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 정진/빨리어 문법, 용어공부

수사

담마마-마까 2016. 7. 26. 21:03

제 6 장 수 사
9. ・
(1) 기본 수사 종 합


(가) 基數와 序數

* 基數(Cardinal) 序數(Ordinal) .Cardinal .Ordinal

1 eka paṭhama eka prathama

2 dve dutiya dvi dvitīya

3 tayo tatiya tri tṛtīya

4 cattāro catuttha, turīya catur caturtha

5 pañca pañcatha, pañcama pañcan pañcatama

6 cha chaṭṭha, chaṭṭhama ṣaṣ ṣaḍṭama

7 satta sattha, sattama saptan saptatama

8 aṭṭha aṭṭhama aṣṭan aṣṭatama

9 nava navama navan navatama

10 dasa, rasa, lasa, ḷasa dasama daśan daśatama

11 ekārasa, ekādasa ekarasama ekādaśan ekādaśatama

12 bārasa, dvārasa bārasama dvādaśan dvādaśatama

13 tedasa, terasa, telasa tedasama trayodaśan trayodaśatama

14 catuddasa, cuddasa, coddasa catuddasama caturdaśan caturdaśatama

15 pañcadasa, paṇṇarasa, pannarasa pañcadasama pañcadaśan pañcadaśatama

16 soḷasa, sorasa soḷasama ṣoḍaśan ṣoḍaśatama

17 sattadasa, sattarasa sattadasama saptadaśan saptadaśatama

18 aṭṭhādasa, aṭṭhārasa aṭṭhādasama aṣṭādaśan aṣṭādaśatama

19 ekūnavīsati, ekūnavīsaṁ ekūnavīsatima navadaśan navadaśatama

20 vīsati, vīsaṁ vīsatima, vīsa viṁśati viṁśatitama

21 ekavīsati, ekavīsaṁ ekavīsatima ekaviṁśati ekaviṁśatitama

22 dvāvīsati dvāvīsatima dvāviṁśati dvāviṁśatitama

23 tevīsati tevīsatima trayoviṁśati trayoviṁśatitama

24 catuvīsati catuvīsatima caturviṁśati caturviṁśatitama

25 pañcavīsati pañcavīsatima pañcaviṁśati pañcaviṁśatitama

26 chabbīsati chabbīsatima ṣaḍviṁśati ṣaḍviṁśatitama

27 sattabīsati, sattavīsati sattabīsatima saptaviṁśati saptaviṁśatitama

28 aṭṭhavīsaṁ aṭṭhavīsatima aṣṭāviṁśati aṣṭāviṁśatitama

29 ekūnatiṁsati, ekūnatiṁsaṁ ekūnatiṁsatima navaviṁśati navaviṁśatitama

30 tiṁsati, tiṁsaṁ tiṁsatima, tiṁsa triṁśat triṁśatama

31 ekatimsati ekatiṁsatima ekatriṁśat ekatriṁśatama

32 dvattimsati dvattiṁsatima dvātriṁśat dvātriṁśatama

33 tettiṁsati, tettiṁsaṁ

40 cattālīsaṁ, cattārīsaṁ cattālisatima, cattāḷīsa catvāriṁśat catvāriṁśatama

42 dvicattāḷīsati, dvācattāḷīsā

43 tecattāḷīsa

50 paññāsa, paññāsaṁ paññāsatima, paññāsa pañcāśat pañcāśatama

52 chapaññāsa

60 saṭṭhi saṭṭhitama ṣaṣṭi ṣaṣṭitama

70 sattati sattatima saptati saptatitama

72 dvāsattati

80 asīti asītitama aśīti aśītitama

82 dve asīti

84 caturāsīti, cullāsīti, cūḷāsīti

90 navuti navutima navati navatitama

92 dvānavuti, dvenavuti

99 ekūnasataṁ, ekūnakaṁ sataṁ

100 sataṁ satatama, satima śatam śatatama

108 aṭṭhādhika sataṁ

200 bāsataṁ, dvāsataṁ bāsatama dviśatam dviśatatama

300 tisataṁ, tīni satāni

350 aḍḍhacatuttha sataṁ

400 catussataṁ

500 pañcasataṁ

1000 sahassaṁ sahassatama, sahassima sahasram sahasratama

1008 aṭṭhādhika sahassaṁ

1250 aḍḍhateḷasa sataṁ

1500 diyaḍḍha sahassaṁ

1850 aḍḍha ekūnavīsa sataṁ

3300 tisasahassaṁ ca tisataṁ

5000 pañcasahassāni

10,000 dasasahassaṁ dasasahassama daśasahasram daśasahasratama

1십만 satasahassaṁ, lakkhaṁ

1백만 dasalakkhaṁ

1천만 sata lakkhaṁ, koṭi koṭima koṭi koṭitama

1천억 pakoṭi pakoṭima - -

 

(2) 수사 유형별 '''''' 및 기타내용

() 基數(cardinal numeral)

1) 1: 1(eka), 2(dve), 3(tayo), 4(catāro)

형용사( .)로 취급되며, . . .sg.pl.에 따른 다양한 변화형이 사용된다.

