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 정진/빨리어 삼장(Tipiṭaka)

합송경 3.

담마마-마까 2020. 4. 26. 23:09




saṅgīti sutta』『합송경[DN 33.]

 

tivida / tayo dhammo

 

Atthi kho āvuso tena Bhagavatā jānatā passatā arahatā Sammā-Sam-Buddhena tayo dhammo sammad-akkhāto. Tattha sabbeh'eva saŋgāyitabbaɱ na vivaditabbaɱ, yatha-yidaɱ Brahma-cariyaɱ addhaniyaɱ assa cira-ṭṭhitikaɱ, tad assa bahu-jana-hitāya bahu-jana-sukhāya lokānukampāya atthāya hitāya sukhāya deva-manussānaɱ.

 

세 가지로 구성된 법들

 

도반들이여, 아시고 보시는 분 그분 세존아라한정등각께서는 세 가지로 구성된 법을 분명하게 설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우리 모두는 함께 합송해야 하며, 분쟁을 해서는 안 됩니다. 그래서 이 청정범행이 길이 전해지고 오래 머물게 해야 합니다. 이것이 많은 사람의 이익을 위하고 많은 사람의 행복을 위하고, 세상을 연민하고, 신과 인간의 이상과 이익과 행복을 위하는 것입니다.”

 

Katame tayo?

Tīni akusala-mūlāni:

Lobho akusala-mūlaɱ, doso akusala-mūlaɱ, moho akusala-mūlaɱ.

Tīṇi kusala-mūlāni:

Alobho kusala-mūlaɱ, adoso kusala-mūlaɱ, amoho kusala-mūlaɱ.

Taṇi du-c-caritāni:

Kāya-du-c-caritaɱ, vacī-du-c-caritaɱ, mano-du-c-caritaɱ.

 

Tīṇi sucaritāni:

Kāya-su-caritaɱ, vacī-su-caritaɱ , mano-su-caritaɱ.

Tayo akusala-vitakkā:

Kāma-vitakko, vyāpāda-vitakko, vihiɱsā-vitakko.

Tayo kusalavitakkā:

Nekkhamma-vitakko, avyāpāda-vitakko, avihiɱsā-vitakko.

Tayo akusala-saɱkappā:

Kāma-saɱkappo, vyāpāda-saɱkappo, vihiɱsā-saɱkappo.

Tayo kusala-saɱkappā:

Nekkhamma-saɱkappo, avyāpāda-saɱkappo, avihiɱsā-saɱkapo.

Tisso akusala-saññā:

Kāma-saññā, vyāpāda-saññā, vihiɱsā-saññā.

Tisso kusala-saññā:

Nekkhamma-saññā, avyāpāda-saññā, avihiɱsā-saññā.

Tisso akusala-dhātuyo:

Kāma-dhātu, vyāpāda-dhātu, vihiɱsā-dhātu.

Tisso kusala-dhātuyo:

Nekkhamma-dhātu, avyāpāda-dhātu, avihiɱsā-dhātu.

Aparā pi tisso dhātuyo:

Kāma-dhātu, rūpa-dhātu, arūpa-dhātu.

Aparā pi tisso dhātuyo:

Rūpa-dhātu, arūpa-dhātu, nirodha-dhātu.

Aparā pi tisso dhātuyo:

Hīna dhātu, majjhima dhātu, paṇīta dhātu.

 

그러면 어떤 것이 세 가지로 구성된 법입니까?

(1) 세 가지 해로움의 뿌리(不善根 불선근 akusala-mūla) - 탐욕이라는 해로움의 뿌리, 성냄이라는 해로움의 뿌리, 어리석음이라는 해로움의 뿌리

(2) 세 가지 유익함의 뿌리(善根 선근 kusala-mūla) - 탐욕없 음이라는 유익함의 뿌리, 성냄 없음이라는 유익함의 뿌리, 어리석음 없음이라는 유익함의 뿌리

