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 7

"위빳사나 수행에서 4선정까지 어떻게 가능할까" - 열반에 이르는 7청정(七淸淨)의 로드맵(2부)-심청정(2025.04.26)

https://youtu.be/8SZKNcMfqXA?si=YSh8XxDSCgRqI_XI * 열반에 이르는 7청정(七淸淨)의 로드맵(2부)-심청정(2025.04.26) 아짠 빤냐와로"위빳사나 수행에서 4선정까지 어떻게 가능할까" 오늘은 두 번째 시간, 심청정이죠. 마음의 청정인데, 마음의 청정은 뭘 얘기할까요? 마음이 깨끗한 거? 뭐 그걸 얘기를 하기도 합니다. 실제적으로는 사마디(samādhi)를 얘기합니다. 삼매. 불교 경전에서 삼매에 대한 얘기들을 부처님이 참 자주 얘기했습니다. 그래서 그 중요성을 많이 얘기를 했죠. 삼매에 들어본 사람 있어요? 유사하게는 들어봤겠지. 그런데 위빳사나 수행에서는 삼매에 들지를 않죠? 계속 변하는 것들을 봐야 되기 때문에 삼매에 들 수는 없습니다. 1선정까지는 가능하..

열반에 이르는 7청정(七淸淨)의 로드맵(1부)-계청정(2025.03.22) 아짠 빤냐와로 - 21세기불교포럼 법문

https://youtu.be/ixdnrumAVgM?si=roD7_omn9FUIttsw * 열반에 이르는 7청정(七淸淨)의 로드맵(1부)-계청정(2025.03.22) 아짠 빤냐와로 오랜만이죠. 올해 법문할 내용은 칠청정에 대한 건데 전에 한번 했죠? 칠청정. 그래서 프린트물은 제가 손 볼 게 없습니다. 그래서 그대로 그냥 나갈 겁니다. 그 대신에 법문하는 형식은 조금 다르게 해서 하도록 하겠습니다. 여러분은 재가자죠? 불자들이죠? (예) 불자들은 뭘 해야 될까? 이 세상에 태어났으니까. (수행자 대답 : 바른 생계) 바른 생계? 뭐 바른 생계는 불자가 아니라도 바르게 살아가야 되지. (수행자 대답 : 오계를 잘 지키는 것이...)오계를 잘 지키는 것, 칠청정 맨 처음이 계청정이라니까 그 얘기만 나오네...

알아차리면, 사띠가 있으면 가벼워져야 됩니다. (20250517)

https://youtu.be/yw1BoP7-3fc?si=Bz17Y3AsGppOqhYs * 알아차리면, 사띠가 있으면 가벼워져야 됩니다. (20250517) 수행하는 부분에 대해서 조금 안 되는 부분들, 우리 선원 식구 중에서 안 되는 부분들에 대한 얘기를 잠깐 좀 하겠습니다. 전에 누가 와서 경행을 하는데 알아차림은 있는 것 같은데, '되게 무겁다'는 얘기를 많이 해요. 알아차리면, 사띠가 있으면 가벼워져야 됩니다. 명료해져야 되고. 그 대상이 분명하기 때문에. 그래서 마음은 더욱더 활동적으로 돼야 되는데, '무겁고 둔하다'는 것은 사띠가 약하고 집중하는 힘이 강하든지, 또는 사띠가 약하고 생각이 많아지든지, 둘 중에 하나입니다. 생각이 많은 거 하고 집중하는 것은 비슷한 성향을 지닙니다. 무거울 ..

