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행 방법 3

8. 경행방법 3 (20090705)

https://youtu.be/7x542zFUi2k  * 경행방법 3 (20090705) 저번 시간까지 경행의 3단계에 대한 얘기를 쭉 했습니다. 어디까지 했죠? 경행의 3단계 할 때? 움직임을 알고, 그 움직임을 명확하게 파악을 하고, 그래서 구분할 수 있게끔 하고, 그래서 멈추는 걸 알면 구분할 수 있게끔 된다고 했죠! 그러고 나서 경행하면서 일어나는 느낌, 4대 요소에 대한 것들을 갖다가 실재적으로 관찰을 하라. 그리고 그 사대요소도 변화된다는 사실을 알도록 하라는 그 부분까지 얘기를 했습니다.  왜 그게 기본이 돼야 되느냐 하면, 서로 손 한번 잡아봐요. 자기 왼손하고 오른손을 한번 잡아 봐요. 탁 잡으면서 느낀 것들이 뭐라? 알아차린 것이? 따뜻함, 또 다른 사람은? 또 다른 사람은 없어요? 그..

7. 경행방법 2 (20090628)

https://youtu.be/7QGYALqs7Wk * 경행방법 2 (20090628) 테라와다 불교권에서는 애기를 가질 때부터 불교하고 인연을 맺습니다. 애기가 뱃속에 있을 거 같으면 대부분 경전들을 어머니들이 외웁니다. 『앙굴리말라 경』 같은 거, '내가 고통받지 않고 순조롭게 출산하길 바랍니다.' 하는 그런 게송들을 합니다. '누구든지 행복하길 바라고 고통받길 바라지 않듯이 나도 고통받지 않고 행복하고, 또 뱃속에 있는 아기도 괴롭지 않게 출산하길 바랍니다.' 하면서 출산을 하죠! 그러니까 뱃속에 있을 때부터 애기들은 그 경전을 접해옵니다. 그리고 태어나면 각각의 행사들이 항상 불교하고 연관이 돼있는데, 아이들이 태어나서 맨 처음 배우는 말이 뭔 줄 아세요? 말을 '아빠' '엄마' 이렇게 우리말로 ..

6. 경행 방법 1 (20090623)

https://youtu.be/YbH-Fmq95dw * 경행 방법 1 (20090623) 한참 공부들을 지어나가고 할 때 그런 마음들이 많이 듭니다. '아! 조금만 내가 열심히 공부할 수 있는 데가 있으면 좋겠다.' 하는 그런 마음을 가집니다. 그러니까 여기 가서 나는 수행을 좀 하고 싶은데 사람들이란 게 안 그렇거든. 수행하는 집단이라 하더라도 내 수행만 하는 게 아니고 좀 다른 사람들 하고 떠들 때도 있고 그렇단 말이라. 그런데 그게 마음에 안 드는 거야. 오롯이 수행만 했으면 좋겠는데 사람들이 그러지를 못하니까 '아! 내가 여기에 머무를 데가 아니다' 해가지고 떠납니다. 그래서 이 선원 갔다가 또 저 선원 갔다가 이렇게들 합니다. 물론 떠나는 경우들이 여러 가지 경우가 있겠지만 자기 스스로 결정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