(3) 세 가지 못된 행위(duccarita) - 몸으로 하는 못된 행위, 말로 하는 못된 행위, 마음으로 하는 못된 행위

(4) 세 가지 좋은 행위(succarita) - 몸으로 하는 좋은 행위, 말로 하는 좋은 행위, 마음으로 하는 좋은 행위

(5) 세 가지 해로운 생각(vitakka) - 감각적 욕망에 대한 생각, 악의에 대한 생각, 해코지에 대한 생각

(6) 세 가지 유익한 생각 - 出離(출리)에 대한 생각, 악의 없음에 대한 생각, 해코지 않음에 대한 생각

(7) 세 가지 해로운 思惟(사유 saɱkappa) - 감각적 욕망에 대한 사유, 악의에 대한 사유, 해코지에 대한 사유

(8) 세 가지 유익한 사유 - 出離(출리)에 대한 사유, 악의 없음에 대한 사유, 해코지 않음에 대한 사유

(9) 세 가지 해로운 認識(인식 saññā) - 감각적 욕망에 대한 인식, 악의에 대한 인식, 해코지에 대한 인식

(10) 세 가지 유익한 인식 - 出離(출리)에 대한 인식, 악의 없음에 대한 인식, 해코지 않음에 대한 인식

(11) 세 가지 해로운 요소(dhātu) - 감각적 욕망에 대한 요소, 악의에 대한 요소, 해코지에 대한 요소

(12) 세 가지 유익한 요소 - 出離(출리)에 대한 요소, 악의 없음에 대한 요소, 해코지 않음에 대한 요소

(13) 다른 세 가지 요소 - 욕계, 색계, 무색계

(14) 또 다른 세 가지 요소 - 색계, 무색계, 滅界(멸계)

(15) 또 다른 세 가지 요소 - 저열한 요소, 중간의 요소, 수승한 요소

 

Tisso taṇhā:

Kāma-taṇhā, bhava-taṇhā, vibhava-taṇhā.

Aparā pi tisso taṇhā:

Kāma-taṇhā, rūpa-taṇhā, arūpa-taṇhā.

Aparā pi tisso taṇhā:

Rūpa-taṇhā, arūpa-taṇhā, nirodha-taṇhā.

Tīṇi saŋyojanāni:

Sakkāya-diṭṭhi, vicikicchā, sīla-b-bata-parāmāso.

Tayo āsavā:

Kām'āsavo, bhav'āsavo, avijj-ā-savo.

Tayo bhavā:

Kāma-bhavo, rūpa-bhavo, arūpa-bhavo.

Tisso esanā:

Kām'esanā, bhav'esanā, brahma-cariy'esanā.

Tisso vidhā:

'Seyyo'ham asmī' ti vidhā. 'Sadiso'ham asmī' ti vidhā. 'Hīno'ham asmī' ti vīdhā.

Tayo addhā:

Atīto addhā, anāgato addhā, pacc'uppanno addhā.

Tayo antā:

Sakkāyo anto, sakkāya-samudayo anto, sakkāya-nirodho anto.

Tisso vedanā:

Sukhā vedanā, dukkhā vedanā, adukkha-m-asukhā vedanā.

Tisso dukkhatā:

Dukkha-dukkhatā, sankhāra-dukkhatā, vipariṇāma-dukkhātā.

 

(16) 세 가지 갈애(taṇhā) - 감각적 욕망에 대한 갈애(欲愛(욕애), 존재에 대한 갈애(有愛(유애),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한 갈애(無有愛(무유애)

Kāma-taṇhā, bhava-taṇhā, vibhava-taṇhā.

(17) 다른 세 가지 갈애 - 욕계에 대한 갈애, 색계에 대한 갈애, 무색계에 대한 갈애

(18) 또 다른 세 가지 갈애 - 색계에 대한 갈애, 무색계에 대한 갈애, 소멸에 대한 갈애

(19) 세 가지 족쇄(saŋyojana)- 有身見(유신견), 의심, 계율과 의식에 대한 집착(戒禁取(계금취)

(20) 세 가지 번뇌(āsava) - 감각적 욕망에 기인한 번뇌, 존재에 기인한 번뇌, 무명에 기인한 번뇌

(21) 세 가지 존재(() bhava) - 욕계의 존재, 색계의 존재, 무색계의 존재

(22) 세 가지 추구(esanā) - 감각적 욕망의 추구, 존재의 추구, 청정범행의 추구

(23) 세 가지 [자만하는] 방법(vidha) - ‘내가 더 뛰어나다는 방법, ‘나와 동등하다는 방법, ‘내가 더 못하다는 방법

(24) 세 가지 시간(addhā) - 과거의 시간, 미래의 시간, 현재의 시간

(25) 세 가지 구분(anta) -有身(유신)에 대한 구분, 유신의 일어남에 대한 구분, 유신의 소멸에 대한 구분

(26) 세 가지 느낌(vedanā) - 즐거운 느낌樂受(락수), 괴로운 느낌苦受(고수),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不苦不樂受 불고불락수)

