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 정진/빨리어 문법, 용어공부

준동사 (분사, 절대 분사)

담마마-마까 2016. 7. 26. 21:00

제5장 동사
8. ・
3. 준 동 사

. 분사(Participle)

Ÿ 분사란 인도유럽어의 동사 어형 변화의 하나로서, 동사의 형용사적 형태이다.

) 그는 간다[動詞]. 그는 가면서[分詞] 말을 한다.

Ÿ 분사는 문장에서 연결되는 명사와 을 일치시킨다.

 

(1) 현재분사(present participle) - 'pres.p.'

v 문장에서 현재분사는 단순형용사( .)와 서술형용사( p.) 및 현재분사(p.p.)의 세 가지로 사용되며, 기타 모든 종류의 분사는 단순형용사와 서술형용사 두 가지로만 사용된다.

Ÿ (단순형용사) : dhīrā anuttaraṁ( ..acc.) nibbānaṁ( .acc.) phusanti. [현명한 이들은 위없는 열반에 가닿는다.]

Ÿ (서술형용사) : te(pn. .nom.pl.) jhāyino niccaṁ daḷhaparakkamā( p..nom.pl.) [그들은 명상을 위해 꾸준히 노력을 하였다.]

Ÿ (현재 분사) : te(pn. .nom.pl.) jhāyino sātatikā(p.p..nom.pl.) niccaṁ daḷhaparakkamā

[그들은 명상을 위해 끈기 있게 꾸준히 노력을 하였다.]

 

1) 남말( .) 또는 능동형의 현재분사 - 현재능동분사(pres.a.p.)

현재능동분사를 조성하는 어미로 'nta''aṁ' 또는 'ṁ' 등이 사용되는데,

'nta''ṁ'은 어간에 첨부되며 'aṁ'은 어근에 첨부되어 현재능동분사를 형성한다.

[Base] [pres.a.p.]

Ÿ pac(1. to cook) paca pacaṁ, pacanta. cooking

Ÿ kar(6. to make) kara karaṁ, karonta. doing

Ÿ chid(2. to cut) chinda chindaṁ, chindanta. cutting

Ÿ bhaṇ(1. to say) bhaṇa bhaṇaṁ, bhaṇanta. saying

Ÿ bhū(1. to be) bhava bhavaṁ, bhavanta. being

Ÿ pā(1. to drink) piva pivaṁ, pivanta. drinking

동사어간이 'e' 'aya'의 형을 갖는 제13군 동사와 제7류 동사 및 사역동사군의 경우 어간이 'e' 형일 경우 현재분사어미로 'nta'만 사용되며, 'aya' 형일 경우는 'nta''ṁ' 이 함께 사용된다.

v 13군 및 제7류 동사의 경우

Ÿ cur(7. to steal) core, coraya corenta, corayaṁ, corayanta.

Ÿ kath(7. to tell) kathe, kathaya kathenta, kathayaṁ, kathayanta.

Ÿ nī(1. to lead) ne, naya nenta, nayaṁ, nayanta.

Ÿ ji(1. to conquer) je, jaya jenta, jayaṁ, jayanta.

v 사역동사의 경우

Ÿ dhar(1.10. to hold) dhāre, dhāraya dhārenta, dhārayaṁ, dhārayanta.

dhārāpe, dhārāpaya dhārāpenta, dhārāyaṁ, dhārāpayanta.

Ÿ mar(1. to die) māre, māraya mārenta, mārayaṁ, mārayanta.

mārāpe, mārāpaya mārāpenta, mārāpayaṁ, mārāpayanta.

Ÿ chid(2. to cut) chede, chedaya chedenta, chedayaṁ, chedayanta.

chedāpe, chedāpayachedāpenta, chedāpayaṁ, chedāpayanta.

동사어간이 'ṇā no uṇā uṇo' 형을 갖는 제4류 동사 및 'nā' 형을 갖는 제5류 동사의 경우 일반적으로 현재분사어미 가운데 'nta'가 사용된다.

Ÿ su(4. to hear) suṇā, suṇo suṇanta, suṇonta.

Ÿ kī(5. to buy) kiṇā kiṇanta.

현재능동분사의 격변화는 현재분사가 'aṁ' 형일 경우엔 'at' 형을 분사어간으로 간주하고, 현재분사가 'anta' 형일 경우엔 'ant' 형을 분사어간으로 간주하여 형용사 'mahā(=mahat)'의 격변화에 동일하게 적용한다.

[pres.a.p.] [pres.a.p. base] [ .nom.sg.] [ .nom.sg.] [ .nom.sg.]

Ÿ pacaṁ pacat pacaṁ pacaṁ pacatī

pacanta pacant pacanto pacantaṁ pacantī

Ÿ chinda chindat chindaṁ chindaṁ chindatī

chindanta chindant chindanto chindantaṁ chindantī

v ‘현재분사가 'aṁ' 형일 경우엔 'at' 형을 분사어간으로 간주하고……

'pac'의 경우 산스끄리뜨에서 현재분사형은 'pacat'이다. 빠알리 또한 실질적인 현재분사형은 'pacat'이고 그와 더불어 'pacant'가 선택형으로 존재하는데, 빠알리의 속성상 자음은 말음이 되지 못하는 까닭에 'pacat'의 말음 't''ṁ'과 대체되어 'pacaṁ'이 되고 선택형인 'pacant'는 음소 'a'가 추가되어 'pacanta'가 되어 결과적으로 'pacaṁ''pacanta'가 빠알리의 현재분사가 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현재분사가 문장에 사용되어 격변화가 필요할 때는 'pacaṁ''pacanta'가 아닌 그 원래의 형태인 'pacat''pacant'가 분사형의 어간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2) 제말( .) 또는 수동형의 현재분사 - 현재수동분사(pres.p.p.)

현재수동분사를 조성하는 어미로는 'māna'가 사용된다.

[Base] [pres.p.p.]

Ÿ pac(1. to cook) paca pacamāna

Ÿ car(1. to wander) cara caramāna

Ÿ dā(1. to give) dadā dadāmāna

Ÿ gam(1. to go) gaccha gacchamāna

Ÿ labh(1. to take) labha labhamāna

Ÿ vac(1. to speak) vucca vuccamāna

v 동사의 현재어간이 'e'로 끝날 경우 'aya'로 대체된 것에 어미 'māna'가 첨부된다.

