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수화풍 3

수행법문- 수행의 실제 (20180414. 울주)

https://youtu.be/0KTy3od3Bcc * 수행의 실제 (20180414. 울주) [몸과 마음에 대한 관찰부터 예비수행까지] 저번 시간까지 "계를 잘 지켜서 마음을 청정히 하라" 하는 얘기까지 했습니다. 수행의 대상은 몇개일까? 위빳사나 수행은 수행의 대상이 몇 개라? (수행자 대답 : 신·수·심·법 4가지입니다.) 4가지? 또 다른 사람은? (수행자 대답 : 오온에서 일어나는 대상은 전부가 대상이 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대상이 여러 가지일 때는 위빳사나 수행쪽으로 흐르기가 쉽고, 수행이 단순하면 사마타 수행으로 흐르기가 쉽습니다. 예를 들어봅시다. 호흡을 관찰하고 있다, 그러면 들이쉬고 내쉬고 아주 단순하죠? 이것만 관찰하고 있으면 사마타로 흐르기가 쉽습니다. 들이쉬고 내쉬고 하는 데서 ..

기초수행05. 경행방법2 (경행과 사대요소) (20071023)

https://youtu.be/LKhthqbqeDM * 기초수행05. 경행방법2 (경행과 사대요소) (20071023) ··· 알아차림이 없이는 걷지 않겠다 하는 굳은 결심을 해야 한다고 하는 얘기를 했습니다. 그래서 마음을 매사 알아차리는 것이 아주 선명해지도록 그렇게 해야 됩니다. 여러분들 만약에 결심을 그렇게 알아차림이 없으면 걷지 않겠다고 할 거 같으면 몇 발자국이나 움직일 수 있을 거 같애요? 마야님! 몇 발자국이나 움직일 수 있을 거 같애요? 알아차리지 않으면 걷지 않겠다 했으면? 어느 수행자가 한번 그렇게 해본 적이 있거든요. 처음에는 내내 걷는 것이 알아차림이라고 알고 있었는데, 나중에 알아차림에 대해서 정확하게 이해를 하고 나니까 한 발짝도 떼지 못하겠더라는 거라. 실제 그렇습니다. 우선..

19. 사대요소와 12처(十二處) (20091013)

https://youtu.be/0EZNq0Nq-WY * 사대요소와 12처(十二處) (20091013) 오늘은 사대요소와 12처(十二處)에 대한 얘기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12처(十二處)는 여러분들이 잘 알죠? 또 18계(十八界)가 뭔지는 알죠? 여섯 가지 감각기관(六根), 그리고 여섯 가지 대상(六境), 그것을 인식하는 것(六識) 그렇게 해가지고 18계, 그렇게 나누어집니다. 4대 요소는 여러분들이 잘 알고 있듯이 지수화풍 사대요소이고, 그것에 대해서 아울러서 한번 얘기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왜 이게 필요한가 하면 이 부분을 모르면 집착하는 마음들이 굉장히 강해집니다. '나'라고 하는 것들. 부처님 당시 때도 그런 것들이 굉장히 많았습니다. 부처님 전생 이야기 자타카에 보면, 부처님이 코끼리의 왕으로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