(27) 세 가지 괴로움의 성질(dukkhatā) - 고통스러운 괴로움의 성질(苦苦性 고고성), 형성된 괴로움의 성질(行苦性 행고성), 변화에 기인한 괴로움의 성질(壞苦性 괴고성)

 

Tayo rāsī:

Micchatta-niyato rāsi, sammatta-niyato rāsi, aniyato rāsi.

Tisso kaŋkhā:

Atītaɱ vā addhānaɱ ārabbha kankhati vici-kicchati nādhi-muccati na sampasīdati. Anāgataɱ vā addhānaɱ ārabbha kankhati vici-kicchati nādhi-muccati na sampasīdati. Etarahi vā pacc'uppannaɱ addhānaɱ ārabbha kankhati vici-kicchati nādhi-muccati na sampasīdati.

Tīni Tathāgatassa arakkheyyāni:

Parisuddha-kāya-samā-cāro āvuso Tathāgato, n'atthi Tathāgatassa kāya-du-c-caritaɱ yaɱ Tathāgato rakkheyya 'Mā me idaɱ paro aññāsī' ti.

Parisuddha-vacī-samā-cāro āvuso Tathāgato, n'atthi Tathāgatassa vacī-du-c-caritaɱ yaɱ Tathāgato rakkheyya 'Mā me idaɱ paro aññāsī' ti.

Parisuddha-mano-samā-cāro āvuso, Tathāgato, n'atthi Tathāgatassa mano-du-c-caritaɱ yaɱ Tathāgato rakkheyya 'Mā me idaɱ paro aññāsī' ti.

Tayo kiñ canā:

Rāgo kiñ canaɱ, doso kiñ canaɱ, moho kiñ canaɱ.

Tayo aggī:

Rāgaggī, dos'aggi, moh'aggi.

Apare'pi tayo aggī:

Āhuneyyaggi, gahapat'aggi, dakkiṇeyyaggi.

Tividhena rūpa-saŋgaho:

Sanidassana-sappaṭighaɱ rūpaɱ, anidassana-sappaṭighaɱ rūpaɱ, anidassana-appaṭighaɱ rūpaɱ.

Tayo sankhārā(saŋkhārā):

Puññābhisankhāro, apuññ-ā-bhisankhāro, āneñj-ā-bhisankhāro.

 

(28) 세 가지 더미(rāsi) - 그릇된 것으로 확정된 더미, 바른 것으로 확정된 더미, 확정되지 않은 더미

(29) 세 가지 어두움(tama) - 과거를 두고 회의하고 의심하고 확신을 가지지 못하고 신뢰하지 못함, 미래를 두고 회의하고 의심하고 확신을 가지지 못하고 신뢰하지 못함, 현재를 두고 회의하고 의심하고 확신을 가지지 못하고 신뢰하지 못함

(30) 세 가지 여래가 감추지 않는 것(arakkheyya) - 도반들이여, 여래는 몸의 품행이 청정하시기 때문에 남이 이러한 나에 대해서 알지 못하기를이라고 감추어야만 하는 몸으로 하는 나쁜 행위란 없습니다.

도반들이여, 여래는 말의 품행이 청정하시기 때문에 남이 이러한 나에 대해서 알지 못하기를이라고 감추어야만 하는 말로 하는 나쁜 행위란 없습니다.

도반들이여, 여래는 마음의 품행이 청정하시기 때문에 남이 이러한 나에 대해서 알지 못하기를이라고 감추어야만 하는 마음으로 하는 나쁜 행위란 없습니다.

(31) 세 가지 장애 - 욕망의 장애, 성냄의 장애, 어리석음의 장애

(32) 세 가지 불(aggi) - 욕망의 불, 성냄의 불, 어리석음의 불

(33) 다른 세 가지 불 - 헌공하는 불, 家長(가장)의 불, 보시의 불

(34) 세 종류의 물질의 조합(rūpa-saŋgaha) - 볼 수도 있고 부딪힘도 있는 물질, 볼 수는 없으나 부딪힘은 있는 물질, 볼 수도 없고 부딪힘도 없는 물질

(35) 세 가지 의도적 행위(saŋkhāra) - 공덕이 되는 행위(功德行(공덕행), 공덕이 되지 않는 행위(非功德行(비공덕행), 흔들림이 없는 행위

 

Tayo puggalā:

Sekkho puggalo, asekkho puggalo, n'eva sekkho nāsekkho puggalo.

