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 정진/빨리어 삼장(Tipiṭaka)

[2] 중부(中部 Majjhima Nikāya)

담마마-마까 2018. 10. 25. 14:18

 

[2] 중부(中部 Majjhima Nikāya)

 

이 부분은 15품으로 배열한 중간 길이의 152경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개략적으로 주제에 따라서 분류된 것이다.

 

1. 근본법문품(根本法門品 Mūlapariyāya-Vagga)

1. 근본법문경(根本法門經 Mūlapariyāya Suttaṃ).(35) 의식의 상태가 어떻게 시작되는가를 다루고 있다

2. 일체루경(一切漏經 Sabbāsava Sutta).(36) 번뇌의 제거에 관한 것이다

3. 법사경(法嗣經 Dhamma-Dayada Sutta).(37) 법의 중요성과 자신의 육체적 바램의 비중요성을 실현하도록 비구들을 훈계한 것이다

4. 포해경(怖駭經 Bhaya-Bherava Sutta).(38) 숲속의 두려움과 공포에 용감히 맞서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한 자신의 깨달음에 관한 붓다의 기술(記述)를 담고 있다

5. 무예경(無穢經 Anaṅgaṇa Sutta).(39) 타락에서 벗어나는 것에 관한 사리뿟따(Sariputta)와 목갈라나(Moggallana)간의 대화이다

6. 원경(願經 Ākankheyya Sutta).(40) 비구가 원해야 하는 것들에 관한 가르침이다

7. 포유경(布喩經 Vattha Sutta).(41) 더럽혀진 옷과 부정한 마음의 비유담이다

8. 삭감경(削減經 Sallekha Sutta).(42) 자아와 잘못된 견해의 제거에 관한 것이다

9. 정견경(正見經 Samma-Diṭṭhi Sutta).(43) 사리뿟따가 설한 올바른 견해에 관한 것이다

10. 염처경(念處經 Satipaṭṭhāna Sutta).(44) 장부의 No. 22와 같은 것이지만, 네 가지 진리에 관한 설명이 없다.

 

2. 사자후품(師子吼品 Sīhanāda-Vagga)

11. 사자후소경(師子吼小經 Cūḷa-Sīhanāda Sutta).(45). 짧은 힐책의 경전이다. 고행 실천의 어리석음에 관한 것이다

12. 사자후대경(師子吼大經 Mahā-Sīhanāda Sutta).(46) 긴 힐책의 경전이다. 고행 실천의 어리석음에 관한 것이다

13. 고온대경(苦蘊大經 Mahā Dukkhakkhandha Sutta).(47). 괴로움의 긴 이야기이다

14. 고온소경(苦蘊小經 Cūḷa Dukkhakkhandha Sutta).(48) 괴로움의 짧은 이야기이다

15. 사량경(思量經 Anumāna Sutta).(49) 목갈라나(Moggallana)에 의해 설해진 자기 반성의 가치에 관한 것이다.(시종일관 붓다와 관계된 것은 없다). 

16. 심황야경(心荒野經 Ceto-Khila Sutta).(50) 다섯 가지 정신적인 속박에 관한 것이다

17. 임수경(林藪經 Vana-Pattha Sutta).(51) 숲속 생활의 이익과 불이익에 관한 것이다

18. 밀환경(蜜丸經 Madhu-Pindika Sutta).(52) 붓다께서 자신의 가르침을 간략하게 개요를 설한 것인데, 깟차나(Kacchana)가 부연 설명한 것이다

19. 쌍고경(雙考經 Dvedhā-Vitakka Sutta).(53) 관능의 유혹에 대한 비유담. (38)에 있는 것으로서 깨달음의 반복에 관한 것이다

20. 고상식지경(考想息止經 Vitakka-Saṇṭhāna Sutta).(54) 바람직하지 못한 사고(思考)를 쫓기 위한 명상의 방법에 대해 설하고 있다.

