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 정진/빨리어 문법, 용어공부

부사와 조사(접미사 - 동사접미사)

담마마-마까 2016. 7. 26. 21:07


나. 접미사(paccaya [suffix])

v 동사의 전치사와 접미사

Ÿ 동사전치사 : 동사의 어두에 첨부되어 동사의 의미를 변화(또는 변화)시킨다.

Ÿ 동사접미사 : 동사의 어미에 첨가되어 동사를 명사형용사 등으로 전환시킨다.

v 명사의 전치사와 접미사

Ÿ 명사전치사 : 명사형용사의 어두에 첨부되어 그것들이 특정의 을 지니게 한다.

Ÿ 명사접미사 : 명사형용사의 어미에 첨가되어 또 다른 명사와 형용사를 형성한다.

 

(1) 동사접미사(kita-paccaya [verbal-suffix])

동사에 첨부되어 명사와 형용사 또는 불변화사를 형성하는 접미사

1) 형성 기본형식 : + ***(kita) > whatever belongs to the

Ÿ '마시다' + ***(kita) > 마시는 것과 관련 있는 것 '' 또는 '마시는 행위'

Ÿ pā(1. to drink) +|n|+ īya > pānīya( . drinkable: . water)

2) 동사어근의 모음변화

접미사가 첨부될 때 동사어근의 모음은 일반적으로 '강화(guṇa)'음으로 대체된다.

v 모음이 'a'인 경우 'ā'로 대체되며, 'i'인 경우는 'e', 'u'인 경우는 'o'로 대체된다.

Ÿ kar(6. to make) + a> kār+a > kāra( . deed, service, homage)

Ÿ pavis(1. to enter) + a> paves+a > pavesa( . entrance)

Ÿ yuj(2. to yoke) + a > yoj+a > (0305) > yog+a > yoga( . joining)

접미사의 표시자(anubandha[indicatory mark])에 따른 강화음의 적용여부는 세 가지로 세분된다.

v 접미사에 표시자 k또는 이 포함된 경우 약변화를 나타내므로 모음에 변함이 없다.

Ÿ sup(1. to sleep) + ina> sup+ina > supina( . a dream, sleep)

Ÿ il(3. to shake) + isak> il+isa > ilisa( . one who shakes)

v 접미사에 표시자 또는 ñ이 포함된 경우 특강변화를 나타내므로 'a''ā'로 대체되고, 'i''u'는 각각 'e''o'로 대체된다.92)

Ÿ kar(6. to make) + a> kār+a > kāra( . deed, service, homage)

Ÿ plu(1. to float) + a> plo+a > plav+a > plava( . swimming, floating)

v 접미사에 표시자 k」、「」、「ñ이 없는 경우 강변화를 나타내므로 'a'는 변함이 없으며, 'i''u'는 각각 'e''o'로 대체된다.

Ÿ kar(6. to make) + a > kar+a > kara( . producing, causing: . a doer, maker)

Ÿ tij(1. to endure) + as > tej+as > tejas( . sharpness, heat, flame)

3) 동사어간 마지막 모음의 변화

어떤 경우든 자음으로 끝나는 단어가 인정되지 않는 빠알리에서는 자음으로 끝나는 동사어근 또한 음소 'a'가 첨부된 상태의 동사어간으로 변경된 후에 뒤따르는 접미사가 모음으로 시작될 때는 첨부되었던 'a'가 탈락되고, 자음으로 시작되는 접미사가 첨부될 때는 탈락되지 않는다.

특강변화의 경우 'i''u'는 각각 'ai''au'로 대체되지만 빠알리에는 복모음이 없는 까닭에 'e''o'로 대체된다.

Ÿ gah(7. to take) + aka > gaha+aka > gah+aka > gahaka( . taking)

Ÿ dah(1. to burn) + ka > daha+ka > dāha+ka > dāhaka( . burning)

v 일부의 경우 동사어근의 마지막 자음과 접미사의 첫 자음이 동일한 자음계열일 경우 동사어간이 형성될 때 첨부되었던 음소 'a'가 탈락되기도 한다.

Ÿ sukh(3. to be dried) + ka > sukha+ka > sukh+ka > suk+kha > sukkha( . dry)

4) 기타

어떤 동사에 접미사 'a'이 적용되고 어떤 동사에 접미사 'a'가 적용되는가?