) 1(eka)

[sg.] nom. acc. ins. dat. abl. gen. loc. voc.

남성. eko/ ekaṁ/ ekena/ ekassa/

ekasmā, ekamha/ ekassa/ ekasmiṁ, ekamhi/ eka

중성. ekaṁ/ ekaṁ/ ekena/ ekissā, ekissāya/

ekasmā, ekamha/ ekassa/ ekasmiṁ, ekamhi/ eka

여성. ekā/ ekaṁ/ ekāya/ ekassa/

ekāya/ ekissā, ekissāya/ ekāya, ekissaṁ/ eke

[pl.] nom. acc. ins. dat. abl. gen. loc. voc.

남성. eke/ eke/ ekehi, ekebhi/ ekesaṁ/ ekehi, ekebhi/ ekesaṁ/ ekesu/ eke

중성. ekāni/ ekāni/ ekehi, ekebhi/ ekesaṁ/ ekehi, ekebhi/ ekesaṁ/ ekesu/ ekāni

여성. ekā, ekāyo/ ekā, ekāyo/ ekāhi, ekhābhi/ ekāsaṁ/ ekāhi, ekhābhi/ ekāsaṁ/ ekāsu/ ekā, ekāyo

단수로서의 'eka''어떤' 등의 부정관사 의미로 빈번하게 사용된다.

Ÿ eko nāviko : a boatman, a certain boatman.

Ÿ ekā kumārikā : a princess, a certain princess.

복수로서의 'eka''얼마간의다소의조금의' 등의 의미로 사용된다.

Ÿ eke purisā : some men

Ÿ ekā mānusini : some women

'eka'의 격변화는 일반적으로 대명사의 격변화에 따른다.

 

) 2(dve) & 양쪽(ubho): 복수(pl.)만으로 변화한다. 세 가지 에 공통으로 사용

[pl.] nom. acc. ins. dat. abl. gen. loc. voc.

여성. dve duve deve duve dvīhi dvībhi dvinnaṁ duvinnaṁ dvīhi dvībhi dvinnaṁ duvinnaṁ dvīsu

여성. ubho ubhe ubho ubhe ubhohi ubhobhi ubhehi ubhebhi ubhinnaṁ ubhohi ubhobhi ubhehi ubhebhi ubhinnaṁ ubhosu ubhesu

'dveduve''ubho'세 가지 에 공통으로 사용된다.

산스끄리뜨는 명사 등의 單數兩數複數로 나뉘는 반면, 빠알리에는 兩數가 사라지고 단수와 복수만 존재하므로 숫자 '2'는 빠알리에서 複數에 속한다.

복합어에 사용되는 'dveduve'의 기본(base)으로 'dvididudve'가 사용된다.

Ÿ dvija( . twice born: . a brahmin) dvijivha( . doubletongued: . a snake)

Ÿ dvipa( . drinking twice: . an elephant) dipada( . twolegged: . a biped)

Ÿ diguṇa( . twofold) duvidha( . of two kinds)

Ÿ dvebhūmaka( . having two stories) dvepakkha( . two factions or parties)

v 'dve'의 기본(base)으로 'dvadvā'도 사용되는데, 주로 다른 숫자와의 복합어일 때 적용된다.

Ÿ dvattikkhatuṁ(adv. two or three times) dvatiṁsati(num. . thirtytwo)

Ÿ dvāsaṭṭhi(num. . sixtytwo) dvāvīsati(num. . twentytwo)

v 'bā' 또한 유사한 경우에 사용된다.

Ÿ bārasa |or| bādasa(num. . twelve) bāvīsati(num. . twentytwo)

 

) 3(tayo) : 복수(pl.)만으로 변화한다.

[pl.] nom. acc. ins. dat. abl. gen. loc. voc.

