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야상카라 2

아짠 빤냐와로 스님의 대념처경 법문 7강. 신념처- 아나빠나 사띠(Ānāpānassati)

https://youtu.be/uPLSuVrAdIw7강. 신념처(까야누빳사나)- 아나빠나 사띠(출입식념) (20110402) 오늘까지 하면 몸에 대해서 알아차리는 것중에 까야누빳사나 부분의 첫번째 부분이 마쳐집니다. 그런데 오늘 프린트물은 「아나빠나 숫따」 부분에서 크게 다른 부분이 없죠? 반복되는 것들이죠. 아! 오늘까지 되는 것이 아니고 다음시간까지 돼야 됩니다. 뒤에 아나빠나사띠라도 위빳사나 부분이 있기 때문에, 위빳사나 부분 열가지 부분은 또 따로 설명이 돼야 됩니다. 그전까지 오늘 프린트물 세번째 위빳사나라고 돼있는 그 앞에 부분까지는, 앞에 부분이 반복되죠! 그래서 별로 설명할 거는 없습니다. 복습 한번 해볼게요. '아-나-빠-나 사띠(Ānāpānasati)'는 네 부분으로 나눠서 알아차린다고..

아짠 빤냐와로 스님의 대념처경 법문 6강. 신념처- 아나빠나 사띠(Ānāpānassati)

https://youtu.be/t_YcNJIA1wE 6강. 신념처(身念處, kāyānupassanā)- 아나빠나 사띠 (20110319) ··· 그리고 기존의 회원들은 새로 오신 분들에게 기본적인 습이 익히도록 해주십시요. 절하는 법부터 해서 기본적으로 익혀야 될 습의들을 조금 얘기들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가끔씩 다른데 수행지도를 가면 그런 걸 많이 느낍니다. 어떤 경우든지 스님이 그 법회에 가서 그법회를 주재할 경우에는 삼보예경을 먼저 합니다. 그러고나서 여러분하고 똑같이 삼귀의 오계를 주거든. 그런데 대부분 사람들이 꿇어앉아서 삼보예경을 하는 법이 없어요. 그냥 양반다리도 탁 앉아있어요. 안해봤다는 거라. 그러니까 스님이 삼귀의 오계를 줄 때도 꼭 마찬가지라. 그러니까 그걸 몰라서 그러는 거라.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