Tayo therā:

Jāti-thero, dhamma-thero, sammati-thero.

Tīṇi puñña-kiriya-vatthūni:

Dāna-mayaɱ puñña-kiriya-vatthu, sīla-mayaɱ puñña-kiriya-vatthu, bhāvanā-mayaɱ puñña-kiriya-vatthu.

Tīṇi codanā-vatthūni:

Diṭṭhena, sutena, parisaɱkāya.

Tisso kām'ūpapattiyo:

Sant'āvuso sattā pacc'upaṭṭhita-kāmā, te pacc'upaṭṭhitesu kāmesu vasaɱ vattenti seyyathā pi manussā ekacco ca devā ekacce ca vinipātikā. Ayaɱ paṭhamā kām'ūpapatti.

Sant'āvuso sattā nimmita-kāmā, te nimminitvā nimminitvā kāmesu vasaɱ vattenti seyyathā pi devā Nimmāṇa-ratī. Ayaɱ dutiyā kām'ūpapatti.

Sant'āvuso sattā para-nimmita-kāmā. te para-nimmitesu kāmesu vasaɱ vattenti, seyyathā pi devā Paranimmita-vasavattī. Ayaɱ tatiyā kām'ūpapatti.

Tisso sukhūpapattiyo:

Sant'āvuso sattā uppādetvā uppādetvā sukhaɱ viharanti, seyyathā pi devā Brahma-kāyikā. Ayaɱ paṭhamā sukhūpapatti.

Sant'āvuso sattā sukhena abhi'ssannā parissannā paripūrā paripphuṭā, te kadāci karahaci udānaɱ udānenti 'Aho sukhaɱ aho sukhan' ti, seyyathā pi devā Ābhassarā. Ayaɱ dutiyā sukhūpapatti.

Sant'āvuso sattā sukhena abhi'ssannā parissannā paripūrā paripphuṭā, tesan tam yeva Tusitā sukhaɱ paṭisaŋvedenti, seyyathā pi devā Subhakiṇhā. Ayaɱ tatiyā sukhūpapatti.

 

(36) 세 가지 인간(puggala) - 유학의 인간, 무학의 인간, 유학도 무학도 아닌 인간

(37) 세 가지 장로(thera) - 연로한[재가자], 법다운 장로, 인습적으로 부르는 장로

(38) 세 가지 공덕행의 토대(puñña-kiriya-vatthu) - 보시로 이루어진 공덕행의 토대, 계로 이루어진 공덕행의 토대, 수행으로 이루어진 공덕행의 토대

(39) 세 가지 질책의 토대(codan-vatthu)-vatthu) - 본 것에 의해서, 들은 것에 의해서, 의심에 의해서

(40) 세 가지 감각적 욕망의 일어남(kāmūpapatti) - 도반들이여, 감각적 욕망에 얽매인 중생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감각적 욕망에 얽매여서 감각적 욕망에 종속되어 버립니다. 예를 들면 인간들과 일부 신들과 악처에 떨어진 자들입니다. 이것이 첫 번째 감각적 욕망의 일어남입니다.

도반들이여, [자기가] 창조한 것에 대한 감각적 욕망을 가진 중생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여러 가지 {색깔 등을] 창조해 놓고 [그런 것에 대한] 감각적 욕망에 종속되어 버립니다. 예를 들면 化樂天(화락천)의 신들과 같습니다. 이것이 두 번째 감각적 욕망의 일어남입니다.

도반들이여, 남들이 창조한 것에 대한 감각적 욕망을 가진 중생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남들이 창조한 [그런 것에 대한] 감각적 욕망에 종속되어 버립니다. 예를 들면 他化自在天(타화자재천)의 신들과 같습니다. 이것이 세 번째 감각적 욕망의 일어남입니다.