남성. tayo tayo tīhi tībhi tiṇṇaṁ tiṇṇannaṁ tīhi tībhi tiṇṇaṁ tiṇṇannaṁ tīsu

중성. tiṇi tīṇi tīhi tībhi tiṇṇaṁ tiṇṇannaṁ tīhi tībhi tiṇṇaṁ tiṇṇannaṁ tīsu

. tisso tisso tīhi tībhi tissannaṁ tissam tīhi tībhi tissannaṁ tissam tīsu

'tayo'의 경우 복합어를 형성할 때 사용되는 기본(base)'ti'이다.

Ÿ tayo + lokahitada > tilokahitada : 三界에 복락을 수여하다.

v 간혹 'ti' 대신 'tri'가 기본(base)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Ÿ tayo + kumbhanagaraṁ > trikumbhanagaraṁ : 三巖市("threeHilllockCity"

- Rangoon)

 

) 4(cattāro, caturo) : 복수(pl.)만으로 변화한다.

[pl.] nom. acc. ins. dat. abl. gen. loc. voc.

남성. cattāro caturo cattāro caturo catubbhi catūhi catūbhi catunnaṁ catubbhi catūhi catūbhi catunnaṁ catūsu

. catasso catasso catūhi catūbhi catubbhi catassannam cattassam catubbhi catūhi catūbhi catassannam cattassam catūsu

여성. cattāri cattāri catubbhi catūhi catūbhi catunnaṁ catubbhi catūhi catūbhi catunnaṁ catūsu

'cattāro'의 경우 복합어를 형성할 때 자음으로 시작되는 단어 앞에서는 'catu'을 취하고 그것에 연결된 자음은 중복되기도 하며, 모음으로 시작되는 단어 앞에서는 'catur'형을 취한다.

Ÿ cattāro + mukho > catu+mukho > catumukho : 네 개의 얼굴을 지닌 자.

Ÿ cattāro + pado > catu+|p|+pado > catuppado : 네발짐승.

Ÿ cattāro + aṅgī > catur+aṅgī > caturaṅgī : 네 부분으로 된.

Ÿ cattāro + asso > catur+asso > caturasso : 네 구석을 지닌 것, 사각형.

 

2) 2: 5(pañca) ~ 18(aṭṭhādasa)

형용사( .)로 취급되며, . . . 에 상관없이 복수(pl.)의 동일한 1가지 형이 사용된다.

[pl.] nom. acc. ins. dat. abl. gen. loc. voc.

5. . pañca pañca pañcahi pañcannaṁ pañcaahi pañcannaṁ pañcasu

6. . cha cha chahi channaṁ chahi channaṁ chasu

7. . satta satta sattahi sattannaṁ sattahi sattannaṁ sattasu

8. . aṭṭha aṭṭha aṭṭhahi aṭṭhannaṁ aṭṭhahi aṭṭhannaṁ aṭṭhasu

9. . nava nava navahi navannaṁ navahi navannaṁ navasu

10. . dasa dasa dasahi dasannaṁ dasahi dasannaṁ dasasu

숫자 11~18의 격변화는 숫자 6~10의 격변화와 동일하다.

숫자 10'dasarasalasa'의 세 가지 형이 사용되는데, 'rasalasa' 둘은 다른 숫자와의 복합어에 사용된다. 드물게 'ḷasa'도 용례에 보인다.

'11' 이후의 基數(cardinal)에 접미사 'ī'를 첨부하여 날짜를 나타내는 序數(ordinal)를 형성한다.

Ÿ ekādasa(num. . 11) + ī > ekādas+ī > ekāsasī( . the 11th day or the 11th)

Ÿ catuddasa(num. . 14) + ī > catuddas+ī > catuddasī( . the 14th day or the 14th)

 

3) 3: 19(ekūnavīsati) ~ 99(ekūnasataṁ)

숫자 19~99는 여성형 단수( .sg.)로 취급되어 명사 또는 제한적인 형용사로 사용되며, 제한적인 형용사로 사용될 경우에는 여성형의 과 내용에 따른 를 지닌다.

Ÿ dvāvīsati( .nom.sg.) [22], dvāvīsatī( .nom.pl.) [22x(3 and/or above)=6688...]

음소 ''로 끝나는 경우 'kaññā( .)'의 격변화를 따르며, 음소 'i'로 끝나는 숫자의 경우 'ratti( .)'의 격변화를 따른다.

Ÿ 다만, 주어격(nom.) 단수형은 여성형을 취하여 말음이 'ā'인 경우도 있지만 보편적으로 중성( .)의 주어격 단수형을 취하여 'aṁ'의 형태를 지닌다.

