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빳사나 수행 3

마음의 도주로 (20081111)

https://youtu.be/pJ8WpsacC7I * 마음의 도주로 (20081111) 마음은 여러분들의 귀에다가 집중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부처님 당시 때 부처님의 시자 중에서 메기야라고 하는 분이 있습니다. 아난다 존자가 부처님 후반기 25년간 시봉을 하기 전에 일입니다. 부처님 말씀을 자꾸 듣다 보니까 굉장히 수행을 하고 싶거든. 그래서 부처님한테 “부처님 저는 저 숲에 들어가서 수행하겠습니다.” 부처님이 그럽니다. “내 옆에 시자가 하나 있어야 되니까 시자가 한사람 올 동안까지만 기다렸다가 숲에 들어가서 수행하라.” 그런데 메기야는 못 참겠는 거라. 수행이 하고 싶어서. 또 부처님한테 간청을 하고, 또 간청을 하고 해서 부처님도 어쩔 수 없이 “수행하러 가라” 하고 보냅니다. 숲에 들어가서 수행..

기초수행19. 위빳사나 수행에 대한 전체적인 설명 (20080118)

https://youtu.be/a9k1o30apsU * 기초수행19. 위빳사나 수행에 대한 전체적인 설명 (20080118) 오늘은 초보자들이 좀 많이 왔는데, 이때까지 몸에 대한 관찰, 느낌에 대한 관찰, 마음에 대한 관찰 이 세 가지를 해왔습니다. 벌써 기간이 한 삼사 개월 흘렀죠? 이제 법에 대한 관찰만 지금 남아있는 상태입니다. 오늘은 앞에 세 가지를 아울러 가지고, 처음 들어온 분들도 있으니까 전체적으로 한번 설명을 하도록 그렇게 하겠습니다. 「아-뚜라-낭히 까- 닛다-(Āturānañhi kā niddā)」 라고 하는 빨리어 경전이 있습니다. 내가 지금 당장 병이 들어있는 환자인데, 이 병을 고치지 않고 뭘 하고 있느냐 하는 겁니다. 병이 들어있는 환자라는 거라. 여러분들 병 안 든 사람 있습..

5. 사띠(sati) (20090630)

https://youtu.be/xnt9HdwCNB4  * 사띠(sati) (20090630)  저번 시간까지 수행의 예비단계에 대한 얘기를 했습니다. 저번 시간에 뭐까지 얘기를 했죠?성인을 비방한 것이 있으면 용서를 구하고, 또 잘못한 사람들에 대해서 자기가 용서하는 마음을 가져라. 참회하고 용서하라 하는 그런 얘기를 했습니다.  부처님 법은 가끔씩 단비에 비유되기도 합니다. 봄에 경작물을 재배할 때는 필수적으로 비가 필요합니다. 그런데 도시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비가 오면 좋지 않죠? 그렇다고 해가지고 비가 안 오게 할 수는 없다는 거라. 농작물을 재배하는 사람들이나 비가 꼭 필요한 곳에서는 비가 반드시 와야 되기 때문에, 법을 설하는데 어떤 특정인을 대상으로 해서 법을 설할 때도 있지만 오늘 여기 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