Ÿ cint(7. to think) cinte cintayamāna

Ÿ dis(1. to preach) dese(caus.) desayamāna(caus.pres.pass.p.)

또 다른 현재수동분사를 조성하는 어미로 'āna'가 드물게나마 사용되는데, 동사의 현재형어간에 어미가 첨부되거나 또는 동사어근에 직접 어미가 첨부되어 현재수동분사를 형성한다.

Ÿ pac(1. to cook) paca pacāna

Ÿ car(1. to wander) cara carāna

Ÿ dā(1. to give) dadā dadāna

【Ⓢ】'māna'는 제14610류 동사가 속한 제1동사군에 사용되고 'āna'는 제2동사군에 사용된다. 산스끄리뜨는 동사군에 따라 적용되는 어미가 달라지며, 빠알리는 한 단어에 두 가지 어미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Ÿ budh(1. to know) budha budhāna

Ÿ kar(6. to do) kubba kubbāna

현재수동분사의 격변화는 남성형의 경우 'purisa( .)', 중성형의 경우 'rūpa( .)', 그리고 여성형의 경우 'kaññā( .)'에 준한다.

[pres.p.p.] [ .nom.sg.] [ .nom.sg.] [ .nom.sg.]

Ÿ pacamāna pacamāno pacamānaṁ pacamānā

pacāna pacāno pacānaṁ pacānā

Ÿ caramāna caramāno caramānaṁ caramānā

carāna carāno carānaṁ carānā

Ÿ dadāmāna dadāmāno dadāmānaṁ dadāmānā

dadāna dadāno dadānaṁ dadānā

 

3) 현재분사의 용법과 예문

현재분사는 일반적으로 '~하는 동안'이란 의미가 내포되어 있으며, 현재분사로 표현되는 행위 외에 또 다른 행위가 동시에 이뤄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Ÿ attano gāmaṁ gacchanto corāṭaviṁ patvā: 자신의 마을로 가는 동안 盜賊의 숲에 닿아

Ÿ tattha gantvā mātaraṁ paṭijagganto vāsaṁ kappesi. : 그곳에 가서 모친을 돌보는 동안 (그는 그곳에) 처소를 마련하였다.

현재분사는 일종의 형용사로 간주되어 문장에서 형용사처럼 사용되는 까닭에 의 일치 등 일반적으로 형용사가 지니는 규칙이 모두 현재분사에도 적용된다.

Ÿ avīcinirayaṁ gacchantā sattā: '아위찌'地獄으로 가고 있는 존재들은

Ÿ āgacchantaṁ taṁ disvā pi: 오고 있는 그를 보았지만

현재분사는 간혹 명사적으로 사용되어 '~한 사람' 또는 '~한 것'이란 의미를 지닌다.

Ÿ idaṁ pana paralokaṁ gacchantassa pātheyyaṁ([ .] .nom.) bhavissati. : 이것은 그러나 다른 세상으로 가는 사람의 路資가 될 것이다.

Ÿ paralokaṁ gacchanto([ .] .nom.) ekaṁ kahāpaṇaṁ pi gahetvā na gacchati. : 다른 세상으로 가는 사람은 한 푼도 가지고 가지 못한다.

Ÿ appamatto hi jhāyanto([ .] .nom.) pappoti vipulaṁ sukhaṁ : 주의 깊게 명상에 든 자는 커다란 즐거움을 얻는다.

Ÿ dīghā jāgarato( .gen.) ratti, dīghaṁ santassa( .gen.) yojanaṁ : 깨어있는 자의 밤은 길고 지친이의 1요자나는 멀다.

현재분사는 경우에 따라 條件節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Ÿ taṁ labhanto jīvissami alabhanto idh'eva marissāmi. : 그녀를 얻는다면 (나는) 살아갈 것이요, 얻지 못한다면 여기서 바로 (나는) 죽어버릴 것이다.

Ÿ addhamāse sahassaṁ labhanto upaṭṭhahissāmi deva. : 보름마다 1천을 얻는다면 (제가) 시중을 들겠습니다. 주군이시여!

Ÿ evaṁ karonto lacchasi akaronto na lacchasi(fut..sg.). : 그렇게 한다면 (그는) 획득할 것이요, 하지 않는다면 획득하지 못할 것입니다. [← Ⓢ.labh(1. . to take)]

현재분사를 뒤따르는 불변화사 'pi(=api)''비록'이란 의미를 지닌다.

Ÿ pitarā vāriyamāno pi: 부친에 의해 비록 방해를 받고 있다 하더라도

Ÿ taṁ apassanto pi: 그를 비록 보고 있지 않다 하더라도

 

 

(2) 과거수동분사(past passive participle) - 'p.p.p.'

과거수동분사는 단독으로 또는 복합어의 일부로서 널리 사용되며, 문장에서 수식어나 술어로서 과거동사 대신 사용된다.

과거수동분사는 동사어근에 어미 'ta(ita)' 또는 'na'를 첨부하여 형성한다.

산스끄리뜨의 경우 'aniṭ'동사는 'ta'가 첨부되고 'seṭ'동사는 'ita'가 첨부된다. 빠알리의 경우 동사의 'aniṭ''seṭ' 등의 분류가 산스끄리뜨처럼 분명하지 않기에 다수의 예외가 적용된다.

 

1) 과거수동분사 - 'ta(ita)'

말음이 모음인 동사어근의 경우 어미 'ta'를 동사어근에 바로 첨부하여 형성한다.

[pres..sg.] [past.p.p.]

Ÿ nahā(1. to bathe) nahāyati nahāta bathed

Ÿ bhū(1. to become) bhavati bhūta become

Ÿ nī(1. to lead) neti, nayati nīta led

Ÿ ji(1. to conquer) jeti, jayati jita conquered

Ÿ ci(4. to collect) cināti cita collected

Ÿ ñā(5. to know) jānāti ñāta known

v 말음이 모음인 동사어근 가운데 불규칙적인 과거수동분사를 형성하는 경우

Ÿ pā(1. to drink) pivati pita drunk

Ÿ ṭhā(1. to stand) tiṭṭhati ṭhita stood, standing

Ÿ dhā(1. to hold) dahati hita held

Ÿ dā(1. to give) dadāti dinna |or| datta given

말음이 자음인 동사어근과 어미 'ta' 사이에 'i'(iḍāgama)를 삽입하여 형성한다.

