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599

부처님 시대의 왕들-숫도다나왕, 빔비사라왕_빤냐와로 스님법문_담마스쿨_131004

https://youtu.be/jyoqKCRRyQc?si=XYwF6u5BY9VAZC3L * 부처님 시대의 왕들-숫도다나왕, 빔비사라왕_빤냐와로 스님법문_담마스쿨_131004 오늘 프린트물이 좀 많죠. 이번 주하고 다음 주는 좀 양이 좀 많습니다. 다 몰라도 됩니다. 다 알아라고 그거 적어준 거는 아니고. 상가에서, 이번 달이 지금 10월달 됐죠? 10월 26일이 까티나 찌와라 뿌자(Kaṭhina Cīvara Pūjā)라 해서 까티나 행사 하는 날입니다. 부산에서 하는데 아마 모르긴 해도 스님이 한국에 있을 때 부산에서 아마 마지막 까티나가 되지 않을까? 하는 그런 생각도 해요. (수행자...) 아니 아니에요. 당장 간다는 건 아니고, 돌아가면서 스님들이 하니까 그래서 상가에 공양 올리기에 가장 좋은 때입..

부처님의 일대기-연도로써 정리_빤냐와로 스님법문_담마스쿨_130927-3

https://youtu.be/84CqvGBKGM8?si=ZwhYU10MIWsmon2o * 부처님의 일대기-연도로써 정리_빤냐와로 스님법문_담마스쿨_130927-3 오늘은 부처님의 입태부터 열반에 이르는 것까지에 대한 걸 갖다가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입안에 사탕이 있어가 조금 말이 좀 헛나와도 좀 이해를 해요. (예)먼저 한번 물어봅시다. 부처님, 지금은 부처님이 존재하는 시기입니까? 아니면 부처님이 없는 시기입니까? 유불식이냐, 아니면 무불식이냐? 하는 겁니다. (수행자: 존재하는 시기입니다.) 어째서? 부처님 열반에 드신 지 오래됐어. (수행자: 법이 존재를 하고 그대로 내려오고...) 법이 존재한다 해서 부처님이 존재하는 거 하고는 좀 구분을 해야 되는 거고. 어찌 생각해요? (수행자...) 무불시..

테라와다 불교사 개론_빤냐와로 스님법문_담마스쿨_130913-3

https://youtu.be/4SJyvm6qKpU?si=xcUg-oIj-qu90ju_ * 테라와다 불교사 개론_빤냐와로 스님법문_담마스쿨_130913-3 저번에 총론으로 전체에 대한 얘기를 했습니다. 그래서 오늘 불교 개론부분입니다. 부처님은 기원전 6세기에 태어나셔가지고, 그때부터 시작을 해서 지금까지 쭉 이어져 오게 된 거죠? 그래서 대충 불교는 이 지구상에 두 가지 흐름이 있다는 것은 알 겁니다. 테라와다 불교하고 마하야나 대승불교, 그래서 그 두 가지가 있습니다.  테라와다 불교를 일부에서는 초기불교, 근본불교, 남방불교, 상좌부불교, 뭐 이렇게 얘기를 하는데 다 괜찮은 용어입니다. 단지 상좌불교는 괜찮은데 상좌부는 안 됩니다. 부는 부파를 얘기하기 때문에. 테라와다 불교는 어떠한 경우든지 부파..

테라와다 불교사 총론_빤냐와로 스님법문_담마스쿨_130906-3

https://youtu.be/x7nueKmydC4?si=fXuUc-dcHbVQsmb1 * 테라와다 불교사 총론_빤냐와로 스님법문_담마스쿨_130906-3 이번에 2학기 때 스님이 맡은 과목은 테라와다 불교사 부분입니다. 어떻게 보면 스님은 똑 떠중이 인생 같애. 1학기 때도 내가 원하지 않는 과목 맡고, 2학기 때도 뭐 어쩔 수 없이 또 맡게 되고 이렇게 됐는데. 그래서 방학 동안에 원래 계획은 교재를 다 완성을 할려고 생각을 했었어요. 근데 몸이 부실하다 보니까 다 하지 못하고 어쨌든 한 중간 정도까지는 교재를 해놔놨으니까 마칠 때가 되면 이제 다 완성이 되겠죠. 그러니까 이번 2학기 때도 어쩔 수 없이 교재를 한 번에 내주질 못하고 매번 할 때마다 프린트물을 대체를 하도록 그렇게 하겠습니다. 그 대..

공덕을 만드는 10가지 방법_빤냐와로 스님법문_담마스쿨_130726-1

https://youtu.be/QHreM4aeG7Y?si=wPqmYT1Fk1UJF9DV * 공덕을 만드는 10가지 방법_빤냐와로 스님법문_담마스쿨_130726-1 오늘 끝나고 나면 한 달간 방학이죠? 되게 좋겠네. 공부하는 학생들은 방학같이 좋은 게 어디 있어. 스님도 어찌 보면 급작스럽게 이 과목을 맡아가지고, 교재도 없는 상태에서 교재 만들어 가면서 지금 한 학기를 진행을 했습니다. 많이 좀 여러 가지를 좀 할 줄 알았는데 준비도 좀 부족할 뿐 아니라 시간적으로도 그렇게 많이 할 시간은 없는 것 같애. 22시간인가? 얼마 정도 되는 거 가지고 이 테라와다 불교의식 전체를 다루기에는 조금 무리는 있었고, 그래도 기본적인 것은 조금 했으니까 그것으로 위안을 삼아야지 어떡하겠어. 또 누군가가 이 과목을 또..

