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차결집 2

테라와다불교사-2 (결집 및 제1차 결집) (20160416.서울법회)

https://youtu.be/bVZEsTu_GyA?si=mABo6xKdFJaImmXC * 테라와다불교사-2 (결집 및 제1차 결집) (20160416.서울법회)  오늘 오전에 할 거는 1차 결집 부분입니다. 오후에는 칠각지 부분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저번 달에 프린트물을 내줬기 때문에 결집이 뭔지, 그리고 테라와다 불교사에서 결집이 여섯 번 이루어졌다는 것은 대충 이해를 하고 있을 겁니다. 근본적인 문제를 한번 짚어볼게요. 왜 결집했을까? 왜 결집한 거라? 부처님 법을 그대로 전할려고? 훼손되지 않고 원형 그대로 전할려고? 꼭 그 방법 외에는 없었을까? 결집 이후 상황들을 볼 것 같으면 1차 결집이 부처님 입멸 후에, 2차 결집이 그로부터 100년 후에 있었는데, 근본분열은 언제 일어났냐면 2차 결집이..

제1차 결집 (20070913)

* 제1차 결집 (20070913) https://youtu.be/o85L15-vUlo youtu.be/hNt9FvPzYis 자, 1차 결집 한번 보도록 합시다. 빨리어(Pāli), 이제 빨리어 라는 것은 알 겁니다. 경전을 니까야(Nikāya) 라고 그럽니다. 근데 왜 빨리어 니까야를 읽어야 됩니까? 예를 들어보자. 한글로 편하게 근본경전이라고 그럽니다. 아함경(阿含經)입니다. 쉽게 얘기하면 경우는 조금 다르지만, 아함경을 왜 읽어야 되는데? 여러분들 많은 거 읽습니다. 반야심경도 읽고 금강경도 읽고 법화경도 읽고 뭐도 읽고, 많이 읽는데 아함경을 왜 읽어야 되느냐는 거라. (대답) 그럼 뭐 법화경이나 다른 거는 그렇다고 얘기 안 합니까? 대승에서는? 나중에 나왔든 어쨌든 간에 '부처님 말씀이다' 다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