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 정진/빨리어 문법, 용어공부

Ⅰ. 빠알리 문법 요약 - 단어구성 패턴과 품사 이해하기

담마마-마까 2020. 2. 12. 12:03

 

♠ 빠알리 문법 요약

              빠알리문법요약(빠알리공부모임).hwp     


. 빠알리 단어 구성의 기본 패턴과 품사의 이해

문장에서 나타나는 빠알리 단어의 종류는 크게 세 가지 : 명사와 동사, 불변사

 

- 명사 : 접두어 + 기본모양 + 격에 따른 어미의 변화.

명사는 성(남성, 중성, 여성)을 갖고 있다. 이 성을 지닌 명사는 수(단수, 복수)에 따라, 격에 따라(주격, 목적격, 수단격 등 8가지) 격변화 한다.

사전에는 명사, 형용사, 분사(과거분사, 현재분사, 미래분사 등), 불변화사, 부사 등등으로 구별되어 나온다. 이렇게 분류하는 것은 현대언어학의 분류방식이다. 빠알리 문법에서는 이것을 모두 명사로 취급한다. 명사 중 격변화를 하는 명사와 격변화를 하지 않는 불변사 그리고 접두사가 있는 것으로 분류하면 훨씬 간단하고 문법으로도 더 정확해진다.

왜냐하면 형용사나 분사도 명사처럼 격변화를 하며 때로는 단독으로 명사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분사의 경우 동사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것도 동사의 활용이 아니라 명사의 격변화를 한다.

 

- 동사 : 접두어 + 기본모양 + 시제나 태에 따른 어미의 첨가(변화).

동사는 인칭(1인칭, 2인칭, 3인칭)에 따라, 인칭에 따라 다른 동사는 수(단수, 복수), 시제, , 법에 따라 어미의 변화가 달라진다.

=과거, 현재, 미래, 수동태, 능동태, 원망형, 명령형, 사역형, 조건형, 등등

 

- 불변화사(불변사) (주로 형용사나 부사, 감탄사, 접두사)


- 접두사(upasagga) : 접두사는 기본모양의 앞에 붙는 것.20개의 접두어가 있다.

ati, adhi, anu, apa, api, abhi, ava(=o), ā, u, upa, du, ni, nī, pa, pati, parā, pari, vi, saṁ, su.

 

품사를 다시 분류해보면 1. 명사 : 접두사, 불변사, 명사(사전의 명사, 형용사, 분사 포함) 2. 동사로 구분.

 

. 빠알리 문장 번역의 기본 원칙(순서)

1. 동사가 중심이다.

2. 동사에 맞는 주어를 찾는다.

3. 능동태 문장의 주어는 주격이지만 수동태의 문장에서는 수단격이나 소유격이 행동의 주어가 된다.

4. 한 문장 안에 같은 격의 단어가 여럿이면 그 단어들은 어떤 것을 동시에 가리킨다.

5. 주어와 동사를 찾고 나서 다른 단어와 이들의 관계를 분석한다.

   

. 명사와 격변화

1. 일반명사 (고유명사 포함)

1) 격변화 : 빠알리의 명사는 대부분 a, ā, i, ī, u, ū, o, in, an, ant, ana, as, ar 등으로 끝난다.

따라서 명사의 격변화 종류도 이것으로 끝난다. 근데 이런 어미를 가진 명사가 남성/중성/여성의 세 종류이므로 성에 따라 격변화가 달라지고, 거기에 각 단어가 주격/목적격 등 8개 격을 가지니까 다시 여덟 곱이 되고...

a로 끝나는 단어는 남성 아니면 중성만 있고, ā는 여성만, o는 남성만 있다. 중성은 남성과 비슷한 패턴을 가진다.(특히 탈격부터 처격까지)

(1) 주격(nom) : 주격은 문장의 주어가 된다. 문장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주어와 동사를 찾는 것.

주어가 빠진 문장이 많은 빠알리는 일반적인 동사의 모양과 명령형의 동사 모양이 다르고(: 갑니다 - 가시오) 특히 인칭에 따라 동사 모양이 다르므로 한국어보다 더 정확하게 문장을 파악할 수 있다.