숫자 20~99는 말음이 'a'인 경우 제1형식을 따라 격변화하며, 말음이 'i'인 경우 제2형식을 따라 격변화한다.

[20] nom. acc. ins. dat. abl. gen. loc. voc.

1형식 vīsaṁ vīsa visaṁ visāya visāya visāya visāya visāya visāyaṁ

2형식 vīsati vīsatiṁ visatiyā visatiyā visatiyā visatiyā visatiyā visatiyaṁ

십단위에서 하나가 부족한 숫자(19, 29, 39)'ekūna(eka+ūna)'를 십단위에 첨부한다.

Ÿ ekūnavīsati( .) [열아홉, 스물에서 하나가 부족한 것.]

Ÿ ekūnatiṁsa( .) [스물아홉, 서른에서 하나가 부족한 것.]

 

4) 4: 100(śatam) 이상

) 및 격변화의 적용

중성형 단수( .sg.)로 취급되어 명사 또는 제한적인 형용사로 사용되며, 제한적인 형용사로 사용될 경우에는 중성형의 과 내용에 따른 를 지닌다.

sata( . )sahassa( . )dasasahassa( . )lakha( . 십만) 'rūpa( .)'

격변화를 따른다.

koṭi(천만)pakoṭi(천억) 등 큰 숫자를 가리키는 말의 경우 'vīsati( .)'의 격변화를 따른다.

) 숫자 표현방식

주로 연결조사 'adhika(더 많은)' 또는 'uttara()'를 사용하여 숫자를 표현한다.

Ÿ 108 : aṭṭhādhika sataṁ [여덟이 더 많은 1] aṭṭhuttara sataṁ [여덟이 위쪽인 1]

쌍방복합어(dvanda samāsa) 형태로 숫자를 표현한다.

Ÿ 128 : aṭṭhavīsa sataṁ [스물여덟과 1]

큰 숫자와 작은 숫자를 차례대로 표시하고 연결조사 'ca(그리고)'를 덧붙이거나 생략한다.

Ÿ 101 : sataṁ eko ca |or| sataṁ eko [1백 그리고 하나, |또는| 1백 하나]

Ÿ 216 : dvisataṁ soḷasa ca |or| dvisataṁ soḷasa [2백 그리고 열여섯, |또는| 2백 열여섯]

1백 단위에서 끝수가 '50'이거나 1천 단위에서 끝수가 '500'인 경우 'aḍḍha(절반)'을 사용한다.

Ÿ 150 : diyaḍḍha sataṁ [두 번째가 절반인 1]

Ÿ 350 : aḍḍhacatuttha sataṁ [네 번째가 절반인 1]

Ÿ 1500 : diyaḍḍha sahassaṁ [두 번째가 절반인 1]

Ÿ 5500 : aḍḍhachaṭṭha sahassaṁ [여섯 번째가 절반인 1]

 

() 序數(ordinal numeral)

序數는 형용사( .)로 취급되므로 형용하는 단어의 을 따른다.

1) 1: 1(paṭhama) ~ 4(catuttha)

[Base] [ .] [ .] [ .]

Ÿ [1] paṭhama paṭhamo paṭhamaṁ paṭhamā

Ÿ [2] dutiya dutiyo dutiyaṁ dutiyā

Ÿ [3] tatiya tatiyo tatiyaṁ tatiyā

Ÿ [4] catuttha catuttho catutthaṁ catutthā

2) 2: 5(pañcatha) 이상

'5' 이상인 숫자의 경우 基數에 조사 'ma'를 첨부하여 序數를 만든다.

* 서수 '567'은 두 가지 형을 지닌다.

[기수] [서수]

Ÿ [5] pañca [5th] pañcama, pañcatha

Ÿ [6] cha [6th] chama, chaṭṭha

Ÿ [7] satta [7th] sattama, satta

Ÿ [8] aṭṭha [8th] aṭṭhama,

'5' 이상인 숫자의 경우 서수의 여성형은 여성조사 'ī'를 첨부하여 형성하며, 각각의 격변화는 남성형은 'deva( .)', 중성형은 'rūpa( .)', 여성형은 'nadī( .)에 따른다.

[Base] [ .] [ .] [ .]

Ÿ [5] pañcama pañcamo pañcamaṁ pañcamī

Ÿ [6] chaṭṭhama chaṭṭhamo chaṭṭhamaṁ chaṭṭhamī

Ÿ [7] sattama sattamo sattamaṁ sattamī

Ÿ [8] aṭṭhama aṭṭhamo aṭṭhamaṁ aṭṭhamī

'11' 이상인 숫자의 경우 基數 그 자체가 序數로 사용되기도 한다.