[pres..sg.] [past.p.p.]

Ÿ pac(1. to cook) pacati pacita cooked

Ÿ cal(1. to shake) calati calita shaken

Ÿ gah(7. to take) gaṇhāti gahita taken

Ÿ kapp(1. to arrange) kappeti kappita arranged

Ÿ khād(1. to eat) khādati khadita eaten

Ÿ kath(7. to tell) katheti kathita told

말음이 자음인 동사어근에 어미 'ta'를 바로 첨부하되 어근말음과 어미간 자음연성을 적용한다.

Ÿ bhuj(2. to eat) bhuj+ta > bhut+ta > bhutta(past.p.p. eaten)

Ÿ muc(1. to loose) muc+ta > mut+ta > mutta(freed)

Ÿ is(1. to wish) is+ta > is+ṭa > iṭha+ṭa > iṭ+ṭha > iṭṭha(wished)

Ÿ das(1. to bite) das+ta > das+ṭa > daṭha+ṭa > daṭ+ṭha > daṭṭha(bitten)

Ÿ dam(3. to be tamed) dam+ta > dan+ta > danta(tamed)

Ÿ rudh(2. to obstruct) rudh+ta > rudh+dha > rud+dha > ruddha(obstructed)

Ÿ labh(1. to take) labh+ta > labh+dha > ladh+dha > laddha(obtained)80)

Ÿ majj(1. to polish) majj+ta > maṭṭa(polished) |or| maṭṭha(polished)81)

Ÿ muh(3. to faint) muh+ta > muddha(fainted) |or| muḷha(fainted)82)

bhuj+ta > (0305) > bhug+ta > (0145) > bhuj+ta > (逆順) > bhut+ta > bhutta

das+ta【Ⓢ.=daṁś+ta > (0306) > daṁṣ+ta > (0333) > daṣ+ta > (0064) > daṁṣ+ṭa> das+ṭa > (0019/or/逆順) > daṭ+ṭha > daṭṭha

rudh+ta > (0548) > rudh+dha > (0019) > rud+dha > ruddha

labh+ta > (0548) > labh+dha > (0019) > lab+dha > (逆順) > lad+dha > laddha

majj+ta【Ⓢ.=mṛj+ta > (0306) > mṛṣ+ta > (0064) > mṛṣ+ṭa> mas+ṭa > (逆順) > maṭ+ṭa > maṭṭa

majj+ta【Ⓢ.=masj+ta > (0062) > majj+ta> majj+ṭa > maj+ṭa > (逆順) > maṭ+ṭa > maṭṭa

muh+ta【Ⓢ.=muh+ta > (0250) > muḍh+ta > (0548) > muḍh+ḍh > (0549) > mūḍha> muḷha

Ÿ jhas(1. to hurt) jhas+ta > jhat+ta > jhatta(hurt)

말음이 'r/n/ṁ'인 동사어근에 어미 'ta'가 바로 첨부될 때 말음 'r/n/ṁ'은 일반적으로 탈락된다.

Ÿ kar(6. to make) kar+ta > ka+ta > kata(past.p.p. made)

Ÿ sar(1. to remember) sar+ta > sa+ta > sata(remembered)

Ÿ man(3. to think) man+ta > ma+ta > mata(thought)

Ÿ khan(1. to dig) khan+ta > kha+ta > khata(dug) |or| khāta(dug)

Ÿ gam(1. to go) gam+ta > ga+ta > gata(gone)

Ÿ ram(1. to rejoice) ram+ta > ra+ta > rata(delighted)

말음이 'r'인 동사어근에 어미 'ta'가 바로 첨부될 때 말음 'r'은 탈락되고 어미의 첫 음소 't'를 반설음인 'ṭ'로 대체된다.

Ÿ har(1. to carry) har+ta > ha+ṭa > haṭa(past.p.p. carried)

 

2) 과거수동분사 - 'na'

어미 'na'는 그것이 첨부되는 특정어근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ta'가 어근과의 연성을 거쳐 'na'로 바뀐 것일 뿐이다. 어미 'na''ta'에 비해 사용빈도가 낮다.

말음이 모음인 동사어근의 경우 어미 'na'를 동사어근에 바로 첨부하여 형성한다.

[pres..sg.] [past.p.p.]

Ÿ sad(1. to settle) ni+sīdati ni+sinna set down

ava+sīdati ava+sanna sunk, settled

Ÿ chid(2. to cut) chindati chinna cut

Ÿ dā(1. to give) dadāti dinna |or| datta given

말음이 자음인 동사어근과 어미 'na' 사이에 'i'(iḍāgama)를 삽입하여 형성한다.83)

Ÿ dā(1. to give) dadāti dinna given

Ÿ tar(1. to cross over) tarati tiṇṇa crossed

Ÿ kir(1. to scatter) kirati kiṇṇa scattered

말음이 자음인 동사어근에 어미 'na'를 바로 첨부하되 어근말음과 어미간 자음연성을 적용한다. 일반적으로 동사어근의 마지막 자음이 'd' 또는 'r'일 때 'na'가 첨부된다.

Ÿ bhaj(1. to break) bhajati bhagga84) broken

Ÿ vij(1. to be agitated) vijati vigga agitated

 

3) 과거수동분사의 용법과 예문

어떤 동작의 완결 상태, 혹은 그 결과로서 생긴 상태를 나타낸다.

타동사로부터 만들어진 경우에는 수동(pass.)의 의미를 가지며, 자동사로부터 만들어진 경우에는 능동(actv.)의 의미를 갖는다.

Ÿ kar(6. 하다-타동사) > kata(p.p. 해졌다-수동)

Ÿ gam(1. 가다-자동사) > gata(p.p. 갔다-능동)

과거수동분사는 동사를 대신하는 서술어로 빈번하게 사용되며 과거시제로 해석된다.

