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상응부(相應部 Saṃyutta Nikāya)
특정한 교리를 다루거나 특별한 성격이 주어진 경전들의 '묶음' 혹은 '일관된' 시리즈이다. 56상응은 5품으로 나누어지며 총 2,889經을 담고 있다.
1. 유게품(有偈品 Sagāthā-Vagga)
(11개의 相應을 담고 있다.)
1. 제천상응(諸天相應 Devatā-saṃyutta).(187) 신들[諸天]의 질문이다.
2. 천자상응(天子相應 Devaputta-saṃyutta).(188) 신의 아들들의 질문이다.
3. 구살라상응(拘薩羅相應 Kosala-saṃyutta).(189) 꼬살라(Kosala) 국왕 빠세나디(Pasenadi)의 일화들이다.
4. 악마상응(惡魔相應 Māra-saṃyutta).(190) 붓다와 제자들에 대한 악마의 적대적인 행동이다.
5. 비구니상응(比丘尼相應 Bhikkhunī-saṃyutta).(191) 악마의 실패한 비구니 유혹과 악마의 논의이다.
6. 범천상응(梵天相應 Brahma-saṃyutta).(192) 사함빠띠(Sahampati) 범천이 세상 사람들을 위해 법을 가르치도록 붓다께 요청한다.
7. 바라문상응(婆羅門相應 Brāhmaṇa-saṃyutta).(193) 바라드바자(Bharadvaja) 바라문과 붓다와의 만남 및 그의 귀의에 관한 내용이다.
8. 바기사장로상응(婆耆沙長老相應 Vangīsa-saṃyutta).(194) 왕기사(Vangisa)의 욕정 제거에 관한 내용이다.
9. 삼상응(森相應 Vana-saṃyutta).(195) 숲속 신들이 진전이 없는 비구들에게 올바른 길로 향하게 한다.
10. 야차상응(夜叉相應 Yakkha-saṃyuttaa).(196) 야차와 붓다, 그리고 야차와 비구니와의 대론(對論)이다.
11. 제석상응(帝釋相應 Sakka-saṃyutta).(197) 붓다께서 신들의 왕인 삭카(Sakka, 帝釋)의 특성을 열거한다.
2. 인연품(因緣品 Nidāna-Vagga)
(10개의 상응을 담고 있다.)
12. 인연상응(因緣相應 Nidāna-Saṃyutta).(198) 연기설(緣起說, 의존적 발생의 교리)에 관한 설명이다.
13. 현관상응(現觀相應 Abhisamaya-Saṃyutta).(199) 번뇌를 완전히 제거하도록 격려한다.
14. 계상응(界相應 Dhātu-Saṃyutta).(200) 요소의 육체적, 정신적 및 이론적인 서술이다.
15. 무시상응(無始相應 Anatamagga-Saṃyutta).(201) 무수한 윤회(Samsara)의 시작에 관한 것이다.
16. 가섭상응(迦葉相應 Kassap-Saṃyuttaa).(202) 깟싸빠(Kassapa 迦葉)의 간곡한 권고이다.
17. 이득·공양상응(利得·供養相應 Lābhasakkāra-Saṃyutta).(203) "이득, 호의 및 경의"이다.
18. 라후라상응(羅?羅相應 Rāhula-Saṃyutta).(204) 라훌라의 교육이다.
19. 늑차나(勒叉那相應 Lakkhaṇa-Saṃyutta).(205) 락카나(Lakkhana)의 질문이다.
20. 비유상응(譬喩相應 Opamma-Saṃyutta).(206) 무지에서 비롯된 잘못된 행위들이다.
21. 비구상응(比丘相應 Bhikkhu-Saṃyutta).(207) 비구들에게 해준 붓다와 목갈라나(Moggallana)의 훈계이다.
3. 건도품(建度品 Khandha-Vagga)
(13개의 상응을 담고 있다.)
22. 온상응(蘊相應 Khandha-Saṃyutta).(208) 개인을 구성하고 있는 육체적 정신적 집합이다.
23. 나다상응(羅陀相應 Rādha-Saṃyutta).(209) 라다(Radha)의 질문이다.
24. 견상응(見相應 Ditthi-Saṃyutta).(210) 오온의 집착에서 일어나는 잘못된 견해들이다.
25. 입상응(入相應 Okkanta-Saṃyutta).(211) 믿음(saddha)을 통해 도(道)에 들어감이다.
26. 생상응(生相應 Uppāda-Saṃyutta).(212) 집합의 일어남은 괴로움으로 이끈다.
27. 번뇌상응(煩惱相應 Kilesa-Saṃyutta).(213) 육근(六根)과 육식(六識)에서 번뇌가 일어난다.
28. 사리불상응(舍利弗相應 Sāriputta-Saṃyutta).(214) 감정의 평온에 관한 아난다의 질문에 대한 사리뿟다의 답변이다.
29. 용상응(龍相應 Nāga-Saṃyutta).(215) 네 가지 종류의 나가(naga 龍) 목록이다.
30. 금시조상응(金翅鳥相應 Supaṇṇa-Saṃyutta).(216) 네 가지 종류의 가루다(garuda)의 목록이다.
