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 정진/빨리어 문법, 용어공부

접미사 (명사접미사, 여성형접미사), 기타 조사(접속사, 부정사, 의문사, 감탄사, 기타 불변화사)

담마마-마까 2016. 7. 26. 21:17

나. 접미사

(1)동사접미사(2) 명사접미사(taddhita-paccaya [nominal-suffix])

(2) 명사접미사(taddhita-paccaya [nominal-suffix])

명사나 형용사 또는 대명사에 첨부되어 또 다른 명사와 형용사를 형성하는 접미사.

명사접미사가 첨부된 명사형용사대명사의 모음은 일반적으로 강화음(guṇa)으로 대체된다.

 

() '아들''''손자''자손' 등 가계명칭을 형성하는 명사접미사

일정한 인명에 접미사가 첨부되면 인명의 첫 모음은 대부분 강화음으로 대체되고, 접미사가 모음으로 시작될 경우 인명의 마지막 모음은 탈락되어 아들이나 딸 또는 자손의 범칭으로 쓰인다.

) '아들'''을 형성하는 명사접미사

a

Ÿ vasiṭṭha( . N. of a sage) + a > vāsiṭṭh+a > vāsiṭṭha( . the son of sage Vasiṭṭha) or vāsiṭṭhā( . the daughter of) or vāsiṭṭha( . the relation of sage Vasiṭṭha)

Ÿ manu( . N. of a celebrated personage) + a > mānu+a > māno+a > mānav+a > mānava( . the son of) or mānavā( . the daughter of) or mānava( . the relation of)

āna(āna)

Ÿ kacca( . N. of) + āna

> kacc+āna > kaccāna( . the son of Kacca) or kaccānī( .

the daughter of) or kaccāna( . the relating of Kacca, etc.)

Ÿ cora( . a thief) + āna

> cor+āna > corāna( . the son of thief), corānī( .), etc.

i(i)

Ÿ duna( . N. of) + i > don+i > doni( . the son of Duna)

Ÿ anuruddhā( . N. of) + i > anuruddh+i > anuruddhi( . the son of Anuruddhā)

Ÿ jinadattha( . N. of) + I > jinadatth+i > jinadatthi( . the son of Jinadattha)

ika(ika)

Ÿ nādaputta( . N. of) + ika > nādaputtika( . the son of Nādaputta)

Ÿ jinadattha( . N. of) + ika > jinadatthika( . the son of Jinadattha)

era(era)

Ÿ vidhava( . N. of) + era > vedhav+era > vedhavera( . the son of Vidhava)

Ÿ samaṇa( . a monk) + era > sāmaṇera( . the disciple of the monk, a novice)

eyya

Ÿ vinatā( . N. of the mother Aruṇa and Garuḍa) + eyya > venat+eya > venateyya( .)

Ÿ mālī( . a gardener) + eyya > māl+eyya > māleyya( . the gardener's son)

ya : 자음연성의 영향으로 'ca'의 형태로 나타난다.

Ÿ .aditi( . the earth) + ya > ādit+ya > ādic+ca > ādicca( . a son of Aditi, the sun)

 

) '손자' 또는 '자손'을 형성하는 명사접미사

abya

Ÿ kuru( . N. of a king) + abya > kor+abya > korabya( . a descendant of Kuru)

āyana : 여성형을 형성할 때는 마지막 음소 'a''ī'로 대체된다.

Ÿ kacca( . N. of) + āyana > kacc+āyana > kaccāyana( . the son of Kacca) or

kaccāyanī( . the daughter of) or kaccāyana( . the relating of Kacca, etc.)

Ÿ vaccha( . N. of) + āyana > vacchāyana( . or .) or vacchāyanī( .)

) '조부' 등 친척을 형성하는 명사접미사

āmaha : 부모의 부친

Ÿ pitar( . a father) + āmaha > pit+āmaha > pitāmaha( . a paternal grandfather)

Ÿ mātar( . a mother) + āmaha > māt+āmaha > mātāmaha( . a maternal grandfather)

viya(부친의 남자형제)ula(모친의 남자형제)

Ÿ pitar( . a father) > pettāviya |or| cullapitu( . paternal uncle) cūlamātā( . paternal uncle's wife)

Ÿ mātar( . a mother) > mātula( . maternal uncle) mātulānī( . maternal uncle's wife)

v 부모여자형제는 복합어로 표현되며, 기본어간이 'pitar''pitu'로 대체되고 'mātar''mātu'로 대체되며 'svasā''cchā'로 대체된다.

Ÿ pitar( . a father)+svasā( . a sister) > pitu+svasā > pitucchā( . father's sister)

Ÿ mātar( . a mother)+svasā( . a sister) > mātu+svasā > mātucchā( . mother's sister)

 

() 기타 명사접미사별 내용과 예문 - 영어 알파벳 순서

1) 'a'

: 명사나 형용사에 첨부되어 주로 형용사를 형성하며 명사로도 전용되어 사용된다.

어떠한 것으로 물들었음을 나타낸다.

Ÿ kasāva( . a reddishyellowdye) + a > kāsāva( . yellow: . a monk's robe)

Ÿ haliddā( . turmeric) + a > hālidda( . yellow; dyed with turmeric)

짐승의 고기를 나타낸다.

Ÿ sūkara( . a pig) + a > sokar+a > sokara( . relating to pigs: . pork)

Ÿ mahisa( . a buffalo) + a > māhisa( . relating to buffaloes: . buffalo's flesh)

어떠한 것에 예속됨을 나타낸다.

Ÿ vidisā( . a foreign country) > vedisa( . belonging to a foreign country: . a foreigner)

Ÿ magadhā( .pl. southern Bihar) > māgadha( . belonging to, born in Magadhā)

어떠한 것들의 집합체임을 나타낸다.

Ÿ kapota( . a dove pigeon) > kāpota( . relating to doves: . a group of doves)

Ÿ mayūra( . a piacock) > māyūra( . relating to peacocks: . a group of peacocks)

학식을 갖추었거나 무엇을 알고 있음을 나타낸다.

Ÿ nimitta( . an omen) > nemitta( . a knower of omens, a fortune teller)

Ÿ veyyākaraṇa( . grammar) > veyyākaraṇ+a > veyyākaraṇa( . a grammarian)

어떤 곳에 누가 있거나 무엇이 존재함을 나타낸다.