먼저 동사부터 찾는다. 동사가 두 개면 문장도 두 개, 따라서 이것은 두 문장이 된다.

(2) 호격(voc) : 호격은 말 그대로 부르는 말. PTS 본에는 부르는 말이 사람이름인 경우 대문자로 표시.

(3) 대격. 목적격(acc) : 행위의 대상 기간이나 길이(지속되는 시간이나 공간의 단위) 부사의 역할(보통 동사 수식어역할, 단수/중성으로 표현)

(4) 구격. 수단격. 도구격(inst) : 수단 또는 방법 : 행동의 수단(으로)이나 방법(을 통해, )을 표현

원인 : 행동의 원인이나 이유를 표현(때문에) 동반(와 함께)이나 분리(없이)를 표현 : ‘함께라는 단어 ‘saha, saddhiṃ)’와 같이 쓰이거나 없이라는 단어 'vinā'와 함께 사용. 수동태의 문장에서 행위자를 나타냄. 형용사의 역할(다른 명사를 수식) 부사의 역할

(5) 탈격. 분리격(abl) : 분리 : 사람이나 사물이 어떤 것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다. ‘()로부터라고 보통 번역 원인 대조나 비교

(6) 여격(dat) : 수신자 : 어떤 것을 받아들이는 수용자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명사는 뭔가를 주는 동사에 연결된다.

목적 : 바람이나 의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것을 이루기 위해 하는 행동에 연결된다.

(7) 소유격(gen) : 소유 : 어떤 것의 소유자를 나타낸다. 집합-개별 관계의 표시 : 집합-개별의 관계에서 집합을 나타내는 격이며 중에서라고 번역 수동태의 문장에서 행위자를 나타냄 : 수단격과 소유격은 수동태의 문장에서 행위자를 나타낸다. 어떤 행동의 대상을 나타냄(‘에 대한으로 번역

(8) 처격. 처소격(loc)

시간이나 장소 : 어떤 상황이 발생하는 시간이나 장소의 한 지점을 나타낸다. 시간의 경우 ‘(), ~장소의 경우 에서으로 된다. 장소란 어떤 곳의 위, 아래, (맞닿은), 가운데().

동기 : 어떤 행동을 하게 만든 발단이나 동기를 표현. ‘~ 때문에, ~를 위하여로 번역,

전체-부분의 관계에서 전체를 표현. ‘중에서라고 번역.

집합-개별의 관계에서 집합을 표현 : 집합-개별의 관계에서 집합을 나타내며, ‘중에서라고 번역.

대경(對境, visaya)을 표현

빠알리에서 처격이 장소를 나타낼 때 시간의 의미도 함께 지니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어떤 상황이 발생한 때와 장소는 따로 있지 않다는 빠알리의 사유체계와 관련되어 있다고 한다.

 

nom.(주격) : ~, ~, ~, ~.

      (어미에 ~o, ~ā, ~ṁ ~yo, ~vo, ~no, ~장모음+ni)

acc.(대격, 목적격) : ~, ~~으로, ~에게.

      (어미에 ~단모음+ṁ, ~ā, ~yo, ~vo, ~no, ~장모음+ni)

inst.(구격) : ~으로, ~에 의해, ~와 같이.

      (어미에 ~ena/na/ā, ~āya/iya/uyā, ~hi/bhi)

dat.(여격) : ~에게, ~을 위하여, ~을 목적으로.

      (어미에 ~ssa/āya/no, ~āya/iya/uyā, ~장모음+naṁ)

abl.(탈격) : ~로부터, ~ 때문에.

      (어미에 ~ā/smā/mhā/to, ~āya/iya/uyā)

gen.(소유격) : ~, ~을 위하여 (여격과 유사함)

          (여격과 동일)

loc.(처소격) : ~, ~경우에, ~에 대하여. ~을 고려하여.

      (어미에 ~e/smiṁ/mhi/ni/i, ~āya/iya/uyā, ~āyaṁ/iyaṁ/uyaṁ, ~su)

voc.(호격) : 감탄이나 사람, 호칭을 부를 때.