(41) 세 가지 행복의 일어남(sukhūpapatti) - 도반들이여, [초선의] 행복을 계속해서 일어나게 한 뒤 머무는 자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범중천의 신들입니다. 이것이 첫 번째 행복의 일어남입니다.

도반들이여, [二禪(이선)에 기인한] 행복을 흐르게 하고 흠뻑 젖게 하고 가득 채우고 가득 닿게 하는 자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언제 어디서든 ! 행복한지고, ! 행복한지고라고 감흥어를 읊습니다. 예를 들면 광음천의 신들입니다. 이것이 두 번째 행복의 일어남입니다.

도반들이여, [三禪(삼선)에 기인한] 행복을 흐르게 하고 흠뻑 젖게 하고 가득 채우고 가득 닿게 하는 자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지족하면서 [三禪(삼선)에 기인한] 오직 평화로운 행복을 경험합니다. 예를 들면 변정천의 신들입니다. 이것이 세 번째 행복의 일어남입니다.

 

Tisso paññā:

Sekkhā paññā, asekkhā paññā, n'eva sekkhā nāsekkhā paññā.

Aparā pi tisso paññā:

Cintā-mayā paññā, suta-mayā paññā bhāvanā-mayā paññā.

Tīṇ'āvudhāni:

Sutāvudhaɱ, pavivekāvudhaɱ, paññāvudhaɱ.

Tīṇ'indriyāni:

Anaññātaɱ-ñassāmīt-indriyaɱ, aññ'indriyaɱ, aaññātāv'indriyaɱ.

Tīṇi cakkhuni:

Maɱsa-cakkhu, dibba-cakkhu, paññā-cakkhu.

Tisso sikkhā:

Adhisīla-sikkhā, adhicitta-sikkhā, adhipaññā-sikkhā.

Tisso bhāvanā:

Kāya-bhāvanā, citta-bhāvanā, paññā-bhāvanā.

Tīṇanuttariyāni:

Dassan'ānuttariyaɱ, paṭipadānuttariyaɱ, vimuttānuttariyaɱ.

Tayo samādhi:

Sa-vitakko sa-vicāro samādhi, avitakko vicāra-matto samādhi, avitakko avicāro sāmādhi.

Apare pi tayo samādhi:

Suññato samādhi, animitto samādhi, appaṇihito samādhi.

Tīṇi soceyyāni:

Kāya-soceyyaɱ vacī-soceyyaɱ mano-soceyyaɱ.

 

(42) 세 가지 통찰지(般若(반야) paññā) - 유학의 통찰지, 무학의 통찰지, 유학도 무학도 아닌 자의 통찰지

(43) 또 다른 세 가지 통찰지 - 생각으로 얻은 통찰지, 들어서 얻은 통찰지, 수행으로 얻은 통찰지

(44) 세 가지 무기(武器 āvudha) - 배움의 무기, 떨쳐버림의 무기, 통찰지의 무기

(45) 세 가지 기능(() indriya) - 구경의 지혜를 가지려는 기능(미지당지근 未知當知根), 구경의 지혜의 기능(이지근 已知根), 구경의 지혜를 구족한 자의 기능(구지근 具知根)

(46) 세 가지 눈(cakkhu) - 육체적인 눈(肉眼(육안), 하늘의 눈(天眼(천안), 통찰지의 눈(慧眼(혜안)

(47) 세 가지 공부지음(sikkhā) - 높은 계를 공부지음(증상계학 增上戒學), 높은 마음을 공부지음(증상심학 增上心學), 높은 통찰지를 공부지음(증상혜학 增上慧學)

(48) 세 가지 수행(bhāvanā) - 몸의 수행, 마음의 수행, 통찰지의 수행

(49) 세 가지 위없음(無上(무상) anuttariya) - 견해의 위없음, 도닦음의 위없음, 해탈의 위없음

(50) 세 가지 삼매(samādhi) - 일으킨 생각과 지속적인 고찰이 있는 삼매, 일으킨 생각은 없고 지속적인 고찰만 있는 삼매, 일으킨 생각도 지속적인 고찰도 없는 삼매

(51) 또 다른 세 가지 삼매 - 공한 삼매, 표상없는 삼매, 원함없는 삼매

(52) 세 가지 깨끗함(soceyya) - 몸을 깨끗이 함, 말을 깨끗이 함, 마음을 깨끗이 함

 

Tīṇi moneyyāni:

Kāya-moneyyaɱ, vacī-moneyyaɱ, mano-moneyyaɱ.