Ÿ sakuṇa( . a bird) + a > sākuṇa( . the place wherein birds roost or resort to)

Ÿ udumbara( . a figtree) + a > odumbara( . a place where figtrees

grow)

소유의 의미를 나타낸다.

Ÿ paññā( . wisdom) + a > pañña97)( . possessing wisdom, wise: . a wise man)

Ÿ saddhā( . faith) + a > saddha( . one who has faith, believing: . a believer)

 

2) 'aka'(aka) : 資産을 나타낸다.

Ÿ manussa( . a man) + aka > mānussaka( . the property of man, human)

3) 'ālu'

: 어떠한 경향을 나타내며, 주로 과거분사형의 형용사를 형성한다.

Ÿ dayā( . sympathy) + ālu > day+ālu > dayālu( . compassionate)

Ÿ abhijjhā( . covetousness) + ālu > abhijjhālu( . whose tendency is to be covetous)

Ÿ sīta( . cold, cool) + ālu > sīt+ālu > sītālu( . chilled, cold)

4) 'āṇa'

: 극소수의 전용형이 용례에 보인다.

Ÿ kalya=kalla( . healthy, remembering) + āṇa > kalyāṇa=kallāṇa( . happy, good)

5) 'bya'

: 어떠한 상태를 나타낸다.

Ÿ dāsa( . a slave) + bya > dāsabya( . the state of being a slave, slavery)

6) 'dhā'

: 수사에 첨부되어 '倍數''종류' 또는 '유형' 등의 양태를 나타낸다.

Ÿ eka( . one) + dhā > ekadhā(adv. once)

Ÿ dve( . two) + dhā > dvidhā(adv. in two ways; in two; of two kinds)

Ÿ tayo( . three) + dhā > tidhā(adv. in three ways; threefold;

in three parts)

7) 'eyya'

paññā + a > pāññ+a > pāñña > (겹자음 앞 短音化) > pañña

자연적으로 드러나는 상태를 나타낸다.

Ÿ alasa( . idle) + eyya > ālas+eyya > ālaseyya( . idleness)

Ÿ sa(.sva)+pati( . a master) + eyya > sāpat+eyya > sāpateya( . property)

淵源이나 起源 또는 産地 및 출신지 등을 나타낸다.

Ÿ suci( . purity) + eyya > soc+eyya > soceyya( . purification)

Ÿ kula( . family) + eyya > kol+eyya > koleyya( . belonging to a [noble] family)

Ÿ bārāṇasī( . Benares) + eyya > bārāṇaseyya( . that the origin of which is in Benares)

적합하다거나 가치가 있음을 나타낸다. 이 경우의 명사접미사는 실제로 가능수동분사(pot.p.p.)를 형성하는 동사접미사 'ya'가 첨부될 때 음소 'i'가 삽입되면서 'e'로 대체되어 함께 'e+|y|+ya > eyya'의 형태를 취한 것이다.

Ÿ pā(1. to drink) + kvi> pā( .) + eyya > peyya( . drinkable: . beverage)

* [실제] pā +|i|+ ya > p+e+yya > peyya(pot.p.p. that ought to be drunk)

Ÿ dā(1. to give) + kvi> dā( .) + eyya > deyya( . to be given: . present)

* [실제] dā +|i|+ ya > d+e+yya > deyya(pot.p.p. that ought to or can be given)

8) 'i'

: 명사 'pura'에 첨부되어 어떤 무엇이 都會的이거나 도시와 관련된 것임을 나타낸다.

Ÿ pura( . a city) + I > por+i > pori( . urbane, polite, affable)

9) 'ika'(ika)

삶의 수단임을 나타낸다.

Ÿ nāvā( . a boat) + ika > nāvika( . one who lives by means of a boat: . a boatman)

Ÿ balisa( . a fishhook) + ika > bālisika( . a fisherman)

Ÿ vetana( . wages) + ika > vetanika( . one who lives upon wages: . a labourer)

이동의 수단임을 나타낸다.

Ÿ pada( . the foot) + ika > pādika( . one who goes with his feet: . a pedestrian)

Ÿ sakaṭa( . a cart) + ika > sākaṭika( . one who goes in a cart)

어떤 무엇과 관련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Ÿ samudda( . the sea) + ika > sāmuddika( . relating to the sea, marine)

Ÿ sakaṭa( . a cart) + ika > sākaṭika( . relating to carts)

악기를 연주하는 것임을 나타낸다.

Ÿ vīṇā( . a lute) + ika > veṇika( . playing upon a lute: . lute player)

Ÿ bheri( . a kettledrum) + ika > bherika( . relating to a drum: . a drummer)

섞여있음을 나타낸다.

Ÿ tela( . oil) + ika > tel+ika > telika( . that which is mixed with oil: . oily)

Ÿ dadhi( . curds) + ika > dadhika( . that which is mixed with curds)

어떤 무엇을 만드는 사람임을 나타낸다.

Ÿ tela( . oil) + ika > tel+ika > telika( . an oil manufacturer)

어떤 무엇과 관련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Ÿ dvāra( . a door) + ika > dvārika( . one who is connected with: . a doorkeeper)

어떤 무엇으로 옮김을 나타낸다.

Ÿ khanda( . the shoulder) + ika > khandika98)( . one who carries on the shoulder)

Ÿ aṅguli( . finger) + ika > aṅgulika( . one who carries on the finger)

어떤 곳에서 태어났거나 관련이 있음을 나타낸다.

'khanda''n''aṅguli''ṅ'는 원래 'ṁ'이며, 'ṁ' 또한 자음으로 취급되므로 연이은 자음과 함께 겹자음이 된다.

Ÿ sāvatthi( . N. of a place) + ika > sāvatthika( . born in or living in Sāvatthi)

Ÿ kapilavatthu( . N. of a place) + ika > kapilavatthika( . born in or living in Kapila)

어떤 무엇을 배움을 나타낸다.

Ÿ vinaya( . the Discipline) + ika > venayika( . one who studies the vinaya)

Ÿ suttanta( . a discourse [of the Buddha]) > suttantika( . one who knows Discourses)

어떤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나타낸다.

Ÿ mānasa( . the mind) + ika > mānasika( . mental: . the act performed by mind)

Ÿ sarīra( . the body) + ika > sārīrika( . bodily: . the act performed by the body)

어떤 무엇으로 물물교환을 함을 나타낸다.

