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리어 3

상기띠 (Saṅgīti : 결집) (20090806)

* 상기띠 (Saṅgīti : 결집) (20090806)https://youtu.be/PYhcBtOG424https://youtu.be/lK2GDw8EcgM 인제 보니까 스님 오타들이 꽤 있네요. 스님이 컴퓨터 하는 법 알아요? 독수리. 그것도 일반적인 독수리가 아니고 위에 화면은 절대 안 보입니다. 밑에 손만 보여. 그것도 하나씩 밖에는 안 보여. 그러니까 내가 사용하는 손가락은 요거 하나뿐이라.(수행자 : 그러면 이거 하는데 며칠 걸릴낀데요?)며칠까지는 안 걸리고 이때까지 나눠주는 게 다 그런 겁니다. 내가 컴퓨터를 잘 해가지고 하는 것은 아니라는 겁니다.배울 생각 없습니다. 중요한 거는 그렇게 해도 아직 불편함을 못 느끼니까, 불편하면 나중에 더 공부를 하겠지. 어쨌든 오자가 있는 것은 어쩔 수가 ..

제1차 결집 (20070913)

* 제1차 결집 (20070913) https://youtu.be/o85L15-vUlo youtu.be/hNt9FvPzYis 자, 1차 결집 한번 보도록 합시다. 빨리어(Pāli), 이제 빨리어 라는 것은 알 겁니다. 경전을 니까야(Nikāya) 라고 그럽니다. 근데 왜 빨리어 니까야를 읽어야 됩니까? 예를 들어보자. 한글로 편하게 근본경전이라고 그럽니다. 아함경(阿含經)입니다. 쉽게 얘기하면 경우는 조금 다르지만, 아함경을 왜 읽어야 되는데? 여러분들 많은 거 읽습니다. 반야심경도 읽고 금강경도 읽고 법화경도 읽고 뭐도 읽고, 많이 읽는데 아함경을 왜 읽어야 되느냐는 거라. (대답) 그럼 뭐 법화경이나 다른 거는 그렇다고 얘기 안 합니까? 대승에서는? 나중에 나왔든 어쨌든 간에 '부처님 말씀이다' 다들..

빨리어(Pāli) 경전이란? (20070927)

* 빨리어(Pāli) 경전이란? (20070927) https://youtu.be/ibjjiYoeXhs youtu.be/1v20AQULhTg 자! 프린트물 한 번 보십시오. 맨 처음에 뭐라고 돼있습니까? 빨리(Pāli) 성전(聖典)의 언어라고 되어있습니다. 언어학의 분류에서 빨리어라는 게 있습니까? 없습니까? 그러면 빨리어 경전에 빨리어라는 단어가 있습니까? 빨리 경전을 안 봤으니까 모르지. 없습니다! 그럼 이 단어는 어디서 나온 겁니까? 빨리어라는 단어는? 경전에도 없고 언어학적인 명칭에도 없고. 물론 분류는 빨리어가 어디에 해당이 된다는 분류는 있습니다. 고대 인도의 쁘라끄리뜨(prakrit) 라고 그럽니다. 속어(俗語)라는 건데 중기 인도 언어의 일종으로써 빨리어라는 건 있습니다. 그거는 분류학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