Ÿ so pi gato. : 그 또한 갔다.

Ÿ danto niyato brahmacārī. : (그는) 자제되었고, 안정되었고, 학인의 길을 여법하게 갔다.

Ÿ sabbā te phāsukā bhaggā. : 그대(라는 집)의 모든 서까래들은 부서졌다.

서술어로 사용된 과거수동분사의 행위자는 문장에서 도구격을 취한다.

Ÿ tayā pañho puṭṭho. : 그녀에 의해 질문이 물어졌다. 그녀가 질문을 물었다.

어근의 모음이 탈락되고 그 보충으로 어미의 'n'이 중복된다. : tar+na > ta+|i|+na > t+i+nna > tinna

변환과정 : bhaj+na > (0305) > bhag+na > (正順) > bhag+ga > bhagga

Ÿ sāsanaṁ mayā likkhitaṁ. : 편지가 나에 의해 쓰여졌다. 내가 편지를 썼다.

Ÿ attanā kataṁ pāpaṁ attajaṁ. : 나로 인해 조성된 은 스스로 조성한 것이다.

문장에 사용된 과거수동분사가 간혹 현재분사의 의미로 해석되기도 한다.

Ÿ tato uppatito([p.p.p.] .nom.) vijjullatā viya vijjotamāno paratīre aṭṭhāsi. : 그곳으로부터 도약한 그는(도약했던 그는) 번쩍이는 번개처럼 건너편 둔덕에 도달하였다.

 

4) 과거수동분사의 기타사항

몇몇 과거수동분사는 불규칙적인 형성모습을 지닌다.

Ÿ jhā(1. to burn) > jhāma(past.p.p.) ← Ⓢ.kṣai(1. . to burn)

Ÿ phal(1. to split) > phulla(past.p.p.) ← Ⓢ.phal(1. . to split)

일부동사의 경우 두 가지 과거수동분사를 형성한다.

Ÿ lag(1. to adhere) > lagga & lagita(past.p.p.)

Ÿ gam(1. to go) > gata & gamita(past.p.p.)

Ÿ dā(1. to give) > dinna & datta(past.p.p.)

Ÿ kas(1. to plough) > kaṭṭha & kasita(past.p.p.)

동사어근에 'i'(iḍāgama)와 어미 'ta'

가 첨부되어 형성된 분사의 경우 중성( .)명사로 常用된다.

Ÿ has(1. to laugh) : hasita(past.p.p.) hasita([ .] . a smile)

Ÿ gajj(1. to thunder) : gajjitta(past.p.p.) gajjita([ .] . the thunder)

Ÿ jīv(1. to live) : jīvita(past.p.p.) jīvita([ .] . life)

과거분사의 격변화는 남성형의 경우 'purisa( .)', 중성형의 경우 'rūpa( .)', 그리고 여성형의 경우 'kaññā( .)'에 준한다.

 

 

(3) 과거능동분사(past active participle) - 'p.a.p.'

의미를 지닌 과거능동분사는 'tana'로 끝난 과거수동분사에 조사 'vā' 등을 붙여 형성한다.

1) 과거능동분사의 형성

과거수동분사(tana)+ vā > 과거능동분사(tavānavā)

[past.p.p.] [조사] [past.a.p.]

Ÿ pac(1. to cook) pacita + vā pacitavā(having cooked)

Ÿ bhuj(2. to eat) bhutta + vā bhuttavā(having eaten)

Ÿ kar(6. to make) kata + vā katavā(having made)

과거수동분사(ta) + vant/āvin > 과거능동분사(tavanttāvin)

[past.p.p.] [조사] [past.a.p.]

Ÿ vas(1. to live) vusita + vant vusitavant

Ÿ bhuj(2. to eat) bhutta + āvin bhuttāvin

Ÿ sami(1. to assemble) samita + āvin samitāvin

2) 과거능동분사의 용례와 예문

과거능동분사는 분사로서 과거에 능동적으로 행해진 행위에 대한 서술을 가리킨다.

Ÿ so sīhaṁ ādinnavā. : 그는 사자를 잡았었다.

Ÿ 예문보충-

내용보충-

Ÿ 예문보충-

3) 과거능동분사의 기타사항

과거능동분사의 격변화는 형용사 'guṇavā(=.guṇavat)'의 격변화와 동일하다.

Ÿ pacitavā( .nom.sg.), pacitavaṁ/pacitavantaṁ( .nom.sg.), pacitavatī/pacitavantī( .nom.sg)

과거능동분사를 형성하는 조사로 'vā'외에 드물게나마 'vī'가 사용되기도 하며, 조성된 분사의 격변화는 형용사 'medhāvi(=.medhāvin)'의 격변화와 동일하다.

Ÿ pac(1. to cook) : pacita(past.a.p.) pacitavī(past.a.p.) > pacitāvī( .nom.sg.), etc.

Ÿ bhuj(2. to eat) : bhutta(past.a.p.) bhuttavī(past.a.p.) > bhuttāvī( .nom.sg.), etc.

 

 

(4) 가능수동분사(potential passive participle) - 'pot.p.p.'

가능수동분사는 '~되어져야 할'이라는 의미를 기본으로 하여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되며, 수식어로서뿐 아니라 술어로서도 널리 사용된다. '미래수동분사(fut.p.p.)' 또는 '의무분사' 등으로도 불린다.

가능수동분사는 동사어근에 어미 'tabba/ya/anīya(īya)'를 첨부하여 형성한다.

1) 가능수동분사 - 'tabba'

말음이 모음인 동사어근의 경우 어미 'tabba'를 동사어근에 바로 첨부하여 형성한다.

Ÿ hā(1. to abandon) hā+tabba > hātabba(pot.p.p.)

Ÿ dā(1. to give) dā+tabba > dātabba(pot.p.p.)

Ÿ pā(1. to drink) pā+tabba > pātabba(pot.p.p.)

v 동사어근의 말음이 'i' 또는 'ī'로 끝날 경우 'tabba' 앞에서 'e'로 대체된다.85)

Ÿ nī(1. to lead) nī+tabba > ne+tabba > netabba(pot.p.p.)

Ÿ ji(1. to conquer) ji+tabba > je+tabba > jetabba(pot.p.p.)

