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기체질 2

24절기의 유래와 표준시에 대하여

♠ 24절기(節氣) { 출처 : 글쓴이 : 변호사 한 웅} 인간이 역(歷)을 만든 가장 큰 이유는 계절의 변화를 알고 이를 살아가는 데에 이롭게 적용하기 위해서이다. 특히 농경사회에서는 농경의 특성상 계절의 변화에 민감할 수밖에 없었다. 농경사회에서 농사를 짓기 위해서는 씨를 뿌리고 추수를 하기에 가장 좋은 날씨를 알아야 했기 때문이다. 계절은 태양의 운동에 따라 변한다. 그에 따라 만들어진 것이 태양력이다. 그러나 과거 동양(물론 이집트로부터 태양력을 도입하기 이전의 그리스 로마도 마찬가지)에서는 달의 움직임을 근거로 만든 태음력을 사용했기 때문에 달력과 계절이 일치하지 않았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중국에서는 태양의 운동을 반영한 24절기를 고안하여 농사를 짓는 데에 참고하였다. 60갑자와 태..

오운육기의 운행과 추산

*** 오운의 운행과 추산 ** 오운의 추산 오운은 토운, 금운, 수운, 목운, 화운 으로 오행을 태세의 천간 즉 년간에 배합 운용하여 세운과 각 계절의 기후변화에 대한 상변(常: 정상적인 기후변화, 變: 비정상적 기후변화)을 분석 설명하는 것이다. 오운의 추산에는 대운과 주운, 객운의 추산이 있다. * 大運의 추산 대운은 세운 또는 중운이라고도 하며, 그 해의 전반적인 기후변화와 인체 장부작용의 대체적인 정황을 설명할 수 있으며, 동시에 객운을 추측하는데 기초가 된다. 대운의 추산은 첫째, 천간오운화에 따라 변화된 오행으로 판단하여 결정한다. 천간오운화오행 : 갑기합토, 병신합수, 무계합화, 을경합금, 정임합목 둘째, 천간의 음양을 따라 양간이면 태과의 해로, 음간이면 불급의 해로 판단하는데, 예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