* 기수와 서수 가운데 어느 것으로 사용되었는지는 문장의 내용에 따라 판단한다.

Ÿ ekārasa kākā [11마리의 까마귀.] ekārasa/ekārasama kāko [11번째 까마귀.]

Ÿ pañcadasa [15] pañcadasa/pañcadasama [15번째]

Ÿ catuvīsati [24] catuvīsati/catuvīsatima [24번째]

어말이 'a'로 끝나는 10단위의 基數는 그 자체로 형용사적인 序數로 사용된다.

Ÿ vīsa [20/基數 |or| 20번째/序數] tiṁsa [30/基數 |or| 30번째/序數]

Ÿ cattāḷīsa [40/基數 |or| 40번째/序數] paññāsa [50/基數 |or| 50번째/序數]

基數 가운데 'ti'로 끝나는 숫자는 조사 'ma'를 첨부하여 序數를 형성한다.

Ÿ vīsati(20) vīsatima(20번째) tiṁsati(30) tiṁsatima(30번째)

Ÿ sattati(70) sattatima(70번째) navuti(90) navutima(90번째)

v 'paññāsa(50)'의 경우 중간에 'ti'를 삽입하고 'ma'를 첨부한다. : paññāsatima(50번째)

일부 숫자(60801001000)基數에 조사 'tama'를 첨부하여 序數를 형성한다.

Ÿ saṭṭhi(60) saṭṭhitama(60번째) asīti(80) asītitama(80번째)

Ÿ sata(100) satatama(100번째) sahassa(1000) sahassatama(1000번째)

v 일부 숫자(1001000)基數에 조사 'ima'를 첨부하여 序數를 형성하기도 한다.

Ÿ sata(100) satima(100번째) sahassa(1000) sahassima(1000번째)

 

() 分配數(distributive numeral)

分配數基數 또는 序數를 중복함으로써 그 숫자가 연결된 대상에 각각 적용됨을 나타낸다.

Ÿ aṭṭha aṭṭha there amacce ca pesayi [여덟과 여덟인 長老大臣을 파견하였다.]

分配數의 표현은 조사 'so'로 형성된 수사적 부사로 대체될 수 있다.

Ÿ aṭṭhaso there amacce ca pesayi [여덟 명씩 長老大臣을 파견하였다.]

 

() 分數(fractional numeral)

기본적으로 分數序數로 된 숫자에 bhāga()kalā(부분)aṁsa(부분)koṭṭhāsa() 등의 단어를 첨부하여 형성한다.

Ÿ '1/16' : soḷasi kalā [열여섯 번째 + 한 부분 > 열여섯 가운데 한 부분 > 16분의 1]

'½''aḍḍha(절반)' 또는 'upaḍḍha(절반)'로 표현되고, '¼''pāda(사분의 일)'로 표현된다.

Ÿ '1½' : diyaḍḍha [두 번째는 절반 > 하나와 절반 > 12분의 1]

Ÿ '2½' : aḍḍhatiya |or| aḍḍhateyya [세 번째는 절반 > 둘과 절반 > 22분의 1]

Ÿ '3½' : aḍḍhuḍḍha [네 번째는 절반 > 셋과 절반 > 32분의 1]

Ÿ '1¼' : diyapāda [두 번째가 사분의 일 > 하나와 사분의 일 > 14분의 1]

 

() 倍數(multiplicative numeral)

序數' .acc.sg.(중성목적격단수)'형을 사용하여 배수를 나타낸다.

Ÿ paṭhamaṁ [첫 번째로] dutiyaṁ [두 번째로]

基數의 어근에 'khattuṁ'을 첨부하여 배수를 나타낸다. 횟수를 나타내는 수사적 부사

基數에 조사 'dhā'를 첨부하여 배수를 나타낸다. 양태를 나타내는 수사적 부사

基數에 단어 'vidha/guṇa'를 첨부하여 배수를 나타낸다. 묶음을 나타내는 수사적 부사

基數序數에 단어 'vāra( . 차례)'를 첨부하여 배수를 나타낸다.

Ÿ cattāro vārā [네 차례, 네 번]

Ÿ catuttha vāre [네 번째 차례로, 네 번째 만에]

 

() 集合數(substantive numeral)

'수사에서 전용된 부사' 가운데 '집합명사형용사를 나타내는 수사적 부사'

 

(3) 수사에서 전용된 부사

다수의 중요한 부사들은 수사에 일정의 조사가 첨부되어 형성된 것이다.