      (어미에 ~ṁ, ~ā/yo/vo/no, ~장모음+ni)

 

2. 대명사

1) 종류 : 대명사는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관계대명사, 의문사, ()대명사로 분류

인칭대명사 : 사람을 가리키는 대명사.

) 나는, 나의, 너는, 너를, 너에게, 그는, 그로부터, 그녀는, 그녀의 등등...

지시대명사 : 어떤 것을 가리키는 대명사.

) 이것은, 이것을, 이것에서, 저것은, 저것의, 그것은, 그것에서 등등...

관계대명사 : 관계대명사가 가리키는 어떤 것이 그 다음 문장의 어떤 용어와 연결되어 전체가 하나의 의미를 이룬다.

) 어제 친구가 사준 그 컵(관계절), 나는 오늘 그것()으로 차를 마셨다.

) 어제 나에게 컵을 사준 친구, (친구) 나의 가장 오랜 벗이다.

의문사 : 영어에서는 의문대명사와 의문부사로 나누고 이를 합해 의문사라 부르지만, 빠알리는 의문사는 모두 명사이며, 격변화 한다.

()대명사 : 지시대명사는 아닌데 어떤 것을 가리키는 대명사로 보아야 하는 것이 있다. 모두, 둘 중 하나, 다른 것, , 아래, 동서남북.

 

2) 격변화 : 대명사도 명사이기에 주격~처격까지의 격을 지닌다. 하지만 준대명사를 제외하면 부르는 격인 호격은 없다.

인칭대명사 : 1인칭은 를 가리킨다. 기본형은 'amha'

2인칭은 , 상대방. 기본형은 'tumha'.

1인칭과 2인칭은 단수/복수는 있지만 성은 없다.

3인칭은 나 또는 너 외의 제3자를. 기본형은 'ta'.

3인칭은 단수/복수도 있고 성도 있다. 즉 가리키는 것의 성에 따라 남성, 여성, 중성형으로 구분하여 사용.

지시대명사 : 어떤 사물을 가리킨다. 기본형 eta’, 3인칭대명사의 ta의 격변화에 'e'를 앞에 붙이면 거의 같다.

관계대명사 : 시작하는 모양만 원형(ya)을 따를 뿐 격변화 모양은 지시대명사 ima 또는 eta 와 같다. 원형은 각자를 따르되 격변화는 격을 따라 비슷한 패턴으로 바뀌기 때문.

의문사 : 의문사도 시작하는 모양만 원형 ka를 따를 뿐 관계대명사와 격변화 모양은 거의 같다.

준대명사 : 준대명사의 대표인 sabba는 관계대명사 ya와 같은 격변화를 하며 나머지 준대명사들도 sabba와 똑같이 격변화한다.

 

3. 명사로서 격변화를 하지만 동사역할도 하는 것들

1) 현재분사 : 현재분사는 격변화를 하므로 명사이지만 동사로도 사용된다.

(1) 현재분사형 만들기 : 동사어간에 ant, māna, āna 를 붙인다.

보통 ant를 제일 많이 쓴다. māna는 수동형의 경우에, 그리고 āna는 게송에서 māna 대신 쓰이는 경우 많다.

) a+ant= ant a+māna= amāna a+āna= āna. ā+ant= ant ā+māna= amāna ā+āna= āna

e+ant= ent e+māna= emāna e+āna= āna. o+ant= ont o+māna= amāna o+āna= āna

u+ant= vant u+māna= umāna u+āna= vāna ... 예외) as + ant= sant

(2) 격변화

ant로 끝나는 현재분사

- 남성/중성 : ant로 끝나는 명사와 똑같이 격변화한다.

- 여성 : ant 뒤에 ī 를 덧붙여 만든 후, ī 로 끝나는 여성명사와 똑같이 격변화.

) karo + ant = karont(남성/중성형) + ī = karontī(여성형)

māna 또는 āna로 끝나는 현재분사

- 남성/중성 : a로 끝나는 명사와 똑같이 격변화한다.

- 여성 : māna 또는 ānaa를 여성형 어미 ā로 바꾼 후 ā로 끝나는 여성명사와 똑같이 격변화.