Ÿ suvaṇṇa( . gold) + ika > sovaṇṇ+ika > sovaṇṇika( . that which is bartered for gold)

Ÿ vattha( . cloth) + ika > vatthika( . golden: . that which is bartered for cloth)

어떤 무엇을 소유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Ÿ daṇḍa( . a staff) + ika > daṇḍika( . one who has a staff: . a mendicant)

Ÿ putta( . a son) + ika > putt+ika > puttika( . one who has sons)

어떤 무엇의 집합체임을 나타낸다.

Ÿ kedāra( . a field) + ika > kedārika( . a collection of fields)

Ÿ hatthi( . elephant) + ika > hatthika( . herd of elephants)

수량을 가늠하는 단위임을 나타낸다. - (a doe)

Ÿ kumbha( . a pot) + ika > kumbhika( . containing a big measure [as much as a pot]: . that which is contained in a pot)

10) 'imā'

: 시간이나 공간에서 위치나 방향을 나타낸다.

Ÿ pacchā(adv. behind, western) + imā > pacchima( . hindermost, western)

Ÿ anta( . limit, end) + imā > antima( . last, final)

v 소유를 나타내는 제한된 숫자의 형용사를 형성하기도 한다.

Ÿ putta( . a son) + imā > putt+imā > puttimā( . one who has sons)

Ÿ pāpa( . sin) + imā > pāp+imā > pāpimā( . sinful, evil)

11) 'in'(i)

: 소유의미를 지닌 형용사의 형성에 널리 적용되며, 명사로도 사용된다.

Ÿ daṇḍa( . a staff) + in > .daṇḍin=.daṇdī( . one who has a staff: . a mendicant)

Ÿ manta( . design, plan) + in > mantī( . one who replete with plans: . a minister)

12) 'ina'

: 소유의미를 지닌 소수의 형용사를 형성한다.

Ÿ mala( . dirt) + ina > mal+ina > malina( . dirty, tainted)

13) 'issika'

: 'iṭṭha'와 더불어 형용사의 최상급을 형성할 때 사용된다.

Ÿ khippa( . quick) + issika > khipp+issika > khippissika( . quickest)

Ÿ kaṭṭha( . bad) + issika > kaṭṭh+issika > kaṭṭhissika( . worst)

14) 'iya'

: 소수의 추상명사를 형성한다.

Ÿ issara( . lord, chief) + iya > issar+iya > issariya( . dominion)

Ÿ alasa( . idle) + iya > alas+iya > ālasiya( . idleness)

15) 'īya'

: 'tabba''ya''anīya'와 더불어 가능수동분사(pot.p.p.)의 접미사 가운데 하나이다.

16) 'ī'

: '11'부터의 基數(cardinal)에 첨부되어 날짜를 나타내는 序數를 형성한다.

Ÿ ekādasa(num. . 11) + ī > ekādas+ī > ekāsasī( . the 11th day or the 11th)

Ÿ catuddasa(num. . 14) + ī > catuddas+ī > catuddasī( . the 14th day or the 14th)

17) 'ka'(ka)

: 다양한 용도로서 주로 형용사의 형성에 사용된다.

중성의 추상명사로도 사용되는 형용사를 형성하며, 일부 남성명사를 형성하기도 한다.

Ÿ rakkhā( . protection) + ka > rakkha+ka > rakkhaka( . protecting: . a guard)

Ÿ rakkhana( . defence) + ka > rakkhana+ka > rakkhanaka( . a guard)

Ÿ ramaṇeyya( . pleasurable) + ka > ramaṇeyyaka( . delightful: . delightfulness)

집합체를 나타낸다.

Ÿ rājaputta( . prince) + ka > rājaputtaka( . a group or band of princes)

Ÿ manussa( . man) + ka > mānussaka( . an assembly or group of men)

어떤 것이 작음을 나타내는데, 간혹 약간의 경멸적인 의미를 내포하기도 한다.

Ÿ pāda( . foot) + ka > pādaka( . having a foot or basis: . basis) 'a small foot'

Ÿ rāja( . king) + ka > rājaka( . a princeling)

Ÿ luddha( . hunter) + ka > luddhaka( . a young hunter)

단어의 원래 의미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도로도 자주 사용된다.

Ÿ kumāra( . child, young prince) + ka > kumāraka( . child, young prince)

Ÿ nava( . young, junior) + ka > navaka( . young, junior)

복합어에 자주 첨부되어 사용되는데, 주로 소유복합어(bahubbīhī)의 말미에 첨부되어 소유의 의미를 부가하거나 원래 의미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한다.

Ÿ bahukattuko(bahu+kattu+ka) deso : 많은 장인들이 있는 장소

Ÿ bahukumārikaṁ(bahu+kumārī+ka) kulaṁ : 많은 소녀들이 있는 가족

숫자 뒤에 첨부되어 집합명사나 형용사를 형성한다.

Ÿ catur(num. . 4) + ka > catukka( . fourfold;

a collection of four things)

Ÿ dve(num. . 2) + ka > dvi+ka > dvika( . consisting of two; a pair)

18) 'kaṭa'

: 일부 문법가들에 의해 접미사로 간주되는 것으로서 전치사와 함께 사용된다.

불변화사인 전치사에 첨부되어 형용사를 형성하되 의미는 전치사가 지닌 원래의 뜻과 거의 같다.

Ÿ ni( . lowness, downward motion) + kaṭa > nikaṭa( . near)

Ÿ vi( . separation, disjunction) + kaṭa > vikaṭa( . changed)

Ÿ pa( . higher; excessively; excellence) + kaṭa > pākaṭa( . evident, public, clear)

Ÿ sam( . with, together with) + kaṭa > saṅkaṭa( . narrow)

19) 'kiya'

: 관계 또는 관련을 나타내는 형용사를 형성한다.

Ÿ andha( . the Andhara country) + kiya > andhakiya( . relating to the Andhara)

Ÿ jāti( . birth) + kiya > jātikiya( . relating to birth, congenital)

20) 'la'

: 형용사나 명사를 형성한다. 접미사 앞에 'i' 또는 'u'가 삽입되기도 한다.

Ÿ bahu( . much, plentiful) + la > bahu+la > bahula( . abundant)

Ÿ vācā( . word) + la > vācā+la > vācāla( . talkative, garrulous)

Ÿ mātā( . mother) +|u|+ la > māt+|u|+la > mātula( . maternal uncle)

21) 'ma'

: 基數(cardinal)에 첨부되어 序數(ordinal)를 형성한다.