 

3. 비유법품(譬喩法品 Opamma-Vagga)

 

21. 거유경(鋸喩經 Kakacūpama Sutta).(55) 속담의 비유. 가장 격심한 분노에서의 느낌과 마음의 자제에 관한 것이다

22. 사유경(蛇喩經 Alagaddūpama Sutta).(56) 물뱀의 비유. 법에 대한 잘못된 집착은 꼬리에 의해 뱀에 붙잡힌 것과 같다

23. 의질경(?Vammika Sutta).(57) 인간의 몸으로서 개미집의 연기 피움의 비유

24. 전차경(傳車經 Ratha-Vinīta Sutta).(58) 뿐냐(Punna)가 성스러운 삶의 목적을 사리뿟따(Sariputta)에게 설명한다

25. 철이경(撤餌經 Nivāpa Sutta).(59) 씨 뿌리는 사람 혹은 사슴을 위해 미끼로 꾀어들이는 사냥꾼 마라(Mara)의 비유

26. 성구경(聖求經Pāsarāsi Sutta).(60) 성스러움의 탐구. 붓다의 출가, 수행 및 깨달음의 성취에 관한 것이다

 

27. 상적유소경(象跡喩小經 Cūḷa Hatthi-Padopama Sutta).(61) 코끼리 발자국의 짧은 비유

28. 상적유대경(象跡喩大經 Mahā Hatthi-Padopama Sutta).(62) 코끼리 발자국의 긴 비유

29. 심재유대경(心材喩大經 Mahā Sāropama Sutta).(63) 명예와 명성의 획득의 위험에 관한 가르침이다. 데와닷따(Devadatta)가 승단을 떠났을 때 설해진 것이다

30. 심재유소경(心材喩小經 Cūḷa Sāropama Sutta).(64) 앞의 경전이 발전한 것으로 법의 본질 획득에 관한 것이다.

 

4. 쌍대품(雙大品 Mahā Yamaka-Vagga)

31. 우각림소경(牛角林小經 Cūḷa Gosiṅga Sutta).(65) 자신들의 성취와 관계된 세 명의 비구와 함께 나눈 붓다 의 대화

32. 우각림대경(牛角林大經 Mahā Gosiṅga Sutta).(66) 숲속의 아름다움을 만드는 것이 무엇인지 논의했던 여섯 명의 비구와 나눈 붓다의 대화이다

33. 목우자대경(牧牛者大經 Mahā Gopālaka Sutta).(67) 목자(牧者)의 열 한 가지 악과 선의 특질에 관한 것이다

34. 목우자소경(牧牛者小經 Cūḷa Gopālaka Sutta).(68) 강을 건너는 어리석은 목자와 지혜로운 목자의 비유이다

35. 살차가소경(薩遮迦小經 Cūḷa Saccaka Sutta).(69) 오온(五蘊)의 본성에 관한 붓다와 자이나교 삿짜까(Saccaka) 사이의 논의이다

36. 살차가대경(薩遮迦大經 Mahā Saccaka Sutta).(70) 올바른 명상에 관한 가르침과 함께 붓다의 고행과 깨달음에 대한 것이다

37. 애진소경(愛盡小經 Cūḷa Taṇhā Saṅkhaya Sutta).(71) 삭까(Sakka)가 붓다께 갈애로부터의 해탈에 대하여 묻자, 붓다는 목갈라나(Moggallana)에게 만족스럽게 되풀이하였다

38. 애진대경(愛盡大經 Mahā Taṇhā Saṅkhaya Sutta).(72) 윤회하는 의식이 있다고 생각하는 비구의 이단을 논박한 것이다

39. 마읍대경(馬邑大經 Mahā Assapura Sutta).(73) 고행의 의무에 관해 앗사뿌라(Assapura)에서 설한 큰 법문이다

40. 마읍소경(馬邑小經 Cūḷa Assapura Sutta).(74) 고행의 의무에 관해 앗사뿌라(Assapura)에서 설한 작은 법문이다.

 

5. 쌍소품(雙小品 Cūḷa Yamaka-Vagga)

41. 살라촌바라문경(薩羅村婆羅門經 Sāleyyaka Sutta).(75) 어떤 존재는 하늘에 가고 어떤 존재는 지옥에 가는지 그 이유에 ? 바라문 살라(Sala)에게 설한 법문이다.

