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 정진/빨리어 삼장(Tipiṭaka)

Dīgha Nikāya - Saŋgīti Suttantaɱ (합송경) 1. 2.

담마마-마까 2020. 4. 14. 15:52


Dīgha Nikāya

Sutta 33

Saŋgīti Suttantaɱ

Adapted from the digital version of the Sri Lanka Buddha Jayanti Tripitaka Series

 


[207]

[Nidana][pts][bhod][olds] EVAṂ ME SUTAṂ:

Ekaɱ samayaɱ Bhagavā Mallesu cārikaɱ caramāno mahatā bhikkhu-saŋghena saddhiɱ pañca-mattehi bhikkhu-satehi yena Pāvā nāma Mallānaɱ nagaraɱ tad avasarī.

Tatra sudaɱ Bhagavā Pāvāyaɱ viharati Cundassa kammāra-puttassa amba-vane.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한때 세존께서는 말라에서 500명 정도의 많은 비구 승가와 함께 유행(遊行)하시다가 빠와라는 이름의 말라들의 도시에 도착하셨다. 세존께서는 거기 빠와에서 대장장이의 아들 쭌다의 망고 숲에 머무셨다.


Tena kho pana samayena Pāveyyakānaɱ Mallānaɱ Ubbhatakaɱ nama navaɱ santhāgāraɱ acira-kāritaɱ hoti anajjhāvutthaɱ Samaṇena vā Brāhmaṇena vā kenaci vā manussa-bhūtena.

Assosuɱ kho Pāveyyakā Mallā:

Bhagavā kira Mallesu cārikaɱ caramāno mahatā bhikkhu-saŋghena saddhiɱ pañca-mattehi bhikkhu-satehi Pāvaɱ anuppatto Pāvāyaɱ viharati Cundassa kammāra-puttassa amba-vane' ti.

Atha kho Pāveyyakā Mallā yena Bhagavā ten'upasankamisu,
upasankamitvā Bhagavantaɱ abhivādetvā eka-m-antaɱ nisīdiɱsu.

Eka-m-antaɱ nisinnā kho Pāveyyakā Mallā Bhagavantaɱ etada vocuɱ:


'Idha bhante Pāveyyakānaɱ Mallānaɱ Ubbhatakaɱ nama navaɱ santhāgāraɱ acira-kāritaɱ anajjhāvutthaɱ Samaṇena vā Brāhmaṇena vā kenaci vā manussa-bhūtena.

Taɱ bhante Bhagavā paṭhamaɱ paribhuñjatu,
Bhagavatā paṭhamaɱ paribhuttaɱ paccā Pāveyyakānaɱ Mallānaɱ dīgha-rattaɱ hitāya sukhāyā' ti.

Adhivāsesi Bhagavā tuṇhī-bhāvena.


그 무렵 빠와에 사는 말라들이 웁바따까라는 새 공화당을 지은 지 오래되지 않았는데 사문이나 바라문이나 어떤 다른 사람도 아직 사용하지 않았다. 빠와에 사는 말라들은 세존께서는 500명 정도의 많은 비구 승가와 함께 말라에서 유행하시다가 빠와라는 말라들의 도시에 도착하셔서 빠와에서 대장장이의 아들 쭌다의 망고 숲에 머무신다.’라고 들었다. 그래서 빠와에 사는 말라들은 세존을 뵈러갔다. 가서는 세존께 절을 올리고 한 곁에 앉았다. 한 곁에 앉아서 빠와에 사는 말라들은 세존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여기 빠와에 사는 말라들은 웁바따까라는 새 공화당을 지은 지 오래되지 않았습니다. 아직 사문이나 바라문이나 어떤 다른 사람도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세존이시여, 부디 세존께서 그것을 처음 사용해 주십시오. 세존께서 처음으로 사용하시고 난 후에 저희 빠와에 사는 말라들이 사용하려 합니다. 그러면 그것은 빠와에 사는 말라들에게 오래 세월 이익이 되고 행복이 될 것입니다.”

세존께서는 침묵으로 허락하셨다.