) kurumāna(남성/중성) + ā = kurumānā(여성형)

 

2) 과거분사 : 과거분사도 격변화를 하므로 명사이지만 동사로도 사용된다.

(1) 과거분사형 만들기 : 동사어근 또는 어간에 ta, tavant, tāvin, na, navant 를 붙인다.

(2) 격변화

ta, na 로 끝나는 과거분사

- 남성/중성 : a로 끝나는 남성/중성명사와 똑같이 격변화.

- 여성 : aā로 바꾸고 ā로 끝나는 여성명사와 똑같이 격변화.

) karo + ant = karont(남성/중성형) + ī = karontī(여성형)

tavant, navant 로 끝나는 과거분사

- 남성/중성 : sīlavant 로 끝나는 남성/중성명사와 똑같이 격변화.

- 여성 : 마지막에 ī 를 덧붙이고 ī 로 끝나는 여성명사와 똑같이 격변화.

이 때 tavant, navant n은 생략되기도 한다.

) gatavant + ī = gatavantī / gatavatī

tāvin 으로 끝나는 과거분사

- 남성/중성 : in 으로 끝나는 남성/중성명사와 똑같이 격변화.

- 여성 : 마지막에 ī 를 덧붙이고 ī 로 끝나는 여성명사와 똑같이 격변화.

) ṭhitāvin + ī = ṭhitāvinī

 

3) 미래분사 : 미래분사도 격변화를 하는 명사지만 동사로도 사용된다.

(1) 미래분사형 만들기 : 동사어근 또는 어간에 tabba, anīya, ya 를 붙인다.

(2) 격변화 : 모두 a로 끝나니 a 또는 ā로 끝나는 명사의 격변화를 따른다.

- 남성/중성 : a로 끝나는 남성/중성명사와 똑같이 격변화.

- 여성 : aā로 바꾸고 ā로 끝나는 여성명사와 똑같이 격변화

 

. 불변화사 : 단어의 끝, 어미가 바뀌지 않는다고 해서 불변화사라고 부른다.

1. 연속체(gerund, 절대체 abs)

 어떤 행동에 앞서 이루어진 행동을 나타낸다. 그런데 실제로 앞뒤에 이루어진 행동일 수도 있고, 행동이 이루어진 앞뒤를 딱 잘라 말할 수 없으나 표현에 있어 앞뒤로 되는 경우도 있다.

만드는 방법 : 어근이나 어기에 tvā, tvāna, tuna, ya, cca를 붙인다.

tvā  

- 모음으로 끝나는 어근 : 바로 붙인다. 단 긴 모음은 짧아진다.

      su + tvā = sutvā, hū + tvā = hutvā

   - 자음으로 끝나는 어근 : 생략되거나 tvā의 모양에 비슷해진다.

     vac + tvā = vatvā, gam + tvā = gantvā, labh + tvā = laddhā

tvāna, tuna : 게송에서 tvā 대신 사용된다.

ya : 접두사를 지닌 어근이나 어기에 붙인다.

   - ā로 끝나는 어근에 바로 붙인다.

     pahā + ya = pahāya, abhiñā + ya = abhiññāya(=abhiññā)

   - 자음으로 끝나는 어근에 붙일 때는 그 자음과 y가 만나 서로 닮는다.

     nisad + ya = nisajja, ārabh + ya = ārabbha

   - 일부 어기에 붙이되, 어기의 모음이 i 로 대체된다.

     abhivand + a 어기 abhivanda + ya = abhivandiya

cca : 접두어를 지닌 일부 어근이나 어기에 붙인다.

   - 모음 어근에는 바로 붙인다.  pai + cca pecca, paṭii + cca = paṭicca

   - n, r 로 끝나는 어근의 경우 이 글자들은 생략된다.

āhan + cca = āhacca, saṃkar + cca = sakkacca

 

2. 부정사(infinitive)

만드는 방법 : 어근이나 어기에 tuṃ, tāye, tave, tuye 를 붙인다. 이 중 tuṃ이 대부분이다.