Tīṇi kosallāni:

Āya-kosallaɱ apāya-kosallaɱ upāya-kosallaɱ.

Tayo madā:

Ārogya-mado yebbana-mado jīvita-mado.

Tīṇādhipateyyāni:

Attādhipateyyaɱ, lokādhipateyyaɱ, dhammādhipateyyaɱ.

Tīṇi kathā-vatthūni:

Atītaɱ vā addhānaɱ ārabbha kathaɱ katheyya: 'Evaɱ ahosi atītaɱ addhānan' ti. Anāgataɱ vā addhānaɱ ārabbha kathaɱ katheyya: 'Evaɱ bhavissati anāgataɱ addhānan' ti. Etarahi vā pacc'uppannaɱ adhānaɱ ārabbha kathaɱ katheyya: 'Evaɱ hoti etarahi pacc'uppannaɱ' ti.

Tisso vijjā:

Pubbe-nivāsānussati-ñāṇaɱ vijjā, sattānaɱ cutūpapāte ñāṇaɱ vijjā, āsavānaɱ khaye ñāṇaɱ vijjā.

Tayo vihārā:

Dibbo vihāro, Brahma-vihāro, ariyo vihāro.

Tīṇi pāṭihāriyāni:

Iddhi-pāṭihāriyā, ādesanā-pāṭihāriyaɱ, anusāsanī-pāṭihāriyaɱ.

 

(53) 세 가지 성자에게 어울리는 행위(moneyya) - 성자에게 어울리는 몸의 행위, 성자에게 어울리는 말의 행위, 성자에게 어울리는 마음의 행위

(54) 세 가지 능숙함(kosalla) - 향상에 대해서 능숙함, 퇴보에 대해서 능숙함, 수단에 대해서 능숙함

(55) 세 가지 교만(mada) - 건강에 대한 교만, 젊음에 대한 교만, 목숨에 대한 교만

(56) 세 가지 우선한 것(ādhipateyya) - 자기를 우선한 것, 세상을 우선한 것, 법을 우선한 것

(57) 세 가지 이야기의 토대(kathā-vatthu) - 과거를 두고 과거에 이러한 것이 있었다라고 이야기를 하는 것, 미래를 두고 미래에 이러한 것이 있을 것이다라고 이야기를 하는 것, 현재를 두고 현재에 이러한 것이 있다라고 이야기를 하는 것.

(58) 세 가지 영지(靈知, , vijjā) - 전생을 기억하는 지혜(숙명통 宿命通), 죽음과 다시 태어남을 아는 지혜(천안통 天眼通), 번뇌를 소멸하는 지혜(누진통 漏盡通)

(59) 세 가지 머묾(vihāra) - 신통한 머묾, 거룩한 머묾, 성스러운 머묾

(60) 세 가지 신통의 기적(pāṭihāriyā) - 신통변화(천족통 天足通), 남의 마음을 알아 드러내는 기적(관찰타심신변 觀察他心神變), 가르침의 기적(교계신변 敎誡神變)

 

Ime kho āvuso tena Bhagavatā jānatā passatā arahatā Sammā-Sam-Buddhena tayo dhammo sammad-akkhāto. Tattha sabbeh'eva saŋgāyitabbaɱ na vivaditabbaɱ, yatha-yidaɱ Brahma-cariyaɱ addhaniyaɱ assa cira-ṭṭhitikaɱ, tad assa bahu-jana-hitāya bahu-jana-sukhāya lokānukampāya atthāya hitāya sukhāya deva-manussānaɱ.

 

도반들이여, 이것이 아시고 보시는 분 그분 세존아라한정등각께서 분명하게 설하신 세 가지로 구성된 법입니다. 그러므로 우리 모두는 함께 합송해야 하며, 분쟁을 해서는 안 됩니다. 그래서 이 청정범행이 길이 전해지고 오래 머물게 해야 합니다. 이것이 많은 사람의 이익을 위하고 많은 사람의 행복을 위하고, 세상을 연민하고, 신과 인간의 이상과 이익과 행복을 위하는 것입니다.”

 

 

* 로만 빠알리 원문은 http://obo.genaud.net

* 디가니까야 DN33. 합송경 한글번역은 초기불전연구회 각묵스님 역


 

모두 평온하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