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짠 빤냐와로 스님 법문교재/법문 교재(프린트물)

수행(瞑想)을 지속하는 요령 (2025년 우안거입재일-프린트물 법문)

담마마-마까 2025. 7. 5. 11:57

* 수행(瞑想)을 지속하는 요령 (20250705. 우안거입재일-프린트물 법문)

 

수행의 가장 어려운 부분은 어디일까요?

호흡일까요? 오랜 시간 앉아있는 것일까요? 아니면 졸림일까요?

사실 가장 어려운 것은 "지속하는 것"입니다.

"명상수행은 '마법의 약'이 아닙니다!"라고 말하듯이, 안타깝게도 방석에 앉는 순간 갑자기 변화가 일어나는 수행이 아닙니다. Bhavana라는 단어는 수행을 의미하지만, 어원은 "경작하다·성장하다"라는 의미를 가진 단어입니다. 이 단어처럼, 수행은 천천히, 그리고 깊이 자신의 마음을 가꾸는 것입니다.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야 합니다.

선원에 많은 수행자들이 다니고 있지만, 수행을 시작하면 지속해서 수행을 이어가는 것이 가장 큰 장애물로 다가옵니다.

그래서 수행을 지속하는 팁을 몇 가지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① 스케줄링하기

 

가장 중요한 것은 스케줄을 확실히 세우는 것입니다.

'오늘은 바쁘니까...'

'돌아가는 게 시간 걸리니까 오늘은 괜찮겠지...'

'어떤 이유로든 피곤하니까...'

등등, 우리를 수행에서 멀어지게 하는 이유는 수없이 떠올릴 수 있습니다.

이상하게도 우리는 수행을 하지 않아도 이 부분만은 점점 더 잘하게 됩니다.

하루만 쉬려고 했는데 이틀이 되고, 사흘이 되고... 어느새 앉는 것 자체가 머릿속에서 완전히 사라져 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스케줄장에 자신이 수행할 시간을 기록하고, 다른 일정과 마찬가지로 철저히 이행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입니다.

먼저 자신의 달력에 언제? 얼마나 앉을지?를 확실하게 계획해 보십시오.

 

② 수행 도반과 함께 하기

 

혼자서 수행을 계속하다 지쳐버리는 것도 수행을 포기하기 쉬운 또 다른 요인입니다. 이런 동기부여가 떨어질 때는 수행처나 모여서 수행하는 날 그 모임에 참여해 수행 도반과 함께 앉는 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

자신뿐 아니라 많은 도반들이 같은 방식으로 수행을 계속하고 있다는 것을 아는 것은 동기부여 유지에 매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자신보다 더 오래 수행한 사람들과 같은 공간에서 수행을 하는 것은 평소보다 더 차분하게 수행을 할 수 있게 해줍니다.

 

③ 배우고 법문 듣기를 계속하기

 

책을 읽거나 법회에 참여해 수행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는 것도 동기부여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자신이 무엇을 하고 있는지 모르면 당연히 수행도 지루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④ 집중 수행에 참여하기

 

집중 수행에 참여해 장시간 앉아있는 것도 중요합니다. 정해진 기간 동안 집중적으로 앉아있는 것을 통해, 일상적인 수행에 임하는 힘이 신체적·정신적으로 향상됩니다. 이를 통해 일상적인 수행이 더 편안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바쁜 우리들은 작은 생활의 변화에 휩쓸려 명상은커녕 다른 일상적인 습관도 소홀히 하게 되죠. 수행력이 높은 수행자는 수행을 할 때와 일상생활을 할 때의 차이가 줄어듭니다. 이는 물론 수행 빈도가 적고 바쁜 생활에 휘말린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수행을 지속함으로써 차분히 앉아있을 수 있게 되는 것뿐만 아니라, 모든 생활 상황에서도 사띠를 유지할 수 있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매우 중요한 포인트가 하나 더 있습니다. 그것은,

 

⑤ 언제든지 다시 시작하기!

 

며칠, 몇 주, 또는 몇 달 동안 수행에서 멀어질 수도 있습니다. 그런 때에도 '이미 수행을 안 했으니까...'라고 포기하지 마십시오. 기억이 나면 다시 방석에 앉아보십시오. 잊고 있던 감각이 다시 되살아날 수도 있습니다.

자전거도 한 번 탈 수 있게 되면, 한동안 타지 않아도 쉽게 탈 수 있듯이, 수행도 일정 기간 수행을 중단하더라도 방석 위에 앉으면 감각을 되살려 의외로 쉽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수행은 언제든지 누구나 즉시 돌아갈 수 있는 것입니다.

그저 방석 위에 앉기만 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