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비담마 26

vitakka(위딱까)_잡심소(pakiṇṇaka-cetasika) 6가지 중 하나 (20070506)

https://youtu.be/5Ohc7TZO2fc [[ 교재 부분 《 PAKIṆṆAKA CETASIKĀ(빠낀나까 쩨-따시까-:잡심소 6가지) 》 잡심소도 모든 마음에 공통되는 심소와 같이 선도 악도 아닌 심소입니다. 좋은 심소와 함께 하면 선심소가 되고, 나쁜 심소와 함께 하면 악심소가 되는 동타심소입니다. 같은 동타심소이지만 모든 마음에 공통되는 심소와 잡심소의 차이는, 잡심소는 반드시 모든 마음에 생긴다고는 할 수 없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오관(안이비설신)에 색·소리 등의 정보가 들어간 순간, 마음에는 자동적으로 인식 작용이 일어나므로 잡심소가 반드시 필요하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그런 잡심소는 6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1. vitakka (위딱까 尋): 겨냥, 생각, 논리 인식 대상을 마음에 싣..

jīvitindriya (지-위띤드리야 : 생명력, 命根) (20070323)

https://youtu.be/SRlJ4gL4sRk [[ 교재 부분 6. jīvitindriya (지-위띤드리야 : 생명력 命根) : 살아 있다고 하는 기능, 생명력, 삶의 능력을 조절함. 마음에도 「살아 있다」라고 하는 요소가 있어, 생명이라는 것으로 활동하게 됩니다. 그 기능을 생명력이라고 합니다. 마음의 순간적인 생명기능이 생명력입니다. 생명력 또는 삶의 원리 때문에 모든 마음과 마음부수는 활발히 작용할 수 있습니다. 만일 이 생명력이 없으면 마음은 전혀 작용할 수 없습니다. 마음은 항상 생멸 변화하여 생겨나면 소멸하고, 생겨나면 소멸하고를 반복하여, 계속 새로운 마음이 태어나서 죽어 갑니다. 어떤 순간의 마음에도 생명력이라고 하는 생명의 기능이라는 심소가 있으므로, 이 생명력이 있기 때문에 마음은..

라후따/무두따 : 몸과 마음의 가벼움/부드러움 (kāya ca citta lahutā/mudutā)(20061117)

https://youtu.be/nFIa5FOPHNc * 라후따/무두따 : 몸과 마음의 가벼움/부드러움 (kāya ca citta lahutā/mudutā) (20061117) 홈페이지에 도솔님이 '인연(윤회)에 대해서 법회 시간에 좀 해주십시요' 그랬는데 아, 인연! 그거는 「업과 윤회」에 대해서 얘기할 때, 업에 대해서 얘기할 때 자연스럽게 나오는 부분이 윤회 부분입니다. 그때 같이 듣도록 하고, 간단하게 얘기할게요. 인연은 원인과 결과입니다. 일어난 것은 원인이 있어서 일어나는 것이고, 사라지는 것은 원인이 있어서 사라지는 것입니다. 원인·결과라고 받아들이시면 됩니다. 그래서 부처님도 인연은 참으로 어려운 것이다 하고 얘기합니다. 부처님 이외에 누구도 과거 전생의 인연들을 모른다고 얘기합니다. 그러니..

52가지 심소의 용어 정리

심소 (心所 cetasika 쩨따시까) Ⅰ. 마음에는 무엇이 녹아있는가? Ⅱ. 심소의 특색 (心所相 cetasika-lakkhaṇa) - 同起(동기), 同滅(동멸), 同所緣(동소연), 同基(동기) Ⅲ. 심소 52가지 ? 同他心所(동타심소 aññasamāna-cetasika 안냐사마나 쩨따시까) 13가지 同他心所 자신은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다. 함께 생겨난 다른 善惡(선악)의 心所와 한 가지로 되기 때문에 ‘同他心所’라 한다. 어떤 마음에 생겨나더라도 그 마음의 특색을 지니게 된다는 의미. 1. 共一切心心所(공일체심심소 sabba-citta-sādhāraṇa-cetasika 삽바 찟따 사다라나 쩨따시까) 7 : 일체의 마음(一切心)과 반드시 함께(共) 생겨나는 心所 1) 촉(觸 phassa 팟사)- 의(..

마음의 분석- 정리

마음의 종류 용어정리.hwp 2권 마음의 분석 정리 Sacitta pariyodapanam-etam Buddhanu sasanam (자신의 마음을 깨끗이 하는 것, 이것이 모든 붓다의 가르침이다). ‘법구경’ 183偈(게)의 一行(일행)이다. 1. 마음(心)은 4가지 진실(勝義諦)의 하나 물질(色 rupa 루빠)과 마음(心 citta 찟따), 심소(心所 cetasika 쩨따시까)와 열반(涅槃 nibbana 닙바나) 2. 마음의 정의: 대상을 인식하는 기능, ‘앎’뿐인 기능을 ‘마음’이라 한다. 아비담마가 다루는 마음의 분류 3. 마음은 4종: kamavacara-citta(욕계심 54종), rupavacara-citta(색계심 15종), arupavacara-citta(무색계심 12종), lokutt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