42. 비란야촌바라문경(?蘭若村婆羅門經 Verañjaka Sutta).(76) 웨란자(Veranja)의 가장(家長)들에게 되풀이 한 같은 내용의 법문이다

43. 유명대경(有明大經 Mahā Vedalla Sutta).(77) 사리뿟따(Sariputta)가 마하꼿티따(Mahakotthita)에게 설한 심리학적인 논의이다

44. 유명소경(有明小經 Cūḷa Vedalla Sutta).(78) 비구니 담마딘나(Dhammadinna)가 재가 신자인 위사카(Visakha)에게 설한 심리학적인 논의이다

45. 득법소경(得法小經 Cūḷa Dhamma-Samādāna Sutta).(79) 쾌락의 즐김과 미래의 고통에 관한 짧은 법문이다

46. 득법대경(得法大經 Mahā Dhamma-Samādāna Sutta).(80) 쾌락의 즐김과 미래의 고통에 관한 긴 법문이다

47. 사찰경(思察經 Vimaṃsaka Sutta).(81) 조사의 올바른 방법에 관한 것이다

48. 교상미경(?賞彌經 Kosambiya Sutta).(82) 싸움의 악에 관히 꼬삼비(Kosambi)의 비구들에게 설한 법문이다

49. 범천청경(梵天請經 Brahmā-Nimantanika Sutta).(83) 붓다께서 영원론의 이교도로부터 범천의 세계에서 바까(Baka)를 개종시킨다

50. 마하책경(摩訶責經 Māra Tajjaniya Sutta).(84) 목갈라나(Moggallana)가 마라(Mara 惡魔) 훈계한다.

 

6. 거사품(居士品 Gahapati-Vagga)

51. 깐다라까경(깐다라까Kandaraka Sutta).(85) 네 가지 종류의 인물에 관한 법문이다

52. 앗타까성인경(앗타까城人經 Aṭṭhaka -Nāgara Sutta).(86) 열반에 이르는 길에 관해 아난다(Ananda)가 설한 법문이다

53. 유학경(有學經 Sekha Sutta).(87) 붓다께서 까삘라밧투(Kapilavatthu)에서 방금 강당을 개설하고, 아난다가 제자들의 훈련에 관해 설한 법문이다

54. 포다리경(哺多利經 Potaliya Sutta).(88) 붓다께서 속된 마음의 포기의 참된 의미를 뽀딸리야(Potaliya)에게 설명한다

55. 지바까경(지바까Jīvaka Sutta).(89) 붓다께서 육식의 윤리에 대해 설명한다

56. 우파리경(優波離經 Upāli Sutta).(90) 자이나교도 우빨리(Upali)의 개종에 관한 법문이다

57. 구행자경(狗行者經 Kukkura-Vatika Sutta).(91) 붓다와 두 고행자간의 업(Kamma)에 관한 대화이다

58. 무외왕자경(無畏王子經 Abhaya-Rāja-Kumāra Sutta).(92) 자이나교도 나따뿟따(Nataputta)가 신성의 모독에 관해 붓다께 질문하도록 아바야(Abhaya) 왕자를 보낸다

59. 다수경(多受經 Bahu-Vedanīya Sutta).(93) 느낌[감각]의 분류에 관한 것이다

60. 무희론경(無戱論經 Apaṇṇaka Sutta).(94) 다양한 이교에 반대되는 '확실한 교법'에 관한 것이다.

 

7. 비구품(比丘品 Bhikkhu-Vagga)

61. 교계라후라암바약림경(敎誡羅?羅菴婆藥林經 Ambalaṭṭhikā-Rāhul'ovāda Sutta). (95) 붓다께서 잘못에 관해 설한 법문이다

62. 교계라후라대경(敎誡羅?羅大經 Mahā-Rāhūul'ovāda Sutta).(96) 출입식(出入息)훈련과 함께 명상에 관해 라훌라에게 해준 충고이다

63. 마라가소경(滅迦小經 Cūḷa-Māluŋkya Sutta).(97) 미정의 질문 [無記]에 관한 것이다. (106번을 참조하라.) 