Ÿ i(1. to go) i+tabba > e+tabba > etabba(pot.p.p.)

말음이 자음인 동사어근과 어미 'tabba' 사이에 'i'(iḍāgama)를 삽입하여 형성한다.

Ÿ pac(1. to cook) pac+|i|+tabba > pacitabba(pot.p.p.)

Ÿ khan(1. to dig) khan+|i|+tabba > khanitabba(pot.p.p.)

Ÿ pucch(1. to ask) pucch+|i|+tabba > pucchitabba(pot.p.p.)

말음이 자음인 동사어근에 어미 'ta' 를 바로 첨부하되 어근말음과 어미자음연성을 적용한다.

Ÿ gam(1. to go) gam+tabba > gan+tabba > gantabba(pot.p.p.)

Ÿ kar(6. to make) kar+tabba > kat+tabba > kātabba(pot.p.p.)

Ÿ labh(1. to take) labh+tabba > lad+dhabba > laddhabba(pot.p.p.)

 

2) 가능수동분사 - 'ya'

말음이 모음인 동사어근의 경우 어미 'ya'를 동사어근에 바로 첨부하여 형성한다.

v 동사어근의 말음이 'ā'인 경우 단음화되었다가 'e'로 대체되며, 어미의 'y'는 중복된다.

Ÿ hā(1. to abandon) hā+ya > ha+ya > he+yya > heyya(pot.p.p.)

Ÿ pā(1. to drink) pā+ya > pa+ya > pe+yya > peyya(pot.p.p.)

Ÿ dā(1. to give) dā+ya > da+ya > de+yya > deyya(pot.p.p.)

v 동사어근의 말음이 'iī'인 경우 'e'로 대체되며, 어미의 'y'는 중복된다.

Ÿ nī(1. to lead) nī+ya > ne+ya > ne+yya > neyya(pot.p.p.)

Ÿ ji(1. to conquer) ji+ya > je+ya > je+yya > jeyya(pot.p.p.)

(0387) sārvadhātukārdhadhātukayoḥ |7.3.084| [싸르와助詞나 아르다助詞가 뒤따를 때 음소묶음 'ik'으로 끝나는 語幹의 경우 '구나'가 된다.]

말음이 자음인 동사어근과 어미 'ya' 사이에 'i'(iḍāgama)를 삽입하여 형성한다.

Ÿ kar(6. to make) kar+|i|+ya > kār+iya > kariya(pot.p.p.)

kar+ya > kay+ya > kayya(pot.p.p.)

kar+|i|+ya > kay+ira > kay+īra > kayīra(pot.p.p.)

Ÿ bhar(1. to support) bhar+|i|+ya > bhār+iya > bhāriya(pot.p.p.)

말음이 자음인 동사어근에 어미 'ya'를 바로 첨부하되 어근말음과 어미자음연성을 적용한다.

Ÿ gam(1. to go) gam+ya > gam+ma > gamma(pot.p.p.)

Ÿ sak(4. to be able) sak+ya > sak+ka > sakka(pot.p.p.)

Ÿ khād(1. to eat) khād+ya > khad+ya > khaj+ya > khaj+ja > khajja(pot.p.p.)

Ÿ bhū(1. to be) bhū+ya > bhav+ya > bhab+ya > bhab+ba > bhabba(pot.p.p.)

Ÿ labh(1. to take) labh+ya > labh+ba > lab+bha > labbha(pot.p.p.)

Ÿ bhuj(2. to eat) bhuj+ya > bhoj+ya > bhoj+ja > bhojja(pot.p.p.)

Ÿ bhid(2. to break) bhid+ya > bhij+ya > bhij+ja > bhijja(pot.p.p.)

Ÿ lih(1. to lick) lih+ya > leh+ya > ley+ya > leyya(pot.p.p.)

Ÿ gah(7. to take) gah+ya > gay+ha > gayha(pot.p.p.)

 

3) 가능수동분사 - 'anīya(īya)'

말음이 자음인 동사어근에 'anīya'를 바로 첨부하되 어근말음과 어미자음연성을 적용한다.

Ÿ gam(1. to go) gam+anīya > gamanīya(pot.p.p.)

Ÿ bhū(1. to be) bhū+anīya > bhav+anīya > bhavanīya(pot.p.p.)

Ÿ lubh(3. to covet) lubh+anīya > lobh+anīya > lobhanīya(pot.p.p.)

Ÿ pūj(7. to reverence) pūj+anīya > pūjanīya(pot.p.p.)

Ÿ kar(6. to do) kar+anīya > kar+aṇīya > karaṇīya(pot.p.p.)

 

4) 가능수동분사의 용례

가능수동분사는 '적합필요의무' 등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으며, 분사의 어근에 의해 표현되는 어떤 행위가 시행되어야 했었다거나 또는 적합했었다는 등의 의미를 나타낸다.

Ÿ mayā kattabbaṁ(pot.p.p.) kammaṁ niṭṭhitaṁ. : 나에 의해 처리되어야 할 일이 완료되었다. - karoti(pr. to build; to act)

Ÿ sace so deso uklāpo hoti so deso sammajjitabbo(pot.p.p.). : 만약 그 자리가 더럽게 된다면 그 자리는 청소가 되어질 것이다. - sammajjati(pr. to sweep)

Ÿ na navā bhikkhū āsanena paṭibāhetabbā(pot.p.p.). : 젊은 스님들은 (자신들의) 자리로부터 내쫓기지 않게 될 것이다. - paṭibāhati(pr. to ward off, hold back, keep out)

가능수동분사는 非人稱으로도 표현이 가능하다.

Ÿ kinnu kattabbaṁ? : 실로 무엇이 되어져야 하는가? 정말 무엇을 해야 하는가?

Ÿ ettha ca imāni suttāni dassetabbāni. : 그리고 여기서 이들 경전들이 보여야 한다.

Ÿ iminā nayena veditabbo. : 이 방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동사 'bhū(1. to be)'의 가능수동분사 'bhavitabba'는 도구격을 취한 사물이나 사람과 함께 사용되어 '그렇게 되어야 한다' 또는 '그렇게 해야 한다'의 의미를 지닌다.