31. 건달바상응(乾達婆相應 Gandhabbakāya-Saṃyutta).(217) 간다바(gandhabba) 신들의 기술(記述)이다.
32. 운상응(雲相應 Valāhaka-Saṃyutta).(218) 영혼의 구름에 관한 기술이다.
33. 파차종상응(婆蹉種相應 Vacchagotta-Saṃyutta).(219) 왓차곳따(Vacchagotta)의 형이상학적 질문들 이다.
34. 선정상응(禪定相應 Jhāna or Samādhi-Saṃyutta).(220) 네 가지 형태의 쟈나(jhāna 禪定) 수행을 열거하고 있다.
4. 육처품(六處品 Saḷāyatana-Vagga)
(10개의 상응을 담고 있다.)
35. 육처상응(六處相應 Saḷāyatana)-Saṃyutta.(221) 육처(六處)와 그에 대한 올바른 태도에 관한 것이다.
36. 수상응(受相應 Vedanā-Saṃyutta).(222) 세 가지 종류의 느낌[감각]과 그에 대한 올바른 태도에 관한 것이다.
37. 여인상응(女人相應 Mātugāma-Saṃyutta).(223) 자신들의 자질에 의한 여인의 운명에 관한 것이다.
38. 염부차상응(閻浮車相應 Jambukhādaka-Saṃyutta).(224) 사리뿟따에게 붉은 사과를 먹는 사람인 유행자의 질문이다.
39. 사문출가상응(沙門出家相應 Samaṇḍaka-Saṃyutta).(225) 사리뿟따에게 사만다까(Samandaka) 유행자의 질문이다.
40. 목건련상응(目?連相應 Moggallāna-Saṃyutta).(226) 목갈라나(Moggallana)가 비구들에게 선정(禪定 jhana)를 설명한다.
41. 질다상응(質多相應 Citta-Saṃyutta).(227) 감각과 감각의 대상은 본질적으로 악이 아니다. 다만 감각의 접촉을 통해 일어나는 불건전한 욕망일 뿐이다.
42. 취락주상응(聚落主相應 Gāmani-Saṃyutta).(228) '성냄'과 '친절'의 정의(定義)에 관한 것이다.
43. 무위상응(無爲相應 Asankhata-Saṃyutta).(229) 무위(無爲 Nibbana)에 관한 것이다.
44. 무기설상응(無記說相應 Abyākata-Saṃyutta).(230) 빠세나디(Pasenadi)가 케마(khema), 아누루다(Anuruddha), 사리뿟따(Sariputta) 및 목갈라나(Moggallāna)에게 제기한 사변적 질문들이다.
5. 대품(大品 Mahā-Vagga)
(12개의 상응을 담고 있다.)
45. 도품상응(道品相應 Magga-Saṃyutta).(231) 팔정도(八正道)에 관한 것이다.
46. 각지상응(覺支相應 Bojjhanga-Saṃyutta).(232) 깨달음의 일곱 가지 요소들[七覺支]에 관한 것이다.
47. 염처상응(念處相應 Satipaṭṭhāna-Saṃyutta).(233) 마음집중의 네 가지 근본[四念處]에 관한 것이다.
48. 근상응(根相應 Indriya-Saṃyutta).(234) 다섯 가지 기능[五根] 즉 신근(信根), 정진근(精進根), 염근(念根), 정근(定根), 혜근(慧根)]에 관한 것이다.
49. 정근상응(正勤相應 Sammappadhāna-Saṃyutta).(235) 네 가지 올바른 노력[四正勤]에 관한 것이다.
50. 력상응(力相應 Bala-Saṃyutta).(236) 다섯 가지 힘[五力] (앞의 五根에 관한 한은)에 관한 것이다.
51. 신족상응(神足相應 Iddhipāda-Saṃyutta).(237) 네 가지 심령의 힘[四神足]에 관한 것이다.
52. 아나율상응(阿那律相應 Anuruddha-Saṃyutta).(238) 마음집중을 통해 아누룻다(Anuruddha)가 성취했던 초월적 능력에 관한 것이다.
53. 정처상응(靜處相應 Jhāna-Saṃyutta).(239) 사선(四禪)에 관한 것이다.
54. 입출식상응(入出息相應 Ānāpāna-Saṃyutta).(240) 호흡법의 마음집중에 관한 것이다.
55. 예류상응(預流相應 Sotāpatti-Saṃyutta).(241) 예류과(預流果)를 획득한 자에 관한 기술이다.
56. 제상응(諦相應 Sacca-Saṃyutta).(242) 네 가지 고귀한 진리[四聖諦]에 관한 것이다.
'수행. 정진 > 빨리어 삼장(Tipiṭaka)'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소부(小部 Khuddaka Nikāya) (0) | 2018.10.25 |
---|---|
[4] 증지부(增支部 Anguttara Nikāya) (0) | 2018.10.25 |
[2] 중부(中部 Majjhima Nikāya) (0) | 2018.10.25 |
B. 경장(經藏 Sutta Pitaka) [1] 장부(長部 Dīgha Nikāya) (0) | 2018.10.25 |
A. 율장(律藏 Vinaya Piṭaka) (0) | 2018.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