64. 마라가대경(滅迦大經 Mahā-Māluŋkya Sutta).(98) 다섯 가지 낮은 족쇄[五下分結]에 관한 것이다

65. 발다리경(跋陀利經 Bhaddāli Sutta).(99) 밧달리(Bhaddali)의 참회와 붓다의 충고이다

66. 순유경(?喩經 Laṭukikopama Sutta).(100) 세상의 출가에 관한 충고이다

67. 차두취락경(車頭聚落經 Cātumā Sutta).(101) 짜뚜마(Catuma)에서 싸움을 좋아하는 비구들에게 해준 충고이다

68. 나라가파령촌경(那羅伽波寧村經 Naḷakapāna Sutta).(102) 붓다께서 아누룻다(Anuruddha)에게 법의 확실한 초점에 관하여 질문한다

69. 구니사경(瞿尼師經 Gulissāni Sutta).(103) 굴릿사니(Gulissāni)와 같이 숲속에서 사는 그러한 사람들을 위한 규정이다

70. 지타산읍경(?山邑經 Kītāgiri Sutta).(104) 다양한 분류의 비구들에 의해 자행되는 행위이다.

 

8. 보행자품(普行者品 Paribbājaka-Vagga)

71. 파차구다삼명경(婆蹉衢多三明經 Tevijja-Vacchagotta Sutta).(105) 붓다께서 고행자 왓차곳따(Vacchagotta)를 방문하고, 자신은 과거생에 대한 회상, 비범한 투시력 및 번뇌(asavas )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한 지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Tevijja(三明, 세가지 종류의 지혜를 갖춤)라고 부른다고 주장한다

72. 파차구다화경(婆蹉衢多火經 Aggi-Vacchagotta Sutta).(106) 세계에 대한 이론 세움의 위험 등이다

73. 파차구다대경(婆蹉衢多大經 Mahā Vacchagotta Sutta).(107) 재가자와 비구의 행위에 관해 밧차곳따에게 해준 그 이상의 설명이다

74. 장조경(長爪經 Dīghanakha Sutta).(108) 붓다께서 고행자 디가나카(Dighanakha)를 논박한다. 사리뿟따(Sariputta)는 아라한과를 증득한다

75. 마건제경(摩健提經 Māgandiya Sutta).(109) 붓다께서 자신의 감각적 삶의 포기를 말하고, 감각적 욕망의 포기에 관해 부연한다

76. 산다까경(Sandaka Sutta).(110) 아난다가 고행자 산다까(Sandaka)의 이단을 논박한다

77. 선생우다이대경(善生優陀夷大經 Mahā Sakuludāyi Sutta).(111) 왜 붓다가 명예로운 분인가라는 다섯 가지 이유에 관한 것이다

78. 사문문기자경(沙門文祁子經 Samaṇa-Muṇḍikā Sutta).(112) 완전한 덕의 특질에 관한 것이다

79. 선생우다이소경(善生優陀夷小經 Cūḷa Sakuludāyi Sutta).(113) 자이나교의 교주 나따뿟따(Nataputta)와 진실한 행복에 이르는 길에 관한 것이다

80. 비마나수경(摩那修經 Vekhanasa Sutta).(114) 다섯 가지 감각에 대한 추가적인 사건과 함께 앞의 경전 일부의 반복이다.

 

9. 왕품(王品 Rāja-Vagga)

81. 도사경(陶師經 Ghaṭīkāra Sutta).(115) 붓다께서 조띠빨라(Jotipala 護明童子)로서 자신의 이전 경험을 아난다에게 말한다

82. 뢰타파라경(타파羅經 Raṭṭhapāla Sutta).(116) 랏타빨라(Ratthapala)와 그가 승단에 들어가는 것을 단념시키기 위해 헛된 시도를 행했던 자기 부모의 이야기이다

83. 대천나림경(大天林經 Maghadeva Sutta).(117) 마가데와(Maghadeva) 왕으로서 붓다의 전생 이야기이다

84. 마투라경(摩偸羅經 Madhura Sutta).(118) 붓다의 질병 이후, 깟짜나(Kaccana)가 카스트의 진실한 의미에 관해 아반띠뿟따(Avantiputta) 왕에게 설한 법문이다

85. 보리왕자경(菩提王子經 Bodhi-Rāja-Kumāra Sutta).(119)No.60 70과 마찬가지로 붓다께서 자신의 출가와 깨달음에 관한 이야기를 설한다

86. 앙굴마경(鴦掘摩經 Angulimāla Sutta).(120) 살인마 앙굴리말라(Angulimala)의 개종 이야기이다

87. 애생경(愛生經 Piya-Jātika Sutta).(121) 외아들을 잃은 한 남자에 대한 붓다의 충고와 그 위에 빠세나디 왕과 왕비간의 논쟁이다