Ÿ pañca(num. . 5) + ma > pañcama( . the 5th)

Ÿ sattadasa( . 17) + ma > sattadasama( . the 17th)

22) 'mā'(=.mat)

: 소유의 의미가 내포된 형용사를 형성하며, 형성된 어간은 'mantu' 또는 'mant'의 기본형태를 갖는다.

Ÿ juti( . splendour) + mā > juti+mant > jutimant( . brilliant, bright) & jutimā( .)

Ÿ khanti( . patience) + mā > khanti+mā > khantimā( . endowed with patience)

23) 'maya'

: 어떠한 것으로 이뤄졌음을 나타내는 형용사를 형성한다.

Ÿ suvaṇṇa( . gold) + maya > suvaṇṇamaya( . made of gold, golden)

Ÿ rajata( . silver) + maya > rajatamaya( . made of silver)

24) 'min'(=mī)

: 일부 형용사를 형성한다.

Ÿ go( . cattle)+min > .gomin( . rich in herds: . an owner of cattle)=.gomī( .)

Ÿ sa(pn. own) + min > .sāmin=.sāmī( . owner, master, lord)

25) 'ra'

: 일부 형용사를 형성하며, 모음 'a' 또는 'i'가 삽입되기도 한다.

Ÿ madhu( . honey) + ra > madhura( . sweet: . sweetness)

Ÿ sikhā( . a peak) + ra > sikhāra( . having a peak: . a mountain)

26) 'so'

: 소유의 의미를 지닌 형용사를 형성한다.

Ÿ medhā( . wisdom) + so > medhāso( . having wisdom, wise)

Ÿ loma( . the hair on the body) + so > lomaso( . hairy)

27) 'sī' & 'ssī'

: 접미사 'vin(vī)'이 말음이 's'인 단어에 첨부된 뒤에 자음연성으로 인해 접미사의 'v''s'로 동화된 까닭에 'sī' 또는 'ssī'가 형성된 것으로 간주된다.

28) 'ta'

: 소유의 의미를 지닌 소수의 명사 또는 형용사를 형성한다.

Ÿ pabba( . a knot, joint) + ta > pabbata( . a mountain[that which has joints])

Ÿ vaṅka( . bent) + ta > vaṅka+ta > vaṅkata( . bent, crooked)

29) 'tama' & 'tara'

: 형용사에 첨부되어 형용사의 최상급과 비교급을 형성한다.

Ÿ sisira( . cool) > sisiratara( . colder) > sisiratama( . coldest)

Ÿ suci( . pure) > sucitara( . purer) > sucitama( . purest)

30) 'tana'

: 부사에 첨부되어 형용사를 형성한다.

Ÿ svā(adv.[=sve] tomorrow) + tana > svātana( . of tomorrow, belonging to tomorrow)

Ÿ nū(adv. now) + tana > nūtana( . fresh, new)

31) 'tā'

: 형용사나 명사에 첨부되어 여성형 추상명사를 형성하는 데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형용사나 명사가 의미하는 어떠한 상태나 성향 또는 천성 등을 표시한다.

Ÿ lahu( . light) + tā > lahutā( . lightness)

Ÿ sāra( . pith, marrow) + tā > sāratā( . essence, strength)

v 또는, 어떤 집합체라는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Ÿ jana( . person, man) + tā > janatā( . a multitude of persons, folk)

Ÿ gāma( . village) + tā > gāmatā( . a colection of villages)

32) 'ti'

: 10단위를 나타내는 숫자를 형성한다.

Ÿ dve(num. 2) vīsati(num. 20) tayo(num. 3) tiṁsati(num. 30)

Ÿ satta(num. 7) sattati(num. 70) nava(num. 9) navuti(num. 90)

33) 'tta'(=.tva)

: 형용사나 명사에 첨부되어 중성형 추상명사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며,

형용사나 명사가 의미하는 어떠한 상태나 성향 또는 천성 등을 표시한다.

Ÿ pthujjana( . a common man) > puthujjanatta( . the state of being a common man)

Ÿ buddha( . a buddha) + tta > buddhatta( . Buddhahood)

34) 'ttana'(=tta)

: 'tta'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Ÿ vedanā( . sensation) + ttana > vedanattana( . sensitiveness)

35) 'tya'('cca')

: 불변화사에 첨부되어 일부 형용사를 형성한다. 산스끄리뜨에선 'tya'의 형태로 나타나는 반면 빠알리에선 자음연성을 거쳐 'cca' 형태로 나타난다.

Ÿ ni( . into, in) + tya > ni+tya > nicca( . inward, inmate, eternal)

Ÿ amā( . at home, here below) + tya > amā+tya > amacca( . inmate, minister)

36) 'tha'

: 基數(cardinal)에 첨부되어 序數(ordinal)를 형성한다.

Ÿ pañca(num. 5) + tha > pañcatha(num. the 5th)

Ÿ cha(num. 6) + tha > chaṭṭha(num. the 6th)

37) 'thaṁ'

: 대명사의 어간에 첨부되어 어떤 방식 등을 나타내는 부사를 형성한다.

Ÿ kim(pn. what) + thaṁ > ka+thaṁ > kathaṁ(adv. how, in that way, in what manner)

Ÿ idam(pn. this) + thaṁ > i+|t|+thaṁ > itthaṁ(adv. thus, in this manner)

38) 'thā'

: 대명사의 어간에 첨부되어 어떤 방식 등을 나타내는 부사를 형성한다.

Ÿ tad(pn. that) + thā > ta+thā > tathā(adv. thus, so, like that)

Ÿ yad(pn. who, what) + thā > ya+thā > yathā(adv. as, like)

39) 'vā'(=.vat)

: 소유의 의미가 내포된 형용사를 형성하며, 형성된 어간은 'vantu' 또는 'vant'의 기본형태를 갖는다.

Ÿ guṇa( . a quality) + vā > guṇa+vā > guṇavā( . having virtue, virtuous)

Ÿ bhoga( . wealth) + vā > bhoga+vā > bhogavā( . possessing wealth, wealthy)

40) 'va'

: 소수의 형용사 또는 명사를 형성한다.

Ÿ aṇṇa( . wave) + va > aṇṇa+va > aṇṇava( . billowy: . the ocean)

Ÿ kesa( . hair) + va > kesa+va > kesava( . hairy: . a name of Viṣṇu)

41) 'vī'(=vin)

: 소유의 의미를 지니는 형용사를 형성한다.