까티나 가사_빤냐와로 스님법문_담마스쿨_130719-1

https://youtu.be/J7n2jZCQH5w?si=1Vph5kpu96xCHGd4 * 까티나 가사_빤냐와로 스님법문_담마스쿨_130719-1 저번 시간에 우기 안거에 대한 걸 공부를 했습니다. 이번에는 안거가 끝나고 나서 스님들이 이제 유행을 떠나기 전에 하는 까티나 가사에 대한 얘기를 좀 하겠습니다. 가사는 어떤 종류들이 있을까? 삼의(三衣)라고 하니까, 아랫가사 윗가사 그다음에 이 중복가사 해서 그게 삼의인데, 목적에 따라서 가사들이 다 틀립니다. 만약에 숲에서 거주하는 스님들에게 가사를 준다. 그럴 때는 보통 그 가사는 파빠(phapa)라고 이렇게 이름을 붙입니다. 아란냐 둣사라고 얘기하는데, 아란냐에 거주하는 스님 그러니까 홀로 고요한 곳에 가서 공부하는 스님들에게 필요한 가사들을 갖다 올리..

테라와다 스님들에게 필요한 네 가지 물품-거주처, 의약품_빤냐와로 스님법문_담마스쿨_130705-1

https://youtu.be/PlE_0yYzB0U * 테라와다 스님들에게 필요한 네 가지 물품-거주처, 의약품_빤냐와로 스님법문_담마스쿨_130705-1 저번 시간에 네 가지 의지처 중에 여러분들 알아야 될 두 가지에 대한 이야기를 했습니다. 오늘은 나머지 두 개를 하겠습니다.  버마나 태국 스리랑카 같은 경우에는 스님들이 일정한 상태가 되고 나면 지원해주는 것이 있습니다. 첫 번째가 뭐냐면 깝삐야라고 해가지고 스님을 시봉할 사람 한 사람을 임명을 해줍니다. 그래서 그 사람이 스님이 불편하지 않게끔 시봉을 하게끔 합니다. 그다음에 두 번째 하는 것이 뭐냐면 네 가지 물품이 항상 떨어지지 않게끔 조달을 해줍니다. 그 스님이 원할 경우에는 절까지 지어주게 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절이 필요 없을 경..

불교도들의 3가지 생활 패턴. 테라와다 가사 만드는 방법, 음식 공양방법, 공양을 올릴 수 있는 품목들_빤냐와로 스님법문_담마스쿨_130628-1

https://youtu.be/nNJI8-48Xd0?si=p_CnvRAUYWvmiOUV  출가한 스님들도 출가 생활을 어떻게 해야 되는지를 잘 모르는 경우가 있고, 재가자들도 재가자로서의 생활을 어떻게 해야 되는지를 잘 모르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또한 출가자와 재가자가 어떤 관계로써 맺어져 있는가 하는 것들을 모르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물론 각 나라마다 조금씩의 차이는 있겠죠. 그걸 감안하더라도 그런 부분들이 한국에는 좀 많이 부족한 실정입니다. 그래서 지금 남은 5번에는 가장 기본적인 것들은 좀 익혀야 될 것 같아서 그걸 중심으로 잡았습니다.  불교의 출가자든 재가자든 기본적으로 생활은 3개의 패턴으로 이루어집니다. 안거라고 들어봤어요? 우안거. 몇 개월이죠? (수행자: 3개월) 3개월, 어떤 경우에는..

패엽경-패엽 손질하는 법, 사경 방법 등_빤냐와로 스님법문_담마스쿨_130614-1

https://youtu.be/-f2sqwpWeiU?si=qF3gfwtbObfx6ufp * 패엽경-패엽 손질하는 법, 사경 방법 등_빤냐와로 스님법문_담마스쿨_130614-1 오늘 시간 할 거는 패엽경에 대한 겁니다. 스님이 가져온 저 패엽경은 한 몇 년이나 됐을까? 몇 년 정도 됐을 것 같아요? 1년 됐습니다. 작년에 알루위하라에 누가 여행 갔다가 거기서 직접 스님들이 패엽한 걸 사 왔으니까 1년 된 거지. 패엽은 야자 잎으로 새긴 것들을 얘기하죠. 야자잎은 한 몇 년이나 그게 갈 수 있는 걸까? 얼마 정도 갈 것 같아요? 수명이 가만히 그냥 자연 상태에서 놔주면 100년. (수행자: 나무를 말씀하시는 거예요, 잎을 말씀하시는 거에요?) 잎! 잎을 얘기합니다. 패엽, 야자나무의 잎.  지금 최고 패엽으..

테라와다 불교의 제사의례_빤냐와로 스님법문_담마스쿨_130607-1

https://youtu.be/0NV-PTLNaRM * 테라와다 불교의 제사의례_빤냐와로 스님법문_담마스쿨_130607-1 오늘 할 게 테라와다 불교의 제사의례 부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저번에 얘기를 했죠. 붓다·담마·상가 구나 부분은 자료가 우리 홈페이지에 있습니다. 그걸 할 시간적인 여유가 없어요. 그래서 그거는 여러분들이 참고로 해서 공부들을 해야 됩니다. 그 부분이 중요하기 때문에. 지금은 두 달밖에 안 남았기 때문에, 나머지 테라와다 불교의례에 대한 것들은 기본적으로는 익혀야 되기 때문에 그냥 넘어가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제사 의례」 부분입니다. 한국에는 보통 누가 돌아가시면 어떻게 합니까? 삼오제 지내죠. 첫째, 둘째 날, 셋째 날, 삼오제(삼우제) 지내고, 그러고 나서 반혼제라 해서 ..