88. 비하제경(訶提經 Bāhitika Sutta).(122) 아난다가 외국의 옷감으로 자신에게 선물해 준 빠세나디 왕이 남김 행위에 관한 물음에 답한다

89. 법장엄경(法莊嚴經 Dhamma-Cetiya Sutta).(123) 빠세나디 왕이 붓다를 방문하고, 성스러운 삶을 격찬한다

90. 보극자림경(普棘刺林經 Kaṇṇakatthala Sutta).(124) 신들과 카스트 및 범천에 관해 붓다와 빠세나디 왕 간의 대화이다.

 

10. 바라문품(婆羅門品 Brāhmana-Vagga)

91. 범마경(梵摩經 Brahmāyu Sutta).(125) 32가지 위대한 인물의 특징[三十二相]과 바라문 브라흐마유(Brahmayu)의 개종에 관한 것이다

92. 시라경(施羅經 Sela Sutta).(126) 바라문 셀라(Sela)가 붓다의 32가지 특징을 보고 개종했다. (같은 이야기가 經集 Sutta Nipata III, 7에 실려 있다.) 

93. 아섭화경(阿攝Assalāyana Sutta).(127) 바라문 아쌀라야나(Assalayana)가 붓다와 함께 카스트를 논의한다. 이 경은 카스트에 관한 붓다 교설의 중요한 선물이다

94. 구다모가경(瞿多牟伽經 Ghoṭamukha Sutta).(128) 고따무카(Ghotamukha)가 승단을 위해 강당을 건축한다. 이 낙성식에서 우데나(Udena)가 법문한다

95. 상가경(商伽經 Cankī Sutta).(129) 바라문교의 교리에 관한 법문이다

96. 울유가라경(鬱庾歌邏經 Esukārī Sutta).(130) 카스트와 그 기능에 관한 법문이다

97. 다연경(陀然經 Dhānañjāni Sutta).(131) 사리뿟따가 가족의 의무는 나쁜 행위를 용서하지 않는다고 바라문 다난자니(Dhananjani)에게 말한다

98. 파사타경(婆私Vāseṭṭha Sutta).(132) 진실한 바라문의 본질에 관해 대부분 로 설한 법문이다. (이것은 經集 Sutta Nipata III, 9에서 되풀이 된다.) 

99. 수파경(須婆經 Subha Sutta).(133) 어떤 사람이 재가자로 남아 있는 것인지 또는 출가하는 것인지에 관한 것이다

100. 상가라경(傷歌邏經 Sangārava Sutta).(134) 성스러운 생활에 관해 교법을 받아들였던 바라문 여인에게 설한 법문이다. 또한 No. 60, 70의 일부에서 반복된다.

 

11. 천비품(天臂品 Devadaha-Vagga)

101. 천비경(天臂經 Devadaha Sutta).(135) 현재의 삶에 의한 열반 증득에 관한 붓다의 법문이다

102. 오삼경(五三經 Pañcattaya Sutta).(136) 영혼의 다섯 가지 이론에 관한 것과 그것을 벗어나는 방법[涅槃]은 그것들 중 어느 것에도 의존하지 않는다

103. 여하경(如何經 Kinti Sutta).(137) 법에 대하여 논박하고 계율을 범한 비구들을 위한 규정들이다

104. 합미촌경(合彌村經 Sāmagāma Sutta).(138) 나따뿟따(Nataputta)의 죽음 이후, 분쟁과 조화에 관한 붓다의 법문이다. (또한 No.29에도 있다.) 

105. 선성경(善星經 Sunakkhatta Sutta).(139) 갈애의 화살을 뽑는 것에 비유한 것이다

106. 부동이익경(不動利益經 Āneñja-Sappāya Sutta).(140) 평온과 성취, 그리고 진실한 제거에 관한 명상이다

107. 산수가목건련경(算數家目健連經 Gaṇaka-Moggallāna Sutta).(141) 제자의 훈련에 관해 가나까-목갈라나(Ganaka-Moggallana)에게 교육한 것이다

108. 구묵목건련경(瞿默目健連經 Gopaka-Moggallāna Sutta).(142) 붓다의 질병 이후, 아난다가 밧싸까라(Vassakara)에게 법은 오직 안내일 뿐이라고 설명한다

109. 만월대경(滿月大經 Mahā Puṇṇama Sutta).(143) 붓다께서 (khandha)에 관하여 한 비구의 질문에 대답한다

110. 만월소경(滿月小經 Cūḷa Puṇṇama Sutta).(144) 나쁜 사람과 좋은 사람에 관한 법문이다.