모음으로 끝나는 어근 : 바로 붙인다단 그 모음이 i, īe, u,ūo 로 바뀐다.

      dā + tuṃ/tāye/tave/tuye dātuṃ, dātāye, dātave, dātuye

      ji+ tuṃ/tāye/tave/tuye jetuṃ, jetāye, jetave, jetuye

      su+ tuṃ/tāye/tave/tuye sotuṃ, sotāye, sotave, sotuye

자음으로 끝나는 어근 : t의 모양에 비슷해진다.

      vac + tuṃ/tāye/tave/tuye vattuṃ, vattāye, vattave, vattuye

      gam + tuṃ/tāye/tave/tuye gantuṃ, gantāye, gantave, ganuye

어기에 붙일 때 : 어기의 마지막 모음이 i로 바뀐다. e로 끝나는 경우는 바로 붙인다.

pac + a paca paca + tuṃ/tāye/tave/tuye pacituṃ, pacitāye, pacitave, pacituye  

kar + o karo karo + tuṃ/tāye/tave/tuye karituṃ, karitāye, karitave, karituye   

cur + e core core + tuṃ/tāye/tave/tuye coretuṃ, coretāye, coretave, coretuye

 

3. 감탄사, 시간, 방향, 장소, 대명사 등의 불변화사

감탄사, 강조사, 접속사 등

api /~, 역시,  puna /다시,  viya, ivā /~같이, 처럼, evaṃ /이와 같이

vā /또는,  ca /그리고,  ce, yadi, sace /만약, aho, ahe /,

sādhu /좋다, udāhu /혹은, 또는, yagghe /부디, 제발, alaṃ /충분하다,  

amma /엄마!   tāta /아빠!

*외에도 발음의 연결을 위해 또는 뜻의 강조를 위해 쓰는 말들이 있습니다.

: kho, eva, su, nāma, hi, no, atha, atho 

시간을 나타내는 불변화사

yadā /~ 하는 때,  tadā /그때,  ekadā /한 때,  sadā /항상, kadā /어느 때,  

etarahi /지금, kadāci, karahaci, kadācanaṃ /어느 때라도, 때때로,

sabbadā /모든 때에,  idāni, dāni /지금,  

ajja /오늘,  hīya /어제,  sve /내일, pāto /아침에,  divā /대낮에

공간, 위치를 나타내는 불변화사

yattha, yatra /~의 곳(),  tattha, tatra /그곳(),  ettha /여기에,

kattha, katra, kuttha, kuhiṃ, kuhaṃ, kva, kuvaṃ /어디에, idha /여기에,

pure /~의 앞에, ekattha /어떤 한 곳에,  ubhayattha /양쪽에,  

sabbattha /모든 곳에,  sabbadhi /모든 곳에,  dūrato /멀리에서,

uddhaṃ /위로,  adho /아래로,  heṭṭhā /아래에,  aññatra, vinā /~을 제외하고

방법, 정도를 나타내는 불변화사

 ~thā, thaṃ /방법,  ~dhā /종류,   khattuṃ /회수,   āvatā /정도

) yathā /~와 같이,   tathā /그와 같이,   kathā, kathaṃ /어떻게

aññathā /다른 방법으로,   sabbathā /모든 방법으로,   itthaṃ /이렇게,

ekadhā /한 가지로,    dvidhā /두 가지로,    tidhā /세 가지로,

anekadh ā /다양한 종류로,   bahudhā /여러 종류로,

ekakkhattuṃ /일회,   dvikkhattuṃ /이회,  tikkhattuṃ /삼회,

ekaso, ekato /함께, 한 개씩,   diso /두 개씩,    yoniso / 합당함,

kittāvatā /어느 정도, ~하는 한,   ettāvatā /그 정도,   kati /얼마

yāvatā / ~ 하는 만큼,    tāvatā /그 만큼,    saki, sakiṃ /한 번

'관계대명사 대명사'를 나타내는 불변사 : 위에 나타난 것을 빼고 적어보면...

yasmā - tasmā, yena - tena, /~ 하므로 그러므로,

yāva - tāva /~ 하는 한- 그러한 한, seyyathā pi /마치 ~와 같이

       

. 명사 만들기

1. 1차 파생어미로 명사 만들기(첫 어미 덧붙인 명사) : 어근 또는 어기에 명사 만드는 어미를 붙이면 됨.