Ÿ 동사접미사 'a'는 표시자 이 첨부된 'a'과 표시자가 없는 'a'두 가지로 나뉜다.

Ÿ 산스끄리뜨와 빠알리의 문법체계는 새로운 것을 형성하기 위해 제정된 규칙들이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현상들을 정리한 것이다. 그러므로 동사 'kar'로부터 전용되었을 것으로 추측되는 'kāra''kara'라는 두 명사가 이미 사용되고 있는 가운데 그 두 명사가 어떤 문법적인 경로를 통해 'kar'에서 'kāra' 또는 'kara'로 형성되었는지 설명한 것이므로 이미 사용되는 단어에 기준하여 'kāra'에는 'a'이 적용되고 'kara'에는 'a'가 적용된다.

일부의 경우 외형적인 접미사와 실제 적용되는 것이 다를 수도 있다.

* (0782) yuvoranākau |7.1.001| ['yu''vu'의 경우 'ana''aka'로 대체된다.]

Ÿ nand(1. to be glad) + lyu > nand+ana > nandana( . delighting: . a son)

Ÿ kar(6. to make) + vul> kar+aka > karaka( . making, doer)

동사어근에 접미사가 첨가되어 명사 등이 형성될 때 동사전치사(upagarga)도 첨부가 가능하다.

Ÿ sam( .)+ gam(1. to go) + a> sam+gām+a > saṅgāma( . a fight, battle)

Ÿ pa( .)+ vis(1. to enter) + a> pa+ves+a > pavesa( . entrance)

Ÿ anu( .)+ sar(1. to move) + a > anu+sar+a > anusara( . following)

 

() 동사접미사별 내용과 예문 - 영어 알파벳 순서

1) 'a'

: 동사에 따라 'a' 또는 'a'의 형태로 사용된다.

행위를 형성하는 경우

Ÿ pac(1. to cook) + a> pāc+a > pāca( . the act of cooking)

Ÿ caj(1. to forsake) + a> cāj+a > cāg+a > cāga( . forsaking, abandoning)

Ÿ bhaj(1. to break) + a> bhāj+a > bhāg+a > bhāga( . dividing, breaking)

행위자를 형성하는 경우

Ÿ car(1. to go) + a/a > cār/car+a > cāra/cara( . going, walking: . a spy)

Ÿ har(1. to take) + a > har+a > hara( . the Captivator, the name of Śiva)

Ÿ kar(6. to do) + a> kār+a > kāra( . a doer, maker: . act, action)

행위의 轉用명사를 형성하는 경우

Ÿ kar(6. to do) + a > kar+a > kara( . that which does, makes or causes: . hand)

Ÿ kam(1. to walk) + a > kam+a > kama( . step, succession, order)

Ÿ yuj(2. to yoke) + a > yoj+a > (0305) > yog+a > yoga( . joining)

형용사를 형성하는 경우

Ÿ kar(6. to do) + a/a > kār+a > kāra( . a doer, maker: . act, action)

Ÿ plu(1. to float) + a> plo+a > plav+a > plava( . swimming, floating)

v 형용사로부터 變形후방복합어(upapadatappurisa samāsa)가 형성될 때 적용되는 접미사이다.

Ÿ kammakāra( . the doer of the act) < kammaṁ kāro (kammaṁ karotī'ti)

'kar+a> kār+a > kāra' 등의 경우 중간과정인 '> kāra+a >'가 생략된 것이며, 필요할 때만 기입한다.

Ÿ kumbhakāra( . the maker of the pot) < kumbhaṁ kāro (kumbhaṁ karotī'ti)

v 복합어 형식으로 어떤 이의 명칭이나 별명을 조성할 때도 접미사 'a'가 사용되는데, 이때에는 복합어의 앞뒤 단어 사이에 접사 'num'이 삽입되고 복합어 말미에 접미사가 첨부된다.

Ÿ ari( . foe) + num94) + dam(3. conquer) + a > ari[]+n[]+dam[정복]+a[] > arindama( . a tamer of enemies, victor, conqueror)

Ÿ vessa( . a Vaiśya) + num+ tar(1. to cross over) + a > vessa[바이샤]+n[]+

tar[뛰어넘다]+a[] > vessantara( . one who crossed over to the merchants)

Ÿ taṇhā( . thirst) + num+ kar(6. to make) + a > taṇhā[渴愛]+ṅ[]+kar[해치운]+ a[] > 갈애를 극복한 자 > taṇhaṅkara( . The epithet of a Buddha)

2) 'abha'

: 동사의 의미와 관련된 동물의 이름을 짓는데 사용된다.

