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 정진/빨리어 삼장(Tipiṭaka)

B. 경장(經藏 Sutta Pitaka) [1] 장부(長部 Dīgha Nikāya)

담마마-마까 2018. 10. 25. 14:17

 

[1] 장부(長部 Dīgha Nikāya)

        

             팔리 삼장(三藏 Tipitaka) - 李摩聖 編譯 인용

                 http://blog.daum.net/gikoship/15780696

 

긴 법문의 묶음은 세 가지 부분 혹은 품(vagga)정리되고, 34경으로 구성 되어 있다.

 

1. 계온품(戒蘊品 Sīlakkhandha-vagga): 13(). 

2. 대품(大品 Mahā-vagga): 10(

3. 당학품(當學品 Pāthika-vagga): 11()

 

1. 계온품(戒蘊品 Sīlakkhandha-Vagga)

1. 범망경(梵網經 Brahmajāla Sutta).(1) '범천의 그물' 혹은 당시 다른 스승들에 의해 가르쳐진 세계와 自我(자아)에 관한 62가지 이교도의 견해를 모두 포획하고 있는 완전한 그물이다

2. 사문과경(沙門果經 Sāmañña-phala Sutta).(2) '출가 생활의 결과'이다. 붓다께서 아자따삿뚜(Ajatasattu) 왕에게 세상을 버리고 출가하여 불교 승단에 합류하는 이익을 설명한 것이다

3. 아마주경(阿摩晝經 Ambaṭṭha Sutta).(3) 출생의 긍지와 그 타락. 카스트(caste) 제도에 관한 암밧타(Ambattha)와의 대화이다. 석가족의 전통적인 창설자인 옥까까(Okkaka) 왕의 전설과 관련된 것을 담고 있다

4. 종덕경(種德經 Soadaṇḍa Sutta).(4) 진실한 바라문의 특징에 관한 소나단다(Sonadanda) 바라문과의 대화이다

5. 구라단두경(究羅檀頭經 Kūtadanta Sutta).(5) 동물의 희생을 비난하는 것으로 바라문 꾸따단따(Kutadanta)와의 대화이다

6. 마하리경(摩訶梨經 Māhali Sutta).(6) 시각, 청각 및 완전한 깨달음의 완성과 같은 신()에 대한 마하리(Mahali)와의 대화이다

7. 사리경(寐利經 Jāliya Sutta).(7) 신체와 비교해서 삶의 본질에 관한 원리.

8. 가섭사자후경(迦葉師子吼經 Mahā(Kassapa)sīhanāda Sutta).(8) 자기-고행에 반대하여 나체 수행자 깟싸빠(Kassapa)와의 대화이다

9. 포타파루경(?婆樓經 Poṭṭhapāda Sutta).(9) 영혼의 본성에 관해 폿탑빠다(Potthapada)와 나눈 토론인데, 붓다는 이것은 깨달음에 도움이 되지 않고 부적절한 질문이라고 진술한다

10. 수파경(須婆經 Subha Sutta).(10) 지계·선정·지혜가 가져다주는 결과에 대해 아난다(Ananda)에게 해준 설법이다

11. 견고경(堅固經 Kevaddha Sutta).(11) 붓다는 기적을 행하는 것을 비구들에게 허락하는 것을 거부한다. 그들에게 질문하기 위해 신()을 방문했던 스님의 이야기이다

12. 노차경(露遮經 Lohikka Sutta).(12) 가르침의 윤리학에 관해 바라문 로힛까(Lohikka)와 나눈 대화이다

13. 삼명경(三明經 Tevijja Sutta).(13) 범천과의 교제에 이르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베다 지식의 무익함에 관한 것이다.

 

2. 대품(大品 Mahā-Vagga)

14. 대본경(大本經 Mahā-Padāna Sutta).(14) 고따마 붓다와 여섯 전임자의 장엄한 설화이며, 또한 위빳씨(Vipassi 毘婆尸佛)붓다의 도솔천 하강과 그의 전도 개시에 관한 법문이다

15. 대연경(大緣經 Mahā-Nidāna Sutta).(15) 인과 관계의 연쇄(緣起說)와 영혼론에 관한 것이다

16.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Mahā-Parinibbāna Sutta).(16) 여래께서 열반에 들기까지의 과정을 기록한 대법문이다

17. 대선견왕경(大善見王經 Mahā-Sudassana Sutta).(17) 영광의 대왕이다. 붓다 이전에 존재했던 수닷싸나(Sudassana) 왕의 이야기이다. 자신의 죽음의 자리에 관해 붓다께서 말한 것이다