Ÿ majjhatten'eva bhavitabbaṁ. : 오직 中道로 되어야 한다. 오직 中道가 되어야 한다.

Ÿ visayojitāya etāya bhavitabbaṁ. : 독이 섞인 이것으로 되어야 한다. 독이 섞여야 한다.

 

5) 가능수동분사의 기타사항

음소 'u''ū'로 끝나는 동사어근은 일반적으로 특별어간으로부터 가능수동분사가 형성된다.

Ÿ bhū(1. to be) : bhava[특별어간]+|i|+tabba > bhav+itabba > bhavitabba(pot.p.p.)

Ÿ ku(1. to sing) : kava[특별어간]+|i|+tabba > kav+itabba > kavitabba(pot.p.p.)

가능수동분사의 격변화는 남성형의 경우 'purisa( .)', 중성형의 경우 'rūpa( .)', 그리고 여성형의 경우'kaññā( .)'에 준한다.

 

 

(5) 미래분사(future participle) - 'fut.p.'

1) 미래능동분사(future active participle) - 남말( .) 또는 능동형의 미래분사

미래능동분사형성 : 어근 +|ssa(미래표식)|+ aṁ/anta(현재분사 능동어미)

현재능동분사 형식에서 어근과 어미 사이에 미래표식을 삽입하면 미래능동분사의 형식이 된다.

동사에 따라 'i'(iḍāgama)가 어간과 미래표식 사이에 삽입된다.

[Base] [fut.a.p.]

Ÿ pac(1. to cook) paca pacissaṁ, pacissanta.

Ÿ car(1. to wander) kara carissaṁ, carissanta.

Ÿ su(4. to hear) suṇā, suṇo suṇissaṁ, suṇissanta.

미래능동분사의 격변화는 분사형태가 'aṁ'형일 경우엔 'at'형을 분사어간으로 간주하고, 분사형태가 'anta'형일 경우엔 'ant'형을 분사어간으로 간주하여 형용사 'mahā(=.mahat)'의 격변화와 동일하게 적용한다.

[fut.a.p.] [fut.a.p. base] [ .nom.sg.] [ .nom.sg.] [ .nom.sg.]

Ÿ pacissaṁ pacissat pacissaṁ pacissaṁ pacissatī

pacissanta pacissant pacissanto pacissantaṁ pacissantī

Ÿ suṇissaṁ suṇissat suṇissaṁ suṇissaṁ suṇissatī

suṇissanta suṇissant suṇissanto suṇissantaṁ suṇissantī

미래능동분사의 용법과 예문

v 행위자가 분사의 어근에 의해 표현되는 어떤 행위를 곧 시행하려 함을 나타낸다.

Ÿ raṭṭhā raṭṭhaṁ vicarissaṁ. : () 왕국으로부터 (다른) 왕국으로 (나는) 돌아다닐 것이다.

v 분사에 내용에 '계획'이나 '의도'가 추가적으로 개입되기도 한다.

Ÿ taṁ ganthaṁ racissaṁ ahaṁ. : 나는 그 책을 편집하려고 한다.

v 단순한 미래의 의미만을 나타내기도 한다.

Ÿ nāhaṁ puna upessaṁ gabbhaseyyaṁ. : 나는 다시 자궁으로 돌아오지 않을 것이다.

 

2) 미래수동분사(future passive participle) - 제말( .) 또는 수동형의 미래분사

미래수동분사형성 : 어근 +|ssa(미래표식)|+ māna/āna(현재분사 수동어미)

현재수동분사 형식에서 어근과 어미 사이에 미래표식을 삽입하면 미래수동분사의 형식이 된다.

Ÿ pac(1. to cook) pac+|i|+ssa+māna pacissamāna(fut.p.p.)

pac+|i|+ssa+āna pacissāna(fut.p.p.)

Ÿ su(4. to hear) su+ṇ+|i|+ssa+māna suṇissamāna(fut.p.p.)

su+ṇ+|i|+ssa+āna suṇissāna(fut.p.p.)

미래수동분사의 격변화는 남성형의 경우 'purisa( .)', 중성형의 경우 'rūpa( .)', 그리고 여성형의 경우 'kaññā( .)'에 준한다.

[fut.p.p.] [ .nom.sg.] [ .nom.sg.] [ .nom.sg.]

Ÿ pacissamāna pacissamāno pacissamānaṁ pacissamānā

pacissāna pacissāno pacissānaṁ pacissānā

Ÿ suṇissamāna suṇissamāno suṇissamānaṁ suṇissamānā

suṇissāna suṇissāno suṇissānaṁ suṇissānā

 

 

. 절대분사

() 절대분사(gerund) 개요

1) 절대분사의 의미

같은 행위자가 행한 두 개 이상의 행위 가운데 선행하는 행위를 나타내며, '~하고, ~한 후, ~하고 나서'의 의미를 지닌다. - [] 해당예문 빠알리로 바꾸기!

Ÿ [일반문장] sajjanaḥ upakāraṁ karoti, paraṁ svayaṁ na vadati.

好人은 선행을 한다. 그럼에도 스스로 말하지는 않는다.

Ÿ [절대분사] sajjanaḥ upakāraṁ kṛtvā(ger.) svayaṁ na vadati.

好人은 선행을 하고도 스스로 말하진 않는다.

2) 절대분사 형성조사 및 형성원칙

어근 또는 제2종 활용동사의 어간에 tvātvānatūnaya, 또는 tya를 붙여 만든다.

빠알리에서도 산스끄리뜨와 같이 기본적으로 接頭詞(upasagga)가 없는 동사어근은 'tvā' 계열을 취하고 접두사가 있는 동사어근은 'ya' 계열을 취하지만, 접두사가 없음에도 간혹 'ya' 계열을 취하며, 그리고 접두사가 있음에도 빈번히 'tvā' 계열을 취한다.

接頭詞(upasagga)가 없는 어근 + tvātvānatūna

Ÿ kar + tvā > kartvā(ger. having made)

Ÿ paāp + tvā > patvā(ger. having got)

接頭詞(upasagga)가 있는 어근 + yatya

Ÿ ādā + ya > ādāya(ger. having given)

Ÿ cint + ya > cintiya(ger. having thought)

v 'tya'는 대부분 'cca'로 대체된다.