Atha kho Pāveyyakā Mallā Bhagavato adivāsanaɱ viditvā,
uṭṭhāy'āsanā Bhagavantaɱ abhivādetvā,
padakkhiṇaɱ katvā yena santhāgāraɱ ten'upasankamiɱsu,

upasankamitvā sabba-santhariɱ santhāgaraɱ santharāpetvā āsanāni paññapetvā,
udaka-maṇikaɱ patiṭṭhāpetvā,
tela-p-padīpaɱ āropetvā,
yena Bhagavā ten'upasankamiɱsu.

Upasaŋkamitvā Bhagavantaɱ abhivādetvā eka-m-antaɱ aṭṭhaɱsu.

Eka-m-antaɱ ṭhitā kho te Pāveyyakā Mallā Bhagavantaɱ etad avocuɱ:


'Sabba-santhariɱ santhataɱ bhante santhāgāraɱ,
āsanāni paññattāni,
udaka-maṇiko patiṭṭhāpito,
tela-p-padīpo āropito,
yassa dāni bhante Bhagavā kālaɱ maññatī' ti.


그러자 빠와에 사는 말라들은 세존께서 허락을 하신 것을 알고 자리에서 일어나 세존께 절을 올리고 오른쪽으로 세 번 돌아 경의를 표한 뒤에 공회당으로 갔다. 가서는 강당을 덮개로 완전하게 덮고 자리를 준비하고 물 항아리를 마련하고 기름 등불을 매단 뒤 세존께로 갔다. 가서는 세존께 절을 올린 뒤 한 곁에 섰다. 한 곁에 선 그 빠와에 사는 말라들은 세존께 이렇게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강당을 덮개로 완전하게 덮고 자리를 준비하고 물 항아리를 마련하고 기름 등불을 매달았습니다. 세존이시여, 지금이 세존께서는 적당한 시간을 고려하소서.”


Atha kho Bhagavā nivāsetvā patta-cīvaram ādāya saddhiɱ bhikkhu-saŋghena yena santhāgāraɱ ten'upasankami.

Upasaŋkamitvā pāde pakkhāletvā santhāgāraɱ pavisitvā majjhimaɱ-thamhaɱ nissāya puratthābhimukho nisīdi.

Bhikkhu-saŋgho pi pāde pakkhāletvā sathāgāraɱ pavisitvā pacchimaɱ bhittiɱ nissāya puratthā-

bhimukho nisīdi Bhagavantaɱ yeva purakkhatvā.

Pāveyyakā pi kho Mallā pāde pakkhāletvā santhāgāraɱ pavisitvā puratthimaɱ bhittiɱ nissāya pacchābhimukhā nisīdiɱsu Bhagavantaɱ yeva purakkhatvā.

Atha kho Bhagavā Pāveyyake Malle bahud evā rattiɱ dhmmiyā kathāya sanda-s-setvā samāda-petvā samutte-chetvā sampahaɱ-setvā uyyojesi:

'Abhikkantā kho Vāseṭṭhā ratti,
yassa dāni tumhe kālaɱ maññathā' ti.

'Evaɱ bhante' ti kho Pāveyyakā Mallā Bhagavato paṭissutvā uṭṭhāy'āsanā Bhagavantaɱ abhivādetvā padakkhiṇaɱ katvā pakkamiɱsu.


그러자 세존께서는 옷매무새를 가다듬고 발우와 가사를 수하시고 비구승가와 더불어 공회당으로 가셨다. 가셔서는 발을 씻으시고 공회당으로 들어가셔서 중간 기둥 곁에 동쪽을 향하여 앉으셨다. 비구들도 역시 발을 씻고 공회당으로 들어가서 서쪽 벽 근처에 동쪽을 향하여 세존을 앞에 모시고 앉았다. 빠와에 사는 말라들도 역시 발을 씻고 공회당으로 들어가서 동쪽 벽 근처에 서쪽을 보고 세존을 앞에 모시고 앉았다.

그러자 세존께서는 빠와에 사는 말라들에게 밤늦게 오래도록 법을 설하시고 격려하시고 분발하게 하시고 기쁘게 하신 뒤 그들을 가게 하셨다. “와셋타들이여, 밤이 깊었다. 이제 그대들이 갈 시간이 되었구나.”

그러겠습니다, 세존이시여.”라고 빠와의 말라들은 세존께 대답을 한 뒤 자리에서 일어나 세존께 절을 올리고 오른쪽으로 세 번 돌아 경의를 표한 뒤에 물러갔다.