Ÿ kal(7. to hold, carry) + bha > kala+bha > kalabha( . a young elephant)

Ÿ us(1. to go, pujsh) + bha > usa+bha > usabha( . a bull)

Ÿ sar(5. to injure, tear) + bha > sara+bha > sarabha( . a fabulous 8legged

deer)

Ÿ kar(6. to do) + bha > kara+bha > karabha( . a camel)

3) 'aka'

: 행위를 나타내는 명사를 형성한다. 원래의 접미사 'vul'의 대체접미사이다.

Ÿ kar(6. to do) + a/a > kār/kar+a > kāra( . a doer: . act) / kara( . hand)

Ÿ gah(7. to take) + aka > gah+aka > gahaka( . taking)

v 동사가 모음 'ā'로 끝날 경우 동사와 접미사 사이에 'y'가 삽입된다.

Ÿ dā(1. to give) + aka > dā+y+aka > dāyaka( . a giver)

4) 'ala'

: 일부명사의 형성에 사용된 접미사지만 동사에 기원한 전용명사인지는 불확실하다.

Ÿ paṭ(1. to split, slit) + ala > paṭ+ala > paṭala( . covering, membrane)

Ÿ kus(1. to cut) + ala > kus+ala > kusala( . that which is capable of cutting sin)

5) 'an'

: 극히 일부명사의 형성에 사용된 접미사이다.

Ÿ rāj(1. to govern) + an > rāj+an > .rājan = .rājā( . a king)

6) 'ana'

: 중성명사나 여성명사 또는 형용사의 형성에 광범위하게 사용된 접미사이다.

Ÿ pac(1. to cook) + ana > pac+ana > pacana( . the cooking)

Ÿ gah(7. to take) + ana > gah+ana > gahana( . the seizing, taking)

Ÿ ṭhā(1. to stand) + ana > ṭhā+ana > ṭhāna( . a place)

Ÿ panud(1. to push) + ana > panūd+ana > panūdana( . removing, dispelling)

Ÿ ghus(1. to sound) + ana > ghos+ana > ghosana( . sounding)

Ÿ kudh(3. to be angry) + ana > kodh+ana > kodhana( . angry)

7) 'as'

: 광범위하게 사용되진 않지만 중요한 몇몇 단어의 형성에 사용된 접미사이다.

Ÿ vac(1. to speak) + as > vac+as > .vacas = .vaco( . speech, words, saying)

Ÿ man(3. to think) + as > man+as > .manas = .mano( . the mind, heart)

Ÿ tij(1. to bear) + as > tej+as > .tejas = .tejo( . sharpness, splendour)

8) 'āni'

: 否定전치사 'a'와 함께 동사에 첨부되어 금지를 나타내는 단어를 형성한다.

극히 일부의 고정된 표현에서 보일 뿐이며, 'agamāni' 등의 표현 또한 명사나 형용사로 사용되기보다는 불변화사 성격을 지닌 상용구처럼 사용된다.

'num'(0078)에 의해 'ṁ'으로 1차 대체되었다가 그것에 뒤따르는 자음과 동일한 계열의 비음으로 대체된다.

Ÿ a + gam(1. to go) + āni > a+gam+āni > agamāni(You are not to go!)

Ÿ a + kar(6. to do) + āni > a+kar+āni > akarāni(You are not to do!)

9) 'āvi'

: 동사에 소유의 의미를 추가하여 명사나 형용사를 형성한다.

Ÿ bhū(1. to be) + āvin > bh+āvin > bhāvin( . being, becoming)

10) 'āna'(=at, ant, nta) : 현재분사(pres.p.)를 형성하는 접미사이다.

11) 'dhu'( or, 'adhu')

: 아래에 설명된 'thu( or, athu)'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된다.

12) 'i'

: 방대한 분량의 남성과 여성 및 중성명사, 그리고 일부 형용사를 형성한다.

형성된 명사는 주로 행위자명사거나 轉用명사에 속한다. 그러나 특히 중성명사의 경우를 위주로 살필 때 동사에 기원한 전용명사인지는 불확실한 까닭에 불규칙전치사'uṇādi'에 편입되기도 한다.