Ÿ paṭii + tya > paṭi+i+tya > paṭicca

Ÿ satkar + tya > sat+kar+tya > sakkacca

Ÿ avai + tya > ava+i+tya > avecca

 

() 절대분사 형성조사별 내용 및 용례

1) 절대분사 : 'tvā', 'tvāna', 'tūna'

接頭詞(upasagga)가 없는 어근에 첨부되는 절대분사 조사의 기본형은 'tvā'

이다.

기본형 'tvā'의 대체형으로 'tvāna''tūna'나 용례로 보이며, 간혹 'tūnaṁ'이 사용되기도 한다.

'tūnaṁ'은 산문보다 운율이 필요한 시가(詩歌)에 주로 사용된다.

'tvā'는 어근에 첨부될 때 그 사이에 음소 'i'가 삽입되기도 한다.

Ÿ pac + tvā > pac+|i|+tvā > pacitvā(ger. having cooked)

Ÿ khād + tvā > khād+|i|+tvā > khāditvā(ger. having eaten)

'tvā'의 첫음소 't'는 일부의 경우 어근의 마지막 자음과 자음연성을 통해 동화되기도 한다.

Ÿ labh + tvā > labh+|i|+tvā > labhitvā(ger. having obtained)

labh+tvā > laddhā(ger. having obtained)

어근의 모음이 강화(guṇa)된 음으로 대체되기도 한다.

Ÿ nī + tvā > nī+tvā > netvā(ger. having led)

Ÿ ji + tvā > ji+tvā > jitvā/jetvā(ger. having conquered)

'tvā''tvāna''tūna'가 첨부될 때 어근의 마지막 자음이 탈락되기도 한다.

Ÿ chid + tvā > chid+tvā > chetvā(ger. having cut)

Ÿ bhuj + tvā > bhuj+tvā > bhutvā(ger. having eaten)

'tvā''tvāna''tūna'가 첨부될 때 어근의 마지막 장음이 단음화되기도 한다.

Ÿ bhī + tvā > bhī+tvā > bhitvā(ger. having fearing)

Ÿ dā + tvā > dā+tvā > datvā(ger. having given)

기타 불규칙적인 변화형을 갖는 절대분사들

Ÿ ṭhā + tvā > ṭhitvā |or| ṭhatvā(ger. having stood or remained)

Ÿ dā + tvā > |also| daditvā |or| daditvāna(ger. having given)

Ÿ kar + tvā > kātūna |or| kattūna(ger. having done)

Ÿ nikam + tvā > nikkamitvā |or| nikkamitūna(ger. having proceeded)

Ÿ su + tvā > sutvā |or| sotūnaṁ |or| suṇitvā |or| suṇitvāna(ger. having heard)

 

2) 절대분사 : 'ya', 'tya'

接頭詞(upasagga)가 있는 어근에 첨부되는 절대분사 조사의 기본형은 'ya'

이다.

v 경우에 따라 'ya' 앞에 음소 'i'가 삽입되기도 한다.

Ÿ nisic + ya > ni+siñc+|i|+ya > nisiñciya(ger. having besprinkled)

Ÿ vijā + ya > vi+jān+|i|+ya > vijāniya(ger. having discerned)

Ÿ samikkh+ya > sam+ekkh+|i|+ya > samekkhiya(ger. having reflected)

v 산스끄리뜨와 달리 빠알리의 경우 접두사가 없는 어근에도 'ya'

가 사용되기도 한다.

Ÿ cint + ya > cint+|i|+ya > cintiya(ger. having thought)

Ÿ bhuj + ya > bhuñj+|i|+ya > bhuñjiya(ger. having eaten)

Ÿ gah + ya > gah+ya > (음소倒置) > gayha(ger. having taken)

일부동사는 특별히 절대분사에 적용되는 고유의 어간을 지닌다.

Ÿ vijā + ya > 'vijānā' +|i|+ya > vijāniya(ger. having discerned)

Ÿ bhuj + ya > 'bhuñja' +|i|+ya > bhuñjiya(ger. having eaten)

Ÿ nisad + ya > 'nisīda' +|i|+ya > nisīdiya(ger. having sat)

어근말음이 모음인 경우 기본형 'ya'와 어근 사이 음소 't'가 삽입되어 'tya'형을 취하기도 하며, 'tya'는 다시 규칙적으로 'cca'로 대체된다.

Ÿ pai + ya > pa+i+|t|+ya > petya > pecca(ger. having departed)

Ÿ paṭii + ya > paṭi+i+|t|+ya > paṭitya > paṭicca(ger. having departed)

v 자음인 어근말음이 탈락되어 말음이 모음으로 변경된 경우에도 'tya'

가 첨부되기도 한다.

Ÿ āhar + ya > ā+ha+|t|+tya > āha+tya > āhacca(ger. having reached)

Ÿ uhan + ya > u+ha+|t|+tya > uha+tya > uhacca(ger. having destroyed)

형성된 절대분사에서 'ya'가 탈락되고 변형된 동사어간만 남은 절대분사로 사용되기도 한다.

Ÿ abhiñā+ya > abhiññāya(ger.) = abhiññā(ger. having known)

Ÿ paṭisaṅkhā+ya > paṭisaṅkhāya(ger.) = paṭisaṅkhā(ger. having pondered)

Ÿ an+upa+ādā+ya > anupādāya(ger.) = anupādā(ger. not having clung)

일부 동사어근의 경우 음소 'i'를 매개체로 하여 두 종류의 절대분사('tvā' & 'ya')를 복합적으로 취하기도 한다.

petya > (0062) > pecya > (正順자음연성) > pecca '.jñā(9. . to know)'는 빠알리에서 'jā'(0638) 'ñā'의 두 가지 형태로 사용된다.