Atha kho Bhagavā acira-pakkantesu Mallesu tuṇhī-bhūtaɱ tuṇhī-bhūtaɱ bhikkhu-sanghaɱ anuviloketvā āyasmantaɱ Sāriputtaɱ āmantesi:

'Vigata-thina-middho kho Sāriputta bhikkhu-saŋgho, paṭibhātu taɱ Sāriputta bhikkhūnaɱ dhammi-kathā.

Piṭṭhi me āgilāyati,
tam ahaɱ āyamissāmī" ti.

'Evaɱ bhante' ti kho āyasmā Sāriputto Bhagavato paccassosi.

Atha kho Bhagavā catugguṇaɱ sanghāṭiɱ paññapetvā dakkiṇena passena sīha-seyyaɱ kappesi,
pāde pādaɱ accādhāya sato sampajāno uṭṭhāna-saññaɱ manasi-karitvā.


세존께서는 빠와에 사는 말라들이 나간 뒤 오래지 않아서, 침묵에 침묵이 흐르고 있는 비구 승가를 둘러보신 뒤 사리뿟따 존자를 불러서 말씀하셨다. 사리뿟따여, 비구 승가는 해태와 혼침이 없구나. 사리뿟따여, 그대가 이런 비구들에게 법문을 들려주어라. 나는 등이 아프구나. 그래서 좀 쉬어야겠다.” “그렇게 하겠습니다, 세존이시여.”라고 사리뿟따 존자는 세존께 대답했다.

그러자 세존께서는 가사를 네 겹으로 접어서 자리를 만들게 하신 뒤 발로써 발을 포개고 마음챙기고 알아차리시면서 일어날 시간을 인식하여 마음에 잡도리 하신 뒤, 오른쪽 옆구리를 아래로 하고 사자처럼 누우셨다.


Tena kho pana samayena Nigaṇṭho Nāta-putto

Pāvāyaɱ adhunā kāla-kato hoti.

Tassa kāla-kiriyāya bhinnā Nigaṇṭhā dvedhika-jātā bhaṇḍana-jātā kalaha-jātā vivādāpannā añña-maññaɱ mukha-sattīhi vitudantā viharanti:

'Na tvaɱ imaɱ Dhamma-Vinayaɱ ājānāsi!'

'Ahaɱ imaɱ dhamma-viyanaɱ ājānāmi!

Kiɱ tvaɱ imaɱ Dhamma-Vinayaɱ ājānissasi?

Micchā-paṭipanno tvam asi,
aham asmi sammā-paṭipanno sahitam me asaɱhitan te,
pure vacanīyaɱ pacchā avaca,
pacchā vacanīyaɱ pure avaca,
āvicinnan te viparāvattaɱ,
āropito te vādo,
niggahito'si,
cara vāda-ppamokkhāya,
nibbeṭhehi va sace pahosī' ti.


Vadho yeva kho maññe Nigaṇṭhesu Nāta-puttiyesu vattati.

Ye pi te Nigaṇṭhassa Nātaputtassa sāvakā gihī odāta-vasanā,
te pi Nigaṇṭhesu Nāta-puttiyesu nibbinna-rūpā paṭivāna-rūpā yathā taɱ durakkhāte Dhamma-Vinaye duppavedite aniyyānike anupasama-saŋvatta-nike a-Sammā-Sambuddha-ppavadite bhinna-thūpe appaṭi-saraṇe.


그 무렵에 니간타 나따뿟다가 빠와에서 막 임종하였다. 그가 임종하자 니간타들은 서로 분열하여 둘로 갈라져서 입의 칼로써 서로 찌르며 지내고 있었다.

그대는 이 법()과 율()을 제대로 모른다. 나는 이 법과 율을 제대로 안다.’, ‘어찌 그대가 이 법과 율을 제대로 알겠는가?’, ‘그대는 그릇된 도를 닦는 자이고 나는 바른 도를 닦는 자이다.’, ‘내 말은 일관되지만 그대는 일관되지 않는다.’, ‘그대는 먼저 설해야 할 것을 뒤에 설했고 뒤에 설해야 할 것을 먼저 설했다.’, ‘그대가 오랫동안 주장해 오던 것은 한마디로 논파되었다.’, ‘나는 그대의 교설의 허점을 지적했다. 그대는 패했다. 비난으로부터 도망가라. 혹은 만약 할 수 있다면 지금 설명해 보라.’라고.

