삐띠 4

빠못자(pāmojja, 환희심) (20180915)

https://youtu.be/lSPudCl1Mrc* 빠못자(pāmojja, 환희심) (20180915) 보통 빠못자(pāmojja)를 환희심, 환희라는 그런 뜻으로 쓰여집니다.쉽게 말하면 빠목카(pamokkha)라고 해가지고 마음이 점차적으로 향상됨으로 인해가지고 일어나는 그런 기쁨들을 얘기합니다. 간단하게 얘기하면 경전에도 보면 왁깔리라고 하는 분이 있습니다. 부처님을 생각하기만 하면 몸에서 이 빠못자가, 마음에서 빠못자가 확 일어나는 거라. 기쁨이 확 일어나는 거라. 그런데 부처님이 없을 때는 그런 환희심이 확 줄어들어서 오히려 실망감으로 바뀌어버리고, 그런 것들은 빠못자라고 얘기를 안 합니다.쉽게 얘기하면 감각적인 것으로 인해서 일어나는 것들은 빠못자의 영역에는 속하지 못한다는 거라. 맛있는 거 ..

5. 경안각지(輕安覺支)-고요한 마음에 도달하는 감동의 길(20180421. 서울)

https://youtu.be/BehjiOqILHs?si=_3U8u86UpEsoF3xy 5. 경안각지(輕安覺支)-고요한 마음에 도달하는 감동의 길(20180421. 서울)  저번 시간에는 삐띠 삼보장가까지 끝났고, 오늘은 빳삿디 삼보장가(passaddhi sambojjhaṅga)입니다. 자칫 발음을 잘못하면 '빠사디' 그렇게 하는 경우들을 많이 보거든요. 빨리어에 '편안하다, 가볍다' 이런 거 할 때 '빠사디'라는 것은 빨리어 단어에 없습니다. 발음을 할 줄 몰라서 아마 그럴 겁니다. 빳삿디 그렇게 읽어야 됩니다. 오늘은 빳삿디-경안각지 부분에 대한 얘기를 하겠습니다.삐띠 경험들은 해봤죠? 삐띠에 차이들이 있죠? 그 차이들이 있다는 걸 뭐로 가지고 알았어요? 어떻게 알았어요? (수행자 대답)뭐 때문에 그..

빠못자(pāmojja, 환희심) (20180915)

youtu.be/lSPudCl1Mrc* 빠못자(pāmojja, 환희심) (20180915) 보통 빠못자(pāmojja)를 환희심, 환희라는 그런 뜻으로 쓰여집니다.쉽게 말하면 빠목카(pamokkha)라고 해가지고 마음이 점차적으로 향상됨으로 인해가지고 일어나는 그런 기쁨들을 얘기합니다.  간단하게 얘기하면 경전에도 보면 왁깔리라고 하는 분이 있습니다. 부처님을 생각하기만 하면 몸에서 이 빠못자가, 마음에서 빠못자가 확 일어나는 거라. 기쁨이 확 일어나는 거라. 그런데 부처님이 없을 때는 그런 환희심이 확 줄어들어서 오히려 실망감으로 바뀌어버리고, 그런 것들은 빠못자라고 얘기를 안 합니다.쉽게 얘기하면 감각적인 것으로 인해서 일어나는 것들은 빠못자의 영역에는 속하지 못한다는 거라. 맛있는 거 먹는다, 아니..

기초수행28. 법념처9. 아나빠나사띠1. 사마타 수행 (20080418)

https://youtu.be/r15wHTDN3uI * 기초수행28. 법념처9. 아나빠나사띠1. 사마타 수행 (20080418) 오늘 이 시간에는 아나빠나사띠 숫따(Ānāpānasati Sutta)라고 하는 출입식념경(出入息念經)을 가지고 사마타 수행에 대한 얘기들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경의 첫머리에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수행자들이여, 여기 한 수행자는 숲속으로 가거나 나무 아래로 가거나 외딴 곳으로 가거라." 하고 얘기합니다. 수행자는, 특히나 출가한 수행자는 숲속에서 혼자서 살아야 되고, 그에 반해서 번뇌를 이기면서 목표한 바를 달성해야 합니다. 사냥꾼들은 숲에 숨어서 야생의 사슴이나 짐승들을 잡습니다. 그와 마찬가지로 수행자들은 명상의 대상을 잘 잡아야 됩니다. 명상의 대상은 네 개로 돼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