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다눗사띠 3

수행법문- 수행의 실제 (20180414. 울주)

https://youtu.be/0KTy3od3Bcc * 수행의 실제 (20180414. 울주) [몸과 마음에 대한 관찰부터 예비수행까지] 저번 시간까지 "계를 잘 지켜서 마음을 청정히 하라" 하는 얘기까지 했습니다. 수행의 대상은 몇개일까? 위빳사나 수행은 수행의 대상이 몇 개라? (수행자 대답 : 신·수·심·법 4가지입니다.) 4가지? 또 다른 사람은? (수행자 대답 : 오온에서 일어나는 대상은 전부가 대상이 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대상이 여러 가지일 때는 위빳사나 수행쪽으로 흐르기가 쉽고, 수행이 단순하면 사마타 수행으로 흐르기가 쉽습니다. 예를 들어봅시다. 호흡을 관찰하고 있다, 그러면 들이쉬고 내쉬고 아주 단순하죠? 이것만 관찰하고 있으면 사마타로 흐르기가 쉽습니다. 들이쉬고 내쉬고 하는 데서 ..

실-라-눗사띠(sīlānussati, 계수념) (20160116.서울)

https://youtu.be/K5rocGDHasQ?si=QWy45nN38NciEWeJ * 실-라-눗사띠(sīlānussati, 계수념) (20160116.서울) 어쨌든 태국은 잘 다녀왔습니다. 조금 전에 맨 처음 할 때 "상갓사 데마"라고 그렇게 했죠? "상가에 공양올립니다." 그런데 부산이나 대구에서 할 때는 "상갓사 데마"를 안 합니다.보통 테라와다 불교권에서는 스님한테 보시할 때 그 스님이 물어보거든. “이 공양을 상가에게 올리는 것이냐? 아니면 개인에게 올리는 것이냐?” 하고 물어봅니다. 상가에 올린다고 할 것 같으면 그건 당연히 상가를 위해서 쓰여져야 되는 거고, 개인에게 올린다고 할 것 같으면 개인 스님이 적절한 데 써야되는 거고 그렇습니다. 그래서 부산이나 대구 같은 경우에는 우리 선원이니..

기쁨을 증장시키기 위한 11가지 방법 중 세 가지 (20140401)

https://youtu.be/oKL0hMOAq4M * 기쁨을 증장시키기 위한 열한 가지 방법 중 세 가지 (20140401) 저번 시간에 이어서 계속하겠습니다. 오늘 법회 끝나고 나서 밥 먹으면 맛있게 먹고 즐겁고 그럴 겁니다. 또는 보고 싶은 영화를 봐도 즐거움을 느낍니다. 감각기관을 통해서 우리는 즐거움을 느낄 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어쨌든 그렇게 느끼는 즐거움들은 항상 있는 것은 아니죠? 그 즐거움이 변해가는 것이고, 어떤 경우에는 고통스러운 것을 동반하기도 하고 그럽니다. 그것과 반대로 기쁨이라는 것은 어떤 성질을 가지고 있을까? 감각적인 기쁨은 즐거움 하고 비슷한 용어이기 때문에 같은 묶음으로 둡니다. 그런데 여기서 말하는, 칠각지에서 말하는 기쁨을 개발하라고 하는 것은, 그런 감각적인 것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