 

니간타 나따뿟따의 제자들 사이에서는 오직 다툼만이 있는 듯하였다. 니간타 나따뿟따의 흰 옷을 입은 재가 제자들도 니간타 나따뿟따의 제자들에게 넌더리를 내고 질려버리고 실망한 모습이 역력했다.

그것은 법()과 율()이 제대로 설해지지 못하고 잘못 선언되고 출리로 인도하지 못하고 고요에 이바지하지 못하고 바르게 깨달은 분[정등각(正等覺)]에 의해서 선언된 것이 아니며 탑이 부서진 것이고 귀의처가 없게 된 경우에 속하였기 때문이다.


Atha kho āyasmā Sāriputto bhikkhū āmantesi:

Nigaṇṭho āvuso Nāta-putto Pāvāyaɱ adhunā kāla-kato hoti.

Tassa kāla-kiriyāya bhinnā Nigaṇṭhā dvedhika-jātā bhaṇḍana-jātā kalaha-jātā vivādāpannā añña-maññaɱ mukha-sattīhi vitudantā viharanti:

'Na tvaɱ imaɱ Dhamma-Vinayaɱ ājānāsi!'

'Ahaɱ imaɱ dhamma-viyanaɱ ājānāmi!

Kiɱ tvaɱ imaɱ Dhamma-Vinayaɱ ājānissasi?

Micchā-paṭipanno tvam asi,
aham asmi sammā-paṭipanno sahitam me asaɱhitan te,
pure vacanīyaɱ pacchā avaca,
pacchā vacanīyaɱ pure avaca,
āvicinnan te viparāvattaɱ,
āropito te vādo,
niggahito'si,
cara vāda-ppamokkhāya,
nibbeṭhehi va sace pahosī' ti.


Vadho yeva kho maññe Nigaṇṭhesu Nāta-puttiyesu vattati.

Ye pi te Nigaṇṭhassa Nātaputtassa sāvakā gihī odāta-vasanā,
te pi Nigaṇṭhesu Nāta-puttiyesu nibbinna-rūpā paṭivāna-rūpā yathā taɱ durakkhāte Dhamma-Vinaye duppavedite aniyyānike anupasama-saŋvatta-nike a-Sammā-Sambuddha-ppavadite bhinna-thūpe appaṭi-saraṇe.

Evaɱ h'etaɱ āvuso hoti durakkhāte Dhamma-Vinaye duppavedite aniyyānike anupasama-saŋvatta-nike a-Sammā-Sambuddha-ppavedite.


그때 사리뿟따 존자는 비구들을 불러서 말하였다.

도반들이여, 니간타 나따뿟따가 빠와에서 막 임종하였습니다. 그가 임종자 니간타들은 서호 분열하여 둘로 갈라져서 입의 칼로써 서로를 찌르며 지내고 있었습니다.

그대는 이 법()과 율()을 제대로 모른다. 나는 이 법과 율을 제대로 안다.’, ‘어찌 그대가 이 법과 율을 제대로 알겠는가?’, ‘그대는 그릇된 도를 닦는 자이고 나는 바른 도를 닦는 자이다.’, ‘내 말은 일관되지만 그대는 일관되지 않는다.’, ‘그대는 먼저 설해야 할 것을 뒤에 설했고 뒤에 설해야 할 것을 먼저 설했다.’, ‘그대가 오랫동안 주장해 오던 것은 한마디로 논파되었다.’, ‘나는 그대의 교설의 허점을 지적했다. 그대는 패했다. 비난으로부터 도망가라. 혹은 만약 할 수 있다면 지금 설명해 보라.’라고.


도반들이여, 니간타 나따뿟따의 제자들 사이에서는 오직 다툼만이 있는 듯하였습니다. 니간타 나따뿟따의 흰 옷을 입은 재가 신도들도 니간타 나따뿟따의 제자들에게 넌더리를 내고 질려버리고 실망한 모습이 역력하였습니다.

그것은 법()과 율()이 제대로 설해지지 못하고 잘못 선언되고 출리로 인도하지 못하고 고요에 이바지하지 못하고 바르게 깨달은 분[정등각(正等覺)]에 의해서 선언된 것이 아니며 탑이 부서진 것이고 귀의처가 없게 된 경우에 속하였기 때문입니다.