Ÿ āruh+ya+|i|+tvā > āruh+ya+itvā > āruyh+itvā > āruyhitvā(ger. having ascended)

Ÿ ogāh+ya+|i|+tvā > ogāh+ya+itvā > ogāyh+itvā > ogāhitvā(ger. having dived)

기타 상용되는가 불규칙적인 변화형을 갖는 절대분사들

Ÿ ādā + ya > ādāya(ger. having taken)

Ÿ vihā + ya > vihāya(ger. having abandoned)

Ÿ abhiñā + ya > abhiññāya(ger. having known)

Ÿ pavis + ya > pavissa(ger. having entered)

Ÿ nisad + ya > nisajja |or| nisīdiya(ger. having sat)

 

() 절대분사의 용법

절대분사는 어떤 한 행위가 새로운 행위의 시작 전에 일단 완료됨을 나타내며, '~을 하고()' 또는 '~을 한 뒤에'로 풀이된다.

Ÿ so taṁ ukkhipitvā gharaṁ netvā catudhā vibhajitvā dānādīni puññāni katvā yathākammaṁ

gato. : 그는 그것을 들어가지고 집으로 가져와서 네 부분으로 나누어 보시물을 나누는 큰 공덕을 지은 뒤에 (자신이) 원하는대로 갔다.

불변화사 'eva(=va)'는 절대분사와 함께 사용되어 '~하자마자'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Ÿ taṁ vacanaṁ sutvā va, so gato. : 그 소리를 듣자마자(듣고+) 그는 가버렸다.

Ÿ so vāndro attano puttaṁ disvā va,: 그 원숭이는 자신의 자손을 보자마자

불변화사 'api'는 절대분사와 함께 사용되어 '비록 ~하더라도'라는 의미를 나타낸다.

Ÿ akataññū puggalo cakkavattirajjaṁ datvā pi tosetuṁ na sakkā. : 배은망덕한 인간은 轉輪의 왕권이 주어지더라도 만족하기 불가능하다.

절대분사 앞에 부정사 'a'가 첨부되었을 경우 '~없이'라는 의미를 나타낸다.88)

Ÿ papañcaṁ akatvā : 장애를 행하지 않고 장애 없이

Ÿ ekaṁ pi akilametvā : 하나도(한 사람도) 다치게 하지 않고 한 사람도 다침이 없이

일부의 절대분사(ger.)는 전치사(prep.)로도 사용된다.

Ÿ sandhāya(ger. after putting on) > sandhāya(prep. with reference to, concerning)

Ÿ ārabbha( .[ger.] beginning) > ārabbha(prep. concerning, with reference to)

Ÿ sañcicca(adv.[ger.] discriminately, with intention) > sañcicca(prep. intentionally)

Ÿ sallakkhetvā(ger. having observed) > asallakkhetvā(prep. inadvertently, unawares)

Ÿ nissāya(ger. having leaned) > nissāya(prep. leaning on, on account of, through, near)

Ÿ ādāya(ger. having received or taken, taking up) > ādāya(prep. with)

Ÿ paticca(ger. having fell) > paticca(prep. by, through, on account of)

Ÿ ṭhapetvā(ger. leaving out, setting aside) > ṭhapetvā(prep. except, excepting)

일부의 절대분사는 현재분사(pres.p.)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Ÿ idha āgantvā(ger.) ahaṁ coraṁ passiṁ. : 여기에 와서야 나는 도둑을 보았다.

절대분사는 형태의 변화 없이 능동의미는 물론 수동의미로도 사용된다.

Ÿ corajeṭṭhakena gahetvā(ger.): 도적의 수괴에 의해 (+내가) 붙잡혀

Ÿ corajeṭṭhako gahetvā(ger.): 도적의 수괴가 (+나를) 붙잡고

 

() 기타

부정사 'a'가 첨부되는 절대분사의 경우 복합어의 일종인 '否定복합어(Nañsamāsa)'

로 취급되는데, 일반적인 부정복합어는 부정사 'a'에 명사가 첨부되는 반면 이 경우는 절대분사가 첨부되는 특이한 형태를 지닌다.

1) 대부분의 동사어근들은 하나 이상의 절대분사형을 갖는다.

Ÿ dā(1. to give) > datvā, daditvā, daditvāna, dāya.

Ÿ kar(6. to make) > kariya, karitvā, katvā, katvāna, kātūna, kattūna.

Ÿ gah(7. to take) > gayha, haṇhiya, gaṇhitvā.

2) 'tvā''ya' 적용의 혼용

산스끄리뜨의 경우 접두사가 없는 동사에 'tvā'가 사용되고 접두사가 있으면 'ya'가 사용되는 규정이 거의 엄격하게 지켜지는 반면, 빠알리의 경우 그 사용이 자주 혼용된다.

v 접두사가 없는 동사어근임에도 'ya'가 사용된 경우

Ÿ ñā(5. to know) > ñā + ya > ñāya(ger.)

Ÿ cint(7. to think) > cint +|i|+ ya > cintiya(ger.)

Ÿ bhās(1. to speak) > bhās +|i|+ ya > bhāsiya(ger.)

Ÿ bhuj(2. to eat) > bhuñj +|i|+ ya > bhuñjiya(ger.)

Ÿ chad(7. to cover) > chaḍ +|i|+ ya > chaḍḍiya(ger.)

v 접두사가 있는 동사어근임에도 'tvā'가 사용된 경우

Ÿ nisīd(1. to sit) > ni+sīd +|i|+ tvā > nisīditvā(ger.)

Ÿ viraj(1. to detach oneself) > vi+rāje + tvā > virājetvā(ger.)

Ÿ upasankam(1. to approach) > upasaṅ+kam +|i|+ tvā > upasaṅkamitvā(ger.)

3) 불규칙한 모습을 보이는 절대분사들

Ÿ dis > disvā(ger. having seen)

Ÿ anuvid > anuvicca(ger. having known)

Ÿ paāp > pappuyya(ger. having obtained)

Ÿ vinī > vineyya(ger. having removed)

Ÿ gam > gamma(ger. having gone)

Ÿ ākam > akkamma(ger. having trodden)

Ÿ .niści [nicchināti] > niccheyya(ger. having ascertained)

Ÿ .atisṛ [atisarati] > atisitvā(ger. having approached)

 

 


'수행. 정진 > 빨리어 문법, 용어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사  (0) 2016.07.26
준동사 ( 부정사 )  (0) 2016.07.26
동사의 2차 활용  (0) 2016.07.26
동사의 활용  (0) 2016.07.26
동사의 개요  (0) 2016.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