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짠 빤냐와로 스님 법문교재/테라와다불교의 신행생활

테라와다 이야기 11- 상가의 덕①

담마마-마까 2016. 8. 6. 12:09

“모두를 안심케 하는, 있어서 좋은”

삼장법사 빤냐와로 스님의 “테라와다 이야기” 17- 상가의 덕 ①
“상가, 진지한 노력, 바른 수도, 해탈의 길 걷고 여법한 실천 마친 사람들”

 

 

11. 상가의 덕(Saṅgha guṅā)

 

(1). 상가란 무엇인가?

 

상가라는 말은 「모임, 단체, 조합」등 그룹을 의미하는 말입니다. 붓다는 당시의 인도에서 깨달은 사람들의 집단, 일반사람들의 규범이 되는 집단을 만들었습니다. 그래서 불교에서 상가라고 하는 것은 무집착의 세계, 사람을 차별해선 안 되는 세계, 화합된 세계를 말합니다. 무조건적으로 자비를 실천하지 않으면 안 되는 세계인 것입니다. 그러한 집단의 훌륭함은 2500년이 지난 현재, 스리랑카나 미얀마, 태국 등의 테라와다 불교를 받드는 나라들에서 살아 있습니다. 그래서 그 나라의 사람들은 상가에 대해서 매우 존경하고 신뢰하고 있습니다.

 

초기 불교에 있어서의 상가는 진리를 목표로 붓다의 가르침을 실천하려고하는 사람들이 모인 집단이었습니다. 원래의 정의에서는 출가자·재가자라는 것보다, 진리를 체험하려고 결심해서 노력하는 사람들입니다. 즉 불교도는 모두 상가의 멤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상가의 자격이 완전하게 확정되는 것은 예류과(sotāpatti) 이상의 깨달음을 이룬 사람들입니다. 그래서 자격을 취득한 성스러운 사람들(ariya saṅgha)과 자격을 얻으려고 노력하는 사람들(puthujjana saṅgha)이라는 2종류의 상가가 있습니다.

 

 

또 다른 상가의 정의는 불교의 출가자 집단을 상가라고 부르고 있습니다(sammati saṅgha).

 

사람들에게 의지처가 되는 상가의 자격으로 경전에서는 우선, Supaṭipanno, Ujupaṭipanno, Ñāyapaṭipanno, Sāmīcipaṭipanno라는 4가지를 들고 있습니다. su(잘, 좋게, 진지하게), uju(정확하게), ñāya(해탈, 열반을 향해 올바르게), sāmīci(여법하게 존경받는 자)라는 의미로, 각각 -patipanno(실천해서 끝냈다)라는 말이 붙어 있습니다. 즉 「진지하게 노력하고, 정확하게 도의 길을 따라가고, 해탈을 향해 올바르게 나아가고, 여법하게 실천하여 끝마친 사람들」이라는 의미가 됩니다.
 
다음에 Yadidaṁ cattāri purisayugāni aṭṭha purisa-puggalā라는 구문이 있습니다. 이것은 「4쌍8배 」라고 번역되는 말로, 예류도, 예류과, 일래도, 일래과, 불환도, 불환과, 아라한도, 아라한과, 라는 8개의 깨달음의 단계의 어떤 것에 들어가 있는 사람들을 말합니다. ~도와 ~과라는 것은 원인과 결과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예류도는 예류과가 되기 위한 길(원인)입니다. 4개의 깨달음의 단계를 원인과 결과로 나누고 있지만, 이 원인과 결과에는 시간적인 차이는 없습니다. 풍선에 바늘을 찌르면 곧바로 터져버리듯이, 원인이 생기면 거기에 결과도 나온다고 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깨달음을 이룬 사람들인 상가는 불교도가 의지하는 대상입니다. 의지한다고 하는 것은 신앙과는 다릅니다. 불교에서는 붓다·담마·상가를 목표로 해서 자기 자신이 노력하는 것을 말하며, 붓다께서는 「 나와 같은 자가 되십시오, 노력해서 여기까지 올라오십시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러기 위해서 붓다는 자기 자신을 우리들을 인도하는 「선한 친구」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비구들이여, 여러분은 아침에 해가 뜨는 모습을 알고 있습니까?
아침에 해가 뜰 때에는, 먼저 동쪽의 하늘이 밝아집니다.
동쪽의 하늘이 밝아지는 것은 태양이 떠오르는 징조라고 말할 수 있겠지요.
그것과 같이 비구들이 성스러운 여덟 가지 도에 들어갈 때는 그 징조가 있습니다.
그것은 선한 친구가 있는 것입니다.
선한 친구를 가진 수행자는 팔정성도를 성취하는 것을 기약할 수가 있습니다.」
(상응부 경전 49. 선정 경)

 

상가는 붓다의 가르침을 실천해서, 그 가르침이 진실한 것임을 세상에 나타내고, 그 담마를 차세대에게 전하는 역할을 합니다. 상가가 소멸해 버리면, 불교도 소멸하게 됩니다.


정말로 맑고 깨끗한 사람들의 집단이 사회에 있으면 모두 안심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상가라고 하는 시스템은 어느 사회에나 있는 것이 좋습니다.


상가가 생겨났을 때, 처음으로 불교가 그 나라에 뿌리 내렸다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