1) 횟수를 나타내는 것 : 수사 + 'khattuṁ'

Ÿ dve( . two) > dvi+khattuṁ > dvikkhattuṁ(adv. twice)

Ÿ tayo( . three) > ti+khattuṁ > tikkhattuṁ(adv. three times)

'khattuṁ'은 산스그리뜨의 'kṛtvas'에 해당한다. : .pañcakṛtvas(adv. five times), .daśakṛtvas(adv. ten times)

Ÿ satta( . seven)> satta+khattuṁ > sattakkhattuṁ(adv. seven times)

Ÿ dasa( . ten) > dasa+khattuṁ > dasakkhattuṁ(adv. ten times)

Ÿ satasahassa( .) + khattuṁ > satasahassakkhattuṁ(adv. 100,000 times)

2) 양태를 나타내는 것 : 수사 + 'dhā'

수사에 조사 'dhā'가 첨부될 경우 '倍數''종류' 또는 '유형' 등의 의미가 형성된다.

Ÿ eka( . one) > eka+dhā > ekadhā(adv. once)

Ÿ dve( . two) > dvi+dhā > dvidhā(adv. in two ways; in two; of two kinds)

Ÿ tayo( . three) > ti+dhā > tidhā(adv. in three ways; threefold; in three parts)

v 조사 'dhā'는 몇몇 형용사 뒤에 첨부되어 유사한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Ÿ bahu( . much, many) > bahudhā(adv. in many ways)

Ÿ aneka( . not one) > anekadhā(adv. in more than one way)

3) 묶음이나 유형을 나타내는 것 : 수사 + 'guṇa( . 묶음)' 'vidha( . 유형)'

'guṇa'는 비록 조사는 아니지만 수사에 첨부되어 'dhā'와 유사한 의미를 형성한다.

'guṇa'에 의해 수사복합어로 형성된 것은 주로 중성단수( .sg.)의 형태를 취하여 부사로 사용된다.

Ÿ tayo( . three) > ti+guṇa > tiguṇaṁ(adv. three times; threefold)

Ÿ cattāro( . four)> catu+guṇa > catuguṇaṁ(adv. four times; fourfold)

Ÿ dasa( . ten) > dasa+guṇa > dasaguṇaṁ(adv. ten times; tenfold)

Ÿ pañca( . five) > pañca+vidha > pañcavidhaṁ(adv. five times; in five ways)

4) 반복과 배분을 나타내는 것 : 수사 + 'so'

Ÿ eka( . one) > eka+so

> ekaso(adv. one by one)

Ÿ pañca( . five) > pañca+so

> pañcaso(adv. five by five)

5) 집합명사나 형용사를 나타내는 것 : 수사 + 'ka''ya'조사 'ka''ya'는 수사에 첨부되어 집합명사나 형용사를 형성한다.

Ÿ dvaya( . of two sorts; consisting of two a pair)

Ÿ dvika |or| duka( . consisting of two; a pair)

Ÿ tika |or| taya |or| tayi( . consisting of three; a triad)

Ÿ catukka( . fourfold; a collection of four things; a place where four roads meet)

Ÿ [&] pañcaka, chakka, sattaka, aṭṭhaka, navaka, dasaka, sataka, etc.

6) 수사적 의미의 부사 'sakiṁ(adv. once)'

부사 'sakiṁ'은 수사와 복합어를 형성하지 않은 채 단독으로 수사적 의미를 지닌다.

Ÿ sakiṁ passanto [그를 한 차례 본다.]

Ÿ sakiṁ yeva [한꺼번에, 동시에]

'sakiṁ'은 모음으로 시작되는 단어가 뒤따를 때 'sakid' 또는 'sakad'으로 대체된다.

Ÿ sakid eva [한꺼번에, 동시에]

Ÿ sakadāgamin [단지 한 차례만 되돌아오는 이. 斯陀含 또는 一來]

'so'는 산스끄리뜨의 'śas'에 해당한다. : .ekaśas(adv. one by one), .śataśas(adv. by hundreds)

 

 

 

'수행. 정진 > 빨리어 문법, 용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사와 조사(접미사 - 동사접미사)  (0) 2016.07.26
부사와 조사(전치사)  (0) 2016.07.26
준동사 ( 부정사 )  (0) 2016.07.26
준동사 (분사, 절대 분사)  (0) 2016.07.26
동사의 2차 활용  (0) 2016.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