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각지 5

3. 정진각지(精進覺支) 후반부 (20170908. 대구)

https://youtu.be/5J5dSZvdwRg 3. 정진각지(精進覺支) 후반부 (20170908. 대구) 오늘은 칠각지 중에서 정진각지 후반부 부분입니다. 사실은 저번에 정진각지를 하면서 정진각지에 대해서는 다 얘기한 것입니다. 순조롭게 사띠 삼보장가부터 해서 담마위짜야로 인해서 위리야로 넘어가는 경우가 있고, 넘어가지 못하는 경우에 개발하는 방법에 대한 것을 분리해서 설명을 했습니다. 오늘은 부언 설명 같이 들리겠지만 어쨌든 정진각지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것들을 중심으로 해서 얘기를 하겠습니다. 보통 수행하는 사람들이 수행이 잘되면 생겨나는 병 중에 하나가 뭐냐면 지도자로서 인정받고 싶어하는 경우, 가끔씩 그런 사람들이 있습니다. 뭔가 내가 이 과정을 이수했다고 하는 걸 증명해주기를 바라는..

3. 정진각지 상반부-계율을 지키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20170721. 대구)

https://youtu.be/fRLKuVPagcA 3. 정진각지 상반부-계율을 지키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20170721. 대구) 오늘 프린트물은 저번 저번 달에 서울 법회에 했던 프린트물과 동일한 칠각지 중에 세 번째 정진각지 상반부 부분입니다. 저번 서울에서는 교재에 나와 있는 방법대로 칠각지가 잘되어나갈 때 사띠부터 해서 담마위짜야로 해서 그다음에 위리야 삼보장가가 잘 이루어졌을 때의 방법과, 그다음에 칠각지가 제대로 잘 이루어지지 않고 했을 때 정진각지를 일으키는 방법에 대한 것 두 가지 방법으로 설명을 해놓은 부분입니다. 오늘은 그것과 조금 다르게 특히 요즘과 같은 여름철이면 수행하면서 많이 조붑니다. 졸음과 수마, 혼침 같은 것을 극복하기 위한 정진 방법에 대한 것들을 중심으로 해서 설명..

3. 정진각지 전반부-계율을 지키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20170617. 서울)

https://youtu.be/iq8Eea_dFGo?si=1Xuw6_lylgmdqjCS 3. 정진각지 전반부-계율을 지키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20170617. 서울) 오전에 할 거는 정진각지(精進覺支) 전반부 들어가고, 다음 번에 한 번 더 정진각지 후반부를 하고, 오늘은 정진각지 중에서 수행에서 순조롭게 잘 이루어져 나가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나누어서 정진각지를 설명을 하겠습니다. 위리야 삼보장가(viriya-sambojjhaṅga)죠! 위리야 뜻이 뭐라?보통 노력, 정진이라고 이렇게 얘기하는데, 이렇게 생각하면 됩니다.쉽게 얘기하면 그냥 뭔가를 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고, 뭘 하겠다 하고 탁 결정을 내리고 나서 그걸 할려고 마음을 움직여가지고 해나가는 것, 그 에너지를 위리야라고 생각하면 ..

21. 번뇌를 극복하기 위한...12. 정진각지 (20080612)

https://youtu.be/Iln6wGhsShc21. 번뇌를 극복하기 위한...12. 정진각지 (20080612)  저번 시간에 택법각지까지가 끝났습니다.오늘 이 시간에는 정진각지(精進覺支) 위리야 삼보장가(vīriya-sambojjhaṅga) 부분에 대한 것을 하겠습니다. 노력한다, 정진한다 하는 것, 무조건 열심히 하면 될 거 같죠? 그거는 아니죠! 만약에 누구든지 오르지 못하는 에베레스트 산 정상에 올랐다. 굉장히 노력해가지고 그 정상에 올랐을 거라. 그렇다고 해가지고 죽고 나서 저 세상에 가면 염라대왕이 너는 에베레스트 정상 올라갔으니까 천국으로 가라 하고 얘기해줍니까? 그러지는 않죠! 노력이라고 하더라도 욕구 욕망에 관계되고 또 번뇌에 관계되고 그다음에 집착에 관계된 것이 아닐 거 같으면 그..

칠각지- 염각지. 택법각지. 정진각지 (20080306)

https://youtu.be/rYz1R-1JDqc◈ 칠각지(satta sambojjhaṅgā, 일곱 가지 바른 깨달음의 길)(20080306) 오늘 이 시간에는 칠각지 부분 들어가도록 하겠습니다. 37가지지만 중복된 것들 빼고 나면 14가지 정도 됩니다. '사여의족-짜따로 인디빠다 삿다'라고 하는 것들은 의지, 노력, 마음, 사려 깊음 그다음에 오근 이런 것들은 다 생략을 합니다. 그러나 오근 부분은 뒤에 또 설명이 돼 나갈 겁니다.  칠각지(七覺支) 부분 한번 봅시다. 칠각지 경전도 있죠! 마하 목갈라나 존자와 사리뿟따 존자 그리고 부처님 자신 이렇게 세 분의 위대한 성인들이 병이 들었을 때 이 경전을 읽어주고 읊어줌으로 해가지고 그 병으로부터 벗어나서 자유로워졌다 하는 것이 그 「봇장가 숫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