Ÿ ku(4. to sing) + i > ko+i > kav+i95) > kavi( . a poet[one who sings])

Ÿ mun(3. to think) + i > mun+i > muni( . a sage[one who thinks])

Ÿ lip(1. to anoint) + i > lip+i > lipi( . writing, the alphabet)

Ÿ ruc(1. to shine) + i > ruc+i > ruci( . light, pleasure)

Ÿ √□□ + i > □□+i > akkhi( . eye), aggi( . fire), aṭṭhi( . bone)

Ÿ suc(1. to beam, burn) + i > suc+i > suci( . beaming, clear, pure)

v 'dhā(1. to hold)+i'의 결과로 형성된 'dhi'는 다수의 복합어 뒷단어로 사용된다.

Ÿ sam( . with, together) + dhi > sandhi( . union, junction)

Ÿ uda( . water) + dhi > udadhi( . the sea, ocean)

Ÿ ni( . downwards, under) + dhi > nidhi( . a receptacle, [hidden] treasure)

Ÿ pari( . around, all over) + dhi > paridhi( . circle, halo)

v 'dā(1. to give)+i'

의 결과로 형성된 'di'에 전치사 'ā( . towards, as far as, all round)'

첨부되어 형성된 'ādi'는 복합어의 뒷단어로 많이 사용된다.

Ÿ ādi( . first; chief; and so forth, and so on, 'etc.' in comp.: . beginning)

13) 'icca' & 'iriya'

: 문법가 깟짜야나(kacchāyana)에 의해 동사전치사로 분류되었지만 실제는 가능수동분사(pot.p.p.)에 속하며, 관련된 단어 또한 'kicca''kiriya' 뿐이다.

Ÿ kar(6. to do) + icca > k+icca > kicca( . what is to be done: . business)

[실제] kṛ +|i|+ tya > kar+i+tya > k+i+tya > kitya > (자음연성) > kicca(pot.p.p.)

Ÿ kar(6. to do) + iriya > k+iriya > kiriya( . what is to be done: . business)

[실제] kṛ +|i|+ ya > kir+i+ya > kiriya(pot.p.p.)

14) 'ika'

: 'gam'에 첨부된 것 하나에만 보이며, 일반적으로 명사전치사로 많이 사용된다.

Ÿ gam(1. to go) + ika > gam+ika > gamika( . one who goes)

15) 'in'(in)

: 동사의 내용에 소유의 의미를 더하여 주로 형용사로 형성된다.

Ÿ gah(7. to take) + in > gāh+in > .gāhin = .gāhī( . taking, catching)

Ÿ kar(6. to do) + in > kār+in > .kārin = .kārī( . doing) pāpakārī( . a sinner)

v 동사어근이 'ā'로 끝날 경우엔 어근과 접미사 사이에 음소 'y'가 삽입된다.

Ÿ yā(1. to go) + in > yā+|y|+in > .yāyin = .yāyī( . going) nagarayāyī( .)

Ÿ dā(1. to give) + in > dā+|y|+in > .dāyin = .dāyī( . giving: . a giver)

ku(4. to sing) + i > ko+i >【Ⓢ. kau+i >kav+i > kavi

16) 'ina'(ina)

: 몇몇 명사에만 보이며, 강화음을 갖지 않는다.

Ÿ sup(1. to sleep) + ina > sup+ina > supina( . a dream, sleep)

v 일부명사의 경우 그 연원이 분명하지 않는 까닭에 불규칙전치사'uṇādi'에 편입되기도 한다.

Ÿ dakkh(1. to be able, skilful) + ina > dakkh+ina > dakkhina( . able, southern)

* .dṛś(1. . to see) > .dakkhati=dassati(pr. to see, perceive)

* .dakṣ(1. . to grow) > .dakkha( . skilled, handy, able)

17) 'ira'(ira)

: 몇몇 명사에만 보이며, 강화음을 갖지 않는다.

Ÿ ruc(1. to shine) + ira > ruc+ira > rucira( . brilliant, beautiful)

Ÿ vaj(1. to go; to be strong) + ira > vaj+ira > vajira( . thunderbolt)

18) 'iya' 'iṭṭha'

: 두 접미사는 형용사의 비교급과 최상급의 형성에 사용된다.