 

12. 부단품(不斷品 Anupada-Vagga)

111. 부단경(不斷經 Anupada Sutta).(145) 붓다께서 사리뿟따의 마음의 분석에 대하여 그를 칭찬한다

112. 육정경(六淨經 Chabbisodhana Sutta).(146) 아라한과를 획득했다고 선언하는 비구를 시험하는 질문에 관한 것이다

113. 선사경(善士經 Sappurisa Sutta).(147) 어떤 비구의 좋고 나쁜 특성에 관한 것이다

114. 응습불응습경(應習不應習經 Sevitabba-Asevitabba Sutta).(148) 사리뿟따가 성스러운 삶을 살도록 하는 올바른 방법을 설명한다

115. 다계경(多界經 Bahu-Dhātuka Sutta).(149) 붓다와 아난다 간의 대화에서 마련된 요소의 순서와 원리에 관한 것이다

116. 선탄경(仙呑經 Isigili Sutta).(150) 빳쩨까-붓다(Pacceka-Buddha 抗支佛)에 관한 붓다의 설명이다

117. 대사십경(大四十經 Mahā-Cattārīsaka Sutta).(151) 고귀한 여덟 가지 길[八正道]에 관한 해설이다

118. 입출식념경(入出息念經 Ānāpāna-Sati Sutta).(152) 호흡법 연습에 관한 것이다

119. 신행념경(身行念經 Kāyagatā-Sati Sutta).(153) []에 관한 명상이다

120. 행생경(行生經 Saŋkhaārupapatti Sutta).(154) 어떤 비구가 자신의 재생의 조건을 결정하기 위한 가능성으로서 다섯 가지 (sankhara)의 계발에 관한 것이다.

 

13. 공품(空品 Suññata-Vagga)

121. 공소경(空小經 Cuūḷ Suññata Sutta).(155) 에 관한 명상이다

122. 공대경(空大經 Mahā Suññata Sutta).(156) 에 대한 명상 수련에 관해서 아난다에게 교육한 것이다

123. 희유미증유법경(希有未曾有法經 Acchariya-Abbhūta Sutta).(157) 보살(bodhisatta)의 훌륭한 삶에 관한 것이다. No.14의 일부에서 반복되었지만 붓다 자신에게 적용한 것이다

124. 박구라경(薄拘羅經 Bakula Sutta).(158) 바꿀라(Bakula)가 그의 친구 아뵉라-깟싸빠(Acela-Kassapa)를 개종시킨다

125. 조어지경(調御地經 Danta-Bhūmi Sutta).(159) 코끼리 훈련의 비유에 의해서 붓다는 어떤 사람이 법에서 다른 사람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를 보여준다

126. 부미경(浮彌經 Bhūmija Sutta).(160) 부미자(Bhumija)가 자야세나(Jayasena) 왕자의 질문에 대답한다

127. 아나율경(阿那律經 Anuruddha Sutta).(161) 아누루다(Anuruddha)가 재가자 빤짜깐가(Pancakanga)에게 마음의 해탈에 관해 설명한다

128. 수번뇌경(隨煩惱經 Upakkilesa Sutta).(162) 붓다께서 꼬삼비 비구들의 다툼을 진정시키고, 올바른 명상에 관해 법문한다

129. 현우경(賢愚經 Bāla Paṇḍita Sutta).(163) 사후(死後)의 보답과 형벌에 관한 것이다

130. 천사경(天使經 Devadūta Sutta).(164) 죽음의 使者를 무시한 자들의 운명에 관한 것이다.