 

Ayaɱ kho pana āvuso asmhākaɱ Bhagavatā dhammo svākkhāto suppavedito niyyāniko upasama-saŋvatta-niko SammāSamBuddha-ppavedito.

Tattha sabbeh'eva saŋgāyitabbaɱ na vivaditabbaɱ, yatha-yidaɱ Brahma-cariyaɱ addhaniyaɱ assa cira-ṭṭhitikaɱ,
tad assa bahu-jana-hitāya bahu-jana-sukhāya lokānukampāya atthāya hitāya sukhāya deva-manussānaɱ.


도반들이여, 그러나 우리들의 법은 세존에 의해서 제대로 설해졌고 잘 선언되고 출리로 인도하고 고요에 이바지하고 바르게 깨달은 분(正等覺)에 의해서 선언된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 모두는 함께 합송해야 하며, 분쟁을 해서는 안 됩니다. 그래야 이 청정범행이 길이 전해지고 오래 머물게 해야 합니다. 이것이 많은 사람의 이익을 위하고 많은 사람의 행복을 위하고, 세상을 연민하고, 신과 인간의 이상과 이익과 행복을 위하는 것입니다.


Katamo c'āvuso asmhākaɱ Bhagavatā dhammo svākkhāto suppavedito niyyāniko upasama-saŋvatta-niko SammāSamBuddha-ppavedito,
yattha sabbeh'eva saŋgāyitabbaɱ na vivaditabbaɱ,
yatha-yidaɱ Brahma-cariyaɱ addhaniyaɱ assa cira-ṭṭhitikaɱ,
tad assa bahu-jana-hitāya bahu-jana-sukhāya lokānukampāya atthāya hitāya sukhāya deva-manussānaɱ.


도반들이여, 그러면 어떠한 법이 세존에 의해서 우리들에게 제대로 설해졌고 잘 선언되고 출리로 인도하고 고요에 이바지하고 바르게 깨달은 분에 의해서 선언된 것입니까?



Ekakaɱ


Atthi kho āvuso tena Bhagavatā jānatā passatā arahatā Sammā-Sam-Buddhena eko dhammo sammad-akkhāto.

Tattha sabbeh'eva saŋgāyitabbaɱ na vivaditabbaɱ, yatha-yidaɱ Brahma-cariyaɱ addhaniyaɱ assa cira-ṭṭhitikaɱ,
tad assa bahu-jana-hitāya bahu-jana-sukhāya lokānukampāya atthāya hitāya sukhāya deva-manussānaɱ.


Katamo eko dhammo?

Sabbe sattā āhāra-ṭṭhitikā

Sabbe sattā sankhāra-ṭṭhitikā.


Ayaɱ kho āvuso tena Bhagavatā jānatā passatā arahatā Sammā-Sam-Buddhena eko dhammo sammad-akkhāto.

Tattha sabbeh'eva saŋgāyitabbaɱ na viva- ditabbaɱ,
yatha-yidaɱ Brahma-cariyaɱ addhaniyaɱ assa cira-ṭṭhitikaɱ,
tad assa bahu-jana-hitāya bahu-jana-sukhāya lokānukampāya atthāya hitāya sukhāya deva-manussānaɱ.


한 가지로 구성된 법들


 “도반들이여, 아시고 보시는 그분 세존-아라한-정등각께서는 한가지로 구성된 법을 분명하게 설하셨습니다. 그래서 우리 모두는 함께 합송해야 하며, 분쟁을 해서는 안 됩니다. 그래서 이 청정범행이 길이 전해지고 오래 머물게 해야 합니다. 이것이 많은 사람의 이익을 위하고 많은 사람의 행복을 위하고, 세상을 연민하고, 신과 인간의 이상과 이익과 행복을 위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어떤것이 한가지로 구성된 법입니까?

(1) 모든 중생들은 음식(āhāra)([()]으로 생존합니다.

(2) 모든 중생들은 상카라(saṅkhāra)[()]로 생존합니다.