19) 'isa'(isa)

: 주로 남성인 몇몇 명사에만 보이며, 강화음을 갖지 않는다.

Ÿ pūr(3. to fill) + isa > pur+isa > purisa( . a man)

Ÿ il(3. to shake) + isa > il+isa > ilisa( . one who shakes)

Ÿ mah(1. to be great) + isa > mah+isa > mahisa( . mighty: . a buffalo)

20) 'itta'(itta)

: 다양한 의미를 형성하며, 강화음을 갖는다.

Ÿ vad(1. to speak) + itta > vād+itta > vāditta( . an orchestra)

21) 'īvara' : 일부 중성명사를 형성한다.

Ÿ ci(4. to collect) + īvara > c+īvara > cīvara( . a monk's garment)

* ci(heaped upon) + īvara(that wihch) cīvara(that which is heaped upon)

* cīra( . bark, fibre a bark dress) cīvara( . a monk's garment)

Ÿ pā(1. to drink) + īvara > p+īvara > pīvara( . beverage[that which is to be drunk])

22) 'ka'(ka)

: 제한적인 몇몇 동사에만 사용되어 행위자명사나 형용사를 형성하며, 강화음을 갖는다.

Ÿ vad(1. to speak) + ka > vāda+ka > vādaka( . playing: . a musician)

Ÿ dah(1. to burn) + ka > dāha+ka > dāhaka( . burning)

* 이상의 두 단어는 접미사 'ka'가 아닌 'aka'가 첨부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Ÿ sukh(3. to be dried) + ka > sukh+ka > suk+kh > sukkha( . dry, dried up)

Ÿ thu(1. to dribble) + ka > tho+ka > thoka( . little, small, short)

* Root from .stuñ(1. to praise) or .stuc(1. to shine; to be pleased).

v 'ka'가 삽입자 'i' 또는 'u'를 취하여 각각 'ika''uka'로 사용되기도 한다.

23) 'kvi'(=.kvip)

v 접미사 전체가 표시자(indicatory mark)로 이뤄진 'kvi'는 동사에 첨부되어 원래의 동사와 유사한 형태 및 동일한 의미를 지닌 형용사를 형성시킨 후 접미사 전체는 탈락된다.

Ÿ gam(1. to go) + kvi> ga+kvi> ga( .[comp.]

going)

Ÿ ji(1. to conquer) + kvi> ji+kvi> ji( .suffix. winning, victorious)

v 형성된 형용사는 대부분 독립적인 단어로 사용되지 못하고 變形후방복합어(upapadatappurisa samāsa)의 요소로 사용되거나, 또는 접미사로 취급되어 새로운 단어의 형성에 사용된다.

Ÿ gam > ga( .[comp.]) ureṇa + ga > uraga( . gong on the breast: . a snake)

Ÿ ji > ji( .suffix) māra + ji > māraji( . conqueror of Mara)

v 동사어근에 'kvi'가 첨부되어 형성된 다음의 단어들은 원래의 동사와 동일한 의미를 간직한 채 변형후방복합어의 요소 또는 일종의 명사접미사 성격으로도 사용된다.

bhū (←√bhū(1. to be) + kvi)

Ÿ abhi( . towards, over) + bhū > abhibhū( . mastering, overcoming, conquering)

Ÿ vi( . intensity, greatness) + bhū > vibhū( . arising, expending: . ruler, lord)

Ÿ sam( . together with) + bhū > sambhū( . offspring, progeny)

da (←√dā(1. to give) + kvi)

Ÿ amata( . immortality) + da > amatada( . one who bestows or confers immortality)

Ÿ lokahita( . the world's welfare) + da > lokahitada( . bestowing the world's welfare)

ga (←√gam(1. to go) + kvi)

Ÿ pāra( . the further shore) + ga > pāraga( . gone to the further shore, traversing)

Ÿ kula( . family) + upa( . near) + ga > kulupaga( . one who goes near a family)

gū (←√gam(1. to go) + kvi) : 'gū''ga'副次적 형태이다.

Ÿ addhā( . distance) + gū > addhagū( . going to a distance: . a traveller)

Ÿ pāra( . the further shore) + gū > pāragū( . gone to the further shore, traversing)

gha (←√ghan(2. to kill [=han]) + kvi) : 'ghan''han'副次적 형태이다.

