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덕회향 2

돌아가신 분들을 위한 세 가지 의식 (20150828)

https://youtu.be/NFMFxh-9CDA * 돌아가신 분들을 위한 세 가지 의식 (20150828) 그 돌아가신 이들을 위해서 테라와다에서 하는 의식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눠집니다. 첫 번째가 돌아가신 이들을 위해서 법을 청해 듣는 것. 두 번째가 돌아가신 분들을 위해서 가사를 공양 올리는 것. 세 번째가 돌아가신 이를 위해서 공양을 올리는 것. 이렇게 세 가지로 나눠집니다. 그런데 법을 청해 듣는 사람은 누가 들어요? 돌아가신 분이 들어요? 살아있는 분이 듣지. 공양 올리는 분은 돌아가신 분이 올려요? 살아있는 분이 올리지. 가사 올리는 것도 살아있는 분들이 올리는 겁니다. 쉽게 말하면 살아있는 분들이 모두 다 공양도 올리고 가사도 올리고 또 법도 청해 듣고 이렇게 합니다. 단지 그게 그것으로..

아누모다나(anumodanā, 공덕회향) (20091215)

* 아누모다나(anumodanā, 공덕회향) (20091215) https://youtu.be/oZtGhYl9AVE 공덕회향 게송이라고 하는 게 있죠? 아누모다나(隨喜)라고 하는 공덕회향에 대한 얘기를 좀 해보겠습니다. '아누모다나(anumodanā)' 라고 할 거 같으면 보통 '공덕을 지은 것들을 회향한다' 하는 그런 뜻입니다. 공덕은 여러분들 보통 빨리어로 뭐라 그럽니까? '뿐냐(puñña)'라고 얘기하죠! '빳따(pattā)'라고도 얘기합니다. 그래서 '빳따아누모다나(pattānumodāna)' 그렇게 얘기하기도 합니다. '무디따(muditā, 喜)' 무디따라고 알죠? 사무량심의 무디따가 뭡니까? '함께 기뻐한다' 하는 그런 의미입니다. '모-다띠(modati)'라고 하는 '기뻐한다'는 그런 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