 할 수는 없다는 거라. 농작물을 재배하는 사람들이나 비가 꼭 필요한 곳에서는 비가 반드시 와야 되기 때문에, 법을 설하는데 어떤 특정인을 대상으로 해서 법을 설할 때도 있지만 오늘 여기 같이 ..

9. 정념(正念, sammā sati 삼마- 사띠) 2) (20081127)

https://youtu.be/k_RpWFgKI1g 9. 정념(正念, sammā sati, 삼마- 사띠) (20081127) 정념 2) 오늘은 '삼마-사띠(sammā sati)' 두 번째 부분부터 시작을 하겠습니다. 지금 프린트물이, '담마스쿨'이 거의 200페이지가 다 되어가네. '팔정도' 끝나고 나면 뭐 한다고 그랬습니까? '오력'한다 그랬어요? 오력까지 하고 나면 아마 한권 분량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이번 12월 12일까지는 '팔정도' '삼마 사마디'까지 해서 끝냅니다. 내년에 '오력'으로 들어가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삼마-사띠(sammā sati)' 두 번째 부분에 대한 얘기를 하겠습니다. 어제 '사띠'에 대한 얘기를 하면서 주의해야 되는 것들을 얘기를 했습니다. 그중에 두 번째..

8. 정념(正念, sammā sati 삼마- 사띠) 1) (20081120)

https://youtu.be/jQUOezlOa58 8. 정념(正念, sammā sati, 삼마- 사띠) (20081120) 정념 1) 시작을 해봅시다. '정념(正念), 삼마 사띠(sammā sati)' 부분입니다. '위빳사나'를 다른 말로 표현을 한다면 뭐라고 그랬어요? '사띠 수행'이라 그러죠! '위빳사나가 곧 사띠'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삼마 사띠' 사띠 부분에 대한 것은 두 번에 나눠가지고 할거고, 그래서 여러분들에게 프린트물 나눠준 것은 전반기 것만 해당이 됩니다. 뒤에 프린트물 나갈 거는 조금 더 보충하고 복습하는 그런 것으로 교재가 형성이 돼있습니다. 부처님이 출가를 왜 하게 되었을까요? 그토록 풍족하게, 뭐 부러운 것 없이 잘 지내시던 분인데, 여러분 같으면 출가하겠습니까? 하고 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