 

도반들이여, 이것이 아시고 보시는 분 그분 세존-아라한-정등각께서 분명하게 설하신 한 가지로 구성된 법입니다. 그러므로 우리 모두는 함께 합송해야 하며, 분쟁을 해서는 안 됩니다. 그래서 이 청정범행이 길이 전해지고 오래 머물게 해야 합니다. 이것이 많은 사람의 이익을 위하고 많은 사람의 행복을 위하고, 세상을 연민하고, 신과 인간의 이상과 이익과 행복을 위하는 것입니다.”


Dukaɱ

Atthi kho āvuso tena Bhagavatā jānatā passatā arahatā Sammā-Sam-Buddhena dve dhammo sammad-akkhāto.

Tattha sabbeh'eva saŋgāyitabbaɱ na vivaditabbaɱ,||
yatha-yidaɱ Brahma-cariyaɱ addhaniyaɱ assa cira-ṭṭhitikaɱ,||
tad assa bahu-jana-hitāya bahu-jana-sukhāya lokānukampāya atthāya hitāya sukhāya deva-manussānaɱ.


두 가지로 구성된 법들


도반들이여아시고 보시는 분 그분 세존-아라한-정등각께서는 두 가지로 구성된 법을 분명하게 설하셨습니다. 그러므로 우리 모두는 함께 합송해야 하며, 분쟁을 해서는 안 됩니다. 그래서 이 청정범행이 길이 전해지고 오래 머물게 해야 합니다. 이것이 많은 사람의 이익을 위하고 많은 사람의 행복을 위하고, 세상을 연민하고, 신과 인간의 이상과 이익과 행복을 위하는 것입니다.”


Katame dve?

Nāmañ ca rūpañ ca

Avijjā ca bhava-taṇhā ca.

Bhava-diṭṭhi ca vibhava-diṭṭhi ca.

Ahirikañ ca anottappañ ca.

Hiri ca ottappañ ca.

Dovacassatā ca pāpa-mittatā ca.

Sovacassatā ca kalyāṇa-mittatā ca.

Āpatti-kusalatā ca āpatti-vuṭṭhāna-kusalatā ca.

Samāpatti-kusalatā ca samāpatti-vuṭṭhānau-kusalatā ca.

Dhātu-kusalatā ca mana-sikāra-kusalatā ca.

Āyatana-kusalatā ca paṭicca-samuppāda-kusalatā ca.

Ṭhāna-kusalatā ca aṭṭhāna-kusalatā ca.

Ajjavañ ca lajjavañ ca.

Khantī ca soraccañ ca.

Sākhalyañ ca paṭisathāro ca.

Avihiɱsā ca soceyyañ ca.


그러면 어떤 것이 두 가지로 구성된 법입니까?

1. 정신(nāma)과 물질(rūpa)

2. 무명(無明 avijjā)과 존재에 대한 갈애(有愛 bhava-taṇhā)

3. 존재에 대한 견해(bhava-diṭṭhi)와 비존재에 대한 견해(vibhava-diṭṭhi)

4. 양심 없음(ahirika)과 수치심 없음(anottappa)

5. 양심(hirī)과 수치심(ottappa)

6. 불손하게 말함(dovacassatā)과 삿된 친구를 사귐(pāpa-mittatā)

7. 유순함(sovacassatā)과 선우를 사귐(kalyāṇa-mittatā)

8. 범계에 대한 능숙함(āpatti-kusalatā)과 범계에서 벗어남에 대한 능숙함(āpatti-vuṭṭhāna-kusalatā)

9. 증득에 대한 능숙함(samāpatti-kusalatā)과 증득으로부터 출정에 대한 능숙함(samāpatti-vuṭṭhānau-kusalatā)

10. [18가지] 요소에 대한 능숙함(dhātu-kusalatā)과 마음의 기울임에 대한 능숙함(mana-sikāra-kusalatā)

11. [12가지] 감각장소에 대한 능숙함(āyatana-kusalatā)[12]연기에 대한 능숙함(paṭicca-samuppāda-kusalatā)

12. [바른] 경우에 대한 능숙함(ṭhāna-kusalatā)[바르지] 못한 경우에 대한 능숙함(aṭṭhāna-kusalatā)

13. 정직함(ajjava)과 부끄러워함(lajjava)

14. 인욕(khantī)과 온화함(soracca)

15. 부드러움(Sākhalya)과 친절함(paṭisathāra)

16. [연민을 통한] 해치지 않음(avihiɱsā)[자애로움을 통한] 깨끗함(soceyya)


Muṭṭhasaccañ ca asampajaññañ ca.