18. 사니사경(寐尼沙經 Jana-Vasabha Sutta).(18) 붓다께서 나디까(Nadika) 사람들에게 악마 자나와사바(Janavasabha) 야차의 이야기를 설한 것이다

19. 대전존경(大典尊經 Mahā-Govinda Sutta).(19) 하늘의 힘으로 음악에 뛰어난 사람인 빤짜시카 (Pancasikha)가 마하고빈다(Maha Govinda)의 설화를 그가 스스로 '마하 고빈다'였다고 진술한 붓다와 관련시킨다

20. 대회경(大會經 Mahā-Samaya Sutta).(20) 순수한 거주의 신들과 그들의 전개

21. 제석소문경(帝釋所問經 Sakka-Pañha Sutta).(21) 신들의 주인인 삭까(Sakka)가 붓다를 방문하여 모든 것은 시작과 함께 소멸되어 간다 것을 붓다로부터 배운다

22. 대념처경(大念處經 Mahā Satipaṭṭhāna Sutta).(22) 네 가지 거대한 명상에 관한 법문, 즉 몸(느낌(마음(대상()이다. 네 가지 진리에 관한 주석과 함께 다루고 있다

Uddesa

Kāyānupassanā ānāpānapabba 

Kāyānupassanā iriyāpathapabba 

Kāyānupassanā sampajānapabba 

Kāyānupassanā paṭikūlamanasikārapabba 

Kāyānupassanā dhātumanasikārapabba 

Kāyānupassanā navasivathikapabba 

Vedanānupassanā

Cittanupassanā 

Dhammānupassanā nīvaraṇapabba

Dhammānupassanā khandhapabba 

Dhammānupassanā āyatanapabba 

Dhammānupassanā bojjhaṅgapabba .

Dhammānupassanā saccapabba 

Dukkhasaccaniddesa 

Samudayasaccaniddesa

Nirodhasaccaniddesa 

Maggasaccaniddesa

23. 폐숙경(幣宿經 Pāyāsi Sutta).(23) 꾸마라깟싸빠(Kumarakassapa)가 내생이나 행위의 과보가 없다고 하는 이교도 빠야시(Payasi)를 개종시킨다.

 

3. 당학품(當學品 Pāthika-Vagga)

24. 파리경(波梨經 Pātika Sutta).(24) 붓다는 기적을 행하지 않고, 사물의 기원을 가르치지 않기때문에 다른 스승들을 따른다는 제자들의 이야기다

25. 우담바라사자후경(優曇婆羅師子吼經 Udumbarika(Sīhanāda) Sutta).(25) 붓다께서 고행자 니그로다(Nigrodha)와 함께 고행주의를 논의하고 있다

26. 전륜성왕사자후경(轉輪聖王師子吼經 Cakkavatti(Sīhanāda) Sutta).(26) 전륜성왕의 이야기, 도덕적 타락과 그들의 회복 및 멧떼야(Metteya 彌勒) 붓다가 미래에 온다는 내용이다

27. 기세인본경(起世因本經 Aggañña Sutta).(27) 카스트 제도에 관한 논의인데, 사물의 기원(No.24에 있는 것과 같이)에 관한 설명을 통해 네 가지 계급 제도의 기원을 밝히고 있다

28. 자환희경(自歡喜經 Sampasādanīya Sutta).(28) 붓다의 가르침을 설명하고 붓다께 자신의 믿음을 나타내었던 사리뿟따와 붓다와의 대화이다

29. 청정경(淸淨經 Pāsādika Sutta).(29) 즐거운 법문이다. 완전함과 불완전한 가르침에 관한 붓다의 설법이다

30. 삼십이상경(三十二相經 Lakkhaṇa Sutta).(30) 위대한 사람의 32가지 특징에 관한 가르침이다

31. 교수시가라월경(敎授尸迦羅越經 Sigāla(ovāda) Sutta).(31) 여섯 가지 부류의 사람들에 대한 재가자의 의무에 관해 시갈라(Sigala)에게 해 준 훈계다

32. 아타낭지경(??Āṭānāṭiya Sutta).(32) 사대왕과 악에 반대하여 보호하기 위한 그들의 마력에 관한 것이다

33. 등송경(等誦經 Sangīti Sutta).(33) 사리뿟따(Sariputta)가 열이란 숫자에서 가르침의 원리를 개설(槪說)한다

34. 십상경(十上經 Dasuttara Sutta).(34) 사리뿟따가 열 가지 시리즈에서 교설을 개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