쩨따나 3

음식과 마음_음식은 마음을 맑고 깨끗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20141016)

https://youtu.be/XNg6Kmvq4Hs* 음식과 마음 (20141016) 수자따 스님이 이야기 ... 이후 10:30부터 부연설명과 함께 스님 법문이 이어집니다... 오늘 어쨌든 스님이 있을 동안에 물어볼 거 있으면 물어보고 따끈따끈한 최신 소식들이니까. 그리고 아까 출가자가 아침저녁 예불을 하는가 하는 질문이 있었는데, 합니다. 그런데 버마의 특징이 외국 스님하고 버마 스님하고는 구분을 합니다. 참 안 좋은 습관인데, 그래서 외국인 스님에게는 그걸 안 시킵니다. 여러 가지 행사들도 참여를 잘 안 시키고, 그래서 안 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실제로는 어떤 경우든지 출가한 스님들은 아침저녁 예불을 합니다. 다른 나라 사람들도 모두, 다른 나라들은 외국인 차별을 안 하기 때문에 똑같이 이렇게 하는데..

cetanā ( 쩨-따나-:의지, 思 ) 2. (20070309)

https://youtu.be/Taxt09YqagI* cetanā ( 쩨-따나-:의지, 思 ) 2. (20070309) 똑같죠? 매번 프린트물 나가는 양보다도 많지는 않습니다. 똑 그마만큼 한 페이지나 한 페이지 반 이렇게 됩니다. 그대신에 이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조금 더 자세하게 해주는 겁니다.  한번 봅시다. 저번 시간까지 한 것이 「심소로서의 쩨-따나-는 기본적이고 근본적인 힘입니다. 그러나 쩨-따나-는 모든 마음에 일어나니까, 거대한 힘이라고 보는 것이 좋습니다.」 거기까지 했죠!그다음에 오늘 부분 해봅시다.「눈을 뜨면 자동적으로 무엇인가가 보입니다.」 교재 보십시요. 그렇게 스님이 적어 놨습니다. 저번 시간에 스님이 설명을 하면서 몸으로 일으키는 의지력, 말로 일으키는 의지력, 또 정신으로 일으..

cetanā ( 쩨-따나-:의지, 思 ) 1. (20070302)

https://youtu.be/QzRPZUZ6kj8[[ 교재 부분 4. cetanā ( 쩨-따나-:의지 思 ) 행위의 동기기능. 의지, 의도, 자극. 마음에는 항상 「마음이 하나 일어났다 사라지면, 또 다른 마음이 일어나지 않을 수 없다」라고 하는 잠재력, 의지력과 같은 것이 일어납니다. 예를 들어 손을 들면, 그대로 계속 올리든지, 멈추든지, 내리든지, 무엇인가 이어집니다. 어떤 것을 할 때 거기에는 「~을 하고자함」이라고 하는 의지가 일어납니다. 사람은 언제든 무엇인가를 하고 싶어 합니다.  심소로써의 쩨-따나-는 기본적이고 근본적인 힘입니다. 그러나 쩨-따나-는 모든 마음에 일어나니까, 거대한 힘이라고 보는 것이 좋습니다. 눈을 뜨면 자동적으로 무엇인가가 보입니다. 그 때라도 마음이 보고 싶은 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