Ÿ medhā( . wisdom) + vī > medhāvin( . possessing wisdom) > medhāvī( .) &, etc.

v 어간의 말음이 음소 's'인 단어에도 사용된다.

Ÿ tapas( . heat) + vī > tapas+vī > tapas+sī > tapassī( . austere: . a hermit)

Ÿ yasas( . fame) + vī > yasas+vī > yasas+sī > yasassī( . renowned, famous)

* 빠알리어에서는 'tapo' 'yaso' 형태로 사용되며, 접미사가 첨부될 때 원형이 회복된다.

42) 'ya'(ya)

: 중성형 추상명사를 형성하는데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대부분의 경우

강화음(guṇa)을 취하며, 자음연성이 적용된다.

Ÿ alasa( . idle) + ya > ālas+ya > ālassa( . laziness)

Ÿ kusala( . skilful) + ya > kosal+ya > kosalla( . skill, mastery)

Ÿ paṇḍita( . learned, clever) + ya > paṇḍit+ya > paṇḍicca( . learning, scholarship)

 

(3) 여성형성접미사(strī-paccaya [feminin-suffix])

1) 여성명사의 형성

여성명사 가운데 많은 숫자가 남성명사에 여성형성접미사가 첨부되어 형성된 것이다.

Ÿ kumbhakāra( . a potter) + ā > kumbhakārā( . a potter's wife)

Ÿ brahmacārī( . a religious student) + nī > brahmacārinī( . a religious shestudent)

Ÿ kumāra( . a boy, prince) + i > kumāri( . a girl, princess)

 

2) 여성조사 종류

Ÿ 음소형 : ā, i, ī.

Ÿ 음소형 : nī, inī, ānī.

 

3) 접미사 유형별 예문

음소형 : 'ā'

Ÿ mānusa( . a man) + ā > mānusā( . a woman)

Ÿ kaṭapūtana( . a demon) + ā > kaṭapūtanā( . a shedemon)

Ÿ vallabha( . a favourite) + ā > vallabhā( . a favourite woman)

음소형 : 'i'

Ÿ kumāra( . a boy, prince) + i > kumāri( . a girl, princess)

음소형 : 'ī'

Ÿ sīha( . a lion) + ī > sīhī( . a lioness)

Ÿ miga( . a deer) + ī > migī( . a doe)

Ÿ māṇava( . a young man) + ī > māṇavī( . a young woman)

Ÿ sāmaṇera( . a novice) + ī > sāmaṇerī( . a shenovice)

음소형 : 'nī'

Ÿ bhikkhu( . Buddhist monk) + nī > bhikkhunī( . Buddhist nun)

Ÿ dhammaññū( . a pious man) + nī>

dhammaññunī( . a pious woman)

Ÿ hatthi( . an elephant) + nī > hatthinī( . a female elephant)

Ÿ daṇḍī( . a mendicant) + nī > daṇḍinī( . a female mendicant)

음소형 : 'inī'

Ÿ rājā( . king) + inī > rājinī( . queen)

Ÿ yakkha( . an ogre) + inī > yakkhinī( . an ogress)

Ÿ kumbhakāra( . a potter) + inī > kumbhakārinī( . a potter's wife)

음소형 : 'ānī'

Ÿ mātula( . an uncle) + ānī > mātulānī( . an aunt)

Ÿ khattiya( . a nobleman) + ānī > khattiyānī( . a noblewoman)

Ÿ gahapati( . householder) + ānī > gahapatānī( . householder's wife)

불규칙형 : 'ka'

로 끝나는 명사의 경우 복합적인 변화를 보인다.

Ÿ nāvika( . a boatman) > nāvikā |or| nāvikinī( .)

Ÿ paribbājaka( . wondering ascetic) > paribbājikā |or| paribbājikinī( .)

Ÿ paṁsukūlika( . 袈裟) > paṁsukūlikā |or| paṁsukūlikinī( .)

Ÿ kumāraka( . a boy) > kumārikā( . a girl)

둘 이상의 여성형이 형성되는 단어들

Ÿ atthakāma( . one wishing to be useful) > atthakāmā, atthakāmī, atthakāminī( .)

Ÿ kumbhakāra( . potter) > kumbhakārā, kumbhakāri, kumbhakārinī( .)

Ÿ yakkha( . ogre) > yakkhī, yakkhinī( .)

Ÿ nāga( . snake, elephant) > nāgī, nāginī( .)

Ÿ miga( . deer) > migī, miginī( .)

Ÿ sīha( . lion) > sīhī, sīhinī( .)

Ÿ byaggha( . tiger) > byagghī, byagghinī( .)

Ÿ kākā( . crow) > kākī, kākinī( .)

Ÿ mānusa( . man) > mānusā, mānusī, mānusinī( .)

 

 

. 기타 조사 - 현재 예문은 산스끄리뜨임(□).

(1) 접속사(ubhayānvayī [conjunction])

() 연결접속사

'atha''atho'는 주로 문장의 첫머리에 사용되는 반면에 'ca'는 문장의 첫머리에 사용되지 않는다.

) ca( . and, also; but, still; certainly, determination, indeed)

동격으로 나열되는 각 단어의 뒤에 놓이거나 모든 단어들의 가장 뒤에 놓인다.

Ÿ icchā ca māno ca vaḍḍhati : 욕심과 교만이 증장된다.

Ÿ icchā māno ca vaḍḍhati : 욕심과 교만이 증장된다.

'ca'로 연결된 문장의 동사인칭은 문장에서의 위치와 상관없이 '>>' 우선순으로 표시한다.

Ÿ mama mittam ahaṁ ca uyyuñjanti(pres..pl.) : 나의 친구와 나는 훌쩍 떠나버렸다.

Ÿ tvaṁ saḥ ca ātāpino bhavātha(imp..pl.) : 그대는 그와 함께 부단히 노력하는 자가 되어라!

) atha( . here, now; then, afterwards; now if, in case; and, also, likewise)

Ÿ atha nibbindati dukkhe : 바로 그때 괴로움에 넌더리를 내게 된다.

Ÿ atha pāpo pāpāni passati : 그러면 을 행한 자는 惡業을 보게 된다.

) atho( . now; likewise; next; therefore)

Ÿ atho sarīrampi jaraṁ upeti : 그러므로 육신 또한 늙음으로 나아간다.

Ÿ atho vācāya saṁvutā : 그래서 (그는) 언어를 통해 (자신을) 단속하였다.