Ÿ paṭi( . back [to], against) + gha > paṭigha( . repugnance, anger)

ja (←√jā(3. to be born) + kvi)

Ÿ paṅka( . mud, clay) + ja > paṅkaja( . produced in the mud: . lotus)

Ÿ aṇḍa( . an egg) + ja > aṇḍaja( . born from an egg: . a bird)

ji (←√ji(1. to conquer) + kvi)

Ÿ māra( . the enemy of Buddha) + ji > māraji( . conqueror of Māra)

Ÿ saṅgāma( . a fight, battle) + ji > saṅgamaji( . victorious in fight)

pa (←√pā(1. to drink) + kvi) : .pā(1. . to drink)

Ÿ pāda( . foot) + pa > pādapa( . drinking by the foot: . a tree)

v pa (←√pā(1. to keep) + kvi) : .pā(2. . to protect)

Ÿ go( . a bull; a cow) + pa > gopa( . cowkeeper)

ṭha (←√ṭhā(1. to stand) + kvi)

Ÿ nāvā( . boat) + ṭha > nāvaṭṭha( . stored in a boat)

Ÿ ākāsa( . the sky) + ṭha > ākāsaṭṭha( . resting or abiding in the sky)

kha (←√khā(1. to dig [=khan]) + kvi) : 'khā''khan'副次적 형태이다.

Ÿ pari( . round, about) + kha > parikhā( . that which is dug all round, a moat)

24) 'la'

: 일반적으로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에 첨부되며, 'ra'와는 동일한 것은 아니다.

Ÿ thu(7. to strengthen) + la > thū+la > thūla( . large; fat; strong)

* .sthūl(10. . to strengthen) + a > sthūla( . large; fat; strong)

Ÿ cap(1. to waver, tremble) +|a|+ la > capala( . tremulous, fickle) ← Ⓢ.kep(1. .)

Ÿ pā(1. to keep) + la > pā+la > pāla( . a guardian, herdsman)

Ÿ an(1. to breathe) +|i|+ la > an+i+la > anila( . wind, breeze)

25) 'lāṇa'

: 'yāṇa'와 더불어 실제는 전치사가 아니며, 단지 'āṇa'는 명사전치사에 속한다.

26) 'ma'

: 소유의 의미가 부가된 행위자명사나 전용명사 또는 형용사를 형성한다.

* 빠알리에선 단어의 마지막 자음이 탈락되는 까닭에 'man'과 혼동될 수 있으나 별개의 것이다.

Ÿ bhī(1. to fear) + ma > bhī+ma > bhīma( . terrible, fearful)

Ÿ ghar(4. to shine) + ma > ghar+ma > ghamma( . heat, warmth)

.ghṛ(1. . to sprinkle[gharati]: 10. . wet[ghārayati/te]: 3. . to sprinkle; to

heat[jigharti]: 5. . to sprinkle; to shine[ghṛṇoti])

Ÿ thu(1. to praise) + ma > tho+ma > thoma( . praise)

Ÿ dhū(5. to shake) + ma > dhū+ma > dhūma( . smoke; mist)

27) 'man'

: 남성과 중성의 행위명사를 형성한다. 일부 명사의 경우 하나의 행위명사가

남성과 중성의 두 가지 성을 모두 지니기도 한다.

Ÿ dhar(1.10. to hold) + man > dhar+man > dhamma( . nature, duty, the Law)

Ÿ kar(6. to do) + man > kar+man > kamma( . action, karma)

Ÿ bhī(1. to fear) + man > bhī+man > bhema( . fearful, terrible)

Ÿ khi(1. to destroy) + man > khe+man > khema( . secure, peaceful: . safety)

28) 'māna'

: 현재분사(pres.p.)를 형성하는 접미사이다.

29) 'mi'

: 매우 한정적인 숫자의 남성과 여성명사를 형성하며, 강화음을 갖지 않는다.

Ÿ bhū(1. to be) + mi > bhū+mi > bhūmi( . the earth, ground, a place)

Ÿ u(1. to roll) + mi > ū+mi > ūmi( . a wave) = .ṛ(1. . to move) > ūrmi( .)

30) 'na'

: 과거수동분사(p.p.p.)와 더불어 일부의 명사를 형성한다.