Sati ca sampajaññañ ca

Indriyesu agutta-dvāratā ca bhojane amatt'aññutā ca.

Indriyesu gutta-dvāratā ca bhojane matt'aññutā ca.

Paṭisaŋkhāna-balañ-ca bhāvanā-balañ ca.

Sati-balañ ca samādhi-balañ ca.

Samatho ca vipassanā ca.

Samatha-nimittañ ca paggaha-nimittañ ca.

Paggāho ca avikkhepo ca.

Sīla-sampadā ca diṭṭhi-sampadā ca.

Sīla-vipatti ca diṭṭhi-vipatti ca.

Sīla-visuddhi ca diṭṭhi-visuddhi ca.

Diṭṭhi-visuddhi kho pana yathā diṭṭhissa ca padhānaɱ.

Saɱvego ca saɱvejanīyesu ṭhānesu saɱviggassa ca yoniso padhānaɱ.

Asantuṭṭhitā ca kusalesu dhammesu appaṭivānitā ca padhānasmiɱ.

Vijjā ca vimutti ca.

Khaye ñāṇaɱ anuppāde ñāṇaɱ.

17. 마음챙김을 놓아버림(muṭṭhasacca)과 알아차리지 못함(asampajañña)

18. 마음챙김(sati)과 알아차림(sampajañña)

19. 감각기능들에서 대문을 단속하지 못함(indriyesu agutta-dvāratā)과 음식에서 적당함을 알지 못함(bhojane amatt'aññutā)

20. 감각기능들에서 대문을 단속함(indriyesu gutta-dvāratā)과 음식에서 적당함을 앎(bhojane matt'aññutā)

21. 숙고의 힘(paṭisaŋkhāna-bala)과 닦음의 힘(bhāvanā-bala)

22. 마음챙김의 힘(sati-bala)과 삼매의 힘(samādhi-bala)

23. 사마타(samatha)와 위빳사나(vipassanā)

24. 사마타의 표상(samatha-nimitta)과 분발의 표상(paggaha-nimitta)

25. 분발(paggāha)과 산란하지 않음(avikkhepa)

26. 계를 파함(sīla-vipatti)과 견해를 파함(diṭṭhi-vipatti)

27. 계의 구족(sīla-sampadā)과 견해의 구족(diṭṭhi-sampadā)

28. 계의 청정(sīla-visuddhi)과 견해의 청정(diṭṭhi-visuddhi)

29. 견해의 청정(diṭṭhi-visuddhi)과 그러한 견해에 따른 노력(diṭṭhissa ca padhāna)

30. 절박함을 일으키는 원인들에 대해서 절박함(saɱvega)과 절박함을 가진 자의 지혜로운 노력(yoniso padhāna)

31. 유익한 법들만으로 만족하지 못함과 노력에서 물러서지 않음(appaṭivānitā)

32. [세 가지] 영지(vijjā)[두 가지] 해탈(vimutti)

33. 무너짐에 대한 지혜(khaye ñāṇa)와 일어나지 않음에 대한 지혜(anuppāde ñāṇa)


Ime kho āvuso tena Bhagavatā jānatā passatā arahatā Sammā-Sam-Buddhena dve dhammo sammad-akkhāto.

Tattha sabbeh'eva saŋgāyitabbaɱ na vivaditabbaɱ, yatha-yidaɱ Brahma-cariyaɱ addhaniyaɱ assa cira-ṭṭhitikaɱ, tad assa bahu-jana-hitāya bahu-jana-sukhāya lokānukampāya atthāya hitāya sukhāya deva-manussānaɱ.


도반들이여, 이것이 아시고 보시는 분 그분 세존-아라한-정등각께서 분명하게 설하신 두 가지로 구성된 법입니다. 그러므로 우리 모두는 함께 합송해야 하며, 분쟁을 해서는 안 됩니다. 그래서 이 청정범행이 길이 전해지고 오래 머물게 해야 합니다. 이것이 많은 사람의 이익을 위하고 많은 사람의 행복을 위하고, 세상을 연민하고, 신과 인간의 이상과 이익과 행복을 위하는 것입니다.”



우리말 번역 : 각묵 스님 번역(초기불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