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짠 빤냐와로 스님 수행법문 녹취/37조도품 법문 24

칠각지- 희각지 (20080313)

https://youtu.be/Jl8pMi2sX04(4) 삐띠 삼봇장가(pīti-sambojjhaṅga)·희각지(喜覺支)(20080313) 지난 시간에 사띠하고 담마위짜야 하고 위리야까지 했습니다.사띠는 여러분들이 다들 잘 알고 있으니까, 어떤 현상이든 현상에 대한 알아차림입니다. 일어난 현상을 지금 즉시 알아차리는 것. 알아차리는데 그냥 알아차리는 게 아니고 그 현상이 무상하다는 속성, 그리고 불만족이라는 속성, 그 현상에서 '나'라고 할 만한 것은 어디에도 없다는 속성, 이 세 가지를 명확하게 알아차려야 된다 하는 얘기를 했습니다.  그렇게 알아차리다 보면 법에 대한 조사가 되어나갑니다. 확인되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법에 대한 조사들을 해나갑니다. 그로 인해서 노력의 힘들도 더욱더 커지게 됩니다. 법에..

칠각지- 염각지. 택법각지. 정진각지 (20080306)

https://youtu.be/rYz1R-1JDqc◈ 칠각지(satta sambojjhaṅgā, 일곱 가지 바른 깨달음의 길)(20080306) 오늘 이 시간에는 칠각지 부분 들어가도록 하겠습니다. 37가지지만 중복된 것들 빼고 나면 14가지 정도 됩니다. '사여의족-짜따로 인디빠다 삿다'라고 하는 것들은 의지, 노력, 마음, 사려 깊음 그다음에 오근 이런 것들은 다 생략을 합니다. 그러나 오근 부분은 뒤에 또 설명이 돼 나갈 겁니다.  칠각지(七覺支) 부분 한번 봅시다. 칠각지 경전도 있죠! 마하 목갈라나 존자와 사리뿟따 존자 그리고 부처님 자신 이렇게 세 분의 위대한 성인들이 병이 들었을 때 이 경전을 읽어주고 읊어줌으로 해가지고 그 병으로부터 벗어나서 자유로워졌다 하는 것이 그 「봇장가 숫따」입니다..

서른일곱 가지 깨달음을 도와주는 법(담마스쿨) (20080124)

https://youtu.be/UQmW-uznvQU◈ 서른일곱 가지 깨달음을 도와주는 법 [bodhipakkhiyā dhammā, 三十七助道品] 불교 수행법에는 서른일곱 가지 깨달음을 도와주는 법[三十七助道品]이 있습니다. 수행의 항목 수가 37가지이지만 중복되는 것을 제외하면 14가지 덕목이 됩니다.  1. 사념처(四念處) 2. 사정근(四正勤), 사정단(四正斷) 3. 사신족(四神足) 4. 오근(五根) 5. 오력(五力) 6. 칠각지(七覺支) 7. 팔지성도(八支聖道), 팔정도(八正道)입니다. 1. 사념처(四念處, cattāro satipaṭṭhānā)- 네 가지 알아차릴 대상 (20080124) 저번 시간에 프린트물은 나갔었죠? [성자의 마음] 해가지고. 그 차이점이 뭐든가요? 일반 뿌툿자나(puthujj..

아나빠나 사띠와 7각지의 방식 (담마스쿨 법문교재 내용)

*** 아-나-빠-나 사띠 (담마스쿨 법문교재 내용) 7각지에 대해 수행하고 싶으면 우선 자-나(선정) 수행으로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여기서는 우선 아-나-빠-나 명상에 의해 들어가는 선정에 대해 말하겠습니다. 수행의 기초가 되는 경전은 출입식념경, 염처경, 염신경, 대념처경 등인데 모두 호흡에 대한 사띠에서 시작합니다. 다른 경전의 가르침은 좌선뿐만 아니라 수많은 다른 행위에도 적용되는 반면, 출입식념경(아-나-빠-나사띠 숫따)의 수행은 주로 앉아서 하는 수행이라는 차이가 있습니다. 지금부터 출입식념의 설명을 하겠습니다. a. 먼저 집중 포인트를 결정한다. 우선 결정할 것은 숨이 닿는 포인트입니다. 호흡이 와 닿는 곳을 찾으십시오. 코끝일 수도 있고, 콧구멍 가장자리일 수도 있고, 입술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