Ÿ atho jātikkhayaṁ patto : 그래서 (그는) 윤회의 끝을 성취하였다.

 

() 분리접속사

) vā( . option, or, also, like, either, or else; indeed, truly, only)

'vā'는 문장의 첫머리에 사용되지 않는다.

동격으로 나열되는 각 단어의 뒤에 놓이거나 모든 단어들의 가장 뒤에 놓인다.

Ÿ manasā ce paduṭṭhena, bhāsati vā karoti vā: 사악한 생각으로 언행이나 행동을 한다면

Ÿ manasā ce paduṭṭhena, bhāsati karoti vā: 사악한 생각으로 언행이나 행동을 한다면

주로 'yadi' 등과 연결하여 사용된다.

Ÿ gāme vā yadi vāraññe, ninne vā yadi vā thale: 마을에서건 아니면 숲속에서건, 습지에서건 아니면 마른 땅에서건

긍정과 부정의 내용이 함께 나열될 때 부정의 내용이 나중에 놓인다.

Ÿ hoti vā no vā | [존재하는가? 존재하지 않는가?]

'vā'는 간혹 축약되어 'va'로 사용되기도 한다.

Ÿ yaṁ kiñci yiṭṭhaṁ va hutaṁ va loke: 어떤 누구라도 이 세상에서 어떤 제례의식이건 또는 어떤 제화의식이건

'vā'로 연결된 문장의 동사인칭은 문장에서의 위치와 상관없이 '>>' 우선순으로 표시한다.

Ÿ rāmo vā tvaṁ vā etha(imp..pl.) : '라마'나 그대가 오라!

Ÿ rāmo tvaṁ ahaṁ vā ettha jīvāma(pot..pl.) : '라마'나 그대나 내가 여기서 살아갈 수 있다.

) uda( . doubt, guess; whether, or; and, also; 'emphasis') = .uta( .)

 

() 조건접속사

) yadi( . if, even if, in case; whether)

'yadi'는 현재시제와 미래시제 및 원만법과 조건법의 문장에서 조건을 나타내는데 쓰인다.

Ÿ gāme vā yadi v'āraññe: 마을에서나 아니라면 숲에서나

Ÿ yadi buddhe va sāvake va pūjayati: 만약 부처님들이나 聲聞제자들을 숭앙한다면

) ce( . if, provided that, although) = .ced( .)

Ÿ bahum pi ce saṁhitaṁ bhāsamāno: 만약 비록 많은 경전을 외우는 자라고 할지라도

Ÿ muhuttam api ce viññū paṇḍitaṁ payirupāsati: 현명한 자는 만약 지혜로운 이를 비록 잠시라도 가까이 하더라도Ÿ sahassam api ca vācā anatthapadasaṁhitā: 설령 의미 없는 단어로 결합된 천 마디의 말들이 있더라도

 

() 기타접속사

) api( . and, also, besides; even, also, very; though, even if)

'api'는 의문사로 사용되어 문장이 의문문임을 나타낼 때는 항상 그 문장의 첫머리에 놓인다.

Ÿ ap'āvuso, amhākaṁ satthāraṁ jānāsi? : 존자시여! 우리들의 스승님을 아십니까?

의문사로 쓰이는 'api''nu kho'가 뒤따를 경우 의문의 내용이 특별히 강조됨을 뜻한다.

Ÿ api nu kho koci upaddavo hoti? : 아니~ 무슨 안 좋은 일이라도 있습니까?

) iti( . to indicate the meaning, to mark the conclusion, as for, because, thus)

인용문의 끝에 사용되는 'iti'는 빈번하게 'ti'로 축약되어 사용되며 인용문의 마지막 모음이 단음인 경우 장음으로 대체된다.

Ÿ sādhū ti. : (그는) ‘좋아!’라고 (말하였다).

Ÿ bherisaddaṁ sutvā issarabheri bhavissatī ti kathayamānā. : (그들은) 북소리를 듣고 관청의 북이 분명할 것이다.’라고 말하였다.

'말하다생각하다묻다알다' 등의 동사가 인용문과 더불어 'iti'를 동반할 때는 해당동사가 인용문의 앞이나 'iti'의 뒤에 놓이거나 혹은 생략되기도 한다.

Ÿ so pucchi 'kiṁ jānāsi tvan' ti. : 그는 물었다. ‘무엇을 그대가 아는가?’라고.

Ÿ te 'sādhū' ti vatvā: 그는 좋아!’라고 말하고

Ÿ 'māressāmi nan' ti. : ‘그를 죽여버릴거야!’ 라고 (생각하였다).

일반문장에서 'iti'는 앞뒤 단어의 모음과 만날 때 규칙적인 연성이 적용된다.

Ÿ iti + evaṁ > iccevaṁ

Ÿ kvaci + iti > kvacīti

인용문의 내용에 따라 '~한 이유 때문에, ~한 의도로'라는 의미를 내포한 것이 되기도 한다.

Ÿ 'jīvituṁ asakkontā.' ti: ‘살기 불가능하다.’라며(라는 이유 때문에)

Ÿ 'makasaṁ paharissāmi.' ti pitu matthakaṁ dvidhā pahāsi. : ‘모기를 잡아야겠다.’라며(라는 의도로) 아버지의 머리를 두 차례 때렸다.

) iva( . like, as; as if, as it were; little, some what)

) eva( . indeed, truly, really; just so, exactly so truly)

'eva''yeva'로 사용되어 특별히 강조하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Ÿ tesaṁ kiḷantānaṁ yeva suriyatthaṅgatavelā jātā. : 그들이 놀고 있는 사이에 곧 일몰의 시간이 발생하였다. 그들이 놀고 있는 바로 그때 땅거미가 졌다.

'yeva'는 동사 다음에 사용되어 동사의 행위가 강조를 위해 지속됨을 강조하기도 한다.

Ÿ kathenti yeva. : (그들은) 계속 이야기하였다.

) tathā( . in that manner, so, thus; yes, so be it, so it shall be)

Ÿ attānaṁ tathā kayirā. : 자신에게 바로 그렇게 해야 한다.

Ÿ tathā attānaṁ niveseyya yathā bhūri pavaḍḍhati. : 바로 그렇게 자신을 이끌 수 있으면 그에 따라 지혜가 증장될 것이다.

