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기법과 삼법인 연기법 이것이 있으므로 저것이 있고, 이것이 생기므로 저것이 생긴다. 이것이 없으면 저것도 없고, 이것이 사라지면 저것도 사라진다. - 잡아함경 - 열반 무명이 있으므로 고통이 있다. 팔정도가 있으므로 열반이 있다. 삼법인 제행무상, 일체개고, 제법무아 하나의 존재는 무수한 인연들.. 수행. 정진/불교 입문. 경전 2013.11.05
12 연기. (Paticcasamuppāda). 모곡 사야도 모곡 사야도의 12연기 법문집~ 우리가 연기(緣起)라고 말하는 연기는 빨리어로 빠띠짜사무빠다(Paticcasamuppāda)라고 합니다. 빨리어는 부처님께서 법문을 하신 언어입니다. 이 빨리어 빠띠짜사무빠다(Paticcasamuppāda)라고 하는 이 말은 세 가지 단어의 합성어입니다. 빠띠짜(Paticca)는 ‘~로 .. 수행. 정진/위빳사나 수행과 알아차림 2013.05.13
12연기에서 느낌(受)의 의미 ** 12연기에서 느낌(受)의 의미 ** 1) 부처님께서는 중생들이 계속 태어나고 죽고를 반복하는 윤회의 원리를 12연기로 밝혀놓으셨다. 12연기를 보면, 無明-> 行 -> 識-> 名色-> 六入-> 觸-> 受 -> 愛-> 取-> 有 -> 生-> 老死 ->.... ....가 계속 돌고 돈다. 과거의 무명(사견)과 .. 수행. 정진/위빳사나 수행과 알아차림 2013.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