 

14. 분별품(分別品 Vibhanga-Vagga)

131. 일야현자경(一夜賢者經 Bhadd'Eka-Ratta Sutta).(165) 노력에 관한 주석과 함께 네 가지 게송의 이다

132. 아난일야현자경(阿難一夜賢者經 Ānanda-Bhadd'Eka-Ratta Sutta).(166) 같은 내용의 시에 대한 아난다의 해설이다

133. 대가전연일야현자경(大迦延一夜賢者經 Mahā Kaccāna-Bhadd'Eka-Ratta Sutta).(167) 같은 내용의 시에 대한 마하깟짜나(Mahakaccana)의 해설이다

134. 노이강기일야현자경(盧夷强耆一夜賢者經 Lomasakaŋgiyai-Bhadd'Eka-Ratta Sutta). (168) 붓다께서 같은 내용의 시를 로마싸깡기야(Lomasakangiya)에게 설명한다

135. 소업분별경(小業分別經 Cūḷa Kamma-Vibhaŋga Sutta).(169) 붓다께서 업에 의한 여러 가지 육체적·정신적 특질에 대해 설명한다

136. 대업분별경(大業分別經 Mahā Kamma-Vibhaŋga Sutta).(170) 붓다께서 업의 작용을 부정하는 한 고행자의 논의를 반박한다

137. 육처분별경(六處分別經 Saḷāyatana-Vibhaŋga Sutta).(171) 여섯 가지 감각의 분석이다

138. 총설분별경(總說分別經 Uddesa-Vibhaŋga Sutta). (172) 마하깟짜나(Mahakaccana 大迦?)가 의식의 양상에 관해 자세히 설명한다

139. 무쟁분별경(無諍分別經 Araṇa-Vibhaŋga Sutta).(173) 두 극단 사이의 中道에 관한 것이다

140. 계분별경(界分別經 Dhātu-Vibhaŋga Sutta).(174) 붓다의 가르침에 의해 스승임을 깨달았던 뿍꾸사띠(Pukkusati)의 이야기이다. 요소[]의 분석이다

141. 제분별경(諦分別經 Sacca-Vibhanga Sutta).(175) 네 가지 고귀한 진리[四聖諦]에 대한 진술이다. 사리뿟따에 의해 그 이상의 주석이 가해진다

142. 시분별경(施分別經 Dakkhiṇa-Vibhaŋga Sutta).(176) 보시와 보시자에 관한 것이다.

 

15. 육처품(六處品 Saḷāyatana-Vagga)

143. 교급고독경(敎給孤獨經 Anāthapiṇḍik'ovāda Sutta). (177) 아나타삔디까(Anathapindika 給孤獨)의 죽음, 그리고 뚜시따(Tusita 兜率天)에 다시 태어남과 그의 출현을 붓다께 알린다

144. 교천타경(敎闡陀經 Chann'ovāda Sutta).(178) 병이 들었을 때 사리뿟따가 가르쳤고, 최종적으로 자살을 저질렀던 찬나(Channa) 장로의 이야기이다

145. 교부루나경(敎富樓那經 Puṇṇ'ovāda Sutta).(179) 즐거움과 고통의 견딤에 관해 뿐냐(Punna 富樓那)에게 설한 것이다

146. 교난타가경(敎難陀迦經 Nandak'ovāda Sutta).(180) 난다까(Nandaka)無常에 관해 마하빠자빠띠(Mahapajapati)500명의 비구니에게 문답으로 가르친다

147. 교계라후라소경(敎誡羅羅小經 Cūḷa Rāhul'ovāda Sutta).(181) 붓다께서 라훌라를 숲속으로 데리고 가서 무상에 관해 그에게 질문한다. 그 법문을 듣기 위해 신들이 온다

148. 육육경(六六經 Cha-Chakka Sutta).(182) 감각의 六六法에 관한 것이다

149. 대육처경(大六處經 Mahā Saḷāyatanika Sutta).(183) 올바른 감각의 지혜에 관한 것이다

150. 빈두성경(頻頭城經 Nagara-Vvindeyya Sutta).(184) 고행자의 종류와 명예로운 바라문에 관한 붓다의 가르침이다

151. 걸식청정경(乞食淸淨經 Piṇḍapāta-Parisuddhi Sutta).(185) 제자들의 훈련에 관해 사리뿟따에게 가르친 것이다

152. 근수습경(根修習經 Indriya-Bhāvanā Sutta).(186) 붓다는 감각의 정복을 위한 바라문 빠라사리야(Parasariya)의 방법을 거부하고, 자신의 고유한 방법을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