) tu( . on the contrary, on the other hand; used as an emphatic particle)

) nu( . now, still, just, at once; certainly, surely)

'nu'는 일반적인 의문문을 형성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nu' 다음에 'kho'가 뒤따를 경우 스스로에게 가지는 의문이나 놀라움 등을 나타내기도 한다.

Ÿ kīdiso nu kho paraloko? : 다음 세상은 과연 어떤 것일까?

Ÿ corā nu kho atthi? : 도둑이 정말 있어?

'nu' 앞에 부정을 나타내는 'na'가 놓일 경우 강한 의문을 나타낸다.

Ÿ na nu'haṁ yodho? : 내가 戰士가 아니란 말인가?

) hi( . really, indeed, surely; for because; just, pray, do)

Ÿ dukkhā hi sārambhakathā : 화가 난 말은 참으로 (듣기에) 고통스럽다.

Ÿ maraṇantaṁ hi jīvitaṁ : 삶은 결국 죽음으로 끝난다.

 

() 대명사에서 전용된 부사형 접속사

taṁ( . therefore, that is why, now, then)

Ÿ etaṁ ñatvā yathābhūtaṁ: 그렇게 올바르게 알고

tena( . in that direction, in that manner, thus)

Ÿ muni tena pavuccati. : 그래서 (그는) '무니'라고 불려진다.

Ÿ na tena ariyo hoti. : 바로 그 때문에 (그는) '숭고한 이'가 되지 못한다.

tasmā( . from that, on that account, out of this reason, therefore)

Ÿ tasmā na addhagū siyā. : 그러므로 여행자가 되지 말아야 한다.

Ÿ tasmā naro paradāraṁ na seve. : 그러므로 사람들은 다른 이의 아내를 탐해서는 안 된다.

tato( . from that, thence; then, thereupon; therefore)

Ÿ tato nibbānam ehisi. : 그러고서 열반으로 나아가도록 하라!

Ÿ tato pāmojjabahulo dukkhassa antaṁ karissati. : 그러면 기쁨으로 가득 찬 이는 괴로움의 끝을 이루게 될 것이다.

 

() 한 쌍을 이루어 종속문을 이끄는 접속사

yathā( . in which manner) - tathā( . in that manner)

Ÿ yathā naṁ icchatī diso, karoti so tathā attānaṁ. : 이 그에게 바라는 어떤 그것처럼 바로 그렇게 그 자신에게 해버린다.

yathā( . in which manner) - evaṁ( . so, thus, in this way)

Ÿ yathā bhamaro pupphaṁ paleti, evaṁ gāme munī care. : 마치 벌꿀이 꽃으로 날아들 듯, 바로 그렇게 마을에서 수행자는 움직여야 한다.

Ÿ selo yathā vātena na samīrati, evaṁ nindāpasaṁsāsu na samiñjanti paṇḍitā. : 마치 바위가 바람에 흔들리지 않듯이, 바로 그렇게 현명한 이들은 비난과 칭찬에 흔들리지 않는다.

yadā( . when, at what time) - tadā( . at that time, then, in that case)

Ÿ yadā paccati pāpaṁ, tadā pāpo pāpāni passati. : 이 익었을 때, 바로 그때 악을 행한 자는 악업을 보게 된다.

Ÿ yadā paññāya passati, tadā nibbindati dukkhe. : 지혜로 (진리를) 깨달았을 때, 바로 그때 괴로움에 넌더리를 내게 된다.

yattha( . where, in which place) - tattha( . there, in that place, in that case)

Ÿ yattha arahanto viharanti, tattha jīvāma : 어디건 아라한들이 살아가는 곳, 바로 그곳에서 우리는 살아가야 한다.

yāva( . as far as; as long as) - tāva( . on one's part, in the meanwhile)

Ÿ yāva pāpaṁ na paccati, tāva madhuvā maññati bālo. : 어리석은 이는 죄악이 익지 않은 동안, 바로 그동안은 (죄악을) 벌꿀처럼 여긴다.

Ÿ yāva vanatho na chijjati, tāva so paṭibaddhamano. : 욕구가 끊이지 않는 동안, 바로 그동안 그는 윤회에 얽매이게 된다.

 

 

(2) 부정사와 의문사

1) 부정사

) na( . negation)

일반적인 부정을 나타낸다.

Ÿ imasmiṁ sare sudakaṁ n'atthi. : 이 연못에는 물이 없다.

Ÿ na aññāsi? : (너는) 몰랐었냐?

Ÿ seṭṭhinā saddhiṁ kathetuṁ na sakkomi. : (나는) 은행원과 더불어 대화하기 불가능하다.

'na'는 원망법(pot.)의 동사와 함께 사용될 경우 '금지'의 의미를 지닌다.

Ÿ na hatthisālaṁ gaccheyya. : 코끼리 우리에 가서는 안 된다.

'na'는 복합어의 앞단어로도 사용된다.

Ÿ na + āgamanaṁ > nāgamanaṁ : 도착하지 않음

Ÿ na + bhikkhu > nabhikkhu : 非僧 승려가 아닌 일반인, 또는 信徒

부정을 의미하는 'na'가 중복될 경우엔 긍정을 나타낸다.

Ÿ bheriṁ na na vādeyyā(caus.pot.). : 북을 쳐서 안 되는 것은 아니다. 북을 쳐도 된다.

) no( . [negative & adversative particle] neither, nor, but not, surely not)

'na'와 동일한 용도로 사용된다.

Ÿ no janāti. : (그는) 모른다.

'no' 다음에 'na'가 뒤따를 경우에 강한 긍정을 나타낸다.

Ÿ saṅkhaṁ no na dhameyya(pot.). : (그는) 소라를 불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그는) 반드시 소라를 불어야 한다.

Ÿ no nappahoti. : (그는) 불가능하지 않다. (그는) 충분히 가능하다.

 

2) 의문사

의문사로는 격조사를 취한 의문대명사 'kim'에서 轉用kasmākissakenako 등이 사용되며, 아울러 의문조사인 'api''nu' 등이 있다. 또한 의문을 나타내는 방식의 하나로 별도의 의문사가 사용되지 않은 채 동사를 문두에 놓는 것으로 의문문이 형성되기도 한다.

Ÿ socasi upāsaka? : 괴로운가? (그대) 신자여!

kasmā( . where from? whence? why? wherefore?) < 'abl.' form < kim(pn. who)

kissa( . why?, of what?) < 'gen.' form < kim(pn. who)

kena( . why?) < 'ins.' form < kim(pn. who)

Ÿ kena padena nessatha. : (그대들은) 어떤 자취를 통해 (그를) 뛰어넘을 것인가?

ko( . who? what?) < 'nom.' form < kim(pn. who)

Ÿ ko taṁ ninditum arahati. : 어떤 누가 그를 비난할 수 있겠는가!