Ÿ var(1. to cover enclose) + na > var+na > var+ṇa > vaṇ+ṇa > vaṇṇa( . colour)

Ÿ sup(1. to sleep) + na > sop+na > sop+pa > soppa( . sleep, dream)

Ÿ phar(1. to shake, to make a jerky motion) + na > paṇṇa( . a wing)

Ÿ tās(3. to be thirsty) + na > tāh+ṇa > tāṇ+ha96) > taṇhā( . thirst, craving)

Ÿ ji(1. to conquer) + na > ji+na > jina( . conqueror)

31) 'ni' : 몇몇 명사만을 형성한다.

Ÿ hā(1. to abandon) + ni > hā+ni > hāni( . abandonment, loss, decay)

Ÿ yu(1. to join) + ni > yo+ni > yoni( . womb, origin)

32) 'nu'

: 몇몇 남성명사와 轉用명사를 형성한다.

Ÿ bhā(1. to shine) + nu > bhā+nu > bhānu( . bean, light, the sun)

Ÿ dhe(1. to drink) + nu > dhe+nu > dhenu( . yielding milk, a milchcow)

33) 'ta'

: 과거수동분사(p.p.p.) 형성에 사용되며, 일부 명사를 형성한다.

Ÿ dū(4. to go far) + ta > dū+ta > dūta( . messenger)

'dū'는 산스끄리뜨의 'dū(4. . to be afflicted)' 혹은 'drū(5.9. . to hurt; to move)'를 원형으로 보는 등 그 원형이 불확실하므로 불규칙전치사'uṇādi'에 편입시키기도 한다.

Ÿ sū(1.3. to impel, to set in motion) + ta > sūta( . a charioteer)

v 음소 'i'가 삽입된 'ita'가 연원이 불확실한 동사어근에 첨부되어 몇몇 형용사를 형성한다.

Ÿ pal > palita( . grey), luh > lohita( . red), har > harita( . green)

v 산스끄리뜨의 'tas'에 해당하는 'ta'로 사용되기도 한다.

Ÿ su(1. to go) + ta > sota( . a stream) = .sru(1. . to flow) > srotas( .)

Ÿ su(4. to hear) + ta > sota( . the ear) = .śru(5. . to hear) > śrotas( .)

【Ⓢ.tṛṣ+na > tārṣ+ṇa > tārh+ṇa > tārṇ+ha> tāṇ+ha > tāṇha > taṇha( .) > taṇhā( .)

34) 'tā' : 다양한 행위자명사를 형성한다.

* 'tā'는 산스끄리뜨의 'tṛ'에 해당하므로, 빠알리에서 기본형은 'tu'이고 주어격(nom.)'tā'이다.

Ÿ mā(1. to measure; to mete out) + tā > mā+tā > mātā( . mother)

Ÿ vad(1. to speak) + tā > vat+tā > vattā( . one who says, a speaker)

35) 'ti'

: 다양한 여성형 행위명사를 비롯하여 행위자명사 및 일부 형용사를 형성한다.

Ÿ bhaj(1. to divide) + ti > bhaj+ti > bhatti( . division)

Ÿ kitt(7. to praise) + ti > kitt+ti > kitti( . praise) = kṝt(10. .) > kīrti( .)

Ÿ gam(1. to go) + ti > ga+ti > gati( . going, journey)

Ÿ muc > mutti( . liberation) man > mati( . thought)

Ÿ ṭhā > ṭhiti( . lasting) pad > patti( . going, a foot soldier)

36) 'tu'

: 부정사를 형성하는 접미사 'tum'에서 'm'이 탈락한 형태로 간주되며, 그 외에도

단순히 접미사 'tu'가 첨부되어 형성된 남성형을 위시한 몇몇 명사도 보인다.

Ÿ dhā(1. to lay) + tu > dhātu( . that which lay; a root, pricipal)

Ÿ tan(6. to stretch) + tu > tantu( . a thread)

Ÿ si(4. to bind) + tu > se+tu > setu( . a tie, bridge)

37) 'tra'

: 행위자를 형성하는 용도로 폭넓게 사용된다.

Ÿ chad(7. to cover) + tra > chad+tra > chatra > chatra |or| chatta( . an umbrella)

Ÿ gam(1. to go)=gā + tra > gā+tra > ga+tta > gatta( . limb)

* 'gā''gam'副次形 또는 '.gai(1. to sing)'代替形으로 사용된다.