알아차림은 ...  아짠 빤냐와로 스님 프린트물 법문(20250517)

* 알아차림은 ... 프린트물 법문(20250517) 알아차림은 의식으로 뚜렷하게 느낄 수 있으며, 가볍고 명료하고 활동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이에 반해 생각은 무겁다, 둔하다, 선택적이라는 특징이 있다.한 번 알아차린다고 해서 순간적으로 해탈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깨달음을 '일상생활 속에서' 작동시켜야 한다. 이것은 또 다른 과정이다. 또한 알아차린 상태를 '지속'시켜야 한다. 이것도 또다른 과정이다. 알아차림의 실천은 즐거운 일이다. 노력해 볼 만한 가치가 있을 것이다. 알아차림은 위빳사나의 목표이자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수단이다.알아차림이 일단 마음의 장애물을 몰아내고 나면, 마음에 선이 퍼져나갈 것이다. 미움은 자비로 바뀌고, 욕심은 무집착으로 바뀐다. 이 교체된 변화를 알아차리는 것도 알..

불기 2568년 담마와나선원 붓다의 날 봉축법회 법문_수행의 요점 (20250511)

https://youtu.be/dUQBgfwiej8?si=i-Mtizm5B-WIco5m 오늘은 붓다의 날, 웨사카 뿌자(Vesākha-Pūjā) 입니다. 부처님이 태어나고, 성도하고, 열반하시면서 우리한테 바란 게 뭘까? 뭐 바랬어요? (수행자 대답 : 괴로움에서 벗어나기를) 음, 괴로움에서 벗어나기를, 윤회로부터 벗어나기를, 그러면 빨리 가서 공부해! 여기 이럴 시간이 없어. 그렇잖아. 그건 잊어버리면 안됩니다. 오늘 같은 날 공양물을 올리고 등을 달고 하는 것도 좋지만, 그런 모든 것의 의미는 부처님을 존경한다는 의미인데 가장 큰 존경은, 여러분들이 수행을 빨리 성취해내는 것이 가장 큰 존경이라는 것입니다. 그걸 잊지 않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수행에서 집중하는 힘이 굉장히 중요하죠. 집중하는 힘이 ..

불기 2568년 붓다의 날_웨사카 축제_법문(20250510)

https://youtu.be/RyFlpZh0m2U?si=YuWeFqPpSzEm2eUd * 불기 2568년 붓다의 날_웨사카 축제_법문(20250510) 오늘은 웨사카, 웨삭데이죠. 붓다의 날입니다. 완 웨사카 뿌자(Vesākha-pūjā)라고 그렇게 태국에서는 얘기를 합니다. 3대 큰 사건을 기념하는 날이죠. 탄생·성도·열반. 왜 세 날을 한 날에 기념할까? 대승불교에서는 그렇게 안 하죠? 왜냐하면, 경전대로 근거되어서 할 것 같으면 조금 안 맞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부처님 열반 하실 때 '때 아닌 때에 꽃이 피었다' 그렇게 얘기를 하거든요. 살라나무 아래서 열반에 드실 때. 인도에 가보면 살라나무가 꽃이 언제 피는지 아세요? 겨울에 한참 성지순례 가죠? 가면 살라나무를 볼 수 있습니다. 분홍빛, ..

웨사카 축제 (붓다의날 프린트물 법문. 20250510)

* 웨사카 축제 오늘은 붓다의 날입니다. ● 부처님의 탄생과 성도와 반열반을 하루에 정리한 이유는? 테라와다 불교에서는 일 년에 한 번 탄생, 성도, 반열반의 세 가지를 하나로 묶어 기념합니다. 왜 그 세 가지 사건이 같은 날에 일어났을까요?탄생과 성도(成道)는 거의 같은 이 시기에 일어난 것 같습니다.역사적으로 여러 가지를 찾아보면, 부처님이 태어났을 때는 세상에 꽃이 만발한 시기였으니 당연히 이 시기인 거죠. 성도했을 때도 마찬가지입니다.열반에 드셨을 때는 ‘때 아닌 때’에 꽃이 만발한 시기입니다. ‘계절을 벗어난’이라는 단어로 미루어 볼 때 아마도 음력 12월쯤일 가능성이 있습니다.계산을 해봐도 안거를 마친지 3개월 후라고 하면 그 무렵이 됩니다. 하지만 잘 모르겠습니다. 부처님이 열반에 드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