(1) 일반명사 만들기 : 어근 또는 어기에 a, ana, i, ti 등의 어미를 붙인다. 명사의 격변화 한다.

(2) 분사 만들기 : 현재분사, 과거분사, 미래분사를 만드는 어미를 붙여 격변화 한다. 

2. 2차 파생어미로 명사 만들기(둘째 어미 덧붙인 명사)

: 1차 파생으로 만들어진 명사에 다시 둘째 어미를 덧붙여 명사를 만든다.

(1) 소유를 나타내는 2차 파생 어미

- 종류 : vant, mant, vin, in, ita, ika, ila, ṇa, āla

- (gender) : 소유자의 성을 따른다.

- 격변화 : 소유자의 성과 어미에 따라 격변화 한다.

) dhana(, 재산) + vant dhanavant(부자) sati + mant satimant (사띠를 지닌 사람)

medhā + vin medhāvin (지혜로운 사람) daṇḍa(지팡이) + in daṇḍin (지팡이를 지닌 사람 = 노인, 높은 사람 등)

puppha () + ita pupphita (꽃을 든 사람) vācā + āla vācāla (말을 지닌 사람 = 말 많은 사람 

(2) 원인, 장소, 시간으로 사용되는 불변화사(부사) 만드는 2차 파생 어미

: 대명사 어근에 2차 어미를 덧붙이면 고정된 특정 격을 지닌 불변화사가 된다.

파생어미

sabba

(모두)

ya

(관계대명사)

ta

(,인칭)

eta

(/, 지시)

ima

(, 지시)

kiṁ

(무엇, 의문)

to

sabbato

ya

tato

etto, ato

ito

kuto

탈격(- 때문에, -로부터)의 의미를 지니지만 가끔 다른 격이 되기도 한다.

tra

sabbatra

yatra

tatra

atra

-

kutra

tha

sabbattha

yattha

tattha

ettha, attha

-

kuttha, kattha

dhi

sabbadhi

-

-

-

idha

-

va

-

-

-

-

-

kva

hiṁ

-

yahiṁ

tahiṁ

-

-

kuhiṁ

haṁ

-

yahaṁ

tahaṁ

-

-

kuhaṁ, kahaṁ

ha

-

-

-

-

iha

kva

dha

-

-

-

-

idha

-

hiñcanaṁ

-

-

-

-

-

kuhiñcanaṁ

 

공간을 나타내는 처격의 의미를 지닌다.

sabbadā

yadā

tadā

-

-

kadā

dācanaṁ

-

-

-

-

-

kudācanaṁ

dāni

-

-

tadāni

-

idāni

-

rahi

-

-

-

-

etarahi

karahi

dhunā

-

-

-

-

adhunā

-

 

시간을 나타내는 처격의 의미를 지닌다.


(3) 추상 명사 만드는 2차 파생 어미 : 명사 어기에 2차 파생어미를 붙이면 명사가 된다.

- 2차파생어미의 종류

ṇya, ṇeyya, ṇa, kaṇ : 주로 중성 tta, ttana : 중성, : 여성

- 의미 : 출신, 소속, 속성(~다움, ), 실질을 의미, 실동사적 명사, 명사파생명사

- ) dārāka(소년) + tta dārākatta (소년, 소년기, 소년다움)

dhammatā : 법의 속성(法性) alasa (게으름) + tta alasa + tta (게으름, 나태)

rattapaṭa (붉은 옷) + tā pācakatā (영국군인) pācaka(요리하는 사람) + tā pācakatā (요리함)

panḍita(한 개인의 이름) + tā panḍitatā (빤디따라는 이름)

 




출처 : http://cafe.daum.net/pali-study/960R/26

위의 빠알리 문법 내용은 빠알리 공부모임 카페에서 옮겨와 편집한 것입니다.

감사합니다._()_ 




???????(???????).hwp
0.1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