Ÿ nī(1. to lead) + tra > ne+tra > netra |or| netta( . the eye[that which leads])

38) 'tha' : 소수의 명사형성에 사용된다.

Ÿ gā(1. to sing) + tha > gā+tha > gāthā( . a song, stanza, verse)

Ÿ tar(1. to cross over) + tha > t+|i+t|+tha > tittha( . ford, landing place)

39) 'thu'

: 또는 'dhu'의 형태로 첨부되는데, 대부분 'athu' 또는 'adhu'의 형태를 갖는다.

Ÿ vep(1. to tremble) + thu > vepathu |or| vepadhu( . trembling)

Ÿ vam(1. to vomit) + thu > vamathu |or| vamadhu( . vomiting)

40) 'ra'

: 일부 명사와 형용사를 형성하며, 'ira' 또는 'ura' 형태를 지니기도 한다.

Ÿ bhand(1. to receive, praise) + ra > bhadra |or| bhadda( . laudable, good, worthy)

Ÿ dhī(1. to think) + ra > dhī+ra > dhīra( . wise: . a wise man)

Ÿ bham(3. to flutter, move in circles) +|a|+ ra > bhamara( . a bee)

41) 'ri'

: 극히 일부의 전용형태가 보인다.

Ÿ bhū(1. to be) + ri > bhū+ri > bhūri( . abundant, much)

42) 'ru'

: 소요의 의미가 추가된 명사나 형용사를 형성한다.

Ÿ bhī(1. to fear) + ru > bhī+ru > bhīru( . timid, fearful: . a jackal; a tiger)

Ÿ can(1. to rejoice in) + ru > ca+ru > cāru( . dear, gladsome) ← Ⓢ.cand(1. .)

43) 'u'

: 다수의 다양한 전용형태가 보이나 사용된 동사의 의미와 연관이 확실치 않은 것이

150 빠알리 문법 대부분인 까닭에 불규칙전치사'uṇādi'에 편입시키기도 한다.

Ÿ bandh(5. to bind) + u > bandh+u > bandhu( . a relation; a kinsman)

Ÿ kar(6. to do) + u > kar+u > karu( . a doer, maker: . artisan)

Ÿ tan(1. to continue) + u > tan+u > tanu( . a son)

Ÿ vas(1. to live) || vas(. to light up) + u > vasu( . a gem; good)

44) 'uka'(uka)

: 행위자를 나타내는 명사나 형용사를 형성하며, 강화음을 갖는다.

Ÿ pad(1. to go) + uka > pād+uka > pāduka( . a shoe)

Ÿ kar(6. to do) + uka > kār+uka > kāruka( . a maker, artisan)

45) 'una' : 극히 소수의 전용만이 보인다.

Ÿ kar(6. to do) + una > kar+una > karunā( . compassion)

Ÿ pis(2. to grind, hurt) + una > pia+una > pisuna( . backbiting: . a talebearer)

46) 'ū' : 일부의 형용사 또는 여성명사를 형성한다.

Ÿ vid(1. to know) + ū > vid+ū > vidū( . knowing)

Ÿ vi+ñā(5. to know) + ū > viñā+ū > viññ+ū > viññū( . knowing)

47) 'ūra' : 일부 명사만을 형성한다.

Ÿ und(2. to wet, moisten) + ūra > und+ūra > undūra( . a rat)

48) 'usa'(ussa)

: 극히 소수의 전용만이 보일 뿐 아니라 동사의 연원 또한 불확실하다.

Ÿ man(3. to think) + usa > man+usa > mānusa |or| manussa( . human)

49) 'vā'

: 과거수동분사(p.p.p.)를 과거능동분사(p.a.p.)로 전환시켜주는 접미사에 해당한다.

50) 'ya'

: 추상적인 중성명사를 형성하며, 규칙적인 자음연성이 일어난다.

Ÿ rāj(1. to govern) + ya > rāj+ya > rāj+ja > rajja( . kingship, kingdom)

Ÿ vaj(1. to go, avoid) + ya > vaj+ya > vajja( . a fault[what is to be avoided])

Ÿ yuj(2. to yoke) + ya > yoj+ya > yog+a > yoga( . a carriage, conveyance)

51) 'yāṇa'

: 'lāṇa'와 더불어 실제는 전치사가 아니며, 단지 'āṇa'는 명사전치사에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