Ÿ ko nātho paro siyā : 그 누가 다른 주인이 될 수 있겠는가!

api( . on, over, unto, close upon)99)

nu( . I wonder! Pray?)

 

(3) 감탄사(udgāra[interjection]) - 예문 보충[].

하나의 감탄사가 사람을 부르거나 놀라움을 나타내거나 기쁨이나 슬픔을 나타내는 등의 표현 가운데 다수의 내용을 복합적으로 지닌 경우가 대부분이다.

ahaha( . alas! oh! aho!)

aho( . yea! indeed! well!; I say! for sure!)

* 유사한 감탄사와 결합되어 주로 사용된다. 'aho vata' : oh! ah!

'api' 'nu'의 상세내용은 '기타조사-기타접속사' 항목 참조.

are( . sirrah! I say! here!) - calling to inferiors; of anger; of envy

dhi( . shame! fie! woe!) = dhī( .)

bho( . friend! Sir! I say!)

Ÿ evaṁ bho purisa jānāhi : , 인간이여! (그대는) 그렇게 알라!

bhaṇe( . I say! To be sure! Look here!) - 백성에 대한 제왕의 훈령 등에 주로 사용된다.

Ÿ bhaṇe na kujjheyya. : (내가 분명히) 말하건대! 성을 내지 말아야 한다.

maññe( . methinks!)

Ÿ natthi maññe rāgasamo aggi. : 내가 생각건대, 애욕만한 불길은 존재하지 않는다.

he( . oh! eh! here!)

sādhu( . well! welldone,

very nice, brave; enough, away with)

Ÿ sādhu sotena saṁvaro. : 귀에 의한 자제는 좋은 것이다. (무엇을) 들음에 신중해야 한다.

Ÿ na taṁ kammaṁ kataṁ sādhu. : 그 행위는 잘 시행된 것이 아니다.

 

(4) (기타) 불변화사(avyaya [indeclinable])

산스끄리뜨의 경우, 부사와 전치사 및 접속사 등을 포괄하는 전통적인 명칭은 '불변화사'이다.

빠니니문법서 에는 그 유형을 단어별로 분류하였고 그 해석서 등에는 유형별로 'svar'군의 주요군집 불변화사 86개를 비롯하여 특정 숫자의 불변화사가 언급되어 있다.

불변화사 avyaya[Indeclinable]

'svar'군집(svarādiclass) : 주요군집 - 86개 추가군집 - 16

니빠따(nipāta)

'ca'군집(cādiclass) : 주요군집 - 74개 추가군집 - 40

'pra'군집(prādiclass) - 20(22)

기타 니빠따(restnipāta) - 00

 

['svar'군 주요군집에 속하는 86개의 불변화사]

01. svar( . heaven), 02. antar( . between), 03. prātar( . a daybreak), 04. punar( . again), 05. sanutar( . secretly), 06. uccais( . aloft), 07. nīcais( . low), 08. śanais( . slowly), 09. ṛdhak( . separately), 10. ṛte( . except),

11. yugapat( . simultaneously), 12. ārāt( . near), 13. pṛthak( . severally), 14. hyas( . yesterday), 15. śvas( . tomorrow), 16. divā( . by day), 17. rātrau( . at night), 18. sāyam( . in the evening), 19. ciram( . for a long time), 20. manāk( . a little),

21. īṣat( . slightly), 22. joṣam( . according to one's wish), 23. tūṣṇīm( . in silence), 24. bahis( . out of), 25. avas( . below), 26. adhas( . below), 27. samayā( . duly), 28. nikaṣā( . near), 29. svayam( . oneself), 30. vṛthā( . in vain),

31. naktam( . at night), 32. nañ( . 'prohibition'), 33. hetau( . because of), 34. iddhā( . explicit), 35. addhā( . truly), 36. sāmi( . half), 37. vat( . 'likeness' or 'resemblance'), 38. sanā( . always), 39. sanat( . always), 40. sanāt( . always),

41. upadhā( . [用例없음]), 42. taras( . obliquely), 43. antarā( . in the interior), 44. antareṇa( . without), 45. jyok( . for a long time), 46. kam( . 'happiness'), 47. śam( . 'welfare'), 48. sahasā( . with force), 49. vinā( . without),

50. nānā( . in different places), 51. svasti( . 'may it be well with'), 52. svadhā( . an exclamation used in offering oblations to the ancestors [w/dat.]), 53. alam( . enough), 54. vaṣaṭ( . an exclamation used on making an oblation to a deity), 55. śrauṣaṭ( . an exclamation used on making an oblation to a deity), 56. vauṣaṭ( . an exclamation used on making an oblation to a deity), 57. anyat( . besides), 58. asti( . being), 59. upāṁśu( . 'in low voice or whisper'),

60. kṣamā( . forgiveness), 61. vihāyasā( . sky), 62. doṣā( . at night), 63. mṛṣā( . falsely), 64. mithyā( . falsely), 65. mudhā( . in vain), 66. purā( . in former time), 67. mitho( . in private), 68. mithas( . mutually), 69. prāyas( . mostly),

70. muhus( . often), 71. pravāhukam( . at the same time), 72. pravāhikā( . at the same time), 73. āryahalam( . forcibly), 74. abhīkṣṇam( . frequently),

75. sākam( . together with), 76. sārdham( . together with), 77. namas( . a bow), 78. hiruk( . without), 79. dhik( . 'shame' 'what a pity'),

80. atha( . here, now), 81. am( . quickly), 82. ām( . yes), 83. pratām( . exhaustion), 84. praśān( . equal), 85. mā( . a particle of prohibition usually joined with the Imperative), 86. māṅ( . prohibition).

빠알리의 경우, 산스끄리뜨의 불변화사에 기반으로 그 변형까지 포함하여 일반적으로 약 2백여 개의 불변화사가 사용된다.

 

'수행. 정진 > 빨리어 문법, 용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장의 구성  (0) 2016.07.26
복합어  (0) 2016.07.26
부사와 조사(접미사 - 동사접미사)  (0) 2016.07.26
부사와 조사(전치사)  (0